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638B1 -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638B1
KR101311638B1 KR1020120057745A KR20120057745A KR101311638B1 KR 101311638 B1 KR101311638 B1 KR 101311638B1 KR 1020120057745 A KR1020120057745 A KR 1020120057745A KR 20120057745 A KR20120057745 A KR 20120057745A KR 101311638 B1 KR101311638 B1 KR 10131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hotoluminescent
mixture
mold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김승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발광휘도 및 장잔광 특성이 우수한 축광체 재료를 사용하여 빛이 차단된 어두운 환경이나 기존의 야간 광고장치를 대체 가능하도록 한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에 형성된 도안부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축광체분말과 수지제의 혼합을 통해 높은 발광세기 및 장잔광 특성이 우수한 축광체를 제조함으로써, 축광체 소재의 품질을 크게 개선하여 저 전력 구동형의 광고 및 싸인 간판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 정책 실현에 기여함은 물론, 고기능성 축광체 소재의 다양한 상용화 기술 및 소재 고부가가치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AN ADVERTISING DEVICE INCLUDING LONG PHOSPHORESCENCE PHOSPH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VERTISING DEVICE}
본 발명은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발광휘도 및 장잔광 특성이 우수한 축광체 재료를 사용하여 빛이 차단된 어두운 환경이나 기존의 야간 광고장치를 대체 가능하도록 한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낼 수 있는 발광체는 발광을 위한 에너지의 공급이 중단된 후 발광 유지시간의 길이에 따라 형광(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으로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직접전이(direct transition)에 의해 발광이 생성되는 것으로서 발광 유지시간이 10-8초 이하로 짧은 것을 형광이라 하고 그 이상의 긴 것을 인광으로 구분한다. 인광체의 잔광시간은 최소 10-7초부터 수천 분까지 지속되는 것도 있으며, 특히 잔광시간이 긴 것을 축광성 형광체(long phosphorescence phosphor) 혹은 축광체라 한다.
이처럼, 빛을 발광하는 특성을 지닌 인광재료 중에서 축광체 재료는 태양광이나 전등과 같은 빛의 자극을 받아 광 에너지를 흡수한 후, 이를 가시광으로 환원하여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발광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장잔광 특성을 지닌 축광체의 대표적인 응용 분야들은 고속도로, 철도 및 지하철, 항공, 항만 및 빌딩 등에 각종 야광표지판이나 야광페인트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야광장식, 야광시계, 전자기기 표시소자, 백라이트 광원 등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소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축광성 인광소재를 활용하여 주간에 태양광을 축적한 후, 야간이나 지하 공간, 전기 공급이 불가능한 어두운 공간 등에서 축적된 빛을 재생하여 조명 대체에너지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응용분야가 다수이다.
이처럼, 장잔광성 축광체 소재는 고부가 가치의 소재로서 미래의 자발광성 발광소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이들 복합 산화물 축광소재의 개발에는 많은 기술적인 노하우(know-how)가 필요하므로, 기술 선진국에서는 철저히 대외비로 하여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고기능성 축광체 소재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응용연구와 실용화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특히 축광체가 야간 광고나 야광표시 싸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발광휘도와 장시간의 잔광특성을 지닌 우수한 인광물질의 제조공정과 광원과의 조합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1740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03506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4870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600934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8-0099706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8-01240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6-001904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높은 발광휘도 및 장잔광 특성이 우수한 축광체 재료를 사용하여 빛이 차단된 어두운 환경이나 야간에 전력소모가 큰 형광조명 장치를 사용한 광고/간판 제품을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안부가 음각 형성된 몰드와; 상기 도안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수지제에 축광체분말이 함유되어 경화 성형된 광고표시부 및; 상기 광고표시부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축광체분말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에서 도안부가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의 내부에 광고표시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몰드에서 도안부가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의 내부에 광고표시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몰드의 내면에는 광원의 반사효율을 높이도록 백색의 도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안부의 내부에 격벽이 마련되어, 상기 도안부의 전방과 후방에 공간이 각각 조성되며, 상기 도안부의 전방 공간에 광고표시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광고표시부의 배면에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안부의 후방 공간에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상기 광원을 원하는 시간 및 시간간격에 맞추어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에 형성된 도안부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은, 판형의 몰드에 도안부를 커팅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의 전면에 지지판을 임시로 덧대어 도안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단계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에 형성된 도안부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의 전면에 임시로 덧댄 지지판을 제거하고, 상기 광고표시부의 배면에 광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은, 몰드에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도안부를 음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안부의 내부에 광원을 설치하는 단계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에 형성된 도안부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광체와, 액상 수지제와, 수지경화제는 0.5~4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교반된 혼합물은 70~90℃의 건조로에서 20~4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켜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며; 상기 열풍 건조된 혼합물은 상온의 온도까지 자연 냉각시키고; 상기 도안부에 슬러리를 부은 후, 상온에서 경화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은, 황록색 발광을 나타내는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SrO-Al2O3)계 분말로,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부활제, 공부활제를 0.97 : 2.0 : 0.005 : 0.01의 몰비(molar ratio)로 혼합하고, 융제를 첨가한 후 반응연료를 사용하여 가열 및 열처리하여 연소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은,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융제와, 반응연료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1용액 용해단계와; 부활제와, 공부활제를 산성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2용액 용해단계와; 제1용액과, 제2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용액을 노 내에서 가열 및 연소반응시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조성의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말을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SrO-Al2O3)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융제는 산화붕소(B2O3)가 사용되고, 반응연료는 유레아(NH2CONH2)가 사용되며, 부활제는 산화유로피움(Eu2O3)이 사용되고, 공부활제는 산화디프로시움(Dy2O3)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연료는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에 대하여 1:0.5~3.0의 몰비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융제는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에 대하여 1:0.1~0.8의 몰비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합성된 분말을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1100~1500℃의 온도로 2~6시간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은, 청녹색 계열의 발광을 나타내는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67-xAl14025 Eu0.11, Dy0.22, Agx)계 축광체분말로,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산화붕소(B2O3),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을 혼합하여 가열 열처리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은,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산화붕소(B2O3)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1용액 용해단계와;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을 산성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2용액 용해단계와; 제1용액과, 제2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용액을 건조로 내에서 가열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 조성의 건조된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와; 건조된 분말을 분쇄한 후 환원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67-xAl14025 Eu0.11, Dy0 .22, Agx)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gx에서 x는 0.01~0.06일 수 있다.
상기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산화붕소(B2O3),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은 각각 3.67~3.61 : 14 : 0.5 : 0.11 : 0.22 : 0.01~0.06의 몰비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건조 생성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1300~1500℃의 온도로 5시간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축광체분말과 수지제의 혼합을 통해 높은 발광세기 및 장잔광 특성이 우수한 축광체를 제조함으로써, 축광체 소재의 품질을 크게 개선하여 저 전력 구동형의 광고 및 싸인 간판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 정책 실현에 기여함은 물론, 고기능성 축광체 소재의 다양한 상용화 기술 및 소재 고부가가치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태양광이 차단되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야간 보조조명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고, 고기능성 축광체 소재의 각종 상업적 활용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고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고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광고장치의 광원 및 제어부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광고장치의 격벽 및 광원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과정에서 서로 다른 열처리온도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과정에서 서로 다른 열처리온도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분말의 X-선 회절패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의 여기 및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과정에서 서로 다른 열처리온도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분말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과정에서 융제의 첨가량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분말의 발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과정에서 반응연료의 혼합비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축광체분말의 발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분말 제조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에 의해 합성된 축광체 분말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차트,
도 14의 (a) 내지 (g)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축광체분말의 Ag+ 이온의 조성비율에 따른 저배율 SEM사진,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축광체분말의 Ag+ 이온의 조성비율에 따른 발광스펙트럼과 여기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차트,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축광체분말과 종래에 제조된 축광체분말의 휘도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차트,
도 17은 암시야에서 발광시트의 휘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축광체분말에 의해 제조된 발광시트에서 축광체분말의 혼합비에 따른 발광시트의 발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9는 발광시트를 400lux의 형광램프로 1시간 조사한 후 10분 간격으로 총 48회(8시간)의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20은 발광시트를 어두운 환경에서 (a)상층부와 (b)측면부를 촬영한 사진,
도 21은 본 발명의 광고장치를 암시야 상태에서 실제 구동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광원의 밝기를 측정한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대한 것으로, 크게 몰드(10)와, 광고표시부(20)와, 광원(3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안부(15)가 음각 형성된 몰드(10)와,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마련되며, 축광체분말이 액상의 수지제 및 수지경화제와 함유되어 경화 성형된 광고표시부(20) 및, 상기 광고표시부(2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축광체분말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광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광체분말과, 액상 수지제와, 수지경화제는 0.5~4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중량비로 축광체분말이 혼합될 때에 광고표시부(20)의 발광강도가 높게 나타나게 된다.
즉, 축광체분말이 함유되어 제조된 광고표시부(20)의 후단에 광에너지를 갖는 광원(30)이 설치됨으로써, 광원(30)에 의해 축광체분말에 광에너지가 흡수되면 상기 축광체분말의 장잔광 특성으로 인해 여기된 빛이 발광하면서 야간 광고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10)의 실시예로서 도안부(15)가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몰드(10)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몰드(10)에는 광고를 위한 도안부(15)(문자, 도형 등)가 홀 형태로 커팅 가공된다. 이에, 상기 홀 형태의 도안부(15)에 축광체분말이 함유된 광고표시부(2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광고표시부(20)가 발광되면서 광고장치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안부(15)가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몰드(10)가 광고를 위한 도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도안부(15)가 상기 몰드(10)에 음각되어 홈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상기 홈 형태의 도안부(15)에 축광체분말이 함유된 광고표시부(2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광고표시부(20)가 발광되면서 광고장치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몰드(10)의 내면에는 광원(30)의 반사효율을 높이도록 백색의 도료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몰드(10)의 도안부(15)에는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되는데, 상기 광고표시부(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광체분말이 함유됨으로써,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여기 및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몰드(10)의 내면에 광원(30)의 반사효율이 우수한 백색 도료를 코팅 및 형성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빛이 반사되면서 광고장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격벽(16)이 마련되어, 상기 도안부(15)의 전방과 후방에 공간(17)(18)이 각각 조성되며, 상기 도안부(15)의 전방 공간(17)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안부(15)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의 공간에 격벽(16)이 마련됨으로써, 도안이 보여지는 전방부와 그리고, 그 후단의 후방부로 공간(18)이 나뉘어지며, 상기 전방부의 공간(17)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된다. 이때, 상기 격벽(16)은 도안부(15)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리가 마련되어 상기 격벽(16)과 마주하는 후방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격벽(16)과 도안부(15) 내측면 사이의 기밀을 위해 격벽(16)의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로 마감처리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격벽(16)으로 인한 후방부의 공간(18)으로 인해 광고표시부(20)의 두께가 크게 줄어들게 됨으로써, 광원(30)에서 발생되는 발광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6)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광원(30)의 발광강도가 줄어드는 것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광고표시부(2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광고표시부(20)의 반투명한 탁도로 인해 광원(30)의 강도가 감소하게 되는바, 격벽(16)을 두어 광고표시부(20)의 두께를 줄이게 되며, 상기 격벽(16)은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광원(30)의 발광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광고표시부(20)의 배면에 광원(3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안부(15)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안부(15)에 성형되는 광고표시부(20)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외부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바, 상기 광원(30)이 광고표시부(20)의 배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30)은 광고표시부(2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도안부(15)의 후방 공간(18) 내부에 광원(3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안부(15)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안부(15)에는 격벽(16)으로 인해 전방부 및 후방부에 공간(17)(18)이 형성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부의 공간(17)에는 광고표시부(20)가 형성됨으로써, 후방부의 공간(18) 내부에는 광원(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3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광원(30)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광원(30)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상기 광원(30)을 원하는 시간 및 시간간격에 맞추어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C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R)는 상기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컨트롤러 또는 제어기의 구조이거나, 혹은 각 기능별로 개별적인 제어기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원(30)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의 전원공급장치(40)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40)에 타이머장치(50)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한 제어부(CR)의 구성에 의해 광원(30)을 원하는 시간, 바람직하게는 야간 시간에만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 시간 단위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전기를 절약하며 야간에 광고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고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수지제는 액상의 에폭시수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광체분말과, 액상 수지제와, 수지경화제는 대략 0.5~4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중량비로 축광체분말이 혼합될 때에 광고표시부(20)의 발광강도가 높게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70~90℃의 건조로, 일례로 드라이 오븐에서 20~40분 동안 열풍 건조함으로써,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기포를 제거하지 않게 되면, 기포에 의해 광원(30)에서 발광되는 빛이 줄어들게 되면서 충분한 발광강도를 발휘할 수 없게 되는바, 기포를 충분히 제거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열풍 건조된 혼합물을 상온의 온도까지 자연적으로 냉각시킨다. 또한, 슬러리를 경화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안부(15)에 슬러리를 부은 후, 상온에서 약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광고표시부(20)를 경화 형성한다.
여기서, 만약 열풍 건조된 혼합물을 냉각시키지 않고 고온인 상태에서 수지경화제를 교반하게 되면, 액상 수지제와의 발열 반응에 의해 수분 내에 경화가 이루어져 슬러리를 몰드(10)에 부을 때 미끄럽지 못한 형상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온에서 표면이 완전히 평탄화가 이루어진 슬러리를 수지경화제와 교반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몰드(10) 내부에 일정 두께로 기포가 차지 않게 평평하게 부어 상온에서 경화를 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광고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판형의 몰드(10)에 도안부(15)를 커팅 가공한다. 즉, 약 5mm 두께의 백색 아크릴 재질 판상에 원하는 문자와 로고를 레이져 커팅으로 절단 가공한다.
이어서, 상기 몰드(10)의 전면에 지지판(12)을 임시로 덧댄다. 구체적으로, 몰드(10)를 뒤집어 폴리에텔렌 판을 받여 주는데 그 이유는 광고표시부(20)의 표면이 평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광고표시부(20)의 전면에서 일정한 광량을 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리고,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70~90℃의 건조로에서 20~40분 동안 열풍 건조함으로써,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자연 냉각시켜 온도가 상온으로 내려갈 때까지 기다린다.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이때의 혼합비는 중량비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상온에서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한다. 이 후, 상기 몰드(10)의 전면에 임시로 덧댄 지지판(12)을 제거하고, 상기 광고표시부(20)의 배면에 그 형상에 맞추어 광원(30)을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광원(30)의 설치 전 또는 설치 후에 전원공급장치(40) 및 타이머장치(50) 등을 연결함으로써, 광고장치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광고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몰드(10)에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도안부(15)를 음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안부(15) 내부에 격벽(16)을 설치하여 전방과 후방의 공간(17)(18)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의 공간(17) 내부에는 광고표시부(20)가 경화 형성되는 공간으로, 격벽(16)의 설치에 앞서 후방의 공간(18) 내부에 광원(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안부(15)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 및 개수의 광원(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30)에 전원공급장치(40)와 타이머장치(5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몰드(10)는 개별적인 문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개별 몰드(10)의 후면부에 배경판을 설치하여 상기 몰드(10)들을 배경판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70~90℃의 건조로에서 20~40분 동안 열풍 건조함으로써,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자연 냉각시켜 온도가 상온으로 내려갈 때까지 기다린다.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이때의 혼합비는 중량비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 중 전방의 공간(17)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상온에서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함으로써, 광고장치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축광체분말은, 도 5와 같이 제1용액 용해단계와, 제2용액 용해단계와, 교반단계와, 분말생성단계와, 분말제조단계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1용액 용해단계에서는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융제와, 반응연료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증류수 용해함으로써, 제1용액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융제로는 산화붕소(B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고, 반응연료로는 유레아(NH2CONH2) 등이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제2용액 용해단계에서는 부활제와, 공부활제를 산성수와 혼합하여 산용해함으로써 제2용액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부활제로는 산화유로피움(Eu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고, 공부활제로는 산화디프로시움(Dy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며, 산성수로는 질산(HN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 각 원료의 조성 혼합비를 살펴보면,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를 0.97 : 2.0 : 0.005 : 0.01의 몰비(molar ratio)로 혼합한다.
계속해서, 교반단계에서는 상기한 제1용액와, 제2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시킨다. 그리고, 분말생성단계에서는 교반된 혼합용액을 통상의 전기노 내에 투입하여 대기압하에서 500~700℃의 온도로 대략 5분 정도 가열 및 연소반응시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조성의 분말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분말제조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합성 및 생성된 분말을 알루미나보트 내의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1100~1500℃의 온도로 2~6시간 고온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SrO-Al2O3)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승온 온도는 약 3~10℃/min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축광체분말의 다른 제조방법은 도 12와 같이 제1용액 용해단계와, 제2용액 용해단계와, 교반단계와, 분말생성단계와, 분말제조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축광체분말의 제조에 사용된 원료는 스트론튬염(Sr(NO3)2)(Aldrich, USA 99%), 알루미늄염(Al(NO3)9H2O)(Kyoto, Japan 98%), 산화붕소(B2O3)(Junsei 95%), 산화유로피움(Eu2O3)(Aldrich, USA 99.99%), 산화디프로시움(Dy2O3)(Aldrich, USA 99.99%), 질산은(AgNO3)(Duksan 99.8%)을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은 원료들을 사용하여 제1용액 용해단계에서는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융제를 소량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증류수 용해함으로써, 제1용액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융제(flux)로는 산화붕소(B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한 것으로, 상기 융제의 역할은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계 축광체분말 입자의 성장을 촉진하여 발광강도와 발광지속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용액 용해단계에서는 부활제(activator)와, 공부활제(coactivator)와, 전하 보상제(charge compensator)를 산성수와 혼합하여 산용해함으로써 제2용액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부활제로는 산화유로피움(Eu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고, 공부활제로는 산화디프로시움(Dy2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며, 전하 보상제로는 질산은(AgN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고, 산성수로는 질산(HNO3) 등이 사용됨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한 각 원료의 조성 혼합비를 살펴보면, 상기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산화붕소(B2O3),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은 3.67~3.61 : 14 : 0.5 : 0.11 : 0.22 : 0.01~0.06의 몰비 비율(molar ratio)로 혼합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교반단계에서는 상기한 제1용액와, 제2용액을 교반기에 넣고 약 65~75℃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250~350rpm으로 교반하여 혼합시킨다.
그리고, 분말생성단계에서는 교반된 혼합용액을 건조로에서 약 280~320℃의 온도로 대략 2시간 동안 가열 열처리하여 완전하게 건조된 축광체 분말을 생성한다.
또한, 축광체분말 제조단계에서는 건조로에서 건조된 분말을 분쇄기 또는 마노유발(agate mortar) 등으로 분쇄한 후, Eu3 +이 Eu2 +로 환원되도록 95% N2 + 5% H2 환원분위기의 소결로에서 1300~1500℃의 온도 범위로 약 5시간 동안 고온 열처리 하여 청녹색 계열의 발광특성을 나타내는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 .67- xAl14025 Eu0.11, Dy0 .22, Agx)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최종 소결온도를 1500℃로 제한한 이유는 상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최적의 발광강도를 나타내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 .67- xAl14025 Eu0 .11, Dy0.22, Agx)계 축광체분말에서 x는 0.01~0.06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의 축광체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융제와 반응연료를 증류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부활제와 공부활제를 산성수에 따로 용해시킨 용액과 혼합하고 연소반응시킴으로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조성의 분말을 합성한다.
연소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반응연료는 산화제(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와의 비율을 반응연료를 기준으로 1:0.5~3.0의 몰비(molar ratio)로 혼합한다. 그리고, 모체결정의 입자성장을 촉진시켜 발광세기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융제는 산화제(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와의 비율을 융제를 기준으로 1:0.1~0.8의 몰비로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혼합용액을 약 600℃ 온도로 가열하여 연소반응 되도록 하여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조성의 분말을 합성한다. 최종적으로 합성된 분말이 발광특성을 지니도록 하기 위해서 알루미나보트에 넣고 수소 환원분위기 중에서 1100∼1500℃ 온도범위로 2~6시간동안 열처리 한다. 이때, 승온 속도는 약 3~10℃/min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1) 연소반응법으로 합성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분말의 물리적 특성
도 6은 연소반응법으로 합성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조성의 분말을 수소 환원분위기에서 1100℃에서 1400℃까지 각각 100℃간격으로 변화시켜 3시간 동안 소결시킨 축광체분말들의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연소반응법으로 합성된 초기 분말형상이고, (b)는 반응온도가 1100℃일 때의 분말형상이며, (c)는 반응온도가 1200℃일 때의 분말형상이고, (d)는 반응온도가 1300℃일 때의 분말형상이며, (e)는 반응온도가 1400℃일 때의 분말형상이다.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처리과정 동안 입자성장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초기분말의 입자크기(두께)는 약 수십 ㎚정도이나, 1100℃에서 열처리된 경우 수백 ㎚정도로 증가되었고, 이를 통해 1100℃이상의 고온으로 열처리되면 입자간 응집이 활발하게 일어나 결정성장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100℃이상으로부터 1400℃까지 열처리 온도가 증가되더라도 입자크기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도 7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 분말의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이에, X-선 회절피크들을 보면, 연소반응에 의해서 합성된 초기분말과 1100℃, 1200℃에서 열처리된 분말들은 중간상들(SrAl2O4, Sr2Al2O7 등)이 일부 생성되었으나, 1300℃ 이상이 되면 중간상들은 사라지고 오직 본 발명의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최종 결정상만이 존재한다.
(2)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분말의 인광 특성
도 8는 1300℃에서 3시간 열처리시킨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분말에 대해서 얻은 여기스펙트럼과 발광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스펙트럼은 220㎚에서 470㎚의 넓은 파장영역에 걸쳐 여기가 일어나고 369㎚에서 최대흡수피크를 나타낸다. 220㎚~470㎚ 범위의 파장은 태양광에도 포함되어 있는 파장 영역이므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는 태양광에 의해서 쉽게 여기되어 발광할 수 있고, 또한 320㎚ 이하에서 여기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특성을 지닌 기존의 ZnS:Cu계 보다 단파장인 자외선에서도 발광될 수 있는 축광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발광스펙트럼은 황록색의 발광영역인 493㎚를 최대 발광파장으로 하는 450∼600㎚의 폭넓은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이는 종래의 축광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ZnS:Cu의 발광파장과 비슷한 파장이다.
도 9은 1100~1500℃ 온도 범위에서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3시간동안 열처리 시킨 분말 시료의 열처리온도에 따라 나타난 발광스펙트럼이다.
여기광원으로는 Xe 램프로부터 발생된 360㎚의 빛을 사용하였다. 도면에서와 같이 열처리온도가 올라갈수록 발광강도는 높아졌다. 그러나 1500℃ 이상의 온도인 1550℃와 1600℃에서 열처리된 분말은 오히려 발광강도가 감소되었으며, 이는 1500℃ 이상의 온도에서는 일부 부분용해가 일어나고 또한, 상분해가 발생되어 제2상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3) 융제의 영향
도 10은 융제의 첨가량에 따라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축광체에 대해서 측정된 발광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융제의 첨가량이 증가되면 발광세기가 크게 증가하여 0.5몰에서 가장 높은 발광세기를 나타내고 그 이상으로 첨가되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융제의 적정 첨가량은 0.5몰임을 알 수 있다.
(4) 반응연료의 영향
도 11은 연소반응법으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계 조성의 분말을 합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반응연료의 혼합되는 양[반응연료/산화제(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에 따른 축광체의 발광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연료의 혼합되는 양이 증가되면 발광세기가 크게 증가하여 산화제와 반응연료의 혼합비가 1.5에서 가장 높은 발광세기를 나타내고 그 이상의 크기로 혼합되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반응연료의 적정 혼합비는 산화제 대비 1.5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축광체분말로 사용된 Sr4Al14O25:Eu2 +, Dy3 +, Ag+ 분말의 결정구조는 x-선 회절분석기(XRD)을 이용하였고, 측정조건 = 20°<2θ<70°, 스캔 스피드 = 5℃/sec, 스텝 사이즈 = 0.05, 타겟 = CuKα, 파워 = 40kV-40mA 이고, 분말의 형상 및 크기와 분포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사용하였다.
합성된 축광체분말이 실내 광원에 의한 여기를 방지하고자 발광 및 여기 스펙트럼과 장잔광을 측정하기 전 암시야에서 24시간 보관하였다. 또한 열에 의하여 여기되어 발광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온에서 측정을 실시하였고, 축광체 분말의 발광 및 여기 스펙트럼은 형광분광도계(Photoluminescence Spectrometer)를 사용하였다.
여기광원으로는 Xe램프를 사용하였고, 주사속도는 240㎚/min으로 발광 스펙트럼은 여기 파장이 365㎚일 때 400~600㎚의 범위에서 얻었고, 여기 스펙트럼은 발광 파장이 492㎚일 때 200~475㎚인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그리고, 장잔광의 측정은 휘도계를 이용하였고, 여기 광원으로는 색온도가 태양광과 가장 유사한 6500k로서 400lux의 조도를 나타내는 형광램프를 사용하여 5g의 시료를 20분간 광원(30)을 조사한 후 20초마다 측정한 휘도의 변화를 10분까지 고찰하였다.
도 13a와 도 13b는 합성된 축광체분말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3a에서 (b)Ag 0.00과 (c)SSS(solid state synthesis, 에탄올을 사용한 고상법으로 제조된 시료)의 관찰 결과, 제1피크는 2θ=31.4°, 제2피크 2θ=25.4°, 제3피크 2θ=27.82°로 JCPDS card [74-1810, Sr4Al14O25]와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Eu2 +(1.17Å)과 Dy3 +(1.07Å)이 Sr4Al14O25의 모체 Sr2 +(1.18Å)과 치환하였을 때 이온 반경의 차이가 거의 없어 X-선 회절 패턴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격자 상수의 변화가 없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B3+(0.27Å)는 Sr4Al14O25의 모체인 Al3 +(0.535Å)과 이온반경의 차이가 약 2배에 이른다.
만약 B3+이 Al3 +과 치환이 이루어 졌다면 주 피크가 이동하여 X-선 회절 패턴에 영향이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는 피크의 변동이 없어 B3+이 Sr4Al14O25의 모체나 Al3+에 침입형자리(interstitial site)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결 온도가 1500℃인 고온일 때는 비교적 저온영역에서 형성되는 중간상인 SrAl2O4, Sr2Al6O11, SrAl4O7이 형성되지 않아 단일상의 Sr4Al14O25만이 존재하게 된다.
도 13b는 Sr3 .67- xAl14025 Eu0 .11, Dy0 .22, Agx (x=0~0.06mol)의 X-선 회절분석 결과로써, Ag+ 이온의 몰비(molar ratio)와 관계없이 모두 JCPDS card의 74-1810와 피크가 일치한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Sr2 +(1.18Å)의 이온반경과 Ag+(1.15Å)의 이온반경이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치환이 발생하였더라도 격자상수의 변화가 없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하 보상효과(charge compensation effect)를 위하여 첨가한 1가의 양이온 중에서도 모체 격자와의 이온반경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격자상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원하는 결정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표 1은 Ag+를 첨가한 몰비에 따른 조성의 변화비율이다.
샘플 조성 비율 혼합 용매
Ag 0.00 Sr3 .67Al14025, Eu0 .11, Dy0 .22 증류수
Ag 0.01 Sr3 .66Al14025 Eu0 .11, Dy0 .22, Ag0 .01 증류수
Ag 0.02 Sr3 .65Al14025 Eu0 .11, Dy0 .22, Ag0 .02 증류수
Ag 0.03 Sr3 .64Al14025 Eu0 .11, Dy0 .22, Ag0 .03 증류수
Ag 0.04 Sr3 .63Al14025 Eu0 .11, Dy0 .22, Ag0 .04 증류수
Ag 0.05 Sr3 .62Al14025 Eu0 .11, Dy0 .22, Ag0 .05 증류수
Ag 0.06 Sr3 .61Al14025 Eu0 .11, Dy0 .22, Ag0 .06 증류수
MS 0.03 Sr3 .64Al14025 Eu0 .11, Dy0 .22, Ag0 .03 에탄올
SSS Sr3 .67Al14025 Eu0 .11, Dy0 .22 에탄올
그리고, 도 14의 (a) 내지 (g)는 본 발명에서 혼합된 분말을 1500℃에서 5시간 열처리한 Sr3 .67- xAl14025 Eu0 .11, Dy0 .22, Agx(x=0~0.06mol) 시료의 저배율(×1800)SEM 사진으로, 뭉침(agglomeration)에 의하여 생성된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20~30㎛이다.
즉, 도 14의 (a) 내지 (g) 모두는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한 것으로, 도 3의 (a)의 시료는 Sr3 .67Al14025, Eu0 .11, Dy0 . 22 이고, (b)의 시료는 Sr3 .66Al14025 Eu0 .11, Dy0.22, Ag0 . 01 이며, (c)의 시료는 Sr3 .65Al14025 Eu0 .11, Dy0 .22, Ag0 . 02 이고, (d)의 시료는 Sr3.64Al14025 Eu0 .11, Dy0 .22, Ag0 . 03 이며, (e)의 시료는 Sr3 .63Al14025 Eu0 .11, Dy0 .22, Ag0 . 04 이고, (f)의 시료는 Sr3 .62Al14025 Eu0 .11, Dy0 .22, Ag0 . 05 이며, (g)의 시료는 Sr3 .61Al14025 Eu0.11, Dy0 .22, Ag0 . 06 이다.
관찰 결과 Ag+ 이온이 입자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음을 볼 수 있고, 결정입자의 성장 및 조대화에는 융제로서 첨가된 B2O3가 모체 결정에 용해되어 입자들의 상호 미끄러짐이나 회전, 확산반응을 촉진한다.
그러나, 융제의 양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입자의 성장이 과도하게 이루어지거나 비 정질상이 생성되고 입자표면을 감싸게 되어 발광특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또한, 소결온도가 입자의 응집에도 영향을 주는데 1400℃이상의 온도에서는 입자간 결합과 성장이 일어나 덩어리 형태의 큰 클러스터(cluster)로 존재한다. 따라서, 입자의 성장에 필요한 최적의 열처리 온도와 융제의 몰비(molar ratio)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15a는 환원분위기(95% N2 + 5% H2) 1500℃에서 5시간 열처리한 Sr3 .67-xAl14025 Eu0 .11, Dy0 .22, Agx (x=0~0.06mol) 조성을 갖는 시료의 발광스펙트럼으로, 여기 광원으로는 Xe램프로부터 발생된 365㎚의 빛을 사용한 결과, Sr3 .67- xAl14025 Eu0 .11, Dy0.22, Agx (x=0~0.06mol) 형광체의 발광스펙트럼은 청록색 계열 490~495㎚를 최대 발광파장으로 하는 450~550㎚의 넓은 범위로 Ag+ 이온의 첨가 결과 발광강도가 증가하였다.
그 이유로서 형광체의 발광강도는 트랩깊이(trap depth)가 0.4~0.7eV 일 때에 높은 값을 나타낸다. Sr4Al14O25:Eu2 +, Dy3 + 형광체에 Ag+ 이온의 첨가 결과 트랩 깊이(trap depth)가 0.61eV를 갖게 되어 트랩 밀도(density)를 높여 발광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15b는 도 15a와 같은 조건에서 제조된 시료의 여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발광광원으로 492㎚를 조사하였을 때, 250~450㎚의 넓은 범위에서 흡수 현상이 있었다. 이는 자연광에서 포함된 파장 영역으로서 대기중의 광원에 의해서도 쉽게 여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a와 도 15b를 통해 Ag+ 이온이 0.03mol 일 때에 최적의 발광 및 여기 강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는 색온도가 6500K이고, 조도가 400lux인 형광램프로 20분간 빛을 조사한 후 휘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로써, 관찰결과 Ag+는 전하 보상 이온으로 작용하여 장잔광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출발원료의 혼합시 용매가 에탄올일 때보다 증류수인 경우가 더 높은 휘도를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2는 광원조사 후 10분 후 시료의 휘도를 측정한 값이다.
Ag 0.03 Ag 0.04 Ag 0.01 Ag 0.00 Ag 0.06 Ag 0.02 Ag 0.05 MS 0.03 SSS
휘도(Brightness)(cd/㎡)) 0.186 0.180 0.176 0.172 0.161 0.154 0.139 0.102 0.062
앞서 기재된 표 1을 참조하여 각각의 시료의 조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시료 Ag 0.03과 MS 0.03, 그리고 Ag 0.00과 SSS이 동일한 조성이지만, 용매로서 증류수가 사용되면 출발원료가 혼합시에 액상의 상태로 변화하게 되어 에탄올을 사용한 시료의 혼합보다 더 균일하게 되어 장잔광이 증가했다.
또한, MS 0.03과 SSS를 비교하염 Ag+ 이온 0.03mol의 첨가로 인해 장잔광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용매가 증류수이고 Ag+ 이온의 첨가량이 0.03mol인 시료 Ag 0.03는 용매가 에탄올이고, Ag+ 이온이 첨가되지 않은 시료 SSS보다 여기 광원의 제거 후 10분이 지난 후의 휘도를 측정한 결과 약 3배 더 높은 값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축광체분말을 에폭시수지와 혼합하여 야간 광고장치의 광고표시부(20)로 사용되는 발광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발광시트의 발광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기 에폭시수지와 수지경화제의 함량비율은 2.0:1.0의 중량비로 고정하고, 축광성 형광체 분말의 함량비를 25%(1.0)에서 50%(3.0)의 범위로 설정하고 발광 휘도를 측정하여 최적비율을 알아낸 후에 이것을 바탕으로 발광시트를 제조하였다.
도 17은 암시야에서 발광시트의 휘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발광시트는 여러 가지 특성 중에 특히 휘도(Brightness, Luminance)가 중요한 데 조도가 단위면적당 얼마만큼의 빛이 도달하는가를 표시하는 단위라면, 휘도는 그 결과 어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얼마만큼 밝게 보이는가를 말하며, 이러한 특성은 야간에 물체 식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단위로는 cd/m2를 사용한다.
휘도를 측정하기 전에 발광시트가 주변 빛에 의하여 여기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24시간 동안 암시야 상태에서 유지하고 열에너지에 의한 여기를 방지하고자 상온 25℃에서 보관하였다. 휘도 측정은 파장이 350nm인 여기광원 Hg램프를 약 10분간 조사하여 충분히 여기 시킨 후 광원을 제거시킨 다음, 약 3분이 경과되고 나서 휘도계(LS-100)를 사용하여 휘도를 측정하였다.
도 18은 제조된 발광시트의 축광성 형광체 함량비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축광체 분말의 양이 40%까지는 발광휘도가 거의 축광체 분말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그 이상이 되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발광시트 제작시 최적의 축광체 분말 혼합비는 에폭시수지와 수지경화제 함량에 대해 약 40중량%임을 알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축광체분말의 함량비에 따른 휘도값을 나타낸 것으로, 개발 목표치인 발광휘도 100 mcd/m2를 전 영역에서 상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축광체 함량 25%(1.0) 33.3%(1.5) 40%(2.0) 45.5%(2.5) 50%(3.0)
휘도(cd/m2) 2.045 2.412 2.637 2.362 2.301
도 19는 발광시트를 400lux의 형광램프로 1시간 조사한 후 10분 간격으로 총 48회(8시간)의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의 표 4는 광원 차단 후 시간 변화에 따른 휘도로 초기에는 15.77 cd/m2 이었다. 휘도가 30분까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 이후 장잔광의 유무를 확인하는 0.32cd/m2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은 300분으로 초기 개발 목표인 180분 (3시간)을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2043465111-pat00001
도 20은 제조된 발광시트가 광원에 의하여 충분히 여기된 후 어두운 환경에서 (a)상층부와 (b)측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발광시트의 크기는 400(가로)×100(세로)×10(두께)mm, 170(가로)×140(세로)×10(두께)mm로 제작되었다.
위에서 제시된 발광시트가 광고표시부(20)로서 활용되도록 광고장치를 제작하였으며, 도 21 및 아래의 표 5와 같이 완성된 광고장치를 암시야 상태에서 실제 구동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광원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암시야 상태의 휘도 0.002 cd/㎡인 상태에서 광고장치의 전원을 연결하여 LED 광원을 30분간 조사하고 광고표시부(20)의 충광체분말이 충분히 여기 될 수 있게 한다. 그 후 소등을 시켜 시간대(1분 ~ 30분까지) 별로 밝기를 1m 거리 시야에서의 사진과 휘도계(LS-100)를 통해 휘도값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43465111-pat00002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몰드 15 : 도안부
16 : 격벽 17 : 전방 공간
18 : 후방 공간 20 : 광고표시부
30 : 광원 40 : 전원공급장치
50 : 타이머장치 CR : 제어부

Claims (25)

  1. 도안부(15)가 음각 형성된 몰드(10)와;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마련되며, 축광체분말이 액상의 수지제 및 수지경화제와 함유되어 경화 성형된 광고표시부(20) 및;
    상기 광고표시부(2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축광체분말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광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광체분말과, 액상 수지제와, 수지경화제는 0.5~4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에서 도안부(15)가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에서 도안부(15)가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의 내면에는 광원(30)의 반사효율을 높이도록 백색의 도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격벽(16)이 마련되어, 상기 도안부(15)의 전방과 후방에 공간(17)(18)이 각각 조성되며, 상기 도안부(15)의 전방 공간(17)에 광고표시부(20)가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20)의 배면에 광원(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부(15)의 후방 공간(18)에 광원(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상기 광원(30)을 원하는 시간 및 시간간격에 맞추어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C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10.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반된 혼합물은 70~90℃의 건조로에서 20~4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켜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며;
    상기 열풍 건조된 혼합물은 상온의 온도까지 자연 냉각시키고;
    상기 도안부(15)에 슬러리를 부은 후, 상온에서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1. 판형의 몰드(10)에 도안부(15)를 커팅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10)의 전면에 지지판(12)을 임시로 덧대어 도안부(15)의 전면을 커버하는 단계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10)의 전면에 임시로 덧댄 지지판(12)을 제거하고, 상기 광고표시부(20)의 배면에 광원(3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2. 몰드(10)에 도안의 형상에 맞추어 도안부(15)를 음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안부(15)의 내부에 광원(30)을 설치하는 단계와;
    액상의 수지제와 축광체분말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혼합물에 수지경화제를 넣어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몰드(10)에 형성된 도안부(15)에 상기 슬러리를 부은 후 상기 슬러리를 경화시켜 광고표시부(2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과, 액상 수지제와, 수지경화제는 0.5~4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은,
    황록색 발광을 나타내는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SrO-Al2O3)계 분말로,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부활제, 공부활제를 0.97 : 2.0 : 0.005 : 0.01의 몰비(molar ratio)로 혼합하고, 융제를 첨가한 후 반응연료를 사용하여 가열 및 열처리하여 연소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은,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융제와, 반응연료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1용액 용해단계와;
    부활제와, 공부활제를 산성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2용액 용해단계와;
    제1용액과, 제2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용액을 노 내에서 가열 및 연소반응시켜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 조성의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말을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산화알루미늄(SrO-Al2O3)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융제는 산화붕소(B2O3)가 사용되고, 반응연료는 유레아(NH2CONH2)가 사용되며, 부활제는 산화유로피움(Eu2O3)이 사용되고, 공부활제는 산화디프로시움(Dy2O3)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연료는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에 대하여 1:0.5~3.0의 몰비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융제는 스트론튬염과, 알루미늄염과, 부활제와, 공부활제가 혼합된 원료에 대하여 1:0.1~0.8의 몰비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합성된 분말을 수소 환원 분위기에서 1100~1500℃의 온도로 2~6시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은,
    청녹색 계열의 발광을 나타내는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 .67- xAl14025 Eu0 .11, Dy0.22, Agx)계 축광체분말로,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산화붕소(B2O3),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을 혼합하여 가열 열처리함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은,
    스트론튬염(Sr(NO3)2)과, 알루미늄염(Al(NO3)2·9H2O)과, 산화붕소(B2O3)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1용액 용해단계와;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을 산성수와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제2용액 용해단계와;
    제1용액과, 제2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용액을 건조로 내에서 가열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 조성의 건조된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와;
    건조된 분말을 분쇄한 후 환원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여 스트론튬-알루미네이트(Sr3.67-xAl14025 Eu0.11, Dy0.22, Agx)계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Agx에서 x는 0.01~0.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4.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론튬염(Sr(NO3)2), 알루미늄염(Al(NO3)9H2O), 산화붕소(B2O3), 산화유로피움(Eu2O3), 산화디프로시움(Dy2O3), 질산은(AgNO3)은 각각 3.67~3.61 : 14 : 0.5 : 0.11 : 0.22 : 0.01~0.06의 몰비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건조 생성된 분말을 환원 분위기에서 1300~1500℃의 온도로 5시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057745A 2012-05-30 2012-05-30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KR10131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45A KR101311638B1 (ko) 2012-05-30 2012-05-30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45A KR101311638B1 (ko) 2012-05-30 2012-05-30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638B1 true KR101311638B1 (ko) 2013-09-25

Family

ID=4945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45A KR101311638B1 (ko) 2012-05-30 2012-05-30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50B1 (ko) * 2013-10-31 2015-05-08 김규현 축광식 유도 표시구의 제조방법
KR20230032614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986A (ko) * 2003-03-05 2004-09-14 신동진 축광과 반사기능을 겸비한 안내표시구의 제작방법
KR20110137683A (ko) * 2010-06-17 2011-12-23 (주)나노스톤 축광석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축광석재
KR20120002872A (ko) *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미로 발광블럭
KR20120048906A (ko) * 2010-11-08 2012-05-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소반응법을 이용한 축광체분말 제조방법 및 그 축광체분말과, 상기 축광체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광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986A (ko) * 2003-03-05 2004-09-14 신동진 축광과 반사기능을 겸비한 안내표시구의 제작방법
KR20110137683A (ko) * 2010-06-17 2011-12-23 (주)나노스톤 축광석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축광석재
KR20120002872A (ko) *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미로 발광블럭
KR20120048906A (ko) * 2010-11-08 2012-05-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소반응법을 이용한 축광체분말 제조방법 및 그 축광체분말과, 상기 축광체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광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50B1 (ko) * 2013-10-31 2015-05-08 김규현 축광식 유도 표시구의 제조방법
KR20230032614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KR102548603B1 (ko) * 2021-08-31 2023-07-05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287B2 (en) Fluorescent lighting creating white light
CN111574062B (zh) 一种氮化物红光玻璃及其应用
He et al. Sm3+-activated gadolinium molybdate: an intense red-emitting phosphor for solid-state lighting based on InGaN LEDs
Das et al. Near white light emission from K+ ion compensated CaSO4: Dy3+, Eu3+ phosphors
DE10200701622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uchtstoffen basierend auf Orthosilikaten für pcLEDs
He et al. Doping manganese into CsPb (Cl/Br) 3 quantum dots glasses: Dual‐color emission and super thermal stability
Park et al. Solvothermal synthesis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Tb3+-doped gadolinium aluminum garnet
Reddy A review of the efficiency of white light (or other) emissions in singly and Co-doped Dy3+ Ions in different host (Phosphate, Silicate, Aluminate) Materials
CN103160278A (zh) 一种红色长余辉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Yu et al. Synthesis of Eu2+/Eu3+ Co-Doped Gallium oxide nanocrystals as a full colour converter for white light emitting diodes
KR101873221B1 (ko) 형광체 및 발광장치
Zhang et al. Enhanced luminescent properties of Sm3+ doped glass ceramics–as potential red–orange phosphor for white light-emitting diodes
Wang et al. Composition optimization of multifunctional CsPb (Br/I) 3 perovskite nanocrystals glasses with high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Wei et al. A novel orange–red emitting phosphor Sr 2 LuTaO 6: Sm 3+ for WLEDs
Singh et al. Structural and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M 3 Al 5 O 12: Eu 3+(M= Y, Gd and La) nanophosphor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Han et al. Synthesis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Sr 3 GdNa (PO 4) 3 F: Sm 3+ phosphor
Khattab et al. Preparation of strontium aluminate: Eu2+ and Dy3+ persistent luminescent materials based on recycling alum sludge
KR101311638B1 (ko) 축광체를 이용한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제조방법
CN100403563C (zh) 白光发光二极管元件及相关荧光粉与制备方法
Kim et al. The luminescence properties of M2MgSi2O7: Eu2+ (M= Sr, Ba) nano phosphor i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s
Yildirim et al. Boosting optical performance of polymer embedded phosphors using iodine-free and iodine-decorated sol-gel synthesized α-Fe2O3
Liu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blue emitting Na 2 CaSiO 4: Ce 3+ phosphor
Naktode et al. Effective red-orange emitting CaMgPO4Cl: Sm3+ halophosphate phosphor
Dhoble et al. Combustion synthesis of Dy3+, Eu3+ activated Na2X (PO4) F (X= Mg, Ca, Sr) phosphors for lamp industry
Rafiaei Synthesis of Ba 2 CaZn 2 Si 6 O 17: Eu 2+ Phosphors: Synthesis, Microstructure and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