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54B1 -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 Google Patents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54B1
KR101310454B1 KR1020127000744A KR20127000744A KR101310454B1 KR 101310454 B1 KR101310454 B1 KR 101310454B1 KR 1020127000744 A KR1020127000744 A KR 1020127000744A KR 20127000744 A KR20127000744 A KR 20127000744A KR 101310454 B1 KR101310454 B1 KR 10131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osition detector
plate
signal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7514A (en
Inventor
사토루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로의 수평 단면 내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가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승강로의 수평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1)에 마련된 플레이트(2)와; 상기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2)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을 규정하고, 상기 플레이트(2)가 비접촉적으로 맞물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 검출기(5a ~ 5e)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The area | region occupied by a position detecto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hoistway can be suppressed small, and the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which can lay out easily even whe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a hoistway is small is provided. For this reason, the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ar 1 which elevates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WHEREIN: The plate 2 provided in the said car 1; It is arranged along the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plate 2 passes when the car 1 moves up, defines an operating point that is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stages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the plate 2 is non-contact.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ors 5a to 5e for outputting signals are provid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종단부에서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the following are known as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 lift direction in the terminal part of the elevator hoistway.

즉,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의 각각에 있어서, 각 작동점에 대하여 복수의 플레이트가 이산적(離散的)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들 복수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의 고정 위치를 작동점마다 바꾸는 것에 의해, 각 작동점은 서로 구별 가능하게 코드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에 비접촉으로 맞물리고, 맞물릴 때에 엘리베이터칸이 작동점 중 하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가 각 작동점마다의 복수 플레이트 각각에 대응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칸에 수평 방향으로 늘어놓아 복수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That is, in each of the operating points which ar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tages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 plurality of plates are mounted discretely with respect to each operating point, and the fixed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lates are operated. By changing from point to point, each operating point is cod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And a position detector which engages in non-contact with these plates and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r has reached one of the operating points when engaged,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lates for each operating point, Plurally attached is arrang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선행 기술 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05-33894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5-338949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각 작동점을 서로 구별 가능하게 코드화하기 위해, 작동점의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고정 위치를 바꾼 복수의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작동점마다 마련된 이들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칸에 위치 검출기를 수평 방향으로 늘어놓아 복수 장착해야 한다. 이에 기인하여, 승강로 내의 수평 방향의 레이아웃에 차지하는 위치 검출기의 비율이 커지고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낮아져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칸이나 승강로의 수평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레이아웃이 매우 곤란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shown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code each operation point so that a differentiation is possible, the several plate which changed the fixed posi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peration points is attached. For this reas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plates provided for each operating point,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ors should be mounted on the c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is,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ratio of the position detector which occupies for the layout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hoistway becomes large, and freedom of layout falls. In particular, whe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a car and a hoistway is small, a layout may become very difficul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수평 단면 내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가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승강로의 수평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position detecto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and to detect the car position, which can be easily laid out even when the hoistway horizontal dimension is small. To get the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을 규정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비접촉적으로 맞물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 검출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A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 in a lift direction of a car for elevating an inside of a lift path; a plate provided in the car; A plurality of positions which are arranged along a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plate passes when the car moves up and down, defining operating points which ar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tages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outputting a signal when the plates are engaged in a non-contact manner;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ector.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로의 수평 단면 내에서 위치 검출기가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승강로의 수평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In the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ccupied by the position detecto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and the effect of being easy to lay out even when the hoistway's horizontal dimension is small is achiev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신호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신호 변환기의 변환 규칙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gnal converter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rsion rule of the signal co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이며,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related to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a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도면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엘리베이터칸이다. 1 is an elevator car arrange | positioned so that elevation is possible in the hoistway of an elevator.

이 엘리베이터칸(1)에는 플레이트(2)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L자형을 나타내고, 이 L자의 일방의 팔에 해당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The car 2 is provided with a plate 2. This plate 2 is substantially L-shaped in plan view, and is fixed so that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of these L-shaped arms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방 종단층 근방의 승강로벽(3)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1 팔(4a), 제2 팔(4b), 제3 팔(4c), 제4 팔(4d) 및 제5 팔(4e)이 수평 방향으로 돌설(突設)되어 있다. 이들 팔은 모두 동일한 길이이다. On the hoistway wall 3 near the upper vertical layer, the first arm 4a, the second arm 4b, the third arm 4c, the fourth arm 4d, and the fifth arm 4e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below. I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se arms are all the same length.

그리고 제1 팔(4a)에는 제1 위치 검출기(5a)가, 제2 팔(4b)에는 제2 위치 검출기(5b)가, 제3 팔(4c)에는 제3 위치 검출기(5c)가, 제4 팔(4d)에는 제4 위치 검출기(5d)가, 제5 팔(4e)에는 제5 위치 검출기(5e)가 각각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is formed on the first arm 4a,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is formed on the second arm 4b, and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is formed on the third arm 4c.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is attached to the four arms 4d, an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is attached to the fifth arm 4e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이들 위치 검출기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들 위치 검출기는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플레이트(2)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을 규정하는 것이다. These position detectors have a nearly U-shape in plan view. Moreover, these position detectors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trajectory on which the plate 2 passes when the car 1 raises and lowers, and prescribes the operating point which is a position of the several steps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ar 1. It is.

즉, 여기서는 상방 종단층 근방에 마련된 위치 검출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1 팔(4a)에 장착된 제1 위치 검출기(5a)는 상위 제1 작동점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팔(4b)에 장착된 제2 위치 검출기(5b)는 상위 제1 작동점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에 위치하는 상위 제2 작동점을 규정하고 있다. That is, since the position detector provided in the upper end layer vicinity is demonstrated here, the 1st position detector 5a attached to the 1st arm 4a prescribes an upper 1st operating point.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attached to the second arm 4b defines the upper second operating point located above the upper first operating poi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동일하게,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3 팔(4c)에 장착된 제3 위치 검출기(5c)는 상위 제3 작동점을, 제4 팔(4d)에 장착된 제4 위치 검출기(5d)는 상위 제4 작동점을, 제5 팔(4e)에 장착된 제5 위치 검출기(5e)는 상위 제5 작동점을 각각 규정하고 있다. Similarly,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mounted on the third arm 4c has the upper third operating point, respectiv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mounted on the fourth arm 4d. Denotes the upper fourth operating point, an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mounted on the fifth arm 4e defines the upper fifth operating point, respectively.

따라서 이와 같이, 각 작동점은 각각 1개의 위치 검출기에 의해 규정되어 서로 구별되고, 환언하면 위치 검출기는 작동점의 수와 동수만큼 마련된다. Thus, in this way, each operating point is defined by one position detector, respectively, and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position detector is provided by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operating points.

또한, 하방 종단층 근방의 승강로측에는 하위 위치 검출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위 위치 검출기에 대하여 그 고정 위치가 다른 것 이외는 이상 설명한 상위 위치 검출기와 동일하여,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Further, a lower position detector is provided on the hoistway side near the lower end layer. The lower position detector is the same as the upper position detector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ixed position is differ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1 위치 검출기(5a), 제2 위치 검출기(5b),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 및 제5 위치 검출기(5e)는 상시에 있어서 동작 상태이다. 그리고 コ자형의 요함부(凹陷部)에 엘리베이터칸(1)의 플레이트(2)가 유삽(遊揷)되면, 즉 비접촉적으로 맞물리면, 자기(磁氣) 차단되어서 부동작 상태로 되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an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are always in an operating state. When the plate 2 of the car 1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recess, that is, when contacted non-contactly, it is magnetically shut off and becomes inoperative. It is supposed to be output.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여 중간층으로부터 상방 종단층으로 접근하고, 엘리베이터칸(1)의 플레이트(2)가 상위 제1 작동점에 도달하면, 제1 위치 검출기(5a)가 플레이트(2)에 의해 자기 차단되어 부동작으로 된다. 이 때에 출력되는 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위 제1 작동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In the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 1 rises and approaches the upper end floor from the middle floor, and the plate 2 of the car 1 reaches the upper first operating point, The position detector 5a is magnetically cut off by the plate 2 and becomes inoperative. The signal output at this time is input to the control apparatu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it is detected that the car 1 reached the upper 1st operating point.

그리고 추가로 상승한 엘리베이터칸(1)이 상위 제2 작동점에 도달하면, 플레이트(2)에 의해 제2 위치 검출기(5b)가 자기 차단되어 부동작으로 되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이 상위 제2 작동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When the car 1 further rises to the upper second operating point,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is magnetically blocked by the plate 2 to be inoperative, and the car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It has been detected that this upper second operating point has been reached.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칸(1)이 추가로 상승하여, 상위 제3 작동점에 도달하면 제3 위치 검출기(5c)가, 상위 제4 작동점에 도달하면 제4 위치 검출기(5d)가, 상위 제5 작동점에 도달하면 제5 위치 검출기(5e)가 각각 플레이트(2)에 의해 자기 차단되어 부동작으로 되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이 각각의 작동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Similarly, when the car 1 further rises and reaches the upper third operating point,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reaches the upper fourth operating point. When the fifth operating point is reache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is self-blocked by the plate 2, respectively, and becomes inoperative, and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at the car 1 has reached each operating point. .

여기서, 이 동작 시, 각각의 위치 검출기는 플레이트(2)가 자신의 요함부에 있는지의 여부를 비접촉적으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위치가 검출되게 된다. 이 비접촉적 검출을 여기서는 자기적 작용에 의해 행했지만, 광전적 작용 등의 다른 방식에 의해 행해도 좋다. Here, in this operation, each position detect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 1 by non-contacting whether or not the plate 2 is in its recess. Although this non-contact detection was performed by magnetic action here, you may carry out by other methods, such as a photoelectric action.

또한,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여 중간층으로부터 하방 종단층으로 접근한 경우에 있어서 하위 위치 검출기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은 이상 설명한 상위 위치 검출기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ar 1 descends and approaches the lower end floor from the middle floor, the car position detection by the lower position detector is the same as the car position detection by the upper position detector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측이 아니라 엘리베이터칸에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플레이트가 비접촉적으로 맞물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기를,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하고, 이 위치 검출기에 의해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을 규정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의 수평 단면 내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 및 플레이트가 점유하는 면적을 각각 위치 검출기 1개분 및 플레이트 1매분으로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레이아웃성이 향상되어 승강로의 수평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 plate is provided on the car rather than on the hoistway side, and the track passes through the plate when the car moves up and down, using a position detector that outputs a signal when the plate engages in a non-contact manner. By arranging along the above, and defining the operating point which is the position of a plurality of steps set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by this position detector, the area occupied by the position detector and the plate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is respectively one position detector and It can be suppressed small by one plate, and layout property is improved and it can lay out easily also whe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a hoistway is small.

실시 형태 2.Embodiment 2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이며,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related to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a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는 승강로 중간부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승강로 상하 단부 근방과 승강로 중간부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칸에 고속 주행시용과 저속 주행시용인 2 종류의 플레이트를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herein, when the car position detection is performed also in the middle part of the hoistway,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hoistway and the middle part of the hoistway,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hoisting speeds of the car, It is to provide two types of plates.

즉, 위치 검출기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위치를 검출하는 처리를, 마이크로 컴퓨터(마이컴) 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S/W) 처리로 행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나 S/W의 연산 주기를 고려하여, 1개의 위치 검출기에 대한 플레이트 통과시간이 적어도 연산 주기 이상으로 되도록 소정 이상 길이의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That is, whe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 1 by the position detector is performed by software (S / W) processing using a microcomputer (microcomputer)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computation period of the microcomputer or S / W In addition, a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s required so that the plate passing time for one position detector is at least equal to a calculation period.

또, 오검출을 방지하여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1개의 위치 검출기에 대하여 플레이트가 통과했을 때에 복수회의 검출을 행하는 복수회 검출에 대응시키는 경우에도, 상응하는 플레이트 길이가 필요하다. In order to prevent false detection and improve detection accuracy, a corresponding plate length is required even when a plurality of detections are per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detections are performed when a plate passes through one position detector.

한편, 플레이트 길이가 길어지면, 이번은 위치 검출기의 배치 간격이 플레이트 길이에 대하여 짧아지고, 플레이트는 2개 이상의 인접하는 위치 검출기의 요함부에 동시에 위치해 버려, 오검출이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e length becomes longer,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position detector becomes shorter with respect to the plate length this time, and the plate may be simultaneously located in the recesses of two or more adjacent position detectors, which may cause false detection.

여기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종단층 근방에서 주행 속도가 늦고, 중간층 부근에서 최고속도로 주행한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1)에 고속 주행시용 및 저속 주행시용인 2 종류의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것과 아울러, 승강로 중간부의 위치 검출기를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하고, 종단층 근방의 위치 검출기를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Here, in general, the elevator has a slow traveling speed near the end floor and runs at the highest speed near the middle floor.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igh speed traveling plate is mounted when the car 1 lifts the position detector in the middle of the hoistway while mounting the two types of plates for the high speed traveling and the low speed traveling in the car 1. It arrange | positions along the trajectory which passes, and arrange | positions the position detector of the vicinity of a terminal layer along the trajectory which the plate for low speed traveling passes when the car 1 raises and lower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에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L자형의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 및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인 2 종류의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 방향을 따른 플레이트 길이 치수가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의 플레이트 길이 치수와 비교해서 길고, 반대로 말하면,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의 플레이트 길이 치수는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의 플레이트 길이 치수와 비교해서 짧다. More specifically, in Fig. 2, the car 1 is mounted with two kinds of plates, which are substantially L-shaped plates for high speed travel 2a and plates for low speed travel 2b in plan view. In the high speed traveling plate 2a, the plate length dimension along the direction of elevation of the car 1 is longer than the plate length dimension of the low speed traveling plate 2b. In other words, the plate of the low speed traveling plate 2b. The length dimension is short compared with the plate length dimension of the plate 2a for high speed traveling.

그리고 승강로 중간부의 승강로벽(3)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1 팔(4a) 및 제2 팔(4b)이 수평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고, 제1 팔(4a)에는 제1 위치 검출기(5a)가, 제2 팔(4b)에는 제2 위치 검출기(5b)가 각각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The first arm 4a and the second arm 4b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hoistway wall 3 in the middle of the hoistway in order from the bottom, and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is provided on the first arm 4a.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is attached to the second arm 4b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respectively.

이들 제1 위치 검출기(5a) 및 제2 위치 검출기(5b)는 고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이며,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These 1st position detector 5a and the 2nd position detector 5b are the position detectors for the high speed traveling, and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trajectory on which the plate 2a for the high speed traveling passes when the car 1 is going up and down. .

또, 상방 종단층 근방의 승강로벽(3)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3 팔(4c), 제4 팔(4d) 및 제5 팔(4e)이 수평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고, 제3 팔(4c)에는 제3 위치 검출기(5c)가, 제4 팔(4d)에는 제4 위치 검출기(5d)가, 제5 팔(4e)에는 제5 위치 검출기(5e)가 각각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Moreover, the 3rd arm 4c, the 4th arm 4d, and the 5th arm 4e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istway wall 3 of the upper end layer vicinity from the bottom, and the 3rd arm 4c ),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is mounted on the fourth arm,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is mounted on the fourth arm 4d, an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is mounted on the fifth arm 4e, respectiv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have.

이들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 및 제5 위치 검출기(5e)는 저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이며,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These 3rd position detector 5c, 4th position detector 5d, and 5th position detector 5e are position detectors for the low speed traveling, and the low speed traveling plate 2b passes when the car 1 is going up and down. It is arranged along the trajectory.

여기서,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는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로부터 보아 승강로벽(3)측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했을 때에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가 통과하는 궤적은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가 통과하는 궤적보다 승강로벽(3)측에 만들어진다. Here, since the high speed traveling plate 2a is mounted on the hoistway wall 3 side from the low speed traveling plate 2b, the high speed traveling plate 2a passes when the car 1 is elevated. The locus is made on the hoistway wall 3 side rather than the locus through which the plate 2b for low speed travel passes.

따라서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에 대응하는 제1 위치 검출기(5a) 및 제2 위치 검출기(5b)는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에 대응하는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 및 제5 위치 검출기(5e)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팔(4a) 및 제2 팔(4b)의 길이는 제3 팔(4c), 제4 팔(4d) 및 제5 팔(4e)의 길이와 비교해서 짧아져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and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corresponding to the high speed traveling plate 2a may include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and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corresponding to the low speed traveling plate 2b). 5d) and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the lengths of the first arm 4a and the second arm 4b are the third arm 4c, the fourth arm 4d and the fifth arm 4e. It is shorter than the length.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여,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about another structure, it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로 중간부를 고속으로 승강하고 있을 때는 제1 위치 검출기(5a)나 제2 위치 검출기(5b)가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a)에 의해 자기 차단되어 부동작으로 된다. 이 때에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제1 위치 검출기(5a)나 제2 위치 검출기(5b)가 규정하는 작동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In the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 1 is elevating the middle part of the hoistway at high speed,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or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is attached to the plate 2a for high-speed traveling. It is cut off by itself and becomes inoperative. The signal output at this time is input to the control apparatus, and it is detected that the car 1 has reached the operating point defin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or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b.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방 종단층으로 저속으로 접근하면,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나 제5 위치 검출기(5e)가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2b)에 의해 자기 차단되어 부동작으로 된다. 이 때에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나 제5 위치 검출기(5e)가 규정하는 작동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또한, 하방 종단층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When the car 1 approaches the upper end layer at a low speed,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or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is held by the plate 2b for low speed traveling. It is cut off and becomes inoperative. The signal output at this time is input to the control apparatus, and the car 1 has reached the operating point specified by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c,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or the fifth position detector 5e. Is detected. The same applies to the lower termination lay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승강로의 수평 단면 내에서 위치 검출기 및 플레이트가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억제하여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rea occupied by the position detector and the plate with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layout.

그리고 추가로 이에 더하여,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와, 승강 방향을 따른 치수가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와는 다른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를 마련하는 것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된 저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와,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된 고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 내의 위치, 특히 종단 근방과 중간부에 의해 다른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를 고려하여, 1개의 위치 검출기에 있어서 플레이트 검출의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2개 이상의 인접하는 위치 검출기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동시에 검출되어 버리는 오검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low-speed traveling plate and a high-speed traveling plate whose dimensions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ow-speed traveling plate, and on the trajectory on which the low-speed traveling plate passes when the car is elevated, By providing a low-speed driving position detector arranged along the way, and a high-speed driving position detector arranged along the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high-speed traveling plate passes when the car ascends, the position in the hoistway, in particular near the end and the middle In consideration of the lifting speed of another car, the accuracy of plate detection is improved in one position detector, and the occurrence of false detection in which plate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two or more adjacent position detectors is prevented. can do.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의 신호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신호 변환기의 변환 규칙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and 4 are related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converter of a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rsion rule of a signal converter.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위치 검출 방식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는 작동점이 아니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점에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시에 출력되는 신호는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된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뿐이다. 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position detection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position detector is provided in the car instead of the operating point, the signal output when the car position is detected at the operating point is mounted on the car. Only the signal from the detector.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는 설정한 작동점의 수만큼 위치 검출기가 마련되어 있고, 작동점 수가 많아지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수가 증가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신호수가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위치 검출 방식에서 이용하고 있던 제어 장치는 이용하지 못하는 것이 된다. In contrast,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or is provided by the set number of operating points, and the number of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or increases as the number of operating points increases. In this case, since the number of signals is different, the control device used in the conventional position detection method cannot be used.

그래서 여기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 3은 각 작동점을 규정하는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종래 위치 검출 방식의 제어 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는 신호에 상당하는 것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를 위치 검출기와 제어 장치의 사이에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Therefore, Embodiment 3 described here includes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output from a position detector that defines each operating point into an equivalent to a signal used in a conventional position detection control device. It is to be provided between.

도 3은 이 신호 변환기(6)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여기서 각 작동점을 규정하는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가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Fig. 3 shows this signal converter 6, in which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ors defining the respective operating points, for example, are output to signals outputted from the position detectors to the control device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signal is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signal will be described.

즉, 신호 변환기(6)는 제1 위치 검출기(5a), 제2 위치 검출기(5b),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 및 제5 위치 검출기(5e)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검출기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That is, the signal converter 6 includes a first position detector 5a, a second position detector 5b, a third position detector 5c, a fourth position detector 5d and a fifth position detector 5e.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ors.

그리고 이들 신호를 도 4에 나타내는 변환 규칙에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가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로 변환한 다음 출력한다.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sion rule shown in FIG. 4, these signals are converted into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which a position detector outputs to a control apparatus in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1, and then output.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는 8a 내지 8f의 6개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도 1 등을 참조).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x position detectors are mounted (8a to 8f) (for example, see FIG. 1, etc. of Patent Document 1).

이들 위치 검출기가 플레이트에 의해 자기 차단되어서 부동작으로 되어 있는 상태를 「1」(신호 출력), 동작 상태를 「0」(신호 불출력)으로 나타낸다고 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제1 작동점을 통과했을 때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8a, 8c 및 8e)가 부동작으로 되어 신호를 출력하고(「1」으로 되고), 위치 검출기(8b, 8d 및 8f)가 동작 상태에서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0」으로 된다). When the position detectors are self-blocked by the plate and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y are inactive, the car 1 shows the first operating point as "1" (signal output) and the operation state as "0" (signal non-output). When passing, the position detectors 8a, 8c, and 8e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ecome inoperative and output a signal (to be "1"), and the position detectors 8b, 8d, and 8f operate. In the state, no signal is output (it becomes "0").

그리고 이 상태의 코드는 위치 검출기(8a 내지 8f)로부터의 「1」 또는 「0」 상태를 순서대로 늘어놓아 「101010」으로 된다. 여기서, 코드는 복수의 작동점끼리가 서로 구별 가능하게 되도록 각각의 작동점에 대하여 고유하게 붙음으로써, 여기서는 6자리수의 2진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The code in this state is set to "101010" with the "1" or "0" states from the position detectors 8a to 8f arranged in order. In this case, the code is uniquely attached to each operating point so that a plurality of operating point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erein, the code is represented by a six-digit binary number.

동일하게, 엘리베이터칸(1)이 제2 작동점을 통과했을 때에는 위치 검출기(8a, 8c 및 8f)가 부동작으로 되어 신호를 출력하고(「1」), 위치 검출기(8b, 8d 및 8e)가 동작 상태에서 신호는 출력되지 않고(「0」), 코드는 「101001」로 된다. Similarly, when the car 1 passes the second operating point, the position detectors 8a, 8c and 8f become inoperative to output a signal ("1"), and the position detectors 8b, 8d and 8e. Signal is not output ("0") in the operating state, and the code is "101001".

이하, 제3 이후의 작동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하여, 각 작동점을 엘리베이터칸(1)이 통과했을 때에, 위치 검출기(8a 내지 8f)가 출력하는 신호의 유무 및 코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해진다.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the operating points after the third time, and when the car 1 passes each operating point, the presence or absence and the code of the signal output by the position detectors 8a to 8f are shown in FIG. It is decided.

신호 변환기(6)는 제1 위치 검출기(5a), 제2 위치 검출기(5b), 제3 위치 검출기(5c), 제4 위치 검출기(5d) 및 제5 위치 검출기(5e)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검출기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고, 도 4에 나타내는 변환 규칙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위치 검출기(5a)로부터의 신호를 위치 검출기(8a, 8c 및 8e)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 변환한다. The signal converter 6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ors including a first position detector 5a, a second position detector 5b, a third position detector 5c, a fourth position detector 5d and a fifth position detector 5e.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and the signal from the first position detector 5a is converted in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s 8a, 8c and 8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rule shown in FIG.

동일하게, 제2 위치 검출기(5a)로부터의 신호를 위치 검출기(8a, 8c 및 8f)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 변환하고, 제3 위치 검출기(5a)로부터의 신호를 위치 검출기(8a, 8d 및 8e)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 변환한다. Similarly, the signal from the second position detector 5a is converted in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s 8a, 8c and 8f, and the signal from the third position detector 5a is converted to the position detectors 8a, 8d and 8e. To the signal output from

제4 위치 검출기(5d) 이후에 대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The same holds true for the fourth position detector 5d and lat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이 작동점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어 장치에 대하여,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신호 변환기에 의해 소정의 변환을 행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신호수가 다른 종래의 위치 검출 방식에서 이용하고 있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for detecting that the car has reached the operating point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By outputting the signal which the predetermined conversion was performed by the signal converter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a car position det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control apparatus used by the conventional position detection system with a different signal number. It is possible.

특히, 이 신호 변환기가 행하는 소정의 변환을,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작동점끼리가 서로 구별 가능하게 되도록 소정의 코드화가 이루어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하고, 이 코드를 예를 들어 6자리수의 2진수로 나타내는 것에 의해, 작동점 즉 위치 검출기의 수가 증가해도 신호 변환기로부터 제어 장치로의 신호수는 6개로 고정되고, 작동점이 7개 이상으로 되어도 기존 6개의 신호를 이용하고 있던 제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determined conversion which this signal converter performs conver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into the signal which has been predetermined | prescribed so that operating points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converts this code, for example, into 6 digits. By using binary numbers, the number of signals from the signal converter to the control device is fixed to six even if the number of operating points, i.e., position detectors, is increased, and even if the number of operating points is seven or more, the control device using six signals can be used. hav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ar.

1 엘리베이터칸
2 플레이트
2a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
2b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
3 승강로벽
4a 제1 팔
4b 제2 팔
4c 제3 팔
4d 제4 팔
4e 제5 팔
5a 제1 위치 검출기
5b 제2 위치 검출기
5c 제3 위치 검출기
5d 제4 위치 검출기
5e 제5 위치 검출기
6 신호 변환기
1 elevator car
2 plates
2a High speed plate
2b low speed plate
3 hoistway walls
4a first arm
4b second arm
4c third arm
4d fourth arm
4e fifth arm
5a first position detector
5b second position detector
5c third position detector
5d fourth position detector
5e Fifth Position Detector
6 signal converter

Claims (5)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복수 단계의 위치인 작동점을 규정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비접촉적으로 맞물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방향을 따른 치수가 상기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와는 다른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저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된 저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했을 때에 상기 고속 주행시용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궤적 위를 따라서 배치된 고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
In the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ar which elevates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A plate provided in the car;
A plurality of positions which are arranged along a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plate passes when the car moves up and down, defining operating points which ar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tages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outputting a signal when the plates are engaged in a non-contact manner; With a detector,
The plate has a plate for low speed traveling, and a plate for high speed traveling whose dimension along the lifting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plate for low speed traveling,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ors include a low-speed traveling position detector disposed along a trajectory on which the low-speed traveling plate passes when the car moves up and down, and a trajectory of the high-speed traveling plate passing when the car moves up and down.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sition detector for high-speed driving arranged along the abov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는 상기 승강로의 종단 근방의 상기 작동점을 규정하고,
상기 고속 주행시용 위치 검출기는 상기 승강로의 중간부의 상기 작동점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detector for low speed travel defines the operating point near the end of the hoistway,
And said position detector for high speed travel defines said operating point in the middle of said hoistwa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작동점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소정의 변환을 행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신호 변환기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trol device for detecting that the car has reached the operating point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A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gnal converter for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conversion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to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기가 행하는 상기 소정의 변환은 상기 위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작동점끼리가 서로 구별 가능하게 되도록 소정의 코드화가 이루어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determined conversion performed by the signal converter is a conversion for conver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detector into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encoding so that the operating point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KR1020127000744A 2009-08-07 2009-08-07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KR1013104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4015 WO2011016133A1 (en) 2009-08-07 2009-08-07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14A KR20120027514A (en) 2012-03-21
KR101310454B1 true KR101310454B1 (en) 2013-09-24

Family

ID=4354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44A KR101310454B1 (en) 2009-08-07 2009-08-07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0215B2 (en)
KR (1) KR101310454B1 (en)
CN (1) CN102471018B (en)
WO (1) WO2011016133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67U (en) * 1991-08-06 1993-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position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49A (en) * 1992-06-04 1993-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JPH09240941A (en) * 1996-03-06 1997-09-16 Toshiba Fa Syst Eng Kk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device elevator car
JP2001316052A (en) * 2000-05-02 2001-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JP4177076B2 (en) * 2002-10-24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r position detector
CN1944213A (en) * 2006-10-31 2007-04-11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car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67U (en) * 1991-08-06 1993-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position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1018A (en) 2012-05-23
WO2011016133A1 (en) 2011-02-10
KR20120027514A (en) 2012-03-21
CN102471018B (en) 2014-06-18
JP5360215B2 (en) 2013-12-04
JPWO2011016133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6331B2 (e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a cage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cage posi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CN1136141C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KR101456112B1 (en) Speed and position detection system
US10040664B2 (en) Positioning apparatus, elevator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by using classified position identifiers
JP2006052092A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cage and c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JPWO2015040734A1 (en) Elevator apparatus and car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safety monitoring apparatus thereof
JPWO2011111096A1 (en) Elevator with safe position sensor
JP5345210B2 (en) Elevator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CN103391893B (en) Lift appliance
KR101310454B1 (en)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CN109476445B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6680179B2 (en) Elevator equipment
CN101896415A (en) Elevator device
JP664866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2068624A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elevator
CN1090149C (en) Elevator shuttle employing hirozontally transferred cab
KR20110086426A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KR102655591B1 (en) Carrier Collision Prevention System
WO2005082763A1 (en) Resin rope and elevator position sensor employing it
JP6841219B2 (en) Elevator equipment
JP6658450B2 (en) Elevator equipment
KR102265012B1 (en) Forced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ariable speed elevator
CN118666109A (en) Elevator device and car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JP2007191256A (en)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KR20060041155A (en) Resin rope and elev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