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63B1 -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 Google Patents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63B1
KR101309963B1 KR1020130074231A KR20130074231A KR101309963B1 KR 101309963 B1 KR101309963 B1 KR 101309963B1 KR 1020130074231 A KR1020130074231 A KR 1020130074231A KR 20130074231 A KR20130074231 A KR 20130074231A KR 101309963 B1 KR101309963 B1 KR 10130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heat exchange
refrigerant
separation
separa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규
윤인수
이영범
차규상
최성희
김동혁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u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re-liquefaction method for boil-off gas is provided to divide a main stream into a gas phase stream and a liquid phase stream using a distillation tower and collect the liquid phase stream from the main stream. CONSTITUTION: A re-liquefaction method for boil-off gas is as follows. A main stream is compressed. The compressed main stream is cooled. The cooled main stream is expanded. The main stream is divided into a first gas phase stream and a second liquid phase stream at a distillation tower (150). The first gas phase stream is cooled. The cooled first gas phase stream is divided into a third gas phase stream and a fourth liquid phase stream. The fourth liquid phase stream is supplied to the distillation tower.

Description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Reliquefaction method of evaporated gas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본 발명은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증발 가스로부터 보다 높은 회수율과 순도의 액상 스트림을 회수할 수 있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boil-off g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boil-off gas capable of recovering a liquid stream of higher recovery and purity from the boil-off gas.

천연가스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들은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천연가스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들은 액화 천연가스나 액화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저장 중에 외부의 열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저장 액체의 일부가 기화되는 증발 가스(Boil-Off Gas, BOG)가 발생한다. 그러나 증발 가스의 계속적인 발생은 저장 탱크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일정한 방법으로 증발 가스를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쉬운 방법은 증발 가스를 그대로 배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발 가스를 그대로 배기하는 것은 경제적인 이유나 환경적인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켜 다시 저장 탱크로 유입시키는 기술들이 현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Gases such as natural gas and carbon dioxide are usually liquefied and stored in storage tanks. That is, gases such as natural gas or carbon dioxide are generally stored in the form of liquefied natural gas or liquefied carbon dioxide. However, during such storage, a boil-off gas (BOG) is generated in which a part of the storage liquid is vaporized due to a cause such as external heat. However, the continuous generation of boil-off gas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storage tank, so it is necessary to treat the boil-off gas in some way. The easiest way is to exhaust the evaporated gas as it is. However, evacuating the evaporated gas as such is not preferable for economic or environmental reasons. Therefore, various techniques for re-liquefying the evaporated gas to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are currently being studied.

그런데 최근에 재액화 시스템의 구조나 운전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재액화 방법이 개시된 바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재액화 방법은 여러 장점에 불구하고 회수율과 순도가 낮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보다 높은 회수율과 순도로 증발 가스로부터 액상 스트림을 회수할 수 있는 재액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disclosed a reliquefaction method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liquefaction system (see Patent Document 1). However,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Patent Literature 1 has a problem of low recovery and purity despite various advantag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reliquefaction method capable of recovering the liquid stream from the evaporative gas with higher recovery rate and purity.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53103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153103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높은 회수율과 순도로 증발 가스로부터 액상 스트림을 회수할 수 있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the evaporated gas that can recover the liquid stream from the evaporated gas with a higher recovery rate and purity.

본 발명에 따른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은 기상에서 액상으로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 가스인 메인 스트림을 재액화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스트림을 압축하는 압축 단계, 압축 단계 이후에 메인 스트림을 냉각하는 제1 냉각 단계, 제1 냉각 단계 이후에 메인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1 팽창 단계, 제1 팽창 단계 이후에 메인 스트림을 증류탑에서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단계,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제1 스트림을 냉각하는 제2 냉각 단계, 제2 냉각 단계 이후에 제1 스트림을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단계, 및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제4 스트림을 증류탑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저장 탱크로 회수되고, 제3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외부로 배기된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evaporation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evaporation gas for liquefying the main stream, which is an evaporation gas generated from a storage liquid stored in a storage tank by liquefying into a liquid phase in a gaseous phase. Compression step, a first cooling step of cooling the main stream after the compression step, a firs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main stream after the first cooling step, and after the first expansion step, the main stream and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liquid stream into a second stream, a second cooling step of cooling the first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a second stream of gaseous third and liquid phase fourth streams after the second cooling step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into a stream, and a feeding step of feeding the fourth stream to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wherein the secon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The first being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separation step, the third stream is at least in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본 발명에 따른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은 증류탑을 이용하여 메인 스트림을 기상 부분과 액상 부분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매우 낮은 온도로 메인 스트림을 냉각하지 않더라도 보다 높은 회수율과 순도로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액상 스트림을 회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boil-off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main stream into a gaseous part and a liquid phase part using a distillation column, so that the liquid stream is recovered from the main stream with higher recovery rate and purity even without cooling the main stream at a very low temperature. The effect is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재액화 방법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6은 도 4의 재액화 방법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7은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8은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9는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1 is a flowchart show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8 is a flow chart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0.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기상에서 액상으로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 가스(메인 스트림)를 재액화하는 방법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저장 액체는 액화 천연가스나 액화 이산화탄소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이 액화 천연가스나 액화 이산화탄소의 재액화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an evaporated gas (main stream) generated from a storage liquid stored in a storage tank by liquefying to a liquid phase in a gaseous phase. Such storage liquids are typically liquefied natural gas or liquefied carbon dioxide. However,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applied only to the reliquefa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or liquefied carbon dioxide.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메인 스트림은 도관(211)을 통해 압축 수단(120)으로 유입되어 압축된다(압축 단계). 여기서 압축 수단(120)은 통상의 압축기(compressor)일 수 있으며, 또한 다단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도관(212)을 통해 냉각 수단(131)으로 유입되어 냉각된다(제1 냉각 단계). 여기서 냉각 수단(131)은 수랭식이나 공랭식의 냉각기(cooler)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다른 냉각 수단도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ly, the main stream enters the compression means 120 through the conduit 211 and is compressed (compression step). The compression means 120 here can be a conventional compressor, and can also be multistage. The main stream then enters and cools through the conduit 212 to the cooling means 131 (first cooling stage). Here, the cooling means 131 may be a water-cooled or air-cooled cooler. The same applies to other cooling means described later.

메인 스트림은 다음으로 팽창 수단(14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제1 팽창 단계). 이와 같은 팽창으로 메인 스트림은 저장 탱크(110)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팽창 수단(141)은 J-T(Joule-Thomson) 밸브일 수 있다. 일례로 팽창 수단(141)은 팽창 밸브(expansion valve)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다른 팽창 수단도 동일하다. J-T 밸브는 J-T 효과를 통해 스트림의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는 팽창 수단은 익스팬더(expander)일 수 있다. The main stream then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1 and expands (first expansion step). This expansion allows the main stream to have a pressure equal to the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110. The expansion means 141 may be a J-T (Joule-Thomson) valve. In one example, the expansion means 141 may be an expansion valve. The same is true for other expansion means described later. J-T valves can reduce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tream through the J-T effect. Or the expansion means may be an expander.

메인 스트림은 다음으로 증류탑(150, distillation column)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1 분리 단계). 증류탑은 일반적인 기액 분리기(vapor-liquid separator)보다 정밀하게 기상 물질과 액상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증류탑을 사용하면 보다 높은 회수율과 순도로 액상 스트림을 저장 탱크(110)로 회수할 수 있다. The main stream is then introduced into a distillation column 150 and separated into a first stream in the gas phase and a second stream in the liquid phase (first separation step). Distillation columns can separate gaseous and liquid materials more precisely than conventional vapor-liquid separators. Thus, the use of a distillation column can recover the liquid stream to the storage tank 110 with higher recovery and purity.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1 스트림은 도관(221)을 통해 냉각 수단(132)으로 유입되어 냉각된다(제2 냉각 단계). 그런 다음 제1 스트림은 도관(222)을 통해 분리 수단(161)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2 분리 단계). 여기서 분리 수단(161)은 통상의 기액 분리기(vapor-liquid separator)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다른 분리 수단(162)도 동일하다. 그리고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은 도관(231)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 The first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enters the cooling means 132 through the conduit 221 and is cooled (second cooling step). The first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1 through conduit 222 and is separated into a third stream in the gas phase and a four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second separation step). The separation means 161 may be a conventional vapor-liquid separator. The same is true of the other separating means 1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then returned to storage tank 110 via conduit 231.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3 스트림은 도관(24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배기를 통해 저장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4 스트림은 도관(251)을 통해 다시 증류탑(150)으로 공급된다(공급 단계). 이와 같이 제1 스트림을 냉각하고 이로부터 액상 부분을 분리하여 이를 다시 증류탑(150)을 공급하면, 보다 높은 순도로 액상 스트림을 저장 탱크(110)로 회수할 수 있다. 참고로, 제4 스트림을 증류탑(150)으로 압송(壓送)하기 위해 펌프(170)를 사용할 수도 있다. A third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conduit 241. Such exhaust can remove impurities from the storage liquid. And a fourth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is fed back 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via a conduit 251 (feed step). As such, when the first stream is cooled and the liquid phase is separated therefrom and the distillation column 150 is supplied again, the liquid stream may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110 with higher purity. For reference, a pump 170 may be used to pump the fourth stream in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증류탑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메인 스트림(증발 가스)으로부터 보다 높은 회수율로 액상 스트림을 회수하려면, 일반적으로 메인 스트림을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냉각하려면, 재액화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재액화 시스템의 운전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과 같이 증류탑을 이용하면 메인 스트림을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하지 않더라도 회수율과 순도를 높일 수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asically uses a distillation column as described above. To recover the liquid stream with a higher recovery rate from the main stream (evaporation gas), the main stream generally needs to be cooled to very low temperatures. However, this cooling cause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reliquefaction system becomes complicated or the operation of the reliquefaction system becomes difficult. However, if the distillation column is used as in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overy rate and purity can be increased without cooling the main stream to a very low temperature.

참고를 위해 앞서 살펴본 도관들은 도면부호에 따라 서로 다른 도관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같은 도관일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힌다. 즉, 1개의 도관이더라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2개의 도관이더라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도 있다. Note that the conduits discussed above for reference may be different conduits or may be the same conduits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That is, even one conduit may be given two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ernatively, two conduits may be provided with one reference numera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한편, 도 1의 재액화 방법은 도 2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저장 탱크(110)로 바로 회수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일단 팽창 수단(14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이와 같은 팽창으로 제2 스트림은 저장 탱크(110)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변형예에서 메인 스트림은 팽창 수단(141)에서 저장 탱크(110)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팽창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2.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 As shown in FIG. 2,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is not returned directly to the storage tank 110. That is,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once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2 and expands. This expansion allows the second stream to have a pressure equal to the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110.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main stream may be expanded at a pressure higher than that of the storage tank 110 in the expansion means 141.

제2 스트림은 다음으로 도관(2311)을 통해 분리 수단(162)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분리 수단(162)은 통상의 기액 분리기일 수 있다.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5 스트림은 제3 스트림과 함께 외부로 배기된다. 이를 위해 제5 스트림을 제3 스트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혼입은 1개의 도관(2312)을 다른 1개의 도관(241)에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혼입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3 스트림은 혼입 전에 팽창 수단(14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6 스트림은 도관(2313)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 The second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2 via conduit 2311 and is separated into a fifth stream of gaseous phase and a sixth stream of liquid phase. The separating means 162 may be a conventional gas-liquid separator. The fif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third stream. To this end, the fifth stream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third stream. Such incorporation may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one conduit 2312 to the other conduit 241. Alternativel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incorporation may be employed. The third stream may then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means 143 before incorporation. The six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is then returned to storage tank 110 through conduit 2313.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메인 스트림을 일차적으로 팽창 수단(141)을 통해 팽창한 다음에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을 이차적으로 팽창 수단(142)을 통해 팽창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면 보다 높은 순도로 액상 스트림을 저장 탱크(110)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냉각 수단(132)보다 본 변형예의 냉각 수단(132)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제1 스트림을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보다 유용하다.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varia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tream is first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1 and then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secondly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2. . By expanding the stream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liquid stream to the storage tank 110 with higher purity. It is also economically more useful because the cooling means 132 of this variant can cool the first stream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cooling means 132 of the first embodiment.

그런데 도 2의 재액화 방법은 도 3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제5 스트림은 외부로 배기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에서 제5 스트림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메인 스트림에 혼입된 다음에 압축 수단(120)에서 메인 스트림과 함께 압축된다. 이와 같은 혼입은 1개의 도관(2314)을 다른 1개의 도관(211)에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혼입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스트림과 제5 스트림이 각각 압축 수단(120)으로 유입된 다음에 압축 수단(120)에서 혼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5 스트림을 다시 압축 수단(120)으로 공급하면 그대로 배기하는 것보다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2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3.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2.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fifth stream is not exhaust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fifth stream is mixed with the main stream as shown in FIG. 3 and then compressed together with the main stream by the compression means 120. Such incorporation may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one conduit 2314 to the other conduit 211. Alternativel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incorporation may be employed. Alternatively, the main stream and the fifth stream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ion means 120 and then mixed in the compression means 120. In this way, when the fifth stream is su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120 again, the recovery rate can be increased rather than being exhausted as it is.

실시예Example 2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with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인 스트림은 도관(311)을 통해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유입된다(제1 유입 단계). 제1 열교환 영역(181)에서 메인 스트림은 도관(314)을 통해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유입되는 메인 스트림을 냉각한다.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된 메인 스트림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진다. 제1 열교환 영역(181)은 이와 같이 낮은 온도를 가지는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냉열을 회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Hereinafter,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the main stream enters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via conduit 311 (first inlet stage). In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the main stream cools the main stream entering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through the conduit 314. The main stream generated from the storage liquid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is provided for recovering cold heat from the main stream having such a low temperature.

메인 스트림은 다음으로 도관(312)을 통해 압축 수단(120)으로 유입되어 압축된다(압축 단계).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도관(313)을 통해 냉각 수단(131)으로 유입되어 냉각된다. 다만, 이와 같은 냉각 수단(131)이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냉각 수단(131)에 의한 냉각을 제1 열교환 영역(181)에 의한 냉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냉각 수단(131)에 의한 냉각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The main stream then enters the compression means 120 through the conduit 312 and is compressed (compression step). The main stream then enters and cools the cooling means 131 through the conduit 313. However, such cooling means 13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In some cases, cooling by the cooling means 131 may be replaced by cooling by the first heat exchange region 181. Or in some cases, cooling by the cooling means 131 may be unnecessary.

메인 스트림은 다음으로 도관(314)을 통해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다시 유입된다(제2 유입 단계). 제1 열교환 영역(181)에서 메인 스트림은 도관(311)을 통해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유입되는 메인 스트림에 의해 냉각된다.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팽창 수단(14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제1 팽창 단계). 이와 같은 팽창으로 메인 스트림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증류탑(150)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1 분리 단계). The main stream then flows back through the conduit 314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second inlet stage). In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the main stream is cooled by the main stream entering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through the conduit 311. The main stream then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1 and expands (first expansion step). This expansion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main stream. Then, the main stream enters the distillation column 150 and is separated into a gaseous first stream and a liquid phase second stream (first separation step).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1 스트림은 도관(321)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된다(제3 유입 단계). 이때 제2 열교환 영역(182)은 제1 열교환 영역(181)과 물리적으로 구별된다. 제2 열교환 영역(182)에서 제1 스트림은 도관(341)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는 제3 스트림에 의해 냉각된다. 그런 다음 제1 스트림은 도관(322)을 통해 분리 수단(161)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2 분리 단계). 그리고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은 도관(331)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 The first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enters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via conduit 321 (third inflow step). In this case, the second heat exchange region 182 is physically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region 181.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e first stream is cooled by a third stream enter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rough the conduit 341. The first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1 via conduit 322 and is separated into a third stream in the gas phase and a four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second separation step).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then returned to storage tank 110 via conduit 331.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3 스트림은 팽창 수단(144)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다음에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된다(제4 유입 단계). 제3 스트림은 팽창 수단(144)에 의한 팽창으로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열교환 영역(182)에서 제3 스트림은 도관(321)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는 제1 스트림을 냉각한다. 그런 다음 제3 스트림은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부터 배출되어 도관(342)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4 스트림은 도관(351)을 통해 다시 증류탑(150)으로 공급된다(공급 단계). A third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enters and expands into expansion means 144 and then enters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fourth inflow step). The third stream may be lowered in temperature by expansion by the expansion means 144.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e third stream cools the first stream enter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rough the conduit 321. The third stream then exits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and is exhausted outward through the conduit 342. And the fourth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is fed back 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through the conduit 351 (feed step).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개의 열교환 영역(181, 182)을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제1 열교환 영역(181)은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된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냉열을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 열교환 영역(182)은 제3 스트림으로부터 냉열을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이와 같이 냉열을 회수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heat exchange zones 181 and 182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first heat exchange region 181 serves to recover the cold heat from the main stream generated from the storage liquid,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region 182 serves to recover the cold heat from the third stream.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by recovering the cold heat as described above.

참고로, 앞서 살펴본 열교환 영역들은 2개의 열교환 수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 수단은 통상의 열교환기(heat exchanger)일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heat exchange region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wo heat exchange means, respectively. The heat exchange means here can be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한편, 도 4의 재액화 방법은 도 5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재액화 방법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저장 탱크(110)로 바로 회수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일단 팽창 수단(14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이와 같은 팽창으로 제2 스트림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스트림은 도관(3311)을 통해 분리 수단(162)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Meanwhile,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4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5.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4. As shown in FIG. 5,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is not returned directly to the storage tank 110. That is,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once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2 and expands. This expansion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tream. The second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2 via conduit 3311 to separate the fifth stream in the gas phase and the six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5 스트림은 팽창 수단(145)에 의해 팽창된 다음에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된다. 제5 스트림은 팽창으로 인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제2 열교환 영역(182)에서 제5 스트림은 도관(321)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는 제1 스트림을 냉각한다. 그런 다음 제5 스트림은 도관(331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제5 스트림은 제3 스트림과 함께 배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 스트림에 제3 스트림을 혼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혼입은 1개의 도관(3421)을 다른 1개의 도관(3313)에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혼입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3 스트림에 제5 스트림을 혼입시킬 수도 있다.The fif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is expanded by the expansion means 145 and then enters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e fifth stream may be lowered in temperature due to expansion.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e fifth stream cools the first stream enter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rough the conduit 321. The fifth stream is then exhausted outward through conduit 3313. In this case, the fifth stream may be exhausted together with the third stream. To this end, the third stream may be mixed into the fifth stream. Such incorporation may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one conduit 341 to the other conduit 3313. Alternativel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incorporation may be employed. On the contrary, the fifth stream may be mixed in the third stream.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메인 스트림을 일차적으로 팽창 수단(141)을 통해 팽창한 다음에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을 이차적으로 팽창 수단(142)을 통해 팽창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면 보다 높은 순도로 액상 스트림을 저장 탱크(110)로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제2 열교환 영역(182)에서 제5 스트림으로부터 냉열을 회수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varia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tream is first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1 and then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secondly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2. . By expanding the stream in stag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quid stream can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110 with higher purity. In addition,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recovers cold heat from the fifth stream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erefore,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is excellent.

도 4의 재액화 방법은 또한 도 6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4의 재액화 방법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별도의 폐 루프 냉동 사이클(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을 이용하여 제2 열교환 영역(182)에서 제1 스트림을 추가적으로 냉각한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4 may also be modified as in FIG. 6.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4. As shown in FIG. 6,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further cools the first stream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using a separat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보다 구체적으로 폐 루프 냉동 사이클에 대해 설명한다. 냉매는 우선 도관(381)을 통해 압축 수단(128)으로 유입되어 압축된다. 여기서 냉매는 단일 냉매(pure refrigerant 또는 single-component refrigerant)이거나 혼합 냉매(mixed refrigerant 또는 multi-component Refrigerant)일 수 있다. 그리고 압축 수단(128)은 통상의 압축기일 수 있으며, 또한 다단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냉매는 도관(382)을 통해 냉각 수단(138)으로 유입되어 냉각된다. 여기서 냉각 수단(138)은 수랭식이나 공랭식의 냉각기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will be described. The refrigerant first enters the compression means 128 through the conduit 381 and is compressed. The refrigerant may be a pure refrigerant or a single-component refrigerant or a mixed refrigerant or a multi-component refrigerant. And the compression means 128 may be a conventional compressor, and may also be multistage. The refrigerant then enters and cools the cooling means 138 through conduits 382. Here, the cooling means 138 may be a water-cooled or air-cooled cooler.

냉매는 다음으로 도관(383)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된다. 그런 다음 냉매는 팽창 밸브(148)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이와 같은 팽창으로 인해 냉매는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그런 다음 냉매는 다시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어 도관(321)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는 제1 스트림을 냉각한다. 이때 냉매는 도관(383)을 통해 제2 열교환 영역(182)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냉각할 수도 있다. The refrigerant then flows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rough conduits 383. The refrigerant then enters and expands to expansion valve 148. This expansion can cause the refrigerant to cool down. The refrigerant then flows back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o cool the first stream enter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182 through the conduit 321.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may cool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region 182 through the conduit 383.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별도의 폐 루프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제1 스트림을 더욱 냉각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림을 더욱 냉각하면 결과적으로 증류탑(150)으로 공급되는 제4 스트림의 온도를 더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스트림의 온도를 더 낮추면, 증류탑에서 더욱 정밀하게 기상 물질과 액상 물질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수율과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reliquef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varian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oling the first stream using a separat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As such, further cooling the first stream may furthe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fourth stream supplied 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In this way, if the temperature of the fourth stream is further lowered, the gaseous substance and the liquid substance can be separated more precisely in the distillation column,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and purity.

그런데 도 6의 재액화 방법은 도 7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일단 팽창 수단(14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이와 같은 팽창으로 제2 스트림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스트림은 도관(3311)을 통해 분리 수단(162)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However,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7.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As shown in FIG. 7,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once enters and expands to expansion means 142. This expansion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tream. The second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2 via conduit 3311 to separate the fifth stream in the gas phase and the six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5 스트림은 메인 스트림에 혼입된 다음에 메인 스트림과 함께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혼입은 1개의 도관(3315)을 다른 1개의 도관(311)에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혼입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5 스트림을 다시 제1 열교환 영역(181)으로 유입시키면 회수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제6 스트림은 도관(3314)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The fif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enters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181 along with the main stream after being incorporated into the main stream. Such incorporation may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one conduit 3315 to the other conduit 311. Alternativel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incorporation may be employed. As such, when the fifth stream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region 181, the recovery rate may be further increased. Alternatively, the sixth stream is recovered to storage tank 110 through conduit 3314.

또한 도 6의 재액화 방법은 도 8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를 팽창하기 위해 터보 익스팬더(149)를 이용한다. 냉동 사이클이 질소와 같은 냉매를 이용하여 기체 사이클을 형성하는 경우 터보 익스팬더(149)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8.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As shown in FIG. 8,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uses the turbo expander 149 to expand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ion cycle.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urbo expander 149 when the refrigeration cycle uses a refrigerant such as nitrogen to form a gas cycle.

더욱이 도 6의 재액화 방법은 도 9와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6의 재액화 방법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기본적으로 도 7의 재액화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도 7의 재액화 방법은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의 팽창을 위해 팽창 밸브(148)를 사용하는데 반해, 도 8의 재액화 방법은 냉매의 팽창을 위해 터보 익스팬더(149)를 사용한다. Furthermore,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9.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6. As shown in FIG. 9,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7. However,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7 uses the expansion valve 148 to expand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ion cycle, whereas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8 uses the turbo expander 149 to expand the refrigerant.

실시예Example 3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with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인 스트림은 도관(41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된다(제1 유입 단계).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도관(412)을 통해 압축 수단(120)으로 유입되어 압축된다(압축 단계).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도관(413)을 통해 냉각 수단(131)으로 유입되어 냉각된다. 다만, 이와 같은 냉각 수단(131)이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냉각 수단(131)에 의한 냉각을 열교환 영역(180)에 의한 냉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냉각 수단(131)에 의한 냉각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Hereinafter,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First the main stream enters the heat exchange zone 180 via conduit 411 (first inlet stage). The main stream then enters compression means 120 through conduit 412 and is compressed (compression step). The main stream then enters and cools the cooling means 131 through the conduit 413. However, such cooling means 13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In some cases, cooling by the cooling means 131 may be replaced by cooling by the heat exchange area 180. Or in some cases, cooling by the cooling means 131 may be unnecessary.

메인 스트림은 다음으로 도관(414)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다시 유입된다(제2 유입 단계).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팽창 수단(14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제1 팽창 단계). 이와 같은 팽창으로 메인 스트림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메인 스트림은 증류탑(150)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1 분리 단계). The main stream then flows back through the conduit 414 into the heat exchange zone 180 (second inlet stage). The main stream then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1 and expands (first expansion step). This expansion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main stream. Then, the main stream enters the distillation column 150 and is separated into a gaseous first stream and a liquid phase second stream (first separation step).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1 스트림은 도관(42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된다(제3 유입 단계). 그런 다음 제1 스트림은 도관(422)을 통해 분리 수단(161)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된다(제2 분리 단계). 그리고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은 도관(431)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 The first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enters the heat exchange zone 180 via conduit 421 (third inflow step). The first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1 via conduit 422 and is separated into a third stream in the gas phase and a four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second separation step).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then returned to storage tank 110 through conduit 431.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3 스트림은 팽창 수단(144)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다음에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된다(제4 유입 단계). 제3 스트림은 팽창 수단(144)에 의한 팽창으로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 스트림은 열교환 영역(180)으로부터 배출되어 도관(442)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제1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4 스트림은 도관(451)을 통해 다시 증류탑(150)으로 공급된다(공급 단계). The third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4 and expands and then enters the heat exchange zone 180 (fourth inflow step). The third stream may be lowered in temperature by expansion by the expansion means 144. The third stream then exits the heat exchange zone 180 and is exhausted outward through conduit 442. And a fourth str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ream is fed back 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via a conduit 451 (feed step).

참고로, 도관(41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메인 스트림과 도관(44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제3 스트림은, 도관(414)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메인 스트림과 도관(42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제1 스트림을 냉각한다.For reference, the main stream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region 180 through the conduit 411 and the third stream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region 180 through the conduit 441 may be the heat exchange region 180 through the conduit 414. The first stream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zone 180 is cooled through the main stream and the conduit 421 introduc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실시예 2에 따른 재액화 방법과 대비하여 1개의 열교환 영역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열교환 영역을 이용하면 메인 스트림의 낮은 온도를 통해 제1 스트림도 냉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도관(41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메인 스트림을 이용하여 도관(421)을 통해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되는 제1 스트림도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은 결과적으로 증류탑(150)으로 공급되는 제4 스트림의 온도를 더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스트림의 온도를 더 낮추면, 증류탑에서 더욱 정밀하게 기상 물질과 액상 물질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수율과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heat exchange area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us, using one heat exchange zone has the advantage of cooling the first stream through the low temperature of the main stream. That is, the first stream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region 180 through the conduit 421 may also be cooled by using the main stream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region 180 through the conduit 411. Such cooling may furthe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fourth stream fed to the distillation column 150. In this way, if the temperature of the fourth stream is further lowered, the gaseous substance and the liquid substance can be separated more precisely in the distillation column,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and purity.

한편, 도 10의 재액화 방법은 도 11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10의 재액화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저장 탱크(110)로 바로 회수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에서 제2 스트림은 일단 팽창 수단(14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이러한 팽창으로 제2 스트림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스트림은 분리 수단(162)으로 유입되어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Meanwhile,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0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11.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reliquefaction method of FIG. 10. As shown in FIG. 11,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is not returned directly to the storage tank 110. That is, in this variant, the second stream once enters the expansion means 142 and expands. This expansion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tream. The second stream then enters separation means 162 to separate the fifth stream in the gas phase and the sixth stream in the liquid phase.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5 스트림은 팽창 수단(145)에 의해 팽창된 다음에 열교환 영역(180)으로 유입된다. 그런 다음 제5 스트림은 도관(431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제5 스트림은 제3 스트림과 함께 배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 스트림을 제3 스트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혼입은 1개의 도관(4313)을 다른 1개의 도관(4421)에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혼입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5 스트림에 제3 스트림을 혼입시킬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6 스트림은 도관(4314)을 통해 저장 탱크(110)로 회수된다. The fif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is expanded by expansion means 145 and then enters heat exchange zone 180. The fifth stream is then exhausted outward through conduit 4313. In this case, the fifth stream may be exhausted together with the third stream. To this end, the fifth stream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third stream. Such incorporation may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one conduit 4313 to the other conduit 4421. Alternativel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incorporation may be employed. On the contrary, the third stream may be mixed in the fifth stream. Alternatively, the sixth stream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eam is recovered to storage tank 110 through conduit 4314.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메인 스트림을 일차적으로 팽창 수단(141)을 통해 팽창한 다음에 메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제2 스트림을 이차적으로 팽창 수단(142)을 통해 팽창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면 보다 높은 순도로 액상 스트림을 저장 탱크(110)로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열교환 영역(180)에서 제5 스트림으로부터 냉열을 회수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재액화 방법은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varia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tream is first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1 and then the second stream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is secondly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means 142. . By expanding the stream in stag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quid stream can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110 with higher purity. In addition,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recovers cold heat from the fifth stream in the heat exchange zone 180. Therefore, the reliquef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is excellent.

120: 압축 수단 131, 132: 냉각 수단
141, 142, 143, 144, 145: 팽창 수단
150: 증류탑 161, 162: 분리 수단
180, 181, 182: 열교환 영역
120: compression means 131, 132: cooling means
141, 142, 143, 144, 145: expansion means
150: distillation column 161, 162: separation means
180, 181, 182: heat exchange zone

Claims (12)

기상에서 액상으로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 가스인 메인 스트림을 재액화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트림을 압축하는 압축 단계;
상기 압축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냉각하는 제1 냉각 단계;
상기 제1 냉각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1 팽창 단계;
상기 제1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증류탑에서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단계;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스트림을 냉각하는 제2 냉각 단계;
상기 제2 냉각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스트림을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단계; 및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4 스트림을 상기 증류탑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고, 상기 제3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an evaporated gas for liquefying a main stream, which is an evaporated gas generated from a storage liquid stored in a storage tank by liquefying to a liquid phase in a gaseous phase,
Compressing the main stream;
A first cooling step of cooling the main stream after the compression step;
A firs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main stream after the first cooling step;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main stream into a gaseous first stream and a liquid phase second stream in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first expansion step;
A second cooling step of cooling the first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stream into a gaseous third stream and a liquid fourth stream after the second cooling step; And
A feed step of feeding the fourth stream to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Wherein the secon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thir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exhausted to the outside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및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스트림과 함께 외부로 배기되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More,
The fifth stream is evacuated with the third stream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and the sixth stream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및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에 혼입되어 상기 메인 스트림과 함께 상기 압축 단계로 보내지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More,
The fifth stream is mixed into the main stream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and sent to the compression step together with the main stream, and the sixth stream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A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evaporated gas to be.
기상에서 액상으로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 가스인 메인 스트림을 재액화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트림을 제1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 단계;
상기 제1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메인 스트림을 압축하는 압축 단계;
상기 압축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제2 유입 단계;
상기 제2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메인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1 팽창 단계;
상기 제1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증류탑에서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단계;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스트림을 상기 제1 열교환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3 유입 단계;
상기 제3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제1 스트림을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단계;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스트림을 팽창시키고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4 유입 단계; 및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4 스트림을 상기 증류탑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고, 상기 제3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an evaporated gas for liquefying a main stream, which is an evaporated gas generated from a storage liquid stored in a storage tank by liquefying to a liquid phase in a gaseous phase,
A first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main stream into a first heat exchange region;
Compressing the main stream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irst inlet step;
A second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main stream back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compression step;
A firs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main stream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second inflow step;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main stream into a gaseous first stream and a liquid phase second stream in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first expansion step;
A third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first stream into a second heat exchange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stream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third inflow step into a gaseous third stream and a liquid phase fourth stream;
A fourth inflow step of expanding the third stream and introduc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And
A feed step of feeding the fourth stream to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The secon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thir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ourth inflow step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A method for reliquefying an evaporated ga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 및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5 스트림을 팽창시키고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5 유입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5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스트림과 함께 외부로 배기되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And a fifth inflow step of expanding the fifth stream and introducing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The fifth stream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ifth inflow stage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third stream, and the sixth stream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age. A method for reliquefying an evaporated ga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4에 있어서,
별도의 폐 루프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을 추가적으로 냉각하는 추가 냉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nd further cooling the first stream further in the second heat exchange zone by using a separat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 루프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 단계, 상기 냉매 압축 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1 냉매 유입 단계, 상기 제1 냉매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하는 냉매 팽창 단계, 및 상기 냉매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제2 냉매 유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냉매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냉매 압축 단계로 다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may include a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a first refrigerant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and a second heat exchange after the first refrigerant inflow step A refrigeran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region through an expansion valve, and a second refrigerant introduction step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back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region after the refrigerant expansion step,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second refrigerant inflow step and sent back to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및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에 혼입되어 상기 메인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제1 유입 단계로 보내지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More,
The fifth stream is mixed into the main stream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and sent to the first inlet step together with the main stream, and the sixth stream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boil-off ga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 루프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 단계, 상기 냉매 압축 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1 냉매 유입 단계, 상기 제1 냉매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터보 익스팬더를 통해 팽창하는 냉매 팽창 단계, 및 상기 냉매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제2 냉매 유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냉매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냉매 압축 단계로 다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may include a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a first refrigerant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and a second heat exchange after the first refrigerant inflow step A refrigeran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a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region through a turbo expander, and a second refrigerant introduction step of introducing the refrigerant back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refrigerant expansion step,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second refrigerant inflow step and sent back to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tep.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및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에 혼입되어 상기 메인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제1 유입 단계로 보내지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More,
The fifth stream is mixed into the main stream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and sent to the first inlet step together with the main stream, and the sixth stream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boil-off gas, characterized in that.
기상에서 액상으로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저장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증발 가스인 메인 스트림을 재액화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트림을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 단계;
상기 제1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메인 스트림을 압축하는 압축 단계;
상기 압축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제2 유입 단계;
상기 제2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메인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1 팽창 단계;
상기 제1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스트림을 증류탑에서 기상의 제1 스트림과 액상의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단계;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스트림을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3 유입 단계;
상기 제3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제1 스트림을 기상의 제3 스트림과 액상의 제4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단계;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스트림을 팽창시키고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4 유입 단계; 및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4 스트림을 상기 증류탑으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고, 상기 제3 스트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A method of reliquefaction of an evaporated gas for liquefying a main stream, which is an evaporated gas generated from a storage liquid stored in a storage tank by liquefying to a liquid phase in a gaseous phase,
A first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main stream into a heat exchange zone;
Compressing the main stream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irst inlet step;
A second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main stream back into the heat exchange area after the compression step;
A first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main stream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second inflow step;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main stream into a gaseous first stream and a liquid phase second stream in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first expansion step;
A third inflow step of introducing the first stream into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stream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third inflow step into a gaseous third stream and a liquid phase fourth stream;
A fourth inlet step of expanding the third stream and introducing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And
A feed step of feeding the fourth stream to the distillation column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The secon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third stream is at least partially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ourth inflow step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evaporated ga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팽창하는 제2 팽창 단계, 상기 제2 팽창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트림을 기상의 제5 스트림과 액상의 제6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3 분리 단계, 및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제5 스트림을 팽창시키고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제5 유입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스트림은 상기 제5 유입 단계 이후에 상기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스트림과 함께 외부로 배기되고, 상기 제6 스트림은 상기 제3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 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second expansion step of expanding the second stream after the first separation step, a thir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stream into a fifth gaseous stream and a sixth liquid stream after the second expansion step; And a fifth inflow step of expanding the fifth stream and introducing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ep.
The fifth stream is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zone after the fifth inflow stage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third stream, and the sixth stream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after the third separation stage. Reliquefaction method of the evaporated gas.
KR1020130074231A 2013-06-27 2013-06-27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KR101309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31A KR101309963B1 (en) 2013-06-27 2013-06-27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31A KR101309963B1 (en) 2013-06-27 2013-06-27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963B1 true KR101309963B1 (en) 2013-09-17

Family

ID=4945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231A KR101309963B1 (en) 2013-06-27 2013-06-27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6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2B1 (en) * 2014-02-18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oil off gas reliquefaction apparatus
KR20150108338A (en) * 2015-09-04 2015-09-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KR20160003474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uel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60003473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and lng bog reliquefaction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60003475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uel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90108848A (en) * 2018-03-15 2019-09-2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892B1 (en) 2010-04-30 2011-01-20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KR101153103B1 (en) 2011-10-11 2012-06-04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Carbon dioxide re-liquefac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892B1 (en) 2010-04-30 2011-01-20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KR101153103B1 (en) 2011-10-11 2012-06-04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Carbon dioxide re-liquefaction proces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2B1 (en) * 2014-02-18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oil off gas reliquefaction apparatus
KR20160003474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uel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60003473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and lng bog reliquefaction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60003475A (en)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uel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turbo charger
KR20150108338A (en) * 2015-09-04 2015-09-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KR102088543B1 (en) * 2015-09-04 2020-03-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KR20190108848A (en) * 2018-03-15 2019-09-2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KR102442211B1 (en) * 2018-03-15 2022-09-13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Gas Treatment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025B1 (en) Re-liquefaction process for storing gas
KR101309963B1 (en) Re-liquefaction process for bog
KR101827100B1 (en) Integrated methane refrigeration system for liquefying natural gas
US11340012B2 (en) Low-temperature mixed-refrigerant for hydrogen precooling in large scale
KR101242949B1 (en) Carbon dioxide re-liquefaction process
US6427483B1 (en) Cryogenic industrial gas refrigeration system
KR101153103B1 (en) Carbon dioxide re-liquefaction process
TW201213692A (en) Integrated liquid storage
KR101831177B1 (en) Vessel Including Engines
JP2016522378A (en) Integrated cascade process for vaporization and recovery of residual LNG in floating tank applications
US20230332833A1 (en) Process for Producing Liquefied Hydrogen
KR101788756B1 (en) Vessel Including Engines
US20230119575A1 (en) Facility and method for hydrogen refrigeration
EP34790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efied natural gas
KR101630518B1 (en)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KR101724226B1 (en)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US10612842B2 (en) LNG integration with cryogenic unit
US114602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efied natural gas
US20180142949A1 (en) Partial open-loop nitrogen refrige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an oil or gas production operation
KR101675878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iquefying BOG
JP5615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efying hydrocarbon streams
KR101775048B1 (en) Vessel Including Engines
AU2016250109B2 (en) Fac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id helium
KR101620182B1 (en)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RU2797608C1 (en) Natural gas liquefaction method “arctic mi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