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564B1 -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564B1
KR101312564B1 KR1020120127339A KR20120127339A KR101312564B1 KR 101312564 B1 KR101312564 B1 KR 101312564B1 KR 1020120127339 A KR1020120127339 A KR 1020120127339A KR 20120127339 A KR20120127339 A KR 20120127339A KR 101312564 B1 KR101312564 B1 KR 10131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alve
unit
setting value
operation sett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성
이재희
Original Assignee
하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지공업(주) filed Critical 하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12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전달받은 조작 수단으로 전동 밸브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며,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전동 밸브로 전달시키는 조작 수단; 및 미리 설정된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상기 조작 수단으로 전달시키며, 전동 밸브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전동 밸브로부터 작동 기록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조작 수단으로 전달되고, 조작 수단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변경되어 정밀한 조정이 될 수 있으며, 전동 밸브의 구동 기록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전동 밸브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Motor Operated Valve}
본 발명은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전달받은 조작 수단으로 전동 밸브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각종 산업플랜트에는 물, 공기 같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조절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밸브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밸브들은 시스템의 운전과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밸브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밸브를 전동 밸브(Motor Operated Valve: MOV)라고 하고, 모터에서 발생 된 힘은 여러 종류의 기어 연결을 매개로 구동기(Actuator)의 밸브 스템과 디스크로 전달되어,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 전동 밸브의 경우에는 밸브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토크 스위치 등의 작동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 스크루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조정하였는데, 이런 경우 정밀하게 조정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값으로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632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조작 수단으로 전달되고, 조작 수단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변경되어 정밀한 조정이 될 수 있으며, 전동 밸브의 구동 기록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전동 밸브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며,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전동 밸브로 전달시키는 조작 수단; 및 미리 설정된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상기 조작 수단으로 전달시키며, 전동 밸브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전동 밸브로부터 작동 기록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통신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전동 밸브에 적용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입력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전동 밸브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적외선 센서부; 및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상기 입력부의 선택으로 제1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전동 밸브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전원 공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다운키와, 상하좌우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키와, 변경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와, 전동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키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밸브는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로부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2적외선 센서부; 상기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적용받아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른 전동 밸브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상태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으로 구동부가 작동되도록 하고,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상태가 제2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밸브는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조작 수단으로 전달되고, 조작 수단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이 변경되어 정밀한 조정이 될 수 있으며, 전동 밸브의 구동 기록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전동 밸브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조작 수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조작 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전동 밸브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지정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의 작동에 따른 모니터링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조작 수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조작 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전동 밸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조작 수단(300) 및 전동 밸브(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설정하고,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용 PC, 노트북,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등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하기 편리한 소형의 리모컨 형태로써, 제어부(310), 입력부(320), 제1통신부(330), 제1저장부(340), 전원부(350), 제1적외선 센서부(360), 제1디스플레이부(370) 및 표시부(3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통신부(3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도 무선랜 등의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제1통신부(33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전동 밸브(500)에 적용시키기 위해 선택하는 버튼이다.
상기 입력부(3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다운키(326)와, 상하좌우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3211, 3213, 3215, 3217)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키(324, 325)와, 변경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323)와, 전동 밸브(5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키(327, 32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360)는 상기 입력부(320)를 통해 선택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전동 밸브(5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 수단(300)과 전동 밸브(500)는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34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370)에는 상기 제1저장부(340)에 저장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된다.
전원부(35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380)는 상기 전원부(35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LED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제어부(310)는 상기 제1통신부(33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상기 입력부(320)의 선택으로 제1적외선 센서부(360)를 통해 전동 밸브(5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320), 제1적외선 센서부(360) 및 표시부(38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수단(300)의 외측 면에 구비된다.
상기 전동 밸브(5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10), 제2적외선 센서부(520), 측정부(530), 제2저장부(540), 구동부(550), 제2디스플레이부(560) 및 제2통신부(5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동 밸브(500)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등의 일반적으로 열고 닫는 기능을 가지는 밸브에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520)는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360)로부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2저장부(540)에는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36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560)에는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52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구동부(550)는 동력원인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52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적용받아 작동된다.
참고로 상기 구동부(550)는 피니언 기어, 헬리컬 기어, 웜 기어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구동부(550)의 하부에는 스템, 밸브 디스크, 밸브 시트 등의 밸브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50) 및 밸브 부재의 구조와 작동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정부(530)는 상기 구동부(550)의 작동에 따른 전동 밸브(500)의 회전 속도와 토크 등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30)는 상기 구동부(550) 또는 밸브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30)는 전동 밸브(500)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간과 더불어, 상기 전동 밸브(500)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570)는 상기 측정부(530)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2제어부(510)는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52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으로 구동부(5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측정부(530)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가 제2통신부(5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지정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밸브의 작동에 따른 모니터링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된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에는 사용자 확인과 통신을 설정하는 과정을 거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도면 번호 111은 구동부(550)의 리미트(Limit) 및 토크(Torque)를 설정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부분이며, 도면 번호 113은 구동부(550)의 회전 방향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면 번호 117은 전압 사양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고, 도면 번호 115는 접점의 사용 용도 및 접점을 a 또는 b로 설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도면 번호 115에서 S1-4 및 S5-8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점을 설정하는 부분이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interrupter에 해당하는 부분은 구동부(550)의 토크가 높을 경우 인터럽트 기능을 사용하여 구동부(550)의 움직임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가 있다. 즉, 가동 및 정지를 반복하여 토크를 줄일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Q Limits 부분은 구동부(550)의 회전(Turn) 수를 설정하여 세팅 포인트(Setting point)를 수정할 수 있는 부분이며, CPT 부분은 전압전류 측정장치(CPT)의 전류 값을 설정,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설정되면, 상기 조작 수단(300)으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전달한다.
상기 조작 수단(300)에 구비된 다운키(326)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조작 수단(300)으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조작 수단(300)에서는 입력부(320)를 통하여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상기 전동 밸브(5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전동 밸브(500)의 제2디스플레이부(560)에는 조작 수단(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동 밸브(500)에서는 전달받은 작동 설정 값대로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 수단(300)의 입력부(320)를 통해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320)를 통해 변경된 작동 설정 값은 상기 전동 밸브(500)로 전달시켜 변경된 작동 설정 값대로 전동 밸브(500)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 변경은 상기 조작 수단에 구비된 방향키(3211, 3213, 3215, 3217)로 설정을 원하는 항목으로 이동하고, 변경키(324, 325)로 설정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변경할 설정 값이 정해지면, 저장키(323)를 선택하여 제1저장부(340)에 저장시킴으로써 설정 값 변경이 완료된다.
상기 입력부(320)를 통해 변경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달되어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설정된 작동 설정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동 밸브(500)는 작동 설정 값대로 작동을 하거나 또는 변경된 작동 설정 값대로 작동을 하면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동 밸브(500)를 작동시킬 때는 상기 조작 수단(300)에 구비된 구동키(327, 328)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되어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도 9는 구동부(550)의 닫힘 토크(131) 및 열림 토크(133)에 대한 전동 밸브(500)의 상태를 전달받아 모니터링 하는 것을 예로 든 것이며, 도 10은 구동부(550)의 작동에 따른 실시간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예로 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도면에서 도면 부호 151은 조작 수단(300)으로부터 전동 밸브(500)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도면 부호 153은 전동 밸브(5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도면 부호 155는 전동 밸브(500)의 전원 상태, 모터 온도 등을 나타내는 부분이고, 도면 부호 156은 릴레이 접점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도면 부호 157은 작동 시간별 토크 및 토크트립 여부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도면 부호 159는 전동 밸브(500)의 동작 방향, 리미트 접점 동작 방향 등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로 전동 밸브(5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하여 전동 밸브의 작동 설정 값을 정하며, 작동 상태에 따른 분석을 함으로써 전동 밸브(500)의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동 밸브용 관리프로그램을 통하여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전동 밸브(500)의 점검 주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전동 밸브(500)의 토크를 실시간 및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전동 밸브(50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300: 조작 수단
500: 전동 밸브

Claims (6)

  1.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며,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전동 밸브(500)로 전달시키는 조작 수단(300); 및
    미리 설정된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상기 조작 수단(300)으로 전달시키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전동 밸브(500)로부터 작동 기록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동 밸브(500)는 제1적외선 센서부(360)로부터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540)와, 제2적외선 센서부(52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디스플레이부(5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통신부(330);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전동 밸브(500)에 적용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입력부(320);
    상기 제1통신부(33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상기 입력부(320)의 선택으로 제1적외선 센서부(360)를 통해 전동 밸브(50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제어부(31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360)는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전동 밸브(5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300)은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340)와, 상기 제1저장부(340)에 저장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디스플레이부(370)와, 전원 공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8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320)는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다운키(326)와, 상하좌우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3211, 3213, 3215, 3217)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키(324, 325)와, 변경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323)와, 전동 밸브(5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키(327, 328)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밸브(500)는
    상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을 적용받아 작동되는 구동부(550);
    상기 구동부(550)의 작동에 따른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530);
    상기 측정부(530)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통신부(570); 및
    상기 제2적외선 센서부(520)를 통해 전달받은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으로 구동부(5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측정부(530)를 통해 측정된 전동 밸브(500)의 작동 상태가 제2통신부(5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제어부(51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제2적외선 센서부(520)는 상기 제1적외선 센서부(360)로부터 전동 밸브(500)의 작동 설정 값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6. 삭제
KR1020120127339A 2012-11-12 2012-11-12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KR10131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39A KR101312564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39A KR101312564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564B1 true KR101312564B1 (ko) 2013-09-30

Family

ID=4945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39A KR101312564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864A (ko) * 2016-10-26 2019-06-1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유량 조정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유체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908A (ko) * 2008-03-06 2009-09-10 한국기계연구원 Mov 구동기 성능시험장치
JP2010039715A (ja) * 2008-08-04 2010-02-18 Kubota Corp 石油化学プラントのバルブ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908A (ko) * 2008-03-06 2009-09-10 한국기계연구원 Mov 구동기 성능시험장치
JP2010039715A (ja) * 2008-08-04 2010-02-18 Kubota Corp 石油化学プラントのバルブ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864A (ko) * 2016-10-26 2019-06-1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유량 조정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유체 제어 장치
KR102197785B1 (ko) 2016-10-26 2021-01-04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유량 조정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유체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48B1 (ko)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가정용 전력사용량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6101683A3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TW201505780A (zh) 整合有即時時鐘的電子扭力工具
TW201216578A (en) Power socke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on or off and its remote-controlled power socket
KR101312564B1 (ko) 전동 밸브 제어시스템
CN202561207U (zh) 智能电动阀门执行装置
CN209640377U (zh) 变压器调档装置及系统
US20180361558A1 (en) Hand-Held Power Tool in which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set
JP2014526070A (ja) 光の変化に応じて起動停止する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プロセス装置
AU2021290306B2 (en) Actuator
CN205247131U (zh) 一种遥控控制开关装置
CN108367423B (zh) 具有可调整的旋转方向的手持式工具机
CN101840209A (zh) 智能电动执行机构
US11732842B2 (en) Lubrication unit management system
CN202441953U (zh) 一种智能阀门电动执行器
CN202756729U (zh) 一种电动执行器的智能功率驱动模块
CN207557690U (zh) 一种新型智能家居电器控制装置
KR101794525B1 (ko) 스마트 통신 플랫폼을 적용한 유압식 밸브 제어 시스템
WO20130015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of devices
KR20130004702A (ko) 온도조절기
CN203191844U (zh) 一种用于供热系统的温控器控制电路
CN203927006U (zh) 一种电动执行器
CN201716555U (zh) 智能电动执行机构
CN220600596U (zh) 电动阀门的控制装置
CN202513676U (zh) 配断路器的智能远程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