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116B1 -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 Google Patents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116B1
KR101312116B1 KR1020120092728A KR20120092728A KR101312116B1 KR 101312116 B1 KR101312116 B1 KR 101312116B1 KR 1020120092728 A KR1020120092728 A KR 1020120092728A KR 20120092728 A KR20120092728 A KR 20120092728A KR 101312116 B1 KR101312116 B1 KR 10131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signal
speak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석
이영탁
정수진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03B31/04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in which sound track is not on, but is synchronised with, a moving-picture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player with an integrated beam projector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enjoy multimedia content in a large-sized screen using a beam projector integrated in a player and an external speaker. CONSTITUTION: A multimedia player with an integrated beam projector comprises a main body (100) and a speaker (200). The main body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first power source unit to supply power; a first manipulation unit (130) to receive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 storage unit to store multimedia content input from an input terminal bar; a media play unit to output an image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by re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in the storage unit; and a beam output unit to process and output an input image signal as a beam through an optical system (161); and a first control unit to control the media 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the first manipulation unit, transmit the image signal to the beam output unit and output the acoustic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speaker is removably installed at the main body.

Description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영상을 출력하는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본체와 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로부터 음향신호를 무선 전송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통해 간편하게 멀티미디어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player, and in detail, a beam projector that outputs an imag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can receive multimedia contents easily through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by wirelessly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main body.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개발 초기단계의 컴퓨터는 문자만을 처리할 수 있었으나, 기술의 발달로 인해 근래의 컴퓨터는 문자 이외에도 음성, 도형, 영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체인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매체들은 영상과 소리를 주로 취급하기 때문에 처리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므로, 이들을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전송선로와 다양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술 그리고 영상과 음성 신호의 처리기술이 필요하다.Computer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could only process text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odern computers have been able to process multimedia, a variety of media consisting of voice, graphics, and video. Since multimedia media mainly deal with video and sou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s enormous. Therefore, in order to process and transmit them, high-speed transmission lines, exchange technology for providing various bandwidths, and video and audio signal processing technologies are required. need.

하지만, 최근에는 멀티미디어를 취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가 급속도로 발전하여 영상회의·전자출판·가상현실·각종 오락·의료·교육·방송 등 사회 전분야에 걸쳐 매우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가정에서도 컴퓨터나 이에 준하는 멀티미디어장치를 통해 대표적인 멀티미디어콘텐츠인 동영상을 비롯하여 디지털화된 어문·음악·사진·미술 등의 다중 매체 저작물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However, in recent years, hardware and application software for handling multimedia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society such as video conferencing, electronic publishing, virtual reality, various entertainment, medical care, education, and broadcast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enjoy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ideo, which is representative multimedia content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digitized language, music, photography, and art through computer or equivalent multimedia device.

이에 콘텐츠의 재생기능을 갖는 기본적인 장치인 컴퓨터 이외에도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시판 중에 있으며, 대부분이 휴대성에 그 기능을 맞춰 소형, 경량화된 휴대장치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Accordingly, in addition to a computer which is a basic device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various devices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most of them have been released in the form of small and light portable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ir functions.

이와 같은 휴대장치 형태의 멀티미디어콘텐츠 재생장치는 음향의 경우 통상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사용하여 청취하고, 영상의 경우 내장된 LED 또는 LCD 패널을 사용하여 감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장 스피커나 모니터나 TV와 같은 영상출력장치에 연결하여 감상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선연결방식을 사용하므로 공간 내 스피커 및 영상출력장치의 설치 범위에 제약을 받을 뿐 아니라 케이블의 처리에도 불편함이 있었고, 별도의 스피커와 영상출력장치를 구비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었다.Such a portable device-typ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is configured to listen to audio using earphones or headphones, and to listen to video using a built-in LED or LCD panel.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n external speaker, a video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or a TV, and to listen to it.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handling the cable, and there was a burden of having a separate speaker and a video output device.

한편, 기존의 멀티미디어콘텐츠 재생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면적의 한계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화상면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통상 빔 프로젝터를 사용된다. 이와 같은 빔 프로젝터는 종래에는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가격이 높아 학교의 수업용이나 회사의 프레젠테이션용으로만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고 가격도 낮아져 일반 가정으로의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multimedi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has a limitation of the image area for outputting the image, and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of the image area, a beam projector is usually used. Such a beam projector is conventionally used mainly for a school class or a company presenta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large size and high price, but recently, the size of the beam projector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price is lowered.

하지만, 기존의 프로젝터의 경우 디자인보다는 기능에 치중한 나머지 사각 상자모양의 투박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세련된 인테리어가 적용되는 가정집 또는 사무실에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영상의 출력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영상과 음향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projectors are not designed for homes or offices with stylish interiors because they are designed with a boxy box design, which focuses on functionality rather than design.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output the sound using a separat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빔 프로젝터를 내장하여 멀티미디어콘텐츠 재생시 영상과 음향을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하되 스피커를 본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mbed a beam projector in the main body to output the image and sound when playing multimedia content, so that the speaker can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apabl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스피커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제1조작부와, 소정의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재생하여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미디어재생부와,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광학계를 통해 빔으로 출력하는 빔출력부와,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작부의 제어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빔출력부로 전송하고 음향신호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송출하도록 구성된 제1제어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탈부착 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통신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가 내장되는 스피커;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player comprising a main body and a speaker detachable to the main body,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first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and a user; A first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operation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 inputted from a predetermined input terminal, a media player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content of the storage unit,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 beam output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and outputting it as a beam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media play unit according to a control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operation unit to output the beam signal A main body having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sound signal and to transmit a sound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body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second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and a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ble sound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상기 본체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측에 세로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빔출력부의 광학계가 빔 출력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피커의 몸체는 상기 기둥부에 끼워지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s formed of a support portion, and a pillar portion formed vertically above the support portion, the upper part of the optical system of the beam output unit is installed to adjust the beam output angle, the body of the speaker is fitted to the pillar portion hol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ition is formed in a donut shape.

이때 상기 스피커는 상기 몸체 외측으로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 입력받는 제2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제2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레벨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aker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the user outside the body, the second control unit adjusts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outpu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media play unit.

상기 스피커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조작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몸체 외측 하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 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ide of the speaker body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operated by a signal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n LED lamp unit for emitting light in the downward direction outside the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냉각공과, 상기 냉각공을 통해 받침부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통해 흡입되어 본체 내측을 순환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형성된 방열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cooling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a cooling fan for sucking air into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cooling hole, and the pillar portion to discharge the air sucked through the cooling fan and circulated inside the main body. It may further comprise a heat radiation hole formed in.

상기 기둥부는 하측이 상기 받침부에 결합하고 상측면이 전면부를 향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고정부와, 하측면이 상기 고정부의 상측면 경사면에 접하여 회전하며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빔출력부의 광학계가 설치된 회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side ha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front portion, and the lower side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upper side to emit a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made of a rotating unit provided with the optical system of the beam output unit.

상기 기둥부는 외측으로 상기 제1전원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는 제1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의 몸체는 상기 제1충전부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를 충전하는 제2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charging portion for emitting a charging current by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upply portion to the outside, the body of the speaker to charge the second power supply portion through the charging current emitt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harging unit.

상기 본체의 기둥부에는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작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기둥부 전면부로 빛을 방출하는 무드램프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of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od lamp portion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portion and operates by a signal of the first manipulation portion, but emits light to the front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상기 본체는 입력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보조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보조음향출력부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nput soun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he first control unit to control the media playback unit to input the output sound signal to the auxiliary sound output unit Can be configured.

상기 제1조작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상기 미디어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anipulation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with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multimedia content played through the media player.

본 발명은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와 외장형 스피커를 통해 멀티미디어콘텐츠를 대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스피커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본체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공간활용성의 극대화와 매우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viewed on a large screen through a beam projector and an external speaker that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 particular, the speaker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ut also serves as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provide very convenient user environment.

또한, 본체와 스피커 간에 무선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케이블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면서 동시에 세련된 디자인으로 인한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peaker,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able can be elimin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esthetics due to the stylish design can be exhibited.

또한, 본체 내의 스피커가 탈부착 되는 구조로 인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공간을 줄이고, 이동시 스피커의 손상이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eaker in the main body is detachable, it is easy to store and reduce the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or loss of the speaker when mov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스피커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빔출력부의 각도조절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beam outpu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한 스피커(200)로 주요 구성이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is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configuration is made of a speaker 200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00.

본체(100)와 스피커(200)의 세부적인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먼저 본체(100)는 제1통신부(110)와, 제1전원부(120)와, 제1조작부(130)와, 저장부(140)와, 미디어재생부(150)와, 빔출력부(160)와, 제1제어부(180)를 구비하게 된다.Looking at the detailed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peaker 200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is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 A first power supply unit 120, a first oper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media playback unit 150, a beam output unit 160, and a first control unit 180. Done.

상기 제1통신부(110)는 외부기기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100㎽)으로 동작가능한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블루투스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해 보낼 수 있고, 실내에서 벽이나 기타 가구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의 배치나 연결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power ( 100Hz) will be used to operate the Bluetooth method. In particular, since the Bluetooth method divides the frequency band, the data transmission can be divided and transmitted over several frequencies, and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walls or other furniture in the room, thereby giving a data signal regardless of the wiring arrangement or connection situation. I can receive it.

또한, 주파수 특성도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스피커가 본체로부터 어떠한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더라도 통신이 이루어지며,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나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lso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so there is no need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to connect each device, so that the communication is mad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aker is located, and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mply with the Bluetooth standard. As a result, the same technology can be used anywhere in the world.

상기 제1통신부(110)는 본 발명에서 주로 스피커(200)에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경우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무선통신기능을 탑재한 컴퓨터와도 멀티미디어콘텐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ound signal mainly to the speak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some cases also with a computer equipped with a smart terminal (smartphone, smart pad, etc.),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You can send and receive multimedia content data.

상기 제1전원부(120)는 본체 내부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되, 본 발명이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케이블이 필요치 않도록 디자인되는 취지에 맞게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전원부(12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외부전원은 가정용 AC 전원을 정류하는 어댑터 또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공급받을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is a part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each configuration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cable is not required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rechargeable battery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using. That i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i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by receiving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in this case, the external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n adapter or a USB cable for rectifying the home AC power.

상기 제1조작부(130)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재생을 비롯하여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미디어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각종 제어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간단히 기계식 버튼을 통해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터치스크린(131)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control operations required for playing media content such as fast forwarding and rewinding, including playing multimedia content from a user, and simply a mechanical button. Although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it is more preferable to implement through the touch screen 131 suitable for the digital environment.

상기 저장부(140)는 MPEG로 대표되는 동영상파일 형식의 멀티미디어콘텐츠를 비롯하여 그외의 다양한 포멧의 동영상 파일, MP3 등의 디지털 음원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으로서 읽기/쓰기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디지털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저장부(140)에 액세스할 수 있는 USB(범용 직렬 버스, Universal Serial Bus) 방식의 입력단바(109)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바(109)를 통해 상기 저장부(140)에 각종 미디어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바(109)에 USB방식의 외장형 메모리를 연결하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콘텐츠를 불러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read / write as a memory means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 of a video file format represented by MPEG, video files of various formats, digital sound source files such as MP3, image files, etc., It is composed of digital memory means of various shapes and capac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109 of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method that can access the storage unit 140, the storage via the input terminal 109 Various media contents can be stored in the unit 140. In addition, a USB type external memory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09, and the media content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may be loaded.

상기 저장부(140)가 내장형 메모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입력단바(109)에 연결되는 USB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방법 외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1통신부(110)를 통해 무선통신기능을 갖춘 외부 디지털 기기로부터 미디어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When the storage unit 140 is formed of a built-in memory, in addition to a method of receiving and storing contents by connecting to a computer or the like through a USB cabl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09,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You can also receive and store media content from an external digital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는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미디어콘텐츠를 읽고 재생하여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각종 동영상파일 및 음원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각종 코덱과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구비하게 되며, 음원 파일과 같이 영상신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음향신호만을 출력하고, 동영상과 같이 영상과 음향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구분하여 모두 출력하게 된다.The media player 150 is a component for reading and playing media content from the storage 140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o this end, it is equipped with various codecs for playing various video files and sound source files, and a program for playing. If the video signal does not include a video signal like a sound source file, only an audio signal is output. If all are included, bo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output.

상기 빔출력부(160)는 소형 빔프로젝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광학계(161)를 통해 빔으로 출력하게 되며, 영상을 구현하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통상 CRT(Cathode Ray Tube)프로젝션, LCD(Liquid Crystal Display)프로젝션, DLP(Digital Light Processing)프로젝션,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프로젝션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통상 소형의 프로젝터에는 구식인 CRT 프로젝션 방식을 제외한 나머지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The beam output unit 160 processes an image signal input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 small beam projector and outputs it as a beam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According to the type of device for implementing the image, a CRT (Cathode Ray Tube) is usually used. It is implemented using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LCD) projection,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rojection, and 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projection. In general, a small projector is selected from among the remaining methods except the old CRT projection method.

상기 제1제어부(180)는 본체(100) 내부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CPU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통신부(110)와 제1조작부(130)와 저장부(140)와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게 되며, 특히 상기 제1조작부(130)의 제어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읽고 재생하여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빔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음향신호는 제1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된 볼륨 레벨과 함께 상기 제1통신부(110)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The first control unit 180 serves as a CPU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to provid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130. ) And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media player 150, and in particular, the media player 150 is controlled from the storage unit 140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signal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 The video signal outputted by reading and playing multimedia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beam output unit 160, and the sound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gether with the volume level input through the first operation unit 130. Will be sent.

제1통신부(110)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신호는 상기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피커(200)는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되는 몸체(21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210)에는 제2통신부(220)와, 제2전원부(230)와, 음향출력부(250)와, 제2제어부(260)가 내장된다.The sou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output for the user to hear through the speaker 200. To this end, the speaker 200 includes a body 2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body 21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a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and an audio output unit ( 250 and a second control unit 260 are incorporated.

상기 제2통신부(220)는 상기 제1통신부(11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통신부(110)와 동일한 무선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주로 상기 제1통신부(110)를 통해 송출된 음향신호를 수신하게 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is made of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mainly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transmitted sound signal is received.

첨부된 도면에서는 스피커(200)가 하나만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스피커(200)의 제2통신부(220)에는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제1통신부(110)와의 통신 중 각 스피커(200)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부(180)는 이를 통해 각각의 제2통신부(220)에 차등하게 음향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one speaker 200 is provided, but a plurality of speaker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need. In this cas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of each speaker 200. The identification of each speaker 200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possible, and the first control unit 180 is configured to differentially transmit sound signals to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this. Can be.

상기 음향출력부(250)는 사용자가 소리로 청취할 수 있도록 입력된 음향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sound output unit 250 serves to convert and output the input soun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상기 제2전원부(230)는 스피커(200)의 내부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스피커(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가능하되, 무선방식을 통해 음향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사용 중 전원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 없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2전원부(2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등의 단자(213)를 구비하여 전원 소진시 사용자가 단자에 전원공급 케이블을 연결하여 제2전원부(2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스피커(200)가 상기 본체(100)에 접촉함으로 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제2전원부(23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is a par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200, the speaker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s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method The battery is powered by a rechargeable battery that does not require a power cable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includ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s a terminal 213 such as a USB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power is exhausted, the user connects the power supply cable to the terminal to connect the second power supply 230 to the terminal. Although it may be possible to ch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wer source 230 is charg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100 by the speaker 200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상기 제2제어부(260)는 스피커(200)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는 CPU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220)와 음향출력부(250)를 제어하되,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250)를 통해 해당 볼륨 레벨로 출력시키게 된다.The second controller 260 serves as a CPU for controll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speaker 200. 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ler 26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ource 230 and outputs soun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While controlling the unit 250,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50 at a corresponding volume level.

사용자가 상기 제1조작부(130)를 통해 스피커(200)의 음향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될 음향의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부(180)는 상기 제1조작부(130)의 동작제어신호에 따른 볼륨 레벨을 음향신호에 포함하여 송출하게 된다.The first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volume level of the sound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50 of the speaker 200 through the first manipulator 130. The volume lev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s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to be trans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스피커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상기 스피커(200)가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될 수 있는 구체적인 형상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일부 구성이 추가되고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s 1 to 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20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in a specific shape and some component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re add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먼저, 상기 본체(100)는 도 1 및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받침부(101)와, 상기 받침부(101) 상측에 세로로 형성되는 기둥부(105)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세련되면서도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형상으로 상기 받침부(101)는 본체(100)가 쓰러지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하부면적을 갖고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105)의 상부에는 상기 빔출력부(160)의 광학계(161)가 설치되며, 이때 출력되는 빔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First, the main body 100 is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101 and a pillar portion 105 formed vertically on the support portion 101 as shown in Figs. This is a shap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while being refined, the support portion 101 has a sufficient lower area such that the main body 100 does not fall to form a gentle curve as a whole.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161 of the beam output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05, and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of the output beam.

도 4는 본 발명에서 빔출력부의 각도조절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05)는 하측이 상기 받침부(101)에 결합하고 상측면이 도 4에서와 같이 전면부를 향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고정부(106)와, 하측면이 상기 고정부(106)의 상측면 경사면에 접하여 회전하며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빔출력부(160)의 광학계(161)가 설치된 회동부(107)로 이루어질 수 있다.4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beam outpu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pillar portion 105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1 and the upper side toward the front portion as shown in FIG. The optical system 161 of the beam output unit 160 and the fixed portion 106 and the lower side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106 and the beam is e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It may be made of a rotating part 107 is installed.

이때 상기 회동부(107)의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06)의 상측면과 동일한 경사각이 형성되어, 회동부(107)의 하측면과 고정부(106)의 상측면이 마주 바라보도록 접촉시 상기 광학계(161)을 통해 출력되는 빔은 상기 기둥부(105)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수직방향이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회동부(107)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광학계(161)을 통해 출력되는 빔의 각도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만약 상기 회동부(107)의 하측면과 고정부(106)의 상측면의 경사각이 동일하게 45도일 경우 상기 광학계(161)을 통해 출력되는 빔의 각도는 최대 90도까지 조절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art 107 is formed with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06, whe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art 107 and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06 facing each other when contacted The beam output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will be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05. Then, as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unit 107, the angle of the beam output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is gradually lowered.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unit 107 and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106 is equal to 45 degrees, the angle of the beam output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can be adjusted up to 90 degrees.

이때 회동부(107)의 회전에 따라 광학계(161)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면이 함께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회동부(107)의 회전각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화상면이 함께 회전하도록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회동부(107)가 기둥부(105)와 동일한 방향인 수직을 이루거나 최대 각도를 이루는 부분까지의 회전각에 대한 화상면의 회전보상치를 두는 것이다.At this time, a phenomenon in which the image plane output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107 occurs. Preferably,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unit 107 is detected and the image plane is correspondingly connected. A method of compensating for rotation can be used. That is, the rotational compensation value of the image plane is set to the rotation angle to the portion where the rotation part 107 is perpendicular to the pillar part 105 in the same direction or at the maximum angle.

이를 활용하여 야간에 출력되는 빔을 천정으로 향하도록 하여 별이나 우주의 모습을 투사하여 간접조명효과를 만들어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고, 상기 회동부(107)의 회전을 통해 본체(100)의 전면측을 향하여 빔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By using this to direct the beam output at night to the ceiling to project the appearance of a star or the universe to create an indirect lighting effect to stabilize the mind and bod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107 front of the main body 100 Projecting the beam toward the side can enjoy the multimedia content while the user is sitting.

또한, 상기 스피커(200)의 몸체(21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부(10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부(211)가 형성된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둥부(105)를 원기둥이 아닌 상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좁아지는 형상의 원뿔 기둥형상으로 하여, 스피커(200)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스피커(200)가 기둥부의 일부분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ody 210 of the speak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donut shap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211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pillar portion 105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illar portion 105 has a conical pillar shape of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cylinder, so that the speaker 200 can be easily inserted and the inserted speaker 200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To help.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210) 외측으로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 입력받는 제2조작부(24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2조작부(240)는 스피커(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00)에 접근하지 않고도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재생을 비롯하여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미디어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각종 제어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조작부(130)와 동일한 제어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스피커(200)를 리모컨처럼 사용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ration unit 240 that receives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as shown in FIG. The second manipulator 240 is required for playing media content such as fast forwarding and rewinding, including multimedia content, without the user approaching the main body 100 while the speaker 2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input various control operations, the controller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ame control operation as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peaker 200 as a remote controller.

이때, 상기 제2제어부(260)는 제2조작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어동작신호가 음량제어신호일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250)의 출력레벨을 조절하도록 하고, 제2조작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어동작신호가 멀티미디어콘텐츠 재생동작을 제어를 위한 상기 미디어재생부(150)의 제어신호인 경우 제어신호를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본체(100)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 unit 260 adjusts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output unit 250 when the control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240 is a volum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unit 240. When the control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signal of the media player 150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operation is configured to send a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또한, 상기 제1제어부(180)는 상기 스피커(200)로부터 송출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trol the media playback unit 150.

본 발명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테이블 상에 배치하였을 때 스탠드방식의 라이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몸체(210)의 외측에는 LED 램프부(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LED 램프부(212)는 상기 제2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조작부(24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하되 몸체(210)의 외측 하방향으로 빛을 방출함으로 테이블 조명으로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is disposed on a table, an LED lamp unit 212 is formed outside the speaker body 210 so that the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an be used as a stand type light. At this time, the LED lamp unit 212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to operate by the signal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240 to emit light, but emits light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210 By emitting it, it can be used as a table light.

통상 빔프로젝터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도 빔출력부(160)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받침부(101)의 일측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냉각공(103)과, 상기 냉각공(103)을 통해 받침부(101)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04)과, 상기 냉각팬(104)을 통해 흡입되어 본체(100) 내측을 순환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기둥부(105)에 형성된 방열공(108)을 더 포함하게 된다.In general, since the beam projector generates a lot of heat, a structure for effective cooling of the beam output unit 160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main body 100 has a plurality of cooling holes 103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01 and a cooling fan that sucks air into the support part 101 through the cooling hole 103. 104 and a heat dissipation hole 108 formed in the pillar portion 105 to discharge the air sucked through the cooling fan 104 and circul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상기 기둥부(105) 내부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좁으므로 상기 제1통신부(110)를 비롯한, 저장부(140)와, 제1조작부(130)와, 미디어재생부(150) 및 제1제어부(180)는 상기 받침부(101)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빔출력부(160)의 경우 빔을 출력하는 광학계(161)는 상기 회동부(107)에 위치하더라도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는 받침부(101)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냉각팬(104)을 통해 냉각공(103)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받침부(101)와 기둥부(105) 내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광학계(161)의 냉각을 마친 공기가 상기 방열공(108)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Since the inside of the pillar portion 105 has a relatively narrow space, the storage unit 140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 the media playback unit 150, and the first control unit ( 180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101.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eam output unit 160, even if the optical system 161 for outputting a beam is located in the rotating unit 107, a circuit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unit 101. Accordingly, the external air is forced into the cooling hole 103 through the cooling fan 104 to generate a flow of air into the support 101 and the pillar 105, and finally the cooling of the optical system 161 is performed. Finished air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108).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스피커(200)가 본체(100)와의 접촉에 의해 제2전원부(230)를 충전시키도록 하고, 무드램프부(102) 및 보조음향출력부(170)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진시킨 구성이 추가되고 있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200 contacts the main body 100 with the second power supply 230. To be charged, such as the mood lamp unit 102 and the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70 has been added to further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먼저, 상기 스피커(200)가 상기 기둥부(105)에 끼워지는 동안 제2전원부(230)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105)는 외측으로 상기 제1전원부(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는 제1충전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200)의 몸체(210)는 상기 제1충전부(190)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230)를 충전하는 제2충전부(270)를 구비하게 된다.First, the pillar portion 105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portion 120 to the outside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portion 230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while the speaker 200 is fitted to the pillar portion 105. Further comprising a first charging unit 190 for emitting a charging current by using, the body 210 of the speaker 200 i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through the charging current emitt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unit 190 ) Is provided with a second charging unit 270.

이때 상기 제1충전부(190)와 제2충전부(270)가 상호 접촉되는 접점을 구비하여 상기 접점이 직접적으로 맞닿아 충전전류가 도통하여 제2전원부(230)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제1충전부(190)의 충전전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발생하는 전자장 범위 내에 제2충전부(270)가 위치하도록 하고 제2충전부(270)에 유도된 교류전류를 다시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비접촉방식으로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harging unit 190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27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may directly contact the charging current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may be charged. The non-contact method of conver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first charging unit 190 to an alternating current so that the second charging unit 270 is located within the electromagnetic field range and converts the alternating current induced by the second charging unit 270 into a direct current.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charged.

또한, 상기 본체(100)의 기둥부(105)에는 상기 제1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작부(13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기둥부(105)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무드램프부(102)를 더 포함하게 된다. 통상 무드램프라 함은 야간에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은은한 빛을 방출하는 구성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피커(200)에 구성되는 LED 램프부(212)와 동일하게 테이블용 스탠드 용도로 조명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게 되어, 별도의 전등 없이도 본 발명을 통해 조명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illar portion 105 of the main body 10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30, but emits light to the front of the pillar portion 105 The lamp further includes a lamp unit 102. In general, the mud lamp means a configuration that emits a soft light so as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at n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effect for the table stand use the same as the LED lamp unit 212 configured in the speaker 200 It is to include a function indicating, so that the lighting effec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separate light.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스피커(200)와는 별도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보조음향출력부(170)가 기둥부(105)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제어부(180)는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보조음향출력부(170)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피커(200)의 전원부족 등으로 인한 문제발생시에도 음향의 청취가 가능하고 상기 스피커(200)와 연계하여 다채널 음향 또는 입체음향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has an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70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user separately from the speaker 200 is formed outside the pillar portion 105, the first control unit 180 ) Is configured to input the sound signal output by controlling the media player 150 to the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70. Through this, even when a problem occurs due to lack of power of the speaker 200,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an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effects such as multi-channel sound or stereoscopic sound can be realized in connection with the speaker 200.

또한, 상기 제1조작부(130)는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에 더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31)으로 구성됨으로, 사용자가 현재의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in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he first operation unit 130 confirms the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multimedia content played through the media player 150. By configuring the touch screen 13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urrent operating stat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본체 101: 받침부
102: 무드램프부 103: 냉각공
104: 냉각팬 105: 기둥부
106: 고정부 107: 회동부
108: 방열공 109: 입력단자
110: 제1통신부 120: 제1전원부
130: 제1조작부 131: 터치스크린
140: 저장부 150: 미디어재생부
160: 빔출력부 161: 광학계
170: 보조음향출력부 180: 제1제어부
190: 제1충전부 200: 스피커
210: 몸체 211: 중공부
212: LED 램프부 213: 단자
220: 제2통신부 230: 제2전원부
240: 제2조작부 250: 음향출력부
260: 제2제어부 270: 제2충전부
100: main body 101: support
102: mood lamp portion 103: cooling hole
104: cooling fan 105: pillar portion
106: fixed part 107: rotating part
108: heat sink 109: input terminal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first power supply unit
130: first operation unit 131: touch screen
140: storage unit 150: media playback unit
160: beam output unit 161: optical system
170: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80: first control unit
190: first charging unit 200: speaker
210: body 211: hollow part
212: LED lamp unit 213: terminal
220: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second operation unit 250: sound output unit
260: second control unit 270: second charging unit

Claims (10)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한 스피커(200)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11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20)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제1조작부(130)와, 소정의 입력단바(109)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40)와, 상기 저장부(140)의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재생하여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미디어재생부(150)와,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광학계(161)를 통해 빔으로 출력하는 빔출력부(160)와, 상기 제1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작부(130)의 제어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빔출력부(160)로 전송하고 음향신호는 상기 제1통신부(110)를 통해 송출하도록 구성된 제1제어부(180)를 구비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탈부착 되는 몸체(21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제1통신부(11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2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230)와,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50)와, 상기 제2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220)와 음향출력부(25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가 내장되는 스피커(2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In the multimedia player consisting of a main body 100 and a speaker 200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0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first power supply unit 120 for supplying power, a first operation unit 130 for receiving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a predetermined input terminal ( A storage unit 140 storing the multimedia content input from 109, a media player 150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content of the storage unit 140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the input video signal. The media output unit 16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beam output unit 160 and outputs the beam through the optical system 161, and receives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A main body (100) having a first control unit (180) configured to control the 150 and transmit the output image signal to the beam output unit (160) and transmit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body 2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the body 210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230, a sound output unit 250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so that a user can liste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power unit 230. A speaker 200 having a second controller 260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ound output unit 250;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받침부(101)와, 상기 받침부(101) 상측에 세로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빔출력부(160)의 광학계(161)가 빔 출력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둥부(105)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피커(200)의 몸체(210)는 상기 기둥부(105)에 끼워지도록 중공부(211)가 형성된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has a support 101 and a pillar formed vertically above the support 101, and having an optical system 161 of the beam output 160 mounted thereon to adjust the beam output angle. Consisting of a portion 105,
The body 210 of the speaker 200 is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211 is formed in a donut shape to be fitted to the pillar portion 10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00)는 상기 몸체(210) 외측으로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 입력받는 제2조작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260)는 제2조작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어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250)의 출력레벨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부(180)는 상기 제1통신부(1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ak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ration unit 240 that receives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the user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The second controller 260 adjusts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output unit 250 according to a control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anipulator 240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The first controller (180) is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trol the media player (15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몸체(210)의 외측에는 상기 제2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조작부(24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몸체(210) 외측 하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 램프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side of the speaker body 21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240, LED lamp unit for emitting light in the downward direction outside the body 210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2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받침부(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냉각공(103)과, 상기 냉각공(103)을 통해 받침부(101)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04)과, 상기 냉각팬(104)을 통해 흡입되어 본체(100) 내측을 순환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기둥부(105)에 형성된 방열공(10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oling holes 103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101, a cooling fan 104 that sucks air into the support portion 101 through the cooling holes 103. And a heat dissipation hole (108) formed in the pillar portion (105) to discharge air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fan (104) and circul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5)는 하측이 상기 받침부(101)에 결합하고 상측면이 전면부를 향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고정부(106)와, 하측면이 상기 고정부(106)의 상측면 경사면에 접하여 회전하며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빔출력부(160)의 광학계(161)가 설치된 회동부(10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portion 105 has a fixing portion 106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1 and the upper side has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6.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tating part 107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ptical system 161 of the beam output unit 160 to emit a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5)는 외측으로 상기 제1전원부(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는 제1충전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200)의 몸체(210)는 상기 제1충전부(190)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230)를 충전하는 제2충전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portion 105 further includes a first charging portion 190 for emitting a charging current by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upply portion 120 to the outside,
The body 210 of the speak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charging unit 270 that charge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30 through a charging current emitt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unit 190.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기둥부(105)에는 상기 제1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작부(13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기둥부(105) 전면부로 빛을 방출하는 무드램프부(102)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portion 105 of the main body 10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20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30, the mood lamp for emitting light to the front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105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rt (10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입력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보조음향출력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180)는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보조음향출력부(170)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70 for outputting the input soun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first controller (180) is a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put the sound signal output by controlling the media playback unit 150 to the auxiliary sound output unit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13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상기 미디어재생부(150)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콘텐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스크린(1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 includes a touch screen 131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with information of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140 and the multimedia content played through the media player 150. Beam projector integrated multimedia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092728A 2012-08-24 2012-08-24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KR101312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28A KR101312116B1 (en) 2012-08-24 2012-08-24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28A KR101312116B1 (en) 2012-08-24 2012-08-24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116B1 true KR101312116B1 (en) 2013-09-26

Family

ID=4945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28A KR101312116B1 (en) 2012-08-24 2012-08-24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11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782B1 (en) 2014-09-19 2015-10-2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KR101831736B1 (en) 2017-07-21 2018-02-26 어울림영상(주) Case for housing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case and the electronic device
KR101862129B1 (en) 2018-02-13 2018-05-30 어울림영상(주)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cluding case for housing electronic device
CN108826145A (en) * 2018-07-17 2018-11-16 广东工业大学 A kind of lamp with projection and broadcasting function
KR102448817B1 (en) * 2022-07-04 2022-10-04 짚라인코리아(주) Aerial play facilities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355A (en) * 2003-08-27 2005-03-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Reproducing system
KR20080075639A (en) * 2007-02-13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ted multi-functional proj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355A (en) * 2003-08-27 2005-03-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Reproducing system
KR20080075639A (en) * 2007-02-13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ted multi-functional proje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782B1 (en) 2014-09-19 2015-10-2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KR101831736B1 (en) 2017-07-21 2018-02-26 어울림영상(주) Case for housing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case and the electronic device
KR101862129B1 (en) 2018-02-13 2018-05-30 어울림영상(주)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cluding case for housing electronic device
CN108826145A (en) * 2018-07-17 2018-11-16 广东工业大学 A kind of lamp with projection and broadcasting function
KR102448817B1 (en) * 2022-07-04 2022-10-04 짚라인코리아(주) Aerial play facilities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3912B1 (en) Multimedia alarm clock projector
KR101312116B1 (en)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US7599177B2 (en) Video dock for portable media player
US7303282B2 (en) Multimedia display device
WO2014077374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US20060227291A1 (en) Portable multimedia projection system
JP6111611B2 (en) Audio amplifier
JP2019526193A (en) Endpoint mixing products
US20200167123A1 (en) Audio system for flexibly choreographing audio output
US11212930B2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CN210072965U (en) Intelligent mini-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CN109471609B (en) Karaoke projection integrated machine and Karaoke method thereof
JP3163099U (en) microphone
CN211702217U (en) Projector
CN20908691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docking station
KR10257151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
TW202201945A (en) Portable monitor and peripherals hub system
CN206061016U (en) A kind of packaged type household audio and video system
US10735860B2 (en) Soundbar
US10827269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dio reproduction
CN217335763U (en) Multimedia playing control system and device
CN216960164U (en) Wall type stereo set convenient to hang
CN220208124U (en) Intelligent home theater
US20170208221A1 (en) Multimedia playing device
CN218772199U (en) Audio-visual prom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