KR101312884B1 -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 Google Patents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884B1
KR101312884B1 KR1020130082631A KR20130082631A KR101312884B1 KR 101312884 B1 KR101312884 B1 KR 101312884B1 KR 1020130082631 A KR1020130082631 A KR 1020130082631A KR 20130082631 A KR20130082631 A KR 20130082631A KR 101312884 B1 KR101312884 B1 KR 10131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dirt removal
main body
driv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동철
허춘구
Original Assignee
허춘구
진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춘구, 진동철 filed Critical 허춘구
Priority to KR102013008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8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removing dust of shoes in a mat type is provided to remove the dust on the shoes with a roll brush installed in the insid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in a footstool of a main body. CONSTITUTION: A device for removing dust of shoes in a mat type comprises a main body (100), a dust removing unit (200), a driving member (300), a vacuum inhaling member (400), and a sensing unit. The main body includes a main unit (120) having a footstool (110)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ng inlet holes (111) and a accommodating unit (121) in order that the footstool is installed on the opened upper part and appears by the weight of people. The dust removing unit is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unit by corresponding roll brushes (210) to the inlet holes to blush the dust of the shoes through the inlet holes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footstool. The driving member drives the roll brushes of the dust removing unit. The vacuum inhaling member inhales the dust supplied to the accommodating unit through the inlet holes by the dust removing unit. The sensing unit senses the lowering of the footstool in order that the dust removing unit is operated by the driving member.

Description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본 발명은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오물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발판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에 대응하여 내부에 개별 설치된 롤브러시를 통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브러시의 마모가 적어 종래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to remove the dirt on the bottom of the shoes of the person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in the footrest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ly, the roll brush installed inside can remove and remove dirt on the shoes of the visitor.Therefore, the roll brush has less wear and tear, so that it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e type dirt removal devi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의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신고 있던 신발을 현관의 입구에 벗어놓게 되고, 벗어놓은 신발의 분실이나 비 또는 눈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실내 측에 벗어놓거나 신발장에 보관시켜 주게 되는데, 신발의 바닥 면에는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각종의 오물이 묻어있어 현관의 입구에 신발을 벗어 놓을 경우 상기의 오물이 떨어져 입구를 더럽히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시로 입구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며, 수시로 청소를 하지 않을 경우 흙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가 실내로 날려 실내를 더럽히게 됨은 물론, 실내의 공기를 혼탁하게 하여 이러한 실내의 공기를 생활하고 있는 사람이 흡입 시 기관지염이나 천식 등의 병에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In general, shoes that are worn before entering the home or office interior are removed from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and they are either placed indoors or stored in a shoe rack to protect them from loss, rain, or snow. Various dirts such as dirt and dust are on the floor, so if you take off your shoes at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the above dirt will fall and dirty the entrance, which is a hassle to clean the entrance from time to time. If you do not do this, the dust from the soil will blow into the room and pollute the room, and the air in the room will become turbid so that people who live in the room will be ill with bronchitis or asthma. It was.

상기와 같은 결함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많은 사람이 출입하게 되는 사무실,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비나 눈이 내리는 날에는 신발에 묻어있는 물기와 흙이 함께 신발에 묻어있는 상태에서 실내로 반입됨에 의해 실내를 더욱더 더럽히게 되어, 상기와 같이 비나 눈이 내리는 날에는 출입구에 흙이나 물기 등을 털어 낼 수 있는 깔판을 깔아주어 출입하는 사람이 상기의 깔판을 이용하여 신발에 묻어있는 물기나 흙 등을 털어 낸 뒤 실내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Such defects occur frequently in public places such as offices, hospitals, schools, etc., where many people enter and leave the shoes. Especially, on rainy or snowy days, the water and dirt on the shoes are mixed with the shoes. By bringing it into the room in a buried state, the room becomes more polluted. On rainy or snowy days, as shown above, a pallet that can shake off dirt or moisture is placed on the doorway. It is a situation where people are allowed to enter the room after brushing off moisture or dirt on sho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단은 깔판을 별도로 구입하여 두었다가 비나 눈이 내리는 날에만 꺼내어 사용하므로, 깔판을 보관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상기의 깔판은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판 상에 천 또는 솔이 깔리도록 하고 있어 신발로부터 떨어진 흙이나 물기가 깔판의 상면에 그대로 깔려있어 이러한 상태에서 신발에 묻어있는 흙이나 물기를 털어 내기 위해 깔판에 올라서서 신발의 바닥 면을 문질러 줄 때 깔판에 의해 신발에 묻어있는 흙이나 물기가 떨어짐과 아울러, 반대로 깔판에 털려져 있는 흙이나 먼지가 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실내의 공기를 더욱 혼탁하게 하는 주범이 되었던 것이다.However, the above means is to buy a separate pallet and then take out only on rainy or snowy days, there is a hassle in using the pallet should be stored, the pallet is a soft rubber or synthetic resin on the plate Alternatively, the soles are laid so that dirt or water from the shoe is still on the top of the pallet, so when you step on the pallet to rub off the dirt or water on the shoe, rub the bottom of the shoe. In addition to the dirt and water falling on the floor, the soil and dust blown off the pallet also occurred, causing the air in the room to become more turbid.

따라서, 깔판의 사용이 일정기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의 깔판을 주기적으로 세탁시켜 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고,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깔판은 사람의 출입이 상대적으로 많아 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던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 of the pallet is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allet had to be washed periodically, and the pallet used in public places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eople coming in and out of the effectiveness.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종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4486호(신발 털이기)가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14486 (Shoesing Machine) is disclosed.

상기 종래는 직사각 형상을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수납부(11)가 갖추어진 본체(10)와; 상기 수납부(11)의 상면 외주 연에 형성된 단턱(12)에 얹혀져 중량센서(20)에 의해 감지되는 통공(31)이 형성된 받침판(30)과; 수납부(11)의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롤러(40)(40A)에 걸쳐져 회전되면서 신발의 바닥 면을 털어 줄 수 있도록 표면에 솔(51)이 형성된 벨트(50)와; 본체(10)의 일 측에 수납부(11)와 연통 되도록 호스(61)와 연결시켜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모터(62)의 작동에 의해 수납부(11)의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60)와; 상기 흡입부(60)의 일 측에 회전롤러(40)를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워엄기어(70)와 플렉시블 샤프트(81)로 연결된 구동모터(80)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body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11 which is open on the upper surface; A support plate 30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1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and having a through hole 31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20; A belt 50 having a sole 5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so as to shake off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while being rotated over the rotating rollers 40 and 40A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1 in a rotatable manner;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hose 6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11 so that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forced suction of air in the housing 11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62 A suction unit 60; The drive motor 80 is connected to the worm gear 70 and the flexible shaft 81 so as to drive the rotary roller 40 on one side of the suction unit 60.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는 사무실 및 병원 또는 학교 등과 같은 공공장소를 출입 시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사람이 출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10)의 상면에 올라서기만 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신발에 묻어있는 오물을 털어냄과 아울러, 털어진 오물은 흡입부(60)의 흡입력에 의해 수납부(11) 내로 흡입된 뒤 호스를 통해 흡입부(60) 내로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 실내로 들어서기 전에 신발에 묻어있는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오물을 깨끗이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갈 수 있어 신발로부터 외부의 오물을 유입시켜 주지 않아 실내의 바닥 면을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켜 줌은 물론,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기관지염이나 천식 등과 같은 질병이 발병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when a person walk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while wearing shoes when entering or leaving a public place such as an office, a hospital or a school, power is applied and buried in the shoes. In addition to shaking off the dirt, the filthy dirt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art 60 and then sucked into the suction part 60 through a hose. It can enter the room with dirt and dust removed from the inside cleanly, so it does not inflow external dirt from the shoes, keeping the floor of the room clean and keeping the indoor air clean. There is an effect that is maintained, and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eases such as bronchitis or asthma.

그러나 종래는 받침판(30)의 밑에 구비된 회전롤러(40)(40A)에 걸쳐 회전되는 벨트(50)의 솔(51)에 의해 받침판(30)에 마찰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솔(51)이 마모되어 오물제거에 대한 성능 저하가 우려되고, 이로 인해 수시로 벨트(50)를 교체하는 것은 물론 받침판(30)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 소모와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friction occurs in the support plate 30 by the sole 51 of the belt 50 rotated over the rotary rollers 40 and 40A provided under the support plate 30, and thus the sole 51. ), Wear and tear is concerned abou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this causes the need to replace the belt 50 from time to time, as well as the need to replace the support plate 30, thereby increasing the parts consumption and maintenance costs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본체의 발판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에 대응하여 내부에 개별 설치된 롤브러시를 통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브러시의 마모가 적어 종래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dirt on the shoes of the visitor through the roll brush installed in the insid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in the footrest of the main body, thereby removing the roll brush It relates to a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tha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ear l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유입공이 장공으로 관통 형성된 발판과, 이 발판이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무게에 의해 출몰되도록 수용부를 갖는 함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발판의 출몰에 따라 상기 유입공을 통해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롤브러시가 유입공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에 배열 설치된 오물제거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제거수단의 롤브러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제거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수용부로 유입된 오물을 흡입하여 여과 및 배출하는 진공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rough which the body is formed of a scaffold and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caffold to be opened by the weight of the person; Dirt removal means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response to the inflow hole so that a plurality of roll brush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flow hole so as to shake off dirt adhered to the shoe through the inflow hole; A driving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driving the roll brush of the dirt removing means;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rovides a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omprising a vacuum suction means for suctioning,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inlet hole by the dirt removal means. do.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풀리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오물제거수단의 롤브러시를 열 단위로 축결되며, 일단부에 종동풀리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오물제거수단의 롤브러시를 열 단위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rive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drive motor having a drive pulley; A rotating shaft condensing the roll brush of the dirt removing means in units of rows and having a driven pulley at one end thereof; And a belt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of the rotating shaft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roll brush of the dirt removing means in units of rows.

이때, 상기 오물제거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배열 설치되도록 등 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회전축에 일렬로 축결되는 다수의 롤브러시와; 상기 롤브러시가 상기 수용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irt removal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roll brushes condensed in a row on each rotating shaft provided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roll brush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so as to support the rotating shaft, and at the same time, a limiting protrusion for limiting the lowering of the scaffold is configured as a support frame protruding upward.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의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수용부에 배열 설치된 롤브러시의 열 간격마다 구동축에 형성된 다수의 구동풀리와; 상기 오물제거수단의 롤브러시를 열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다수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drive motor having a drive shaft extending by the length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formed on the drive shaft at every row interval of the roll brushes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elts connected to each drive pulley to rotate the roll brush of the dirt removal means in units of rows.

그리고 상기 오물제거수단은 상기 벨트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일단부에 종동풀리를 갖는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롤브러시와; 상기 롤브러시가 상기 수용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가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irt removing means comprises: a roll brush axial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having a driven pulley at one end to be easily rotated by the belt; The roll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rame protruding the limit projection for limiting the lowering of the scaffol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both ends so as to be easily rotated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롤브러시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축결되며, 둘레에 다수의 브러시홈이 원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신발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 솔부재와 신발에 묻은 물기를 닦아내는 흡수부재가 상기 보빈의 브러시홈에 교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oll brush is condens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nd a plurality of brush grooves around the bobbin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s the bobbin rotates, the brush member to shake off the dirt on the shoe and the absorbent member to wipe off the moisture on the shoe are alternately provided in the brush groove of the bobbin.

한편,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발판이 출입자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오물제거수단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발판의 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falling of the scaffold so that the scaffold is lowered by the accessor and at the same time the dirt removal means can operate through the drive means.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발판이 출입자의 무게와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출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elastic body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footrest can be easily wandered by the weight and elastic force of the access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본체의 발판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에 대응하여 내부에 개별 설치된 롤브러시를 통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브러시의 마모가 적어 종래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hake off the dirt attached to the shoes of the person through the roll brush installed in the insid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in the scaffold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wear of the roll brush Les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은 종래 신발 털이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오물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오물 제거장치의 분해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동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오물 제거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오물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오물 제거장치에서 브러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shoe hair machine.
2 is a block diagram of a mat type dir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mat type dir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means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t type dir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mat dir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brush in a mat type dir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부(121)를 갖는 함체(12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is provided with a housing 12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21 on the inside.

상기 함체(120)의 수용부(121)를 덮을 수 있으며, 신발에 묻은 오물이 수용부(121)로 유입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111)이 관통 배열된 발판(110)이 구비된다.The footrest 110 may cover the receiving part 121 of the housing 120,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1 formed in the long hole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dirt into the receiving part 121. .

상기 수용부(121)에는 다수의 탄성체(S)가 구비되며, 이 탄성체(S)의 탄성력과 발판(110)에 올라서는 출입자의 무게에 의해 함체(120)로부터 발판(110)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eceiving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S), the footrest 110 from the housing 1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S) and the weight of the person who climbs on the footrest 110 is able to stand out. Is installed.

이와 같이, 함체(120), 발판(110) 및 탄성체(S)를 포함하여 출입구에 설치하며, 출입자가 발판(110) 위에 올라서서 신발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본체(100)를 구성한다.As such, the body 120, the footrest 110 and the elastic body (S) is installed in the doorway, the accessor climbs on the footrest 110 to remove dirt on the shoe, the body that can pass through the doorway ( 100).

또한, 도 5에 의하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수용부(121)의 내벽에는 상기 발판(110)이 출입자의 무게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300)을 통해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발판(110)의 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 5,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scaffold 110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person and at the same time remove the dirt through the drive means 300 Preferably, the sensing means 500 for detecting the falling of the footrest 110 so that the means 200 can operate.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500)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위치센서, 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치환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다른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means 500 is generally usable and can be replaced by a position sensor, an optical sensor, a limit switch, or the like, and other types of sensors of various methods may be used in some cases.

상기 본체(100)의 양단부에는 출입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발판(110) 위에 원활하게 올라설 수 있도록 경사부(123)가 더 구비된다.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123 so as to rise smoothly on the footrest 110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erson.

도 4에 의하면,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21)에는 상기 발판(110)이 수용부(121)를 따라 출몰할 때, 상기 유입공(111)을 통해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롤브러시(210)가 유입공(111)에 대응하여 오물제거수단(200)이 배열 설치된다.According to FIG. 4, when the scaffold 110 is haunted along the accommodating part 121, the dirt part of the shoe may be shaken off through the inflow hole 111 in the accommodating part 121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roll brushes 210 are installed so that the dirt removal means 200 i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low hole 111.

이때,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은 일단부에 종동풀리(213)를 갖는 롤브러시(210)가 구비되고, 상기 롤브러시(210)가 상기 수용부(12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110)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221)가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수단(300)의 벨트(320)에 상기 종동풀리(213)가 연결되어 열 단위로 동시에 롤브러시(210)가 회전되도록 배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dirt removal means 200 is provided with a roll brush 210 having a driven pulley 213 at one end, the roll brush 210 is easi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Limit projections 221 for supporting both ends to limit the falling of the foot plate 110 is formed integrally including a protruding support frame 220, the belt 320 of the drive means 300 ) Is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213 is arranged so that the roll brush 21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in a row unit.

이와 같이 다수의 롤브러시(210)와 지지프레임(220)이 상기 유입공(111)을 따라 상기 수용부(121)에 배열 설치하여 오물제거수단(200)을 구성한다.Thus, a plurality of roll brush 210 and the support frame 22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along the inlet hole 111 to constitute the dirt removal means 200.

더불어 도 7에 의하면, 상기 롤브러시(210)는 일단부에 종동풀리(213)가 형성된 회전축(211)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211)과 함께 회전되도록 축 결합되며, 원주를 따라 둘레에 다수의 브러시홈(215a)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빈(215)이 구비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 7, the roll brush 21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11 formed with a driven pulley 213 at one end, the shaft is coupled to rotate with the rotating shaft 211, a plurality around the circumference The bobbin 215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the brush grooves 215a.

여기서, 상기 보빈(215)의 브러시홈(215a)에는 신발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 솔부재(217)와 신발에 묻은 물기를 닦아낼 수 있도록 헝겁 또는 스폰지 등의 흡수부재(219)가 보빈(215)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rush groove 215a of the bobbin 215 is provided with a brush member 217 for brushing off the dirt from the shoe and an absorbing member 219 such as a cloth or sponge to wipe off moisture from the sho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lternately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상기 솔부재(217)와 흡수부재(219)에 의해 신발의 흙과 물기를 동시에 털어낸 롤브러시(210)에 잔류하는 오물을 수용부(121)로 털어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양측에 서로 이어지는 털이바(223)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20 so that the dirt remaining in the roll brush 210 shaken off the soil and water of the shoe by the brush member 217 and the absorbing member 219 at the same time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stall a hair bar 223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다음으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열 단위로 동시에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이 구비된다.Nex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300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in units of columns.

이때, 구동수단(300)의 경우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driving means 300 is install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풀리(313)를 갖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열 단위로 축결되며, 일단부에 종동풀리(213)를 갖는 회전축(211)과;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열 단위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1)의 종동풀리(213)와 구동풀리(313)를 연결하는 벨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Figure 3, the drive means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rive motor 310 having a drive pulley 313; A rotary shaft 211 condensed on a row basis of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and having a driven pulley 213 at one end thereof; It comprises a belt 320 fo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213 and the driving pulley 313 of the rotating shaft 211 so that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at the same time in a row unit do.

이때,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은 상기 수용부(121)에 배열 설치되도록 등 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회전축(211)에 일렬로 축결되는 다수의 롤브러시(210)와; 상기 롤브러시(210)가 상기 수용부(12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1)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110)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22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irt removal mean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 brushes 210 condensed in a row on each of the rotation shaft 211 provided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limit protrusion 221 which supports the rotating shaft 211 and restricts the lowering of the scaffold 110 so that the roll brush 210 can be easi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is provided. It consists of a support frame 220 protruding upwar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 구동축(311)을 갖는 구동모터(310)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11)에는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열 간격마다 구동풀리(313)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열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롤브러시(210)에 형성된 종동풀리(213)와 구동풀리(313)를 연결하는 다수의 벨트(32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means 300 includes a driving motor 310 having a driving shaft 311 extending by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0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on the driving shaft 311. The driving pulleys 313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every row interval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and the roll brushes 210 may be rotated in units of rows to rotate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A plurality of belts 320 are provided to connect the driven pulley 213 and the driving pulley 313.

이때, 상기 구동축(311)이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축(311)을 받쳐주는 복수의 축지지구(3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rive shaft 31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aft support 315 for supporting the drive shaft 311 to prevent sagging due to the load.

더불어 상기 종동풀리(213), 구동풀리(313) 및 벨트(320)는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롤브러시(21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타이밍벨트와 피니언 방식이나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치환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en pulley 213, the driving pulley 313 and the belt 320 is replaced by a timing belt and pinion method or a chain and a sprocket so as to smoothly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10 to the roll brush 210. This is possible.

또한, 상기 구동풀리(313)에 의해 작동하는 벨트(320)가 상기 종동풀리(213)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종동풀리(213)의 사이 간격마다 상기 벨트(320)에 장력을 가하는 텐셔너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벨트(320)를 종동풀리(213)에 교차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belt 320 operated by the driving pulley 313 to smoothly rotate the driven pulley 213, a tensioner for applying tension to the belt 320 at intervals between the driven pulleys 213 is further provided. Preferably, the belt 320 may be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driven pulley 213.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는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에 의해 상기 유입공(111)을 통해 수용부(121)로 유입된 오물을 흡입하여 여과 및 배출하는 진공흡입수단(400)이 더 구비된다.Finally,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a vacuum suction means 400 for sucking and filtering the filth and discharg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1 through the inlet hole 111 by the dirt removal means 200 is It is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출입구를 통과하기 전 (a)에 의하면, 발판(110)의 위에 올라서는 경우 출입자의 하중에 의해 발판(110)이 수용부(121) 측으로 내려앉게 되며, 이때, 상기 리미트돌기(221)에 발판(110)이 안착 되면, 상기 수용부(121)에 구비된 감지수단(500)이 발판(110)을 감지함에 따라 구동수단(300)에 의해 오물제거수단(200)이 구동된다.Mat shoe dirt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6, before the accessor passes through the doorway (a), when stepping on the footrest 110, the footrest by the load of the person When the footrest 110 is seated on the limit protrusion 221, the sensing unit 500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21 is the footrest 110. The dirt removal means 200 is driven by the driving means 300 as it is detected.

이때, 상기와 같이 내려앉은 발판(110)의 유입공(111)으로 상기 롤브러시(210)의 일부가 발판(110)의 위로 돌출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낸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roll brush 210 protrudes above the scaffold 110 to the inflow hole 111 of the scaffold 110 that is set down as described above to shake off the dirt on the shoes of the person.

다음으로, (b)에 의하면,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낸 출입자는 출입구의 통과를 위해 발판(110)에서 내려오게 되며, 이때, 상기 함체(120)의 수용부(121)에 구비된 탄성체(S)에 의해 상기 발판(110)이 탄성 복귀하면서 감지수단(500)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300) 및 오물제거수단(200)의 작동이 중지된다.Next, according to (b), the person who shakes off the dirt on the shoes comes down from the scaffold 110 for the passage of the doorway,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1 of the housing 120. S) while the scaffold 110 is elastically return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300 and the dirt removing means 200 by the sensing means 500 is stopp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본체의 발판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에 대응하여 내부에 개별 설치된 롤브러시를 통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브러시의 마모가 적어 종래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hake off the dirt attached to the shoes of the person through the roll brush installed in the insid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in the scaffold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wear of the roll brush Les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100: 본체 110: 발판
111: 유입공 120: 함체
121: 수용부 200: 오물제거수단
210: 롤브러시 211: 회전축
213: 종동풀리 215: 보빈
215a: 브러시홈 217: 솔부재
219: 흡수부재 220: 지지프레임
221: 리미트돌기 300: 구동수단
310: 구동모터 311: 구동축
313: 구동풀리 320: 벨트
400: 진공흡입수단 500: 감지수단
S: 탄성체
100: main body 110: scaffolding
111: inlet hole 120: enclosure
121: accommodating part 200: dirt removal means
210: roll brush 211: rotation axis
213: driven pulley 215: bobbin
215a: brush groove 217: brush member
219: absorbing member 220: support frame
221: limit protrusion 300: driving means
310: drive motor 311: drive shaft
313: drive pulley 320: belt
400: vacuum suction means 500: detection means
S: elastomer

Claims (8)

다수의 유입공(111)이 장공으로 관통 형성된 발판(110)과, 이 발판(110)이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무게에 의해 출몰되도록 수용부(121)를 갖는 함체(120)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발판(110)의 출몰에 따라 상기 유입공(111)을 통해 신발에 묻은 오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롤브러시(210)가 유입공(111)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121)에 배열 설치된 오물제거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에 의해 상기 유입공(111)을 통해 수용부(121)로 유입된 오물을 흡입하여 여과 및 배출하는 진공흡입수단(40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판(110)이 출입자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300)을 통해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발판(110)의 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1 is formed of a scaffold 110 formed through the long hole, and the housing 12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21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caffold 110 is opened and emerged by the weight of the accessor A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roll brushes 210 are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1 to correspond to the inflow hole 111 so as to shake off dirt on the shoes through the inflow hole 111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scaffold 110. Installed dirt removal means (200);
A driving means (3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drive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ing means (200);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vacuum suction means 400 for suctioning and filtering and discharg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1 through the inlet hole 111 by the dirt removal means 200 and;
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footrest 110 is lowered by the occupant and at the same time lowering the footrest 110 so that the dirt removal means 200 can operate through the driving means 300.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5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풀리(313)를 갖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가 열 단위로 축결되며, 일단부에 종동풀리(213)를 갖는 회전축(211)과;
상기 회전축(211)에 의해 상기 롤브러시(2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211)의 종동풀리(213)와 구동모터(310)의 구동풀리(313)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means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rive motor 310 having a drive pulley (313);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is condensed in units of rows, the rotating shaft 211 having a driven pulley 213 at one end;
And a belt 320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213 of the rotating shaft 211 and the driving pulley 313 of the driving motor 310 to each other so that the roll brush 21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ng shaft 211.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은 상기 수용부(121)에 배열 설치되도록 등 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회전축(211)에 일렬로 축결되는 다수의 롤브러시(210)와;
상기 롤브러시(210)가 상기 수용부(12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1)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110)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22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rt removal mean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 brushes 210 condensed in a row on each of the rotating shaft 211 provided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limit protrusion 221 which supports the rotating shaft 211 and restricts the lowering of the scaffold 110 so that the roll brush 210 can be easi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is provided.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frame 220 protruding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100)의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 구동축(311)을 갖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수용부(121)에 배열 설치된 롤브러시(210)의 열 간격마다 구동축(311)에 형성된 다수의 구동풀리(313)와;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의 롤브러시(210)를 열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동풀리(313)에 연결되는 다수의 벨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means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rive motor 310 having a drive shaft 311 extending by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313 formed on the drive shaft 311 at every row interval of the roll brushes 210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21;
Mat-type shoe dirt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elts 320 connected to each drive pulley 313 to rotate the roll brush 210 of the dirt removal means 200 in units of rows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제거수단(200)은 상기 벨트(320)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일단부에 종동풀리(213)를 갖는 회전축(211)에 축결합되는 롤브러시(210)와;
상기 롤브러시(210)가 상기 수용부(12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110)의 하강을 제한하는 리미트돌기(221)가 돌출형성된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rt removal means 200 includes a roll brush 210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11 having a driven pulley 213 at one end to be easily rotated by the belt 320;
A support frame in which the roll protrusion 210 supports both ends so that the roll brush 210 is easi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and the limit protrusion 221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110 restricts the lowering of the scaffold 110.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220).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브러시(210)는 상기 회전축(211)과 함께 회전되도록 축결되며, 둘레에 다수의 브러시홈(215a)이 원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빈(215)과;
상기 보빈(215)의 회전에 따라 신발에 묻은 흙을 털어내는 솔부재(217)와 신발에 묻은 물기를 닦아내는 흡수부재(219)가 상기 보빈(215)의 브러시홈(215a)에 교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roll brush 210 is condens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211, and a plurality of brush grooves 215a around the bobbin 215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s the bobbin 215 rotates, the brush member 217 for brushing off the dirt from the shoe and the absorbent member 219 for wiping off the moisture from the shoe are alternately provided in the brush groove 215a of the bobbin 215. Mat type shoe dir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0)에는 상기 발판(110)이 출입자의 무게와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출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탄성체(S)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at receiving shoe 120,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res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S) so that the footrest 110 can be easily mounted by the weight and elastic force of the person.
KR1020130082631A 2013-07-15 2013-07-15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KR101312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31A KR101312884B1 (en) 2013-07-15 2013-07-15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31A KR101312884B1 (en) 2013-07-15 2013-07-15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884B1 true KR101312884B1 (en) 2013-09-30

Family

ID=4945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31A KR101312884B1 (en) 2013-07-15 2013-07-15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88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33B1 (en)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pannel
KR101627330B1 (en)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equipment
KR20180098049A (en) 2017-02-24 2018-09-03 성백상 An entrance mat for cleaning footwear dust
KR102435363B1 (en) * 2022-03-22 2022-08-23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Non-slip and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devices at the entrance to a apartment hou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656Y1 (en) * 1994-03-05 1996-07-11 박중래 Mat 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KR20000006325U (en) * 1998-09-14 2000-04-15 홍종만 Indoor dirt removal device of vehicle
KR100821510B1 (en) * 2007-04-16 2008-04-14 신재학 Entrance for vacuum cleaning apparatus
KR20100033062A (en) * 2008-09-19 2010-03-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Cabin step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656Y1 (en) * 1994-03-05 1996-07-11 박중래 Mat 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KR20000006325U (en) * 1998-09-14 2000-04-15 홍종만 Indoor dirt removal device of vehicle
KR100821510B1 (en) * 2007-04-16 2008-04-14 신재학 Entrance for vacuum cleaning apparatus
KR20100033062A (en) * 2008-09-19 2010-03-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Cabin step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33B1 (en)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pannel
KR101627330B1 (en)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equipment
US10159399B2 (en) 2015-08-12 2018-12-25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KR20180098049A (en) 2017-02-24 2018-09-03 성백상 An entrance mat for cleaning footwear dust
KR102435363B1 (en) * 2022-03-22 2022-08-23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Non-slip and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devices at the entrance to a apartment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234C (en) Door threshold vacuum
KR101312884B1 (en) Mat-type dust removal device for shoes
CN107837062B (en) Sole cleaner capable of preventing dust from polluting environment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201743655U (en) Underground device for cleaning soles
KR20110011789U (en) A cleaning apparatus for dustproof shoes
KR101053100B1 (en) Shoes dust cleaner
CN203970327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hoe sole cleaning device
KR101863088B1 (en) Safety floor panel institution of entry hall for apartment house
KR100821510B1 (en) Entrance for vacuum cleaning apparatus
KR20010090313A (en) cleaner for shoes bottom
KR100554896B1 (en) A Shoe cleaner
KR20100011431U (en) Removal equipment dust of footwear
KR20170125500A (en) A dust cleaning device for a footwear
KR101059224B1 (en) Shoe floor scrubber
KR101428802B1 (en) Footing board using vacuum
KR200274939Y1 (en) Shoes wiping device
CN202235268U (en) Sole cleaning machine
CN207236756U (en) Apparatus for cleaning shoe-sole and net footwear equipment
KR100466040B1 (en) automatic shoes washing machine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GB2546292A (en) Hygienic wash and dry door mat
CN108903892B (en) Ultra-thin sole cleaner with independent disinfection unit
KR200276498Y1 (en) Shoes wiping device having step shape
KR20110004097U (en) Is a shoes hair to shake off the foreign body on the shoes bottom
JP2003164491A (en) Wheel cleaning device for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