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869B1 -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 Google Patents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869B1
KR101309869B1 KR1020110111829A KR20110111829A KR101309869B1 KR 101309869 B1 KR101309869 B1 KR 101309869B1 KR 1020110111829 A KR1020110111829 A KR 1020110111829A KR 20110111829 A KR20110111829 A KR 20110111829A KR 101309869 B1 KR101309869 B1 KR 10130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mount
packet
ethernet
wai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7052A (en
Inventor
이성근
문병대
김용수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869B1/en
Publication of KR2013004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Abstract

본 발명은 이더넷 모드 변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 모드 변환 방법은 활성화 모드에서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대기 중에 수신된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보다 커지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중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된 패킷의 양과 상기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이더넷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더넷에서 크로스 레이어(Cross-layer)기법을 이용하여 TCP의 성능을 최적화하면서 이더넷 링크의 에너지 효율 및 전송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thernet mode convers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ergy efficient Ethernet mode conversion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waiting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is completed in the activation mode, and using the received packet when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greater than the maximum receiving amount. Calculating a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amount of received packets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with the calculated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and switching an Ethernet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and transmission efficiency of an Ethernet link while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TCP using a cross-layer technique in Ethernet.

Description

이더넷 LPI 모드 전환 방법{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How to switch Ethernet LPI mode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본 발명은 이더넷 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의 LPI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thernet m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witching LPI mode of energy-efficient Ethernet.

이더넷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킹 기술로, 다수의 PC,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탑 그리고 서버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킹 기술이다. 이러한 이더넷은 일반 가정 및 상업 지구에서 매우 넓게 사용되며, 전 세계에 가장 널리 배치되어 사용되는 가입자망 네트워킹 기술이다. Ethernet is the most commonly used networking technology in local area networks (LANs) and is a networking technology that operates on a network that connects multiple PCs, such as laptops, desktops, and server computers. Ethernet is widely used in homes and commercial districts and is the most widely deployed subscriber network networking technology in the world.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은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때에도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정렬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휴(Idle)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카드의 대다수 컴포넌트들이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며, 매년 약 6 TWh(Tera Watt hours)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This network environment continuously transmits idle signals to maintain alignment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even when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so most components of the network card are always active and consume unnecessary power. It is observed to consume about 6 TWh (Tera Watt hours) power.

이러한 이유에서, IT 장비, 예를 들어 PC,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서버,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에 따른 상응하는 비용을 다루기 위해 IEEE 802.3az 워킹 그룹에서 에너지 효율적 솔루션(Energy Efficient Ethernet)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IEEE 832.3az 워킹 그룹에서는 LPI(Low Power Idle) 모드를 근간으로 하는 표준안을 채택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 계층의 세부 동작에 대해 규격을 정하였다. For this reason, the IEEE 802.3az Working Group has standardized on energy efficient solutions to address the corresponding costs of using IT equipment such as PCs, display devices, printers, servers, and network equipment. As a result, the IEEE 832.3az Working Group adopted the standard based on the Low Power Idle (LPI) mode and specified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hysical layer to support it.

하지만, LPI Client 부계층의 세부 동작에 대해서는 명시하지 않아 최적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중요 이슈로 부각되었다.
Howev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LPI Client sublayer is not specified, and research on the optimal mechanism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킷의 유/무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cket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은, 활성화 모드에서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대기 중에 수신된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보다 커지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중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된 패킷의 양과 상기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이더넷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waiting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in the activation mode,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during the waiting maximum Calculating a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using the received packet when the amount is larger than the received amount, comparing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with the calculated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and comparing the result The method may include switching a mode of Ethernet.

상기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수신된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보다 커질 때까지의 혼잡 윈도우를 계산하고, 상기 혼잡 윈도우를 이용하여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며, 상기 혼잡 윈도우는 수신단으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프레임일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prediction packet reception amount may include calculating a congestion window until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greater than a maximum reception amount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and calculating the prediction packet reception amount using the congestion window. The congestion window may be a fram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packets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상기 이더넷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커질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of the Ethernet may be switched to the activation mode when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larger than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before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상기 이더넷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작고, 상기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the mode switching of the Ethernet, the amount of received packets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predicted packet receiving amount, and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the mode may be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을 사용하면, 이더넷에서 크로스 레이어(Cross-layer)기법을 이용하여 TCP의 성능을 최적화하면서 이더넷 링크의 에너지 효율 및 전송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By using the 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and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Ethernet link while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TCP using a cross-layer technique in Ethernet.

도 1은 LPI(Low Power Idle) 모드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는 RS계층과 LPI Client 부계층간의 인터페이스와 LPI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계층의 세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슬로우 스타트와 혼잡 회피의 혼잡 윈도우 크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LPI Client 와 TCP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equence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low power idle mode (LPI).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hysical layer to support the interface between the RS layer and the LPI client sublayer and LPI mode.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congestion window size of slow start and congestion avoidan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between an LPI client and a TCP layer.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thernet mode switch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에너지 효율적 이더넷(energy efficient ethernet: EEE)을 행하기 위한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도면들과 연계되어 실질적으로 보여지거나 설명될 것이며, 청구범위에서 좀 더 완전하게 전개될 것이다.An 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for performing energy efficient ethernet (EEE) will be substantially shown or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gures and will be more fully developed in the claims.

이더넷은 다양한 환경들(예컨대, 트위스트 페어, 백플레인 등)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점차로 설득력이 있는 기술이 되어 가고 있다. IEEE 802.3az 에너지 효율적 이더넷은 저 링크 사용(low link utilization)의 기간 동안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평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요구에서의 변화들에 따라 저전력 소비 모드들로부터/로의 전환을 수월하게 하는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다.Ethernet is being appli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eg, twisted pairs, backplanes, etc.) and is becoming an increasingly compelling technology. IEEE 802.3az Energy Efficient Ethernet evaluates various ways to reduce energy used during periods of low link utilization. In this process, a protocol may be defined that facilitates the transition from / to low power consumption modes according to changes in network requirements.

LPI(Low Power Idle)는 송신하지 않을 때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지한다. 에너지는 링크가 오프(off)되어 있을 때 그에 의해 절약된다.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리프레시 신호들이 주기적으로 보내질 수 있다. Low Power Idle (LPI) relies on switching from active mode to inactive mode when not transmitting. Energy is thereby saved when the link is off. Refresh signals may be sent periodically to switch from inactive mode to active mode.

일실시예에서, 비활성화 모드에서 빠르게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주파수 잠금(frequency lock)을 유지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들(즉, 매체 의존 인터페이스(medium dependent interface : MDI) 및 PHY/MAC 인터페이스)상에 동기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synchronization signal on the interfaces (i.e. medium dependent interface (MDI) and PHY / MAC interface) to quickly switch from inactive mode to active mode and maintain frequency lock. Can be used.

도 1은 LPI(Low Power Idle) 모드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1 is a sequence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low power idle mode (LPI).

도 1을 참조하면, LPI 모드는 활성화 모드, 비활성화 모드 및 리프레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단이 수신단으로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패킷을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PI mode may include an activation mode, an inactivation mode, and a refresh mode.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packet to b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receiving end, the transmitting end may transmit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in the activation mode.

또한, 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패킷의 전송을 완료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동기 유지를 위해서 리프레시 모드에서 송신단은 리프레시 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ctivating mode, when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packet transmission and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to the receiving end, the transmitting end is switched from the activating mode to the deactivating mode. In order to maintai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the transmitting end may transmit the refresh signal to the receiving end in the refresh mode.

도 1에서는 활성화 모드, 비활성화 모드 및 리프레시 모드의 유지 기간을 임의적으로 각각 정의하여 도시하였으나, 네트워크의 상태 및 비활성화 모드에서 버퍼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수신율에 따라 활성화 모드, 비활성화 모드 및 리프레시 모드의 유지 기간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이에 따라 도 1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Although the sustain periods of the activation mode, the deactivation mode, and the refresh mode are arbitrarily defined in FIG. 1, the retention periods of the activation mode, the deactivation mode, and the refresh mode are respectively def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network and the reception rate of data received in the buffer in the deactivation mod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ay be changed, so that FIG. 1 may be changed accordingly.

비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이 상위계층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LPI 모드는 Tw 기간이후 T1 시점에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송신단은 활성화 모드가 시작되는 T1 시점부터 활성화 모드가 종료되는 T2 시점까지 패킷을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the packet from the upper layer in the inactive mode,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inactive mode to the active mode at the time T1 after the Tw period. The transmitting end may transmit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from the time T1 at which the activation mode begins to the time T2 at which the activation mode ends.

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패킷의 전송을 완료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LPI 모드는 T2시점부터 Ts 기간이후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비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e activating mode, when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the packet transmission and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to the receiving end, the LPI mode is changed from the activating mode to the inactive mode after the Ts period from the time point T2 to maintain the inactive mode.

여기서, 활성화 모드가 시작되는 T1 시점부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는 T2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송신단은 패킷을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액티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mitting end may transmit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in an interval from the time T1 at which the activation mode is started to the time T2 at which the deactivation mode is switched, and thus may be called an active period.

또한, 비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데이터를 수신단으로 전송하지는 않지만,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동기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LPI 모드는 Ts기간 이후 T3 시점부터 소정 기간, 예를 들어 Tq기간이 지난 T4 시점에 비활성화 모드에서 리프레시 모드로 전환하여 리프레시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inactive mode, the transmitting end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receiving end, but the transmitting end must mainta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ceiving end. To this end, the LPI mode switches from the inactive mode to the refresh mode at the time T3 after the Ts period, for example, at the time T4 after the Tq period, thereby maintaining the refresh mode.

리프레시 모드에서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동기 유지를 위한 리프레시 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리프레시 모드에서 송신단이 리프레이 신호의 전송을 완료하면, LPI 모드는 리프레시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In the refresh mode, 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a refresh signal to the receiving end to mainta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ceiving end. When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the transmission of the leaflay signal in the refresh mode,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refresh mode to the inactive mode.

비활성화 모드에서 상위계층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LPI 모드는 Tw 기간이후 T5 시점에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비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패킷을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packet is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in the deactivation mode,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deactivation mode to the activation mode at the time T5 after the Tw period. In the inactive mode, the transmitting end may transmit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패킷의 전송을 완료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LPI 모드는 T6 시점부터 Ts 기간이후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비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e activating mode, when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packet transmission and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to the receiving end, the LPI mode is changed from the activating mode to the inactive mode after the Ts period from the time point T6 to maintain the inactive mod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은 데이터를 수신단으로 전송하지는 않지만,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리프레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비활성화 모드에서 상위계층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LPI 모드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activation mode, in the deactivation mode, the transmitting end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receiving end, but 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a refresh signal to mainta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ceiving end. In addition, upon receiving a packet from a higher layer in the inactive mode,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inactive mode to the active mode.

즉, LPI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의 유무에 따라서 활성화 모드, 비활성화 모드 및 리프레시 모드로의 전환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LPI mode may be switched to an activation mode, an inactive mode, and a refresh m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cket.

한편, LPI 모드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오버헤드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Tw 기간과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Ts 기간을 의미한다.Meanwhile, overhead may be added when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in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This overhead means a Tw period for switching from inactive mode to active mode and a Ts period for switching from active mode to inactive mode.

만약, LPI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려고 할 때,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Ts 기간 동안 패킷이 수신되면, LPI 모드는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화되지 않고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LPI mode attempts to switch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if a packet is received during the Ts period required to switch to the inactive mode, the LPI mode is not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and remains in the active mode.

하지만, 패킷의 유무에만 의존하여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의 전환,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패킷의 수신율이 낮은 네트워크에서는 모드 전환이 자주 발생되어 오버헤드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when switching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and the inactive mode to the active mode depending only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cket, mode switching may frequently occur in a network in which the packet reception rate is low, which may cause an overhead probl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두 가지 조건이 제시되었다. 첫째로, LPI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송신단이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 패킷의 양이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wo conditions for switching from inactive state to active state have been proposed. First, the transmit end may be an amount of received packets from a higher layer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the LPI mode to switch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예를 들어, 패킷의 수신율이 높은 네트워크에서 송신단은 비활성화 모드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이 경우,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면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활성화 모드를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은 최대가 된다.For example, in a network with a high rate of packet reception, the transmitting end does not take long for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in the deactivation mode to exceed a certain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when the amount of packets exceeds a certain threshold value?, The activation mode can be maintained without switching to the inactive mode,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is maximized.

둘째로, LPI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의 수신율이 낮은 네트워크에서 송신단은 비활성화 모드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Secondly,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the LPI mode to switch from the activation mode to the deactivation mode. For example, in a network where the packet reception rate is low, the transmitting end takes a long time when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in the deactivation mod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value?.

이 경우,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지 않았지만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은 최대가 된다.In this case, the energy efficiency is maximized because the amount of packets does not exceed the specific threshold value?, But the switch to the inactive mode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하지만, 패킷의 수신율이 낮은 네트워크에서 송신단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까지 긴 경우에는 더 많은 시간을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에너지 효율성이 좋지 않게 된다. However, in a network where the packet reception rate is low, it may take a long time for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to be above a certain threshold value τ by a transmitting end. Rather, energy efficiency is not good.

또는 패킷의 수신율이 높은 네트워크에서 송신단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지만,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까지 짧은 경우에는 패킷의 양이 특정 한계값 τ이상이 되기 전에 소정 대시 시간이 종료되어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는 단점이 있을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a network with a high packet reception rate, it may not take a long time for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to exceed a certain threshold τ, but if the amount of packets is short until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switching to inactive mode. There may be a disadvantage that the predetermined dash time ends before the specific threshold value τ or more is switched to the inactive mode.

따라서, 패킷의 소정 대기 시간, 예를 들어 최대 지연 시간을 변수 Tmax 로 제한함으로써, 패킷의 지연을 완화 시킬 수 있다. Therefore, by limit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of the packet, for example, the maximum delay time to the variable Tmax, the delay of the packet can be mitigated.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LPI 모드의 전환에는 첫째, LPI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송신단이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될 패킷의 양 둘째, LPI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witching of the LPI mode, first, the amount of packets to be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end from the upper layer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the LPI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and second, the LPI mode is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inactive mode. It is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to become.

두 조건은 모두 패킷의 지연에 관련이 있으며, 패킷 지연 증가는 RTT(Round Trip Time) 값의 증가를 가져온다. RTT 값은 TCP 트래픽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최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트래픽 처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서비스 품질 보장에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Both conditions are related to the delay of the packet, and increasing the packet dela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Round Trip Time (RTT) value. The RTT valu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CP traffic, and may represent a difficulty in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ocessing real-time multimedia traffic based on the Internet.

도 2는 RS계층과 LPI Client 부계층간의 인터페이스와 LPI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계층의 세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hysical layer to support the interface between the RS layer and the LPI client sublayer and LPI mode.

도 2를 참조하면, RS(Reconciliation Sublayer) 계층의 상위 계층에는 MAC 계층이 존재할 수 있고, 하위 계층에는 물리 계층이 존재할 수 있다. RS 계층은 MAC 계층이 물리 계층의 종류에 상관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해 주는 계층이다. Referring to FIG. 2, a MAC layer may exist in an upper layer of a reconciliation sublayer (RS) layer, and a physical layer may exist in a lower layer. The RS layer is a layer that converts signals so that the MAC layer can perform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he physical layer.

예를 들어, RS계층은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MAC 계층이 인식할 수 있도록 PLS(Physical Layer Signaling) 인자(primitive)로 변환하거나, MAC 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를 링크의 종류에 따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계층이다. For example, the RS layer converts data received from the physical layer into physical layer signaling (PLS) primitives so that the MAC layer can recognize the data, or transmits data from the MAC layer according to the type of link. It is a hierarchy that can be converted.

이러한, RS 계층의 상위 계층에 LPI Client 부계층을 배치함으로써 RS 계층은 LPI Client 부계층이 물리 계층의 종류와 상관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해 준다. By arranging the LPI Client sublayer above the RS layer, the RS layer converts signals so that the LPI Client sublayer can communicate regardless of the physical layer.

도 3은 슬로우 스타트와 혼잡 회피의 혼잡 윈도우 크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congestion window size of slow start and congestion avoidance.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단은 동일한 ACK 순번을 가진 패킷을 여러 개 수신할 경우 패킷이 전송 중에 유실됐다고 가정하고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한다. 만약 재전송 패킷이 전송 중에 유실되거나 손상될 경우, 송신단은 수신단으로부터 재전송된 패킷을 받았다는 ACK 패킷을 받지 못하게 되므로,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전송을 하지 못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when receiving a plurality of packets having the same ACK sequence number, the transmitter assumes that the packet is lost during transmission and retransmits the lost packet. If the retransmission packet is lost or damaged during transmission, the transmitting end does not receive an ACK packet indicating that the retransmitted packet has bee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end, and thus cannot transmit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이로 인해 전송시간이 늘어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송신단은 슬로우 스타트(Slow-Start)를 수행한다. 슬로우 스타트 상태에서 윈도우는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한 ACK 패킷에 의해 지수가 증가한다. As a result, when the transmission time increases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the transmitting end performs a slow start. In the slow start state, the window is exponentially increased by the ACK packet received from the receiving end.

따라서, Ts 동안 최초 수신한 패킷을 시작으로 n 개의 패킷이 도착 할 때 까지 시간과 혼잡 윈도우를 측정한다면, Tmax 동안 얼마만큼의 패킷이 도착하는지 예측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평균 패킷 도착율을 계산할 수 있다. Therefore, if we measure the time and congestion window starting from the first packet received during Ts until n packets arrive, we can predict how many packets arrive during Tmax and calculate the average packet arrival rate based on this. have.

하지만 혼잡 윈도우 값은 MAC Buffer 크기보다 클 경우가 더 많다.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TCP로부터 ssthresh 값을 제공받아 이 값과의 비율을 구하여 적용한다면 모드 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TCP 버퍼의 일정량이 되면, 항상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 값은 반드시 MAC Buffer 크기로 제한해야 적절한 모드 전환이 수행된다.However, the congestion window value is often larger than the MAC buffer size. Therefore, if the ssthresh value is obtained from TCP and the ratio is calculated and applied to TCP, mode convers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However, when a certain amount of the TCP buffer is maintained, the active mode is always maintained. Therefore, the result value must be limited to the MAC buffer size so that an appropriate mode switch can be performed.

즉, 슬로우 스타트 상태에서 혼잡 윈도가 지수적으로 증가해 ssthresh 값과 같아지면 TCP 혼잡 회피가 시작된다. TCP 혼잡 회피 상태에서는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한 하나의 ACK에 대해 혼잡 윈도우의 값을 1씩 증가시킨다.In other words, TCP congestion avoidance starts when the congestion window increases exponentially at the slow start to equal the ssthresh value. In the TCP congestion avoidance state, the value of the congestion window is increased by 1 for one ACK received from the receiver.

그리고, ssthresh의 값은 혼잡 윈도우의 크기/2로 설정된다. 여기서, ssthresh의 값을 현재 위도우의 반으로 결정하는데, 이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대략적인 윈도우의 최대 크기가 1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he value of ssthresh is set to the size / 2 of the congestion window. Here, the value of ssthresh is determined as half of the current latitude, which means that the maximum size of the approximate window where packet loss does not occur is 1.

또한 혼잡 윈도우는 SLOW START, CONGESTION AVOIDANCE, FAST RECOVERY에서 전송할 세그먼트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의 요소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특정 한계값 τ 가 유동적으로 변화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LPI 메커니즘과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에 대한 인터랙션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The congestion window is also an element of the TCP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that affects the size of the segment to be transmitted in SLOW START, CONGESTION AVOIDANCE, and FAST RECOVERY. This means that the specific limit value τ fluctuates depending on the network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PI mechanism and the TCP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도 4는 LPI Client 와 TCP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between an LPI client and a TCP layer.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계층은 바로 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계층과 통신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은 전력 제어를 하며, RS 계층은 상위 계층, LPI Client 또는 MAC 계층에 존재하는 장치의 전력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리 계층은 RS 계층의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장치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each layer generally communicates with a layer existing in an upper layer or a lower layer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or example, the physical layer performs power control, and the RS layer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about power of a device existing in an upper layer, an LPI client, or a MAC layer to a lower layer physical layer, so that the physical layer may R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device existing in the upper layer of the layer.

본 발명에서 LPI Client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전의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된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보다 커지거나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이 될 때 까지의 혼잡 윈도우를 계산하고, 계산한 혼잡 윈도우를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LPI Client는 TCP 계층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결정된 혼잡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PI client is congested until the amount of packets reaches the maximum reception amount when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before the transition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inactive stat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reception amount or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The window is calculated, and the estimated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congestion window. Here, the LPI client should calculate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gestion window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twork environment in the TCP layer.

하지만, 도 4에서 LPI Client는 TCP 계층의 바로 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이 아니기 때문에, TCP 계층으로부터 혼잡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는 각각의 계층은 바로 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However, in FIG. 4, since the LPI client is not directly above or below the TCP layer, the LPI client cannot receive information about a congestion window from the TCP layer. This is because each layer is generally able to transmit / receive data from the upper layer or lower lay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LPI Client는 클로스 레이어 방법을 통해 TCP 계층으로부터 혼잡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였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PI Client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congestion window from the TCP layer through the cloth layer metho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활성화 모드에서 패킷의 전송을 완료하면, 이더넷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소정 대기 시간, 예를 들어 도 1에서 Ts 동안 대기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thernet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5, when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in the activation mode, the transmitter wait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example, Ts in FIG.

이때, 송신단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는 중에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고, 실제적으로 수신되는 패킷의 양과 미리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이더넷 모드는 활성화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transmitting end wait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the prediction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is calculated, and the amount of packets actually received is compared with the estimated packet reception amount calculated in advance. Can be maintained and can be switched from an active mode to an inactive mode.

도 5를 참조하면, 송신단은 활성화 모드에서 패킷을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다(S510). 송신단은 소정 대기 시간 중 일정 기간 동안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대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상위 계층에서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한다(S520).Referring to FIG. 5, 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in the activation mode,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is completed (S510). The transmitting end calculates a prediction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in the upper layer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by us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520).

예를 들어, 송신단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첫 번째 패킷을 수신하면, 소정 대기 시간을 측정하는 타미어 Ts를 시작하고, 송신단이 두 번째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Ccount를 증가한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the first packet from the upper layer, it starts the Tmere Ts meas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nd if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the second packet, the transmitting end increases the Ccount which counts the number of packets.

만약, 송신단은 Ts 타이머가 완료되거나, Ccount 가 혼합 윈도우 최대 수신 수인 Cmax 값에 도달할 때까지 패킷을 수신한다. Ts 타이머가 완료되거나 Ccount 가 Cmax 값에 도달하면, 송신단은 Ts 동안의 수신될 패킷의 예측 패킷 수신량 sτ를 계산한다.If the transmitter receives the packet until the Ts timer is completed or until Ccount reaches the Cmax value, which is the maximum number of reception of the mixed window. When the Ts timer is completed or Ccount reaches the Cmax value, the transmitting end calculates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sτ of the packet to be received during Ts.

송신단은 소정 대시 시간 동안 수신 가능한 최대 패킷의 양을 산출한 후,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S530) 수신된 패킷의 양이 최대 수신량보다 커질 때까지의 혼잡 윈도우를 계산하고(S540), 혼잡 윈도우를 이용하여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한다(S550). 여기서, 혼잡 윈도우는 수신단으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의미한다.The transmitter calculates the maximum amount of packets that can b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dash time, and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S530), calculates a congestion window until the amount of received packets is greater than the maximum amount of reception (S540).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is calculated using the window (S550). Here, the congestion window means a fram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packets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송신단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 가능한 최대 패킷의 양을 산출한 후,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한 패킷의 양과 최대 패킷의 양을 비교한다(S560). 만약,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커질 경우(S570),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S580). 반면,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크지 않지만(S570),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된 경우(S590),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S500).The transmitter calculates the maximum amount of packets that can be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switching from the activation mode to the inactive mode, and then compares the amount of received packets with the maximum packet amount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S560). If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larger than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S570), it is switched to the activation mode (S580).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not larger than the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S570), when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finished (S590),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nactive mode (S5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모드 전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thernet mode switch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송신단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기 위한 타이머 Tmax를 시작하고, 패킷의 수신 횟수를 카운트 하는 변수 Ccount를 증가시킨다. 또한, 송신단은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될 패킷의 최대 수신량의 최대값인 혼잡 윈도우의 값을 증가시킨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a packet from an upper layer in an inactive state, the transmitter starts a timer Tmax fo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nd increases a variable Ccount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the packet.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end increases the value of the congestion window, which is the maximum value of the maximum reception amount of the packet to be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송신단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패킷이 최대 수신량에 도달 하거나 또는 소정 대기 시간이 완료되면, 패킷의 수신량이 최대 수신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혼잡 윈도우를 계산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계산한 혼잡 윈도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도 3에서 설명한 ssthrd 와 Qsize 간 비율을 이용하여 Qsize에 맞는 전체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한다.Whe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reaches the maximum reception amount or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completed, the transmitting end calculates a congestion window until the packet reception amount reaches the maximum reception amount. Since the calculated congestion window is too large, the transmitting end calculates the total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for Qsize using the ratio between ssthrd and Qsize described in FIG.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이더넷 LPI 모드의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송신단이 수신단으로의 패킷의 전송을 완료하고 소정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에서 소정 대기 시간 중 일정 기간 동안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대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상위 계층에서 수신될 최대 패킷의 양을 산출하고,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산출된 최대 패킷의 양보다 커지거나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크로스 레이어(Cross-layer) 기법을 통해 TCP 계층으로부터 혼잡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혼잡 윈도우와 상기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최초 수신한 패킷을 시작으로 n 개의 패킷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이용하여 소정 대기 시간 중 수신될 예측 패킷 수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에서 소정 대기 시간 동안 실제 수신된 패킷의 양과 상기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이더넷의 LPI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더넷 LPI 모드 전환 방법.
In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the activation mode and deactivation mode of the Ethernet LPI mode,
In the activation mode, the transmitting end completes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The transmitting end calculates the maximum amount of packets to be received in the upper layer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by us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received from the upper layer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and the amount of packets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calculated. When the amount of the packet exceeds the maximum amount of packets or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nformation on the congestion window is received from the TCP layer through a cross-layer technique. Calculating a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to be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using time until n packets arrive at a start; And
Comparing, by the transmitter, an amount of packets actually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with the calculated amount of predicted packet reception, and switching the LPI mode of Etherne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Ethernet LPI mode switch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윈도우는 수신단으로 전송 가능한 패킷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LPI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gestion window is Ethernet LPI mode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packets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에서 이더넷의 LPI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커질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LPI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ing of the LPI mode of the Ethernet at the transmitting end may include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when the amount of the received packet is greater than the estimated packet reception amount before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에서 이더넷의 LPI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수신된 패킷의 양이 상기 산출한 예측 패킷 수신량보다 작고, 상기 소정 대기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LPI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ing of the LPI mode of the Ethernet at the transmitting end may include switching from the activation mode to the deactivation mode when the amount of received packets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predicted packet reception amount and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ends. How to switch Ethernet LPI mode.
KR1020110111829A 2011-10-31 2011-10-31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KR101309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29A KR101309869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29A KR101309869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52A KR20130047052A (en) 2013-05-08
KR101309869B1 true KR101309869B1 (en) 2013-09-16

Family

ID=4865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829A KR101309869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8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622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by congestion window lim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622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by congestion window limi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hrgan Mostowfi and Ken Christensen, Saving Energy in LAN Switches: New Methods of Packet Coalescing for Energy Efficient Ethernet, IEEE, 2011.7, Green Computing Conference and Workshops(IGCC) 25-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52A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45001B (en) Rate optimized congestion management
JP3979306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55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placing portions of a physical layer into low power mode
EP2754274B1 (en) A method for avoiding network congestion and an apparatus thereof
US8885506B2 (en) Energy efficiency ethernet with assymetric low power idle
EP26294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by traffic shaping in a transmission network
US20110096849A1 (en) Optimized selection of transmission protocol respecting thresholds
WO2020228259A1 (en) Multi-hop wake-up radio method and device
CN101969432A (en) Random backoff based control method of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gestion window
EP2526660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Mišić et al. Performance limitations of the MAC layer in 802.15. 4 low rate WPAN
KR101309869B1 (en) Method of switching ethernet lpi mode
US94259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energy efficient ethernet to control energy efficiencies in lower layers
US11832177B2 (en)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first and second bridge devices
KR101344360B1 (en) Adaptive packet coalescing methed
Cenedese et al. An energy efficient traffic shaping algorithm for Ethernet-based multimedia industrial traffic
KR10077253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of node consisting ad-hoc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KR100772192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high bandwidth-delay product networks
Hashimoto et al. Energy efficiency analysis of TCP with burst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LAN
KR101275831B1 (en) Battery saving mode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man et al. A transport layer approach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JP4207058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hi et al. Receiver assistant congestion control in high speed and lossy networks
Oda et al. Compound TCP+ for fairness improvement among Compound TCP connections in a wireless LAN
Cheng et al. Improving the ramping up behavior of TCP slow st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