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06B1 -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06B1
KR101311106B1 KR1020107028390A KR20107028390A KR101311106B1 KR 101311106 B1 KR101311106 B1 KR 101311106B1 KR 1020107028390 A KR1020107028390 A KR 1020107028390A KR 20107028390 A KR20107028390 A KR 20107028390A KR 101311106 B1 KR101311106 B1 KR 10131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ress relief
housing
relief element
flexibl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262A (ko
Inventor
숀 필립 토베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43,291 external-priority patent/US7621772B1/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2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5Grip increasing with strai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의 와이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응력 완화 소자를 포함한다. 응력 완화 소자는, 개구부를 내부에 갖는 단부 벽과, 개구부 근처의 단부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연 빔을 포함한다. 유연 빔은 개구부 내에 배열된 자유 단부와 고정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유연 빔은 고정 단부에 대하여 굽혀져 케이블 상에 법선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원격 통신 산업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 것과 같은 다양한 전자 시스템들은 차동 쌍으로 배열된 전기 와이어들을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차동 쌍의 하나의 와이어는 양의 신호를 반송하고 나머지 하나의 와이어는 절대 크기는 동일하지만 극성이 반대인 음의 신호를 반송한다.
RJ-45 전기 커넥터는 차동 쌍들의 전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커넥터의 일례이다. 그 전기 커넥터는 개별적인 와이어들을 갖는 케이블의 단부에 종단되는 플러그 또는 아웃렛 잭(outlet jack)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 내에 종단된 와이어들 상의 응력을 완화하는 케이블 응력 완화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응력 완화부는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의 계면에서 오버몰딩된 부분이다. 오버몰딩된 응력 완화부를 제공하는 추가 단계는 시간과 재료 둘 관점에서 전체 커넥터에 비용을 더할 수 있다.
추가 비용 및 응력 완화부를 오버몰딩하는 복잡도를 피하고자, 알려져 있는 적어도 일부의 커넥터 조립체들은 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단부 벽을 포함한다. 개구부는 케이블의 굽힘에 저항하는 굽힘 한계 기능부로서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응력 완화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효과적으로 되려면, 개구부의 크기를 케이블의 직경에 가깝게 일치시켜 적절한 굽힘 한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다른 많은 컴포넌트들을 제공하여 케이블 크기들의 범위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응력 완화를 비용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직경이 서로 다른 케이블들을 수용할 수 있고, 케이블을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케이블 상의 법선력을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의 와이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응력 완화 소자를 포함한다. 응력 완화 소자는 개구부를 내부에 갖는 단부 벽과, 개구부 근처의 단부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연 빔(flexible beam)을 포함한다. 유연 빔은 개구부 내에 배열된 자유 단부와 고정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유연 빔은 고정 단부에 대하여 굽혀져 케이블 상에 법선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응력 완화를 비용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직경이 서로 다른 케이블들을 수용할 수 있고, 케이블을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케이블 상의 법선력을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응력 완화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유연 빔을 도시하는 응력 완화 소자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편향 상태와 비편향 상태의 유연 빔을 도시하는 응력 완화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전기 커넥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조립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전기 커넥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케이블이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응력 완화 조립체에 부착된, 도 8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케이블이 케이블 응력 완화 조립체에 부착된, 도 8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조립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응력 완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케이블이 응력 완화 조립체에 의해 유지되는, 도 9에 도시한 응력 완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다른 응력 완화 조립체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100)는 RJ-45 잭 또는 리셉터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요지는 다른 유형의 전기 커넥터를 이용해도 된다. RJ-45 잭은 예시일 뿐이다. 전기 커넥터(100)는 케이블(101)의 단부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101)은 트위스트형 와이어 쌍(twisted wire pair) 구성과 같은 차동 쌍에 배열된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100)는 정면 또는 정합 단부(102) 및 와이어 종단 단부(104)를 갖는다. 정합 캐비티(106)는 정합 단부(102)에 제공되며 정합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정합 단부 개구부(108)도 정합 캐비티(10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정합 단부(102)에 제공된다. 잭 콘택트들(110)은 정합 커넥터의 정합 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과의 정합 맞물림을 위해 어레이의 정합 캐비티(106) 내에 배열된다. 도 1의 예에서, 정합 캐비티(106)는 정합 단부 개구부(108)를 통해 삽입되는 RJ-45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한다. RJ-45 플러그는 잭 콘택트들(110)의 어레이와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정합 콘택트들을 갖는다.
도 2는,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strain relief element; 120)를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100)의 분해도이다. 전기 커넥터(100)는 잭 하우징(122), 콘택트 부조립체(124) 및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를 포함한다. 콘택트 부조립체(124)는 잭 하우징(122) 내에 로딩되고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는 잭 하우징(122)에 연결된다.
잭 하우징(122)은, 일반적으로 박스 형상이지만, 특정 응용에 따라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잭 하우징(122)은 전단부(102)와 후단부(128) 사이에서 연장된다. 정합 캐비티(106)는 전단부(102)와 후단부(128)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잭 하우징(122)은 플라스틱 물질 등의 유전 물질로 제조된다. 다른 방안으로, 잭 하우징(122)은, 예를 들어, 금속 물질이나 금속화된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또는 차폐 소자를 가짐으로써 차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잭 하우징(122)은 벽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래치들(130, 132)을 포함한다. 잭 하우징(122)은 잭 하우징(122)의 측벽들에 슬롯들(134)도 포함한다.
콘택트 부조립체(124)는 회로 보드와 같은 기판(136) 및 기판(136)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트레이(138)를 포함한다. 잭 콘택트들(110)은 기판(136)에 장착되며 트레이(138)에 의해 지지된다. 선택 사항으로, 잭 콘택트들(110)은 기판(136)에 스루홀 장착되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잭 콘택트들(110)은, 기판(136)에 솔더링될 수 있고 또는 케이블들의 와이어들이나 기타 콘택트들과 직접 정합하도록 기판(1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콘택트 부조립체(124)는 잭 콘택트들(110)이 정합 캐비티(106)에 제시되도록 잭 하우징(122)에 수용된다.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는 복수의 와이어 종단 콘택트(142)를 각 콘택트 타워(144)에서 유지하는 와이어 종단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콘택트 타워들(144)은 하우징(14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01)의 와이어들을 수용하는 슬롯들(146)을 포함한다. 콘택트들(142)은 절연 변위 콘택트들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케이블(101)의 개별적인 와이어들에 종단하도록 임의의 유형의 콘택트들을 제공해도 된다. 콘택트들(142)은 전기 커넥터(100)가 조립될 때 콘택트 부조립체(124)의 기판(136)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콘택트들(142)은, 하우징(140)의 정합 단부(148)로부터 돌출되며 기판(136)의 스루홀들에 수용되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기판(136)을 따라 배치된 트레이스들은 콘택트들(142)을 잭 콘택트들(110)과 접속시킬 수 있다. 콘택트들(142)은 기판(136)의 스루홀들에 프레스 끼워맞춤되거나 솔더링될 수 있다. 조립되면,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는 잭 하우징(122)의 후단부(128)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40)은,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를 잭 하우징(122)에 고정하도록 잭 하우징(122)의 슬롯들(134)에 수용되는, 하우징(140)의 측부들 상의 탭들(150)을 포함한다.
응력 완화 소자(120)는 하우징(140)에 연결되고,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01) 및/또는 케이블(101)의 연관된 와이어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응력 완화 소자(120)는 전기 커넥터(100)의 와이어 종단 단부(104)를 정의하는 단부 벽(152)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100)가 조립되면, 응력 완화 소자(120)는 와이어 종단부(104)의 단부 캡을 정의한다. 또한, 응력 완화 소자(120)는 케이블(1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154)를 포함한다. 개구부(154)는 단부 벽(152)을 통해 횡단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응력 완화 소자(120)는 단부 벽(15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 156)를 포함한다. 보스(156)는 관통 연장되는 채널(158)을 정의한다. 복수의 유연 빔(flexible beams; 160) 및 복수의 립(ribs; 162)은 보스(156)로부터 채널(158)을 따라 그 채널 내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는 네 개의 유연 빔(160) 및 유연 빔들(160) 중 인접하는 유연 빔들 사이에 배치된 네 개의 립(162)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의 빔(160) 및/또는 하나의 립(162)을 비롯하여 임의의 개수의 유연 빔들(150)과 립들(162)을 구비해도 된다. 선택 사항으로, 응력 완화 소자(120)는 어떠한 빔들(160)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채널(158)은 단부 벽(152)과 대략 정렬된 근단부(166)와 원단부(164) 사이에서 연장된다. 원단부(164)는 근단부(166) 및/또는 단부 벽(152)으로부터 떨어져 제공된다. 개구부(154)는 보스(156)의 원단부(164)에서 정의된다. 유연 빔들(160)과 립들(162)은 근단부(166)와 원단부(164)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유연 빔들(160)과 립들(162)은 원단부(164)로부터 근단부(166)로 연장된다. 유연 빔들(160)과 립들(162)은 응력 완화 소자(120) 내의 케이블(101)과 맞물리도록 그리고/또는 그 케이블을 유지하도록 협동한다. 유연 빔들(160)과 립들(162)은 케이블(101)의 굽힘이나 기타 움직임으로 인한 와이어들 상의 응력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응력 완화 소자(120)의 내측의 사시도이다. 응력 완화 소자(120)는 단부 벽(152), 상부 벽(170) 및 하부 벽(172)을 포함한다. 탭들(174)은 (도 2에 도시한) 하우징(140)에 장착되도록 상부벽(170)과 하부벽(172) 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내벽(176)은 응력 완화 소자(120)의 내측 상에 제공된다. 선택 사항으로, 내벽들(176)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콘택트 타워들(144) 사이의 끼움에 의해 그리고/또는 콘택트 타워들 둘레에 (도 2에 도시한)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의 하우징(140)을 보완하도록 크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치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내벽들(176)은 응력 완화 소자(120)를 하우징(140)과 조립하는 동안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01)의 와이어들을 조직 및/또는 배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들은 응력 완화 소자(120)를 하우징(140)과 조립하는 동안 콘택트들(142)과의 정합을 위해 적절히 배치되도록 내벽들(176)을 통해 그리고/또는 내벽들 둘레에 끼워질 수 있다.
립들(162)은 도 3에서 보스(156)를 따라 채널(158)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립들(162)은 보스(156)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레일들(rails; 178)은 립들(162) 사이에 제공된다. 레일들(178)은 보스(156)의 방사상 내면 및 채널(158)의 방사상 외면을 정의한다. 레일들(178)은 보스(156)에 의해 정의된다. 레일들(178)은 원단부(164)로부터 근단부(166)로 연장되고, 유연 빔들(160)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유연 빔들(160)은 레일들(178)과 정렬되고, 이 레일들에 대하여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복수의 유연 빔(160)을 도시하는 응력 완화 소자(120)의 단면도이다. 유연 빔들(160)은 고정 단부(180)와 자유 단부(182)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유연 빔들(160)은 고정 단부들(180)에서 보스(156)에 부착되는 외팔보형 빔들을 정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연 빔들(160)은 개구부(154) 근처에 고정되고, 자유 단부들(182)은 단부 벽(152)과 대략 정렬된다. 자유 단부들(182)은 일반적으로 유연 빔들(160)과 레일들(178) 사이에 굴곡 공간(184)이 정의되도록 대응하는 레일들(178) 위로 상승된다.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01)이 개구부(154)를 통해 로딩되면, 유연 빔들(160)은 외측으로 굴곡되어 케이블(101)과 맞물려 케이블(101)을 유연 빔들(160) 사이에 유지한다. 유연 빔들(160)이 굴곡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케이블(101) 상에 법선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보유 기능부들(186)은 유연 빔들(160)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보유 기능부들(186)은 케이블(101)이 응력 완화 소자(120) 내에 로딩될 때 케이블(101)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유 기능부들(186)은 일반적으로 유연 빔들(160)을 따라 중심에 배치되지만, 그 위치는 유연 빔(160)을 따른 임의의 위치로 전략적으로 선택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유 기능부(186)의 위치는, 케이블(101) 상의 법선력의 양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유연 빔(160)의 편향률 또는 편향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유 기능부(186)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유연 빔(160)의 편향률 또는 편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유연 빔들(160)은 보스(156) 및/또는 응력 완화 소자(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완화 소자(120)는 몰딩된 플라스틱 물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응력 완화 소자(120)는 차폐를 제공하도록 도전성 물질로 코팅 또는 도금될 수 있고 또는 그 외에는 제조될 수 있고, 유연 빔들(160)은 케이블(101)의 케이블 브레이드(cable braid) 또는 차폐부와 맞물려 케이블(101)과 응력 완화 소자(120) 사이에 접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짝수 개의 유연 빔들(160)이 제공되고, 이 유연 빔들(160)은 채널(158)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각 유연 빔(160)은 자신과 정 반대편의 상보적 유연 빔(100)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연 빔들은 빔 세트(예를 들어, 도 4의 단면도에 도시한 유연 빔들(160))를 함께 정의한다. 빔 세트의 유연 빔들(160)은 케이블(101) 상에 반대되는 법선력을 제공한다. 빔 세트의 유연 빔들(160)은 고정 단부들(180) 사이의 고정 단부 거리(188)만큼 서로 분리된다. 빔 세트의 유연 빔들(160)은 자유 단부들(182) 사이의 자유 단부 거리(190)만큼 서로 분리된다. 거리들(188, 190)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서로 달라도 된다. 고정 단부 거리(188)는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101)의 로딩이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다. 자유 단부 거리(190)는 유연 빔들(160)을 외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케이블(101)이 채널(158) 내에 로딩될 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비편향 상태(예를 들어, 도 5의 좌측)와 편향 상태(예를 들어, 도 5의 우측)의 유연 빔(160)을 도시하는, 응력 완화 소자(120)의 부분 단면도이다. 유연 빔(160)은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01)이 응력 완화 소자(120) 내에 로딩되면 편향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케이블(101)이 유연 빔(160) 및/또는 보유 기능부(186)와 맞물리면, 유연 빔(160)의 자유 단부(182)는 일반적으로 레일(178)을 향하여 가압된다. 케이블(101)의 직경은 유연 빔(160)이 얼마나 편향하는지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이다. 유연 빔(160)이 편향되면, 유연 빔(160)은 굴곡 공간(184)을 채우기 시작한다. 유연 빔(160)이 편향되면, 유연 빔(160)은 일반적으로 유연 빔(16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케이블(101) 상에 법선력을 가한다.
편향 상태에서, 유연 빔(160)은 굴곡 한계를 정의하는 레일(178)과 맞물릴 수 있지만, 편향량은 케이블(101)의 크기에 따라 레일(178)과 맞물리는 데 필요한 양 미만일 수 있다. 유연 빔(160)이 레일(178)과 맞물리면, 유연 빔(160)은 외팔보형 빔과는 대조적으로 단순 지지 빔을 정의한다. 단순 지지 빔으로서, 유연 빔(160)은 외팔보형 빔과는 다르게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01) 상에 가해지는 법선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기능부(186)에서의 소정량의 편향에 대하여, 외팔보형 빔인 유연 빔(160)에 의해 케이블(101) 상에 가해지는 법선력은 단순 지지 빔인 유연 빔(160)에 의해 케이블(101) 상에 가해지는 법선력 미만이다. 유연 빔(160)이 레일(178)과 맞물린 후, 유연 빔(160)을 추가 편향시키면 일반적으로 보유 기능부(186) 근처의 유연 빔(160)의 중심에서 유연 빔(160)이 편향된다.
도 6은 다른 전기 커넥터(200)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200)는 일부 관점에서 전기 커넥터(100)와 유사하며, 유사한 컴포넌트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식별한다. 전기 커넥터(200)는 잭 하우징(122)에 연결된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202)를 포함한다.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202)는 복수의 콘택트(206)를 유지하는 하우징(204)을 포함한다. 하우징(204)은 와이어 종단 단부(21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챔버(210)를 정의하는 복수의 벽(208)을 포함한다. 벽들(208)은 벽들(208)을 따라 연장되는 목수의 레일(214)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레일(214)을 제공하고 있다. 선택 사항으로, 레일들(214)은 곡선형이어도 된다.
또한,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202)는 응력 완화 소자(216)를 포함한다. 응력 완화 소자(216)는 단부 벽(218) 및 이러한 단부 벽으로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2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연 빔(222)은 개구부(220)에서 단부 벽(218)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유연 빔들(222)은 고정 단부들(224)과 자유 단부들(226)을 포함한다. 유연 빔들(222)은 케이블이 개구부(220)를 통해 삽입될 때 고정 단부들(224)에 대하여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연 빔들(222)은 케이블이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면 케이블 상에 법선력을 가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응력 완화 소자(216)가 하우징(204)에 연결되면, 유연 빔들(222)은 레일들(214)과 대략 정렬된다. 유연 빔들(222)은, 자유 단부들(226)이 레일들(214)과 맞물릴 때까지 편향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유연 빔들(222)의 중심부를 외측으로 편향시킴으로써, 자유 단부들(226)이 레일들(214)과 맞물린 후에도 더 편향될 수 있다.
도 7은 조립된 전기 커넥터(2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204)에 연결된 응력 완화 소자(216)를 도시한다. 유연 빔들(222)은 레일들(214)과 정렬된다. 동작시, 케이블이 개구부(220) 내에 삽입되면, 유연 빔들(222)은 유연 빔들(222)의 자유 단부들(226)에 대한 굴곡 한계를 정의하는 레일들(214)을 향하여 외측으로 편향된다. 조립 동안, 케이블은 응력 완화 소자(216)가 하우징(204)에 연결되기 전에 응력 완화 소자(216) 내에 삽입된다.
도 8은 또 다를 전기 커넥터(300)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300)는 일부 관점에서 (도 2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100)와 유사하다. 전기 커넥터(300)는 잭 하우징(3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응력 완화 조립체(320)를 포함한다. 콘택트 부조립체(324) 및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326)는 잭 하우징(322) 내에 배열된다. 잭 하우징(322), 콘택트 부조립체(324) 및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326)는 (도 2에 도시한) 잭 하우징(122), 콘택트 부조립체(124) 및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126)와 유사할 수 있다.
잭 하우징(322)은 전단부(328)와 후단부(330) 사이에서 연장된다. 콘택트 부조립체(324)는 전단부(328)와 후단부(330) 사이의 잭 하우징(322) 내에 배치되고, 전단부(328)와 후단부(330)에 대략 평행한 기판(332)을 포함한다. 잭 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은 기판(332)에 장착된다.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326)는 기판(33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종단 콘택트(338)를 포함한다. 콘택트들(338)은 절연 변위 콘택트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케이블(342)의 개별적인 와이어들(340)에 종단하도록 임의의 유형의 콘택트들을 제공해도 된다. 콘택트들(338)은 전기 커넥터(300)가 조립될 때 콘택트 부조립체(324)의 기판(332)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기판(332)은 콘택트들(338)을 잭 콘택트들과 접속시킬 수 있다.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백 하우징(344) 및 백 하우징(344)에 연결된 응력 완화 소자(346)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0)를 조립하면,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잭 하우징(322)의 후단부(330)에서 단부 캡을 정의한다.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케이블(342) 및/또는 케이블(342)의 연관된 와이어들(34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백 하우징(344)은 전단부(348)와 후단부(350)를 갖는 유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 보어(352)는 보어 축(354)을 따라 전단부(348)와 후단부(35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블 보어(352)는 보어 축(354)을 따른 로딩 방향으로 케이블(34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보어(352)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안으로, 다른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백 하우징(344)은 케이블 보어(352)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케이블 보어의 일부를 둘러싸는 외측 포켓들(356)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외측 포켓들(356)은 케이블 보어(352)의 위와 아래 모두에 배치된다. 외측 포켓들(356)은 다른 곳에 배치되어 된다. 외측 포켓들(356)은 케이블 보어(352)를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안으로, 예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 보어(352)의 선택된 부분들만을 둘러싸도 된다. 선택 사항으로, 케이블 보어(352) 둘레에 임의의 원주 방향 거리로 연장되는 하나의 외측 포켓(356)만을 제공할 수 있다. 외측 포켓들(356)은 응력 완화 소자(34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응력 완화 소자(34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선택 사항으로, 외측 포켓(356)은, 백 하우징(344)의 어떠한 부분도 외측 포켓들(356)의 외측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외측 포켓들(356)의 방사상 외측부를 따라 개방형이어도 된다. 외측 포켓들(356)은 백 하우징(344) 및/또는 잭 하우징(322)의 외주(outer perimeter) 밖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응력 완화 소자(346)는 전기 커넥터(300)의 후단부(330)를 정의하는 단부 벽(358)을 포함한다. 또한, 응력 완화 소자(346)는 케이블(34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360)를 포함한다. 개구부(360)는 단부 벽(358)을 통해 연장되며, 보어 축(354)을 따라 케이블 보어(352)와 정렬된다. 복수의 유연 빔(362) 및 복수의 장착 탭(364)은 단부 벽(358)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장착 탭들(364)은 백 하우징(344)과 맞물려 응력 완화 소자(346)를 백 하우징(344)에 고정하는 래치들(366)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백 하우징(344)은, 래치들(366)과 맞물리고 상호 작용하여 컴포넌트들을 함께 고정하는 래치들(368)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들(366, 368) 중 하나는 윈도우를 정의할 수 있고, 래치들(366, 368) 중 나머지 하나는 그 윈도우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정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장착 탭들(364)은 외측 포켓들(356) 내에 수용된다. 유연 빔들(362)은 케이블 보어(352) 내에 수용된다. 장착 탭들(364)은 유연 빔들(362)로부터 분리되며 이러한 유연 빔들과 구별된다. 함께 단부 벽(358)의 서로 다른 부분들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탭들(364)은, 동일한 구조의 일부에 접속되거나 서로 직접 접속되는 것과는 달리, 단부 벽(358)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도 8은 네 개의 유연 빔(362) 및 단부 벽(358)의 상부와 하부 근처에 있는 단부 벽(358)으로부터 유연 빔들(362)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네 개의 장착 탭(364)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단일 빔(362) 및/또는 단일 장착 탭(364)을 비롯하여, 임의의 개수의 유연 빔들(362) 및/또는 장착 탭들(364)을 구비할 수 있다.
응력 완화 소자(346)와 백 하우징(344)은 두 개가 아니라 일체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응력 완화 소자(346)와 백 하우징(344)의 특징들은 예를 들어 몰딩 동작 동안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케이블 보어(352) 내로 연장되는 유연 빔들(36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유연 빔들(362)은 백 하우징(344)의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선택 사항으로, 응력 완화 소자(346)의 일부 및/또는 백 하우징(344)의 일부는 금속 물질 또는 금속화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형 커넥터의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응력 완화 소자는 차폐형 케이블이 응력 완화 소자(346) 내에 로딩될 때 케이블의 금속 브레이드 또는 차폐부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의 차폐를 제공하거나 그 차폐형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케이블과 전기 커넥터(300) 간에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여 차폐형 시스템의 접지 경로를 완성할 수 있다.
도 9는, 케이블(342)이 전기 커넥터(300)의 응력 완화 조립체(320)에 부착된, 전기 커넥터(300)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케이블(342)은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되고, 와이어들(340)은 케이블(342)로부터 백 하우징(344)의 전단부(348)로 연장된다. 백 하우징(344)의 전단부(348)는 와이어 오거나이저(wire organizer; 370)를 포함한다.
와이어 오거나이저(370)는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326)와의 조립을 위해 개별적인 와이어들(340)을 끼워 (도 8에 도시한) 와이어들(340)을 위치 지정하고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와이어 오거나이저(370)는 개별적인 와이어들(340)을 수용하는 복수의 슬롯(372)을 포함한다. 슬롯들은 와이어들(340)을 유지하는 클립들(374)을 갖는다. 슬롯들(372)은 와이어 종단 부조립체(326)의 (도 8에 도시한) 콘택트들(338)의 일부들을 수용하는 콘택트 채널들(376)을 갖는다. 조립 동안, 응력 완화 조립체(320)는 잭 하우징(322)에 연결된다. 응력 완화 조립체(320)가 잭 하우징(322) 내에 로딩되면, 콘택트들(338)은 콘택트 채널들(376)에 수용되고 대응하는 와이어들(340)과 맞물려, 와이어들(340)과 전기적으로 접하게 된다.
도 10은, 케이블(342)이 전기 커넥터(300)의 응력 완화 조립체(320)에 부착된, 전기 커넥터(300)의 조립된 후면 사시도이다. 응력 완화 소자(346)는 백 하우징(344)에 연결되고, 백 하우징(344)은 잭 하우징(322)에 연결된다. 케이블(342)은 응력 완화 소자(346)의 개구부(360)를 통해 전기 커넥터(300)에 인입되어 케이블 보어(352)에 수용된다. 빔들(362)은 전기 커넥터(300) 내의 케이블(342)을 유지하고 응력 완화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342)은 응력 완화 조립체(320)가 잭 하우징(322)에 연결되기 전에 개구부(360)를 통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된다.
백 하우징(344)은 후단부(350)에서 외주를 정의한다. 선택 사항으로, 그 외주는 백 하우징(344)이 잭 하우징(322)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잭 하우징(322)의 외주와 대략 동일해도 되며,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300)의 상대적 크기(단면 또는 폭과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백 하우징(344)은 잭 하우징(322)으로부터 후방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30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킨다. 응력 완화 소자(346)의 단부 벽(358)은 후단부(350)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외주를 갖는다. 예를 들어, 단부 벽(358)의 외주는 백 하우징(344)의 외주와 동일한 평면을 갖는다. 단부 벽(358)은 백 하우징(344)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300)의 상대적 크기(단면 또는 폭과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응력 완화 소자(346)는 단부 벽(358)이 후단부(350)의 뒤에 있도록 백 하우징(344)에 연결된다. 이처럼, 단부 벽(358)은 백 하우징(344)으로부터 후방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30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킨다.
도 11은 케이블(342)이 없는 응력 완화 조립체(32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케이블(342)이 응력 완화 조립체(320)에 의해 유지되는 응력 완화 조립체(320)의 단면도이다.
조립되면, 응력 완화 소자(346)는 장착 탭들(364)에 의해 백 하우징(344)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래치들(366)은 장착 탭들(364)로부터 외측으로 백 하우징(344)의 래치들(368) 내로 연장되어 응력 완화 소자(346)를 백 하우징(344)에 고정한다. 장착 탭들(364)은 외측 포켓들(356)에 수용되고, 빔들(362)은 케이블 보어(352)에 수용된다. 백 하우징(344)은 장착 탭들(364)과 빔들(362) 사이에 배치된 내벽들(380)을 포함한다. 내벽들(380)은 백 하우징(344)의 후단부(350)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원단부들(382)로 연장된다. 내벽들(380)은 외측 포켓들(356)로부터 케이블 보어(352)를 분리한다.
응력 완화 소자(346)의 단부 벽(358)은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축 방향으로 내면(384) 및 축 방향으로 외면(386)을 포함한다. 개구부(360)는 단부 벽(358)을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개구부(360)는 단부 벽(358) 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해도 된다. 유연 빔들(362)은 단부 벽(358)에 대하여 비수직(non-perpendicular) 각도로 내면(384)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유연 빔들(362)은 개구부(360)를 거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케이블(342)이 개구부(360)를 통해 로딩될 때 케이블(34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장착 탭들(364)은 단부 벽(358)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장착 탭들(364)은 단부 벽(358)의 방사상 외단부들(388) 근처의 내면(384)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장착 탭들(364)은 단부 벽(358)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빔들(362)은 장착 탭들(364)에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장착 탭들(364)은 플랜지(390)가 방사상 외단부들(388)에 의해 정의되도록 방사상 외단부들(388)로부터 약간 경사진다. 플랜지(390)는 백 하우징(344)의 후단부(350)에 인접한다. 플랜지(390)는 응력 완화 소자(346)를 백 하우징(344) 내에 로딩할 때 응력 완화 소자(346)에 대한 정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플랜지(390)는 후단부(350)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후방으로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채널들(392)은 빔들(362)과 장착 탭들(364) 사이에 정의된다. 단부 벽(358)은 각 채널(392)의 베이스를 정의한다. 채널(392)의 폭은 장착 탭들(364)과 빔들(362) 사이의 분리 거리에 의존한다. 채널(392)의 폭은 채널(392)의 깊이를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백 하우징(344)의 내벽들(380)은 장착 탭들(364)을 빔들(362)로부터 분리하도록 채널들(392) 내에 수용된다. 선택 사항으로, 내벽들(380)의 원단부들(382)은 단부 벽(358)의 내면(384)과 맞물릴 수 있다.
빔들(362)은 고정 단부들(394)과 자유 단부들(396)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정 단부들(394)은 단부 벽(358)에서 제공된다. 자유 단부들(396)은 케이블 보어(352) 내에 배열된다. 빔들(362)은 고정 단부들(394)에 대하여 외팔보형이다. 빔들(362)은 케이블(342)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거나 편향가능하다. 예를 들어, 빔들(362)은 케이블(342)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될 때 고정 단부들(394)에 대하여 외측으로 축 회전(pivot)될 수 있다.
조립 동안, 케이블(342)이 응력 완화 조립체(320) 내에 로딩되면, 응력 완화 소자(346)가 케이블(342)에 의해 편향된다. 빔들(362)은 케이블(342)에 의해 직접 맞물리고 (도 11에 도시한) 비편향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한) 편향 위치로 이동한다. 편향량은 케이블(342)의 직경에 의존한다. 선택 사항으로, 내벽들(380)은 빔들(362)에 대한 편향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빔들(362)은 내벽들(380)과 맞물릴 때까지 편향될 수 있다. 빔들(362)은, 외측으로 편향되면, 케이블(342)에 대하여 바이어싱(biased)되어 케이블(342) 상에 법선력을 가한다. 법선력은 케이블(342)을 유지할 정도로 클 수 있고, 케이블(342)의 개별적인 와이어들(340) 상에 응력 완화를 제공할 수 있다. 빔들(362)의 자유 단부들(396)은 케이블(342)의 재킷 내에 파고들 수 있으며 또는 그 외에는 케이블(342)을 잡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342)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될 때 장착 탭들(364)도 이동가능하다. 장착 탭들(364)은 케이블(342)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되지 않을 때의 (도 11에 도시한) 정상 위치 및 케이블(342)이 케이블 보어(352) 내에 로딩될 때의 (도 12에 도시한) 편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선택 사항으로, 응력 완화 소자(346)는 백 하우징(344)의 외벽(400)과 응력 완화 소자(346) 사이에 갭(398)이 존재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가져도 된다. 장착 탭들(364)이 편향 위치로 이동할 때, 갭(398)이 좁아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탭들(364)은 외벽(400)과 맞물릴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편향은 빔들(362)의 편향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들(362)은 단부 벽(358)을 굴곡시키도록 내벽(380)에 대하여 굽힘 모멘트를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장착 탭들(364)을 이동, 굴곡, 축 회전 및/또는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빔들(362)이 케이블(342)에 의해 편향되면, 단부 벽(358)은 마찬가지로 고정 단부들(394)에서의 단부 벽(358) 상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편향된다. 단부 벽(358)은 빔들(362)의 편향으로 인해 외측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 벽(358)의 편향도 장착 탭들(364)에 전달된다. 장착 탭들(364)은 백 하우징(344)의 외벽(400)을 향하여 외측으로 향하게 된다. 선택 사항으로, 장착 탭들(364)은 외측으로 축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장착 탭들(364)은, 케이블들(342)이 개구부(360)를 외측으로 강제로 팽창되게 하듯이, 외측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초기 위치에서, 장착 탭들(364)은 초기 래칭력으로 백 하우징(344) 내의 응력 완화 소자(346)를 유지하면서 백 하우징(344)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래치들(366)은 래치들(368)과 맞물릴 수 있다. 편향 위치에서, 장착 탭들(364)은 초기 래칭력보다 큰 이차 래칭력으로 백 하우징(344)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래치들(366)은 래치들(368)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장착 탭들(364)은 외벽(400)에 대하여 바이어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래치들(366)은 래치들(368) 내에 수용되어 그 래치들과 정상 위치와 편향 위치 모두에서 맞물린다. 그러나, 편향 위치에서, 래치들(366)은 래치들(368)과 더욱 단단하게 맞물릴 수 있고 또는 래치들(368) 내에 더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력 완화 소자(346)를 백 하우징(344)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응력 완화 소자(346)를 백 하우징(344)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다른 응력 완화 조립체(420)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응력 완화 조립체(420)는 (도 8에 도시한) 응력 완화 조립체(320)를 대체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잭 하우징(322)과 유사한 잭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응력 완화 조립체(420)는 백 하우징(444) 및 백 하우징(444)에 연결된 응력 완화 소자(446)를 포함한다. 응력 완화 조립체(420)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케이블의 연관된 와이어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백 하우징(444)은 전단부(448)와 후단부(450)를 갖는 유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 보어(452)는 보어 축(454)을 따라 전단부(448)와 후단부(45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블 보어(452)는 보어 축(454)을 따라 로딩 방향으로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보어(452)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안으로, 다른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백 하우징(444)은, 케이블 보어(452)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케이블 보어의 일부들을 둘러싸는 외측 포켓들(456)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외측 포켓들(456)은 케이블 보어(452)의 위와 아래 모두에 배치된다. 외측 포켓들(456)은 다른 곳에 배치되어도 된다. 외측 포켓들(456)은 케이블 보어(452)를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고, 또는 다른 방안으로, 예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 보어(452)의 선택된 일부들만을 둘러쌀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케이블 보어(452) 둘레로 임의의 원주 방향 거리로 연장되는 단일 외측 포켓(456)만을 제공해도 된다. 외측 포켓들(456)은 응력 완화 소자(44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응력 완화 소자(44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외측 포켓(456)은, 백 하우징(444)의 어떠한 부분도 외측 포켓들(456)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도록 외측 포켓들(456)의 방사상 외부를 따라 개방되어도 된다. 외측 포켓들(456)은 백 하우징(444)의 외주 밖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백 하우징(444)은 백 하우징(444)의 외주의 측부들을 따라 오목부들(457)을 포함한다. 오목부들(457)은 측부 및/또는 후방에서 개방될 수 있다. 오목부들(457)은 백 하우징(444)의 후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응력 완화 소자(446)는 단부 벽(458)을 포함한다. 레일들(459)은 단부 벽(458)의 측부 근처에 있는 단부 벽(458)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레일들(459)은 백 하우징(444)의 오목부들(457)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응력 완화 소자(446)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460)를 포함한다. 개구부(460)는 단부 벽(458)을 통해 연장되며, 보어 축(454)을 따라 케이블 보어(452)와 정렬된다. 복수의 유연 빔(462) 및 복수의 장착 탭(464)은 단부 벽(458)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 탭들(464)은 백 하우징(444)과 맞물려 응력 완화 소자(446)를 백 하우징(444)에 고정하는 래치들(466)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백 하우징(444)은 래치들(466)과 상호 작용하는 래치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장착 탭들(464)은 외측 포켓들(456) 내에 수용된다. 유연 빔들(462)은 케이블 보어(452) 내에 수용된다. 장착 탭들(464)은 유연 빔들(462)로부터 분리되며 구별된다. 단부 벽(458)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탭들(464)은, 서로 직접 접속되거나 동일한 구조의 일부에 접속되는 것과는 달리, 단부 벽(458)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조립되면, 응력 완화 소자(446)는 백 하우징(444)에 연결된다. 레일들(459)은 오목부들(457)에 수용된다. 장착 탭들(464)은 외측 포켓들(456)에 수용되고, 빔들(462)은 케이블 보어(452)에 수용된다. 응력 완화 소자(446)는 장착 탭들(464)에 의해 백 하우징에 고정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래치들(466)은 장착 탭들(464)로부터 백 하우징(444)의 래치들(468) 내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응력 완화 소자(446)를 백 하우징(444)에 고정한다. 백 하우징(444)은 장착 탭들(464)과 빔들(462) 사이에 배치된 내벽들(480)을 포함한다. 내벽들(480)은 백 하우징(444)의 후단부(450)와 동일 평면에 있는 원단부들(482)로 연장된다. 내벽들(480)은 케이블 보어(452)를 외측 포켓들(456)로부터 분리한다.
응력 완화 소자(446)의 단부 벽(458)은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축 방향으로 내면(484) 및 축 방향으로 외면(486)을 포함한다. 개구부(460)는 단부 벽(458)을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개구부(460)는 단부 벽(458) 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유연 빔들(462)은 단부 벽(458)에 대하여 비수직 각도로 내면(484)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빔들(462)은 개구부(460)를 거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케이블이 개구부(460)를 통해 로딩될 때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장착 탭들(464)은 단부 벽(458)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장착 탭들(464)은 단부 벽(458)의 방사상 외단부들(488)에서 내면(484)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장착 탭들(464)은 단부 벽(458)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빔들(462)은 장착 탭들(464)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레일들(459)은 단부 벽(458)의 측부들 근처에 있는 내면(484)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들(462)은 고정 단부들(494)과 자유 단부들(496)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정 단부들(494)은 단부 벽(458)에서 제공된다. 자유 단부들(496)은 케이블 보어(452) 내에 배열된다. 빔들(462)은 고정 단부들(494)에 대하여 외팔보형으로 된다. 빔들(462)은 케이블이 케이블 보어(452) 내에 로딩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거나 편향가능하다. 예를 들어, 빔들(462)은 케이블이 케이블 보어(452) 내에 로딩될 때 고정 단부들(494)에 대하여 외측으로 축 회전될 수 있다.
조립 동안, 케이블이 응력 완화 조립체(420) 내에 로딩되면, 빔들(462)은 케이블에 의해 외측으로 편향된다. 레일들(459)은 단부 벽(458)에 강성을 제공하여 단부 벽(458)의 편향에 저항한다. 이처럼, 단부 벽(458)은 케이블이 응력 완화 소자(446) 내에 로딩될 때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유지된다. 응력 완화 소자(446)는 장착 탭들(464)이 백 하우징(444)을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약간 굴곡될 수 있다.
위 설명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및/또는 그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서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한 상황이나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 재료의 유형, 배향 및 그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위치와 개수는 소정의 실시예들의 매개변수들을 정의하려는 것이며,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의 다른 많은 실시예들 및 수정예들은 전술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를 이러한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와 같은 용어들은 "포함"(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라는 각 용어들을 쉽게 표현한 등가 용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로서 사용될 뿐이며, 이들의 대상에 수치 요건을 가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의 한정 사항들은, 수단 플러스 기능 형식으로 기재되지 않으며, 이러한 청구항의 한정사항들이 추가 구조 없이 기능 선언문이 뒤따르는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구를 명백하게 이용하지 않는 한, 35 U.S.C $1102 6절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로서,
    케이블(101, 342)의 와이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140, 344, 444)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개구부(154, 22O, 360, 460)를 갖는 단부 벽(152, 218, 358, 458)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근처의 상기 단부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 빔(flexible beams; 160, 222, 362, 462) - 상기 유연 빔은 상기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응력 완화 소자(strain relief element; 120, 346, 446)를 포함하고,
    상기 유연 빔(160, 222, 362, 462)은, 상기 개구부(154, 220, 360, 460) 내에 배열된 자유 단부(166, 226, 396)와 고정 단부(164, 224, 384)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고정 단부에 대하여 굴곡되어 상기 케이블 상에 법선력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응력 완화 소자 중 하나는 상기 유연 빔에 대응하는 레일(rail; 178, 214, 459)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 빔은, 상기 자유 단부가 지지 구조와 맞물릴 때까지 상기 고정 단부에 대하여 굴곡되고, 상기 유연 빔이 외팔보형(cantilevered) 빔을 정의할 때 상기 케이블 상에 제1 법선력을 가하고, 상기 유연 빔이 단순 지지 빔을 정의할 때 상기 케이블 상에 제2 법선력을 가하고, 상기 제2 법선력은 상기 제1 법선력과 다른,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보어(cable bore; 352, 45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어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보어의 일부들을 둘러싸는 외측 포켓(356, 456)을 포함하고,
    상기 응력 완화 소자는 상기 단부 벽(358, 458)으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탭(364, 464)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탭은 상기 외측 포켓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과 맞물려 상기 응력 완화 소자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보어(352, 452)를 상기 외측 포켓(356, 450)으로부터 분리하는 내벽(380)을 포함하고,
    상기 응력 완화 소자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유연 빔들(362, 462)을 편향시킬 때 상기 내벽이 상기 단부 벽(358, 458)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장착 탭(364, 464)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내벽과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탭들은 상기 응력 완화 소자를 상기 하우징 내에 유지하는 초기 래칭력(latching force)으로 상기 하우징과 맞물리고,
    상기 장착 탭들은 상기 초기 래칭력보다 큰 이차 래칭력으로 상기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보어 내에 로딩될 때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측 포켓의 방사상 외면을 정의하는 외벽(400)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탭(364, 454)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개구부 내에 로딩될 때 정상 위치와 편향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정상 위치에서는 상기 장착 탭이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편향 위치에서는 상기 장착 탭이 상기 외벽을 향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소자는 상기 단부 벽(15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스(boss: 1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수용하기 위한 상기 채널(154)을 정의하고,
    상기 유연 빔은 상기 보스의 방사상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유연 빔이 상기 레일과 맞물릴 때 상기 유연 빔에 대한 굴곡 한계(flex limit)를 정의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소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립(rib; 162)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립은 상기 유연 빔의 양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립들과 상기 유연 빔은 협동하여 상기 케이블을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빔은 상기 유연 빔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보유 기능부(retention feature; 186)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기능부는, 상기 케이블과 맞물리고, 상기 고정 단부와 상기 자유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10. 삭제
KR1020107028390A 2008-06-20 2009-06-18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KR101311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43,291 2008-06-20
US12/143,291 US7621772B1 (en) 2008-06-20 2008-06-20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US12/485,457 2009-06-16
US12/485,457 US7874865B2 (en) 2008-06-20 2009-06-16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PCT/US2009/003640 WO2009154759A1 (en) 2008-06-20 2009-06-18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62A KR20110020262A (ko) 2011-03-02
KR101311106B1 true KR101311106B1 (ko) 2013-09-25

Family

ID=4131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390A KR101311106B1 (ko) 2008-06-20 2009-06-18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74865B2 (ko)
EP (1) EP2308138B1 (ko)
JP (1) JP5388242B2 (ko)
KR (1) KR101311106B1 (ko)
CN (1) CN102067388B (ko)
AR (1) AR072276A1 (ko)
CA (1) CA2727981C (ko)
HK (1) HK1153574A1 (ko)
MX (1) MX2010014046A (ko)
TW (1) TWI463746B (ko)
WO (1) WO2009154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644B2 (en) * 2009-08-25 2011-06-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ble contacts
US8016621B2 (en) 2009-08-25 2011-09-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lectrically parallel compensation region
US8435082B2 (en) 2010-08-03 2013-05-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s having broadside-coupling regions
EP2354825B1 (en) * 2010-02-03 2015-07-1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Enclosure assembly for a connector,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JP5649329B2 (ja) * 2010-05-11 2015-01-07 中央発條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TWM395946U (en) * 2010-05-24 2011-01-01 Ks Terminals Inc Latched connector assembly
US8439702B2 (en) 2010-09-24 2013-05-14 Ortronics, Inc. High density jack
US8672709B2 (en) 2010-09-24 2014-03-18 Ortronics, Inc. High density jack
DE202011050094U1 (de) 2011-05-10 2012-10-0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Endstück für ein Kabel mit Dichtungsvorsprung und Gehäuseanordnung mit Endstück
US20150364859A1 (en) * 2012-01-24 2015-12-17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Wire Containment Cap for Improved Cable Retention
WO2013123154A1 (en) * 2012-02-14 2013-08-22 Ortronics, Inc. High density jack
US9356439B2 (en) * 2013-09-26 2016-05-31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Patch cords for reduced-pair ethernet applications having strain relief units that resist rotational loads and related strain relief units and connectors
US9425596B2 (en) 2013-09-30 2016-08-2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Wire connector
ES2547260A1 (es) 2014-04-01 2015-10-02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Conector de telecomunicaciones apantallado
WO2015164538A1 (en) 2014-04-23 2015-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ES2583636B1 (es) 2015-03-20 2017-06-29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Conector con caja de enlace separable
ES2584540B1 (es) * 2015-03-27 2017-07-05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Pestillo para conector de telecomunicaciones
WO2017004627A2 (en) * 2015-06-30 2017-01-05 Detnet South Africa (Pty) Ltd Connector
EP3335282B1 (en) 2015-08-12 2021-04-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Electrical plug connector
US10749278B2 (en) * 2016-01-15 2020-08-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electroplating metal into recessed feature and electroplating layer in recessed feature
US10651608B2 (en) 2016-07-08 2020-05-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clamp system
EP3497754A4 (en) * 2016-08-15 2020-03-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 ARRAY WITH GROUNDING
US9960527B2 (en) * 2016-08-18 2018-05-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having a backshell with a cable follower
DE102017110546B3 (de) * 2017-05-15 2018-07-19 HARTING Electronics GmbH Zug- und Druckentlastungsmittel für ein Steckverbindergehäuse
CN116207543A (zh) 2017-06-19 2023-06-02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接插面板的高密度边框
EP3707915B1 (en) 2017-11-10 2023-09-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panel with grounding wire
JP6735313B2 (ja) * 2018-05-22 2020-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閉塞体保持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US11158980B2 (en) * 2018-11-30 2021-10-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dular telecommunications plug and method
WO2020190758A1 (en) 2019-03-15 2020-09-2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CN112652897A (zh) 2019-10-10 2021-04-1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模块化电信面板和模块化电信系统
CN112652913A (zh) 2019-10-10 2021-04-1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模块化电信面板系统和电信模块
CN113814335B (zh) * 2021-09-03 2023-05-05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一种钢绞线编束初始应力调节阻尼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586A (en) 1998-07-30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Anchoring member for a communication cabl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5883A (en) 1928-02-10 1929-08-27 Chase Companies Inc Connecter for attaching electric cables or conduits to outlet boxes and the like
US1830250A (en) 1929-04-02 1931-11-03 Thomas B Tiefenbacher Outlet box fitting
US3523269A (en) * 1968-03-08 1970-08-04 Essex International Inc Panel locking terminal connector block
US3858151A (en) 1973-06-04 1974-12-31 Eaton Corp Flexible conduit connector
US5782508A (en) 1980-10-29 1998-07-21 Proprietary Technologies,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441779A (en) * 1980-12-31 1984-04-10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Contact device for a multiconductor cable
US4441776A (en) 1981-11-09 1984-04-10 Itt Corporation Quick detachable coupling
US4711507A (en) 1985-10-07 1987-12-08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latching apparatus therefor
US4737118A (en) 1985-12-20 1988-04-12 Amp Incorporated Hermaphroditic flat cable connector
US5866853A (en) 1993-10-07 1999-02-02 Sheehan; Robert K. Liquid-tight, strain-relief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 and the like
US5445538A (en) 1993-11-17 1995-08-29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US5743759A (en) 1996-09-26 1998-04-28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ubstantially flush mounted cord seal
US6238231B1 (en) * 1997-09-03 2001-05-29 Avaya Technology Corp. Strain relief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 plug
US6010353A (en) * 1997-09-03 2000-01-04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plug
US6231392B1 (en) * 1997-10-01 2001-05-15 Berg Technology, Inc. Cable interconnection
US6142828A (en) 1998-11-24 2000-11-07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having adjustable cable exit
KR100564091B1 (ko)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US6422884B1 (en) 2000-06-27 2002-07-23 Sentinel Lighting Wiring Systems, Inc. Pre-wired circuit component for flexible wiring system
DE10051097C2 (de) * 2000-08-17 2002-11-28 Krone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T250199Y1 (it) 2000-10-20 2003-07-24 Arditi Spa Portalampada con bloccaggio rapido del cavo di alimentazione elettrica
US20020155746A1 (en) * 2001-04-19 2002-10-24 Simpson Jeffrey S. Cable assembly latch
US6872886B2 (en) 2001-05-01 2005-03-29 Bridgeport Fittings, Inc.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6585248B2 (en) * 2001-08-30 2003-07-01 Gary C. Baud Universal ski and snowboard portable tuning system
US6582248B2 (en) 2001-11-29 2003-06-24 Neutrik Ag Durable RJ-45 data connector assembly
DE10310434A1 (de) * 2003-03-11 2004-09-30 Krone Gmbh Verfahren zum HF-Abstimmen einer elektrischen Anordnung sowie eine hierzu geeignete Leiterplatte
SE527958C2 (sv) * 2004-02-25 2006-07-18 Paul Tapper Kabelgenomföring vilken är självjusterande till tjockleken av ett omgivande material
CN102082367B (zh) * 2004-03-12 2013-11-20 泛达公司 减小电连接器中串扰的方法及装置
US7211744B2 (en) 2004-07-09 2007-05-01 Hubbell Incorporated Snap-in cable connector
CN101080856B (zh) * 2004-12-17 2011-01-19 泛达公司 具有组合式应变减除夹头的导线护罩
US20060246784A1 (en) * 2005-04-29 2006-11-02 Aekins Robert A Electrically isolated shielded connector system
US7195518B2 (en) 2005-05-02 2007-03-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jack interface
US7615714B2 (en) 2005-07-21 2009-11-1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Button style cord connector
US7384298B2 (en) 2005-08-08 2008-06-10 Panduit Corp. Wire containment cap
US7432452B2 (en) 2006-06-05 2008-10-07 Halex/Scott Fetzer Company Snap-in connector for electrical junction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586A (en) 1998-07-30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Anchoring member for a communication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3574A1 (en) 2012-03-30
US7874865B2 (en) 2011-01-25
JP5388242B2 (ja) 2014-01-15
AR072276A1 (es) 2010-08-18
JP2011525038A (ja) 2011-09-08
US20090318033A1 (en) 2009-12-24
KR20110020262A (ko) 2011-03-02
TW201008049A (en) 2010-02-16
WO2009154759A1 (en) 2009-12-23
CN102067388B (zh) 2013-11-20
MX2010014046A (es) 2011-03-03
TWI463746B (zh) 2014-12-01
CA2727981C (en) 2013-05-14
CA2727981A1 (en) 2009-12-23
CN102067388A (zh) 2011-05-18
EP2308138A1 (en) 2011-04-13
EP2308138B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106B1 (ko) 컴플라이언트 케이블 응력 완화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US762177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CA1283181C (en) Integrally molded card edge cable termination assembly, contact, machine and method
RU266709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гарантией положения клемм
EP230274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93494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3203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362665B2 (en) Joint connector with pairs of locking lances and communication space extending between the pairs of locking lances
US8870597B2 (en) Connector
JP2005527959A (ja) 改良されたレセプタクル
KR950004983B1 (ko) 크램프 스냅 유지 시스템
US2015034082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239610B2 (en) Electrical plug with specific earthing of outer parts
US11239617B2 (en) Cable receptacle connector
US874714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505309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seal assembly
US789201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able loading stop elements
US7909645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CN109831928B (zh) 同轴连接器组件
US5730624A (en) Secondary contact lock arrangement
US20220131302A1 (en) Connector
JP2005531886A (ja) 改良されたプラグ
US20200313335A1 (en) Connector
EP3787130A1 (en) Connector shielding with a guiding protrusion
CN115004482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