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353B1 - 회전 운동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운동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353B1
KR101309353B1 KR1020087013885A KR20087013885A KR101309353B1 KR 101309353 B1 KR101309353 B1 KR 101309353B1 KR 1020087013885 A KR1020087013885 A KR 1020087013885A KR 20087013885 A KR20087013885 A KR 20087013885A KR 101309353 B1 KR101309353 B1 KR 10130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ion
rotational movement
driv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626A (ko
Inventor
라르스 욘손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리써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리써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비비 리써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52Linear spring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34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atch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8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lost-motion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5Intermittent grip type mechanical movement
    • Y10T74/1503Rotary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5Intermittent grip type mechanical movement
    • Y10T74/1503Rotary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 Y10T74/1508Rotary crank or eccentric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5Intermittent grip type mechanical movement
    • Y10T74/1526Oscillation or reciprocation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36Rotary to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36Rotary to rotary
    • Y10T74/184Cranks, link connected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전환 스위치에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는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을 피동 축 (2a) 을 중심으로 구동되는 피동체 (2)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이 운동 전달 부재는 중간 축 (3a)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중간체 (3) 를 포함한다. 기계식 에너지 축적 부재 (17) 가 피동체 (2) 에 연결된다.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을 피동 축 (2a)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 전달 부재는 크랭크 기구 (100) 에 연결되어 있는 중간 운동 부재를 포함한다. 이 운동 부재에 구동 부재 (103) 를 통해 선형 운동을 중간 축 (3a)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결합 수단 (102) 이 제공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 회전 운동 전달 장치.

Description

회전 운동 전달 장치{A DEVICE FOR TRANSMITTING ROTARY MOTION}
본 발명은 회전 운동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동되는 피동체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동체가 전환 스위치의 접촉자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장치의 용도와도 관련된다.
특정 상황에서, 특정 방향으로 짧고 강한 회전 운동이 달성될 필요가 있다. 특정 경우, 이용 가능한 구동원이 그 경우에 상응하는 운동 특성을 가지면, 상기의 필요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상 그러한 경우인 것은 아니다. 이용 가능한 구동원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종류의 것일 수도 있다.
포함된 구동원이 필요한 짧은 시간동안 요구된 강력한 토크를 즉시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기의 두 결점은 이용가능한 구동원에 관한 한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의 일 예는 변압기의 전압을 조절하는 온 로드 탭 변환기 (on - load tap changer) 내의 전환 스위치를 작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작동 운 동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발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전환 스위치용 구동원은 선택 스위치 즉, 전압이 변할 때 변압기의 권선에 있는 새로운 탭 위치로의 연결을 설정하는 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 축의 형태이다. 전환 스위치의 구동 축은 변압기의 전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지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WO 89/08924 로부터, 시간에 관하여 회전 운동에 집중함과 동시에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일방향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운동 전달 기구가 이전에 공지되었다. 일방향 운동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회전 운동에 집중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과 직접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요소의 특별한 설계에 의해 일어난다.
SE 0401712 - 5 에 개시된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일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특히 기어 휠 기구와 축을 통해 회전 운동을 스프링 유닛의 형태로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전달한다. 잠금 장치가 있는 스프링 유닛이 해제되면, 운동은 최종 축에 전달된다. 전환 선택 스위치와 전체 구동 패키지는 변압기 오일에 둘러싸인다.
이 기구는 기어 휠들이 서로 맞물려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스프링 유닛에서부터 기어 휠의 유지 폴 (pawl) 까지 회전 펄스의 기계적 복귀에 의존한다. 극한적인 온도 조건하에서는, 예를 들어, 오일의 매우 낮은 온도 (-40℃) 에서, 오일의 점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복귀된 회전 펄스는 래칫 기어가 잠금 위치로 들어가는 것을 보장하기에는 너무 약하다.
본 발명은 극한적인 온도 조건에서도 전달 기능이 보장되는 개량된 회전 운동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 에 따른 전환 스위치 안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교번 회전 운동이 선형 병진 운동을 통해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에 기초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는 다음의 종속항 2 - 10 항에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1 항에 따른 장치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는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SE - 0401712-5 에 따라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분 (16) 을 제동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계식 일방향 전환 장치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4 는 캐리지 (carriage) 가 장착되어 있는 도 3 의 장치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5 는 캐리지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6a - 6f 은 일련의 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SE - 0401712 - 5, 특허 SE - 527506 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구동체 (1) 는 입력 구동 축 (1a), 이 구동 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풀리 (1b), 원통형 기어 휠 (4), 구동핀 (1c), 이 기어 휠 (4) 에 단단히 연결된 축 (1d) 을 포함한다. 원통형 기어 휠 (4) 은 구동핀 (1c) 에 의해 구동 풀리 (1b) 와 맞물린다. 중간체 (3) 는 중간축 (3a) 과 캐리어 요소 (15) 를 포함한다. 피동체 (2) 는 피동 축 (2a) 과 드럼 (16) 을 포함한다.
기어 휠 (4) 은 기어 휠 (5) 과 맞물리고, 이 기어 휠 (5) 은 다시 기어 휠 (6) 과 맞물린다. 유지 폴 (retaining pawl) (14) 이 있는 래칫 기어 (12) 를 통하여, 기어 휠 (5) 은 기어 휠 (7) 에 단단히 연결된 축 (10) 에 연결되며, 대응 래칫 기어 (13) 를 통하여, 기어 휠 (6) 은 기어 휠 (8) 에 단단히 연결된 축 (11) 에 연결된다. 각 래칫 기어 (12, 13) 는 하부 기어 휠에서 각각의 상부 기어 휠 및 자유 휠까지 시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데 즉, 각각의 하부 기어 휠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두 개의 각 상부 기어 휠 (7,8) 은 중간축 (3) 에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 휠 (9) 과 구동 연결된다.
따라서, 중간축 (3a) 은 입력 구동 축 (1a)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항상 하나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축(3a) 을 피동축 (2a) 에 연결하는 에너지 축적기는 평평한 나선형 스프링형의 토션 스프링 (17) 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의 일단부는 피동축 (2a) 에 단단히 연결된 드럼 (16) 의 유지 수단에 의해 지지(support)된다. 나선형 스프링의 타단부는 중간축 (3a) 에 단단히 연결된 캐리어 요소 (15) 에 접촉한다. 캐치 (catch) (19) 가 드럼 (16) 과 피동축 (2a) 이 회전을 못하도록 하게 설계되어 있다. 캐치는 해제 기구 (20) 에 의해 해제되어 드럼 (16) 과 피동축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작동중, 중간축 (3a) 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캐리어 요소 (15) 는 중간축과 함께 회전하고, 스프링 (17) 과 캐리어 요소가 접촉함으로써, 스프링이 인장되어 필요한 에너지가 축적된다. 에너지 축적기안의 나선형 스프링은 하나의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항상 인장된다. 해제 기구는 미리 결정된 회전 운동, 일반적으로 36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10 °의 회전 운동 후에 캐치를 해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스프링 기구에 의해 큰 시간비가 나타난다. 상기 축 (3a) 을 회전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약 5 초인 반면, 피동축은 대략 0.2 초의 시간동안 회전한다.
피동축 (2a) 에 연결된 드럼 (16) 에 종료 위치 즉, 거의 일 회전 이후에 드럼의 회전을 제동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로써, 제동력이 중간축 (3a) 에 연결된 캐리어 요소 (15) 에 전달된다. 이 장치는 도 2 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 도면은 드럼 (16) 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캐치를 해제하기 바로 전의 장치를 나타낸다. 드럼 (16) 에는 외부에 있는 외측 돌기 (24) 와, 내부에 있는 내측 돌기 (25) 가 제공되어 있다. 도면에서, 외측 돌기는 캐치 (19) 와 접촉하게 된다. 캐리어 요소 (15) 에 브레이크 스프링 (26) 이 장착된다. 캐리어 요소 (15) 는 브레이크 스프링 (26) 이 바깥쪽으로 휘게 하여 인장되도록 허용하는 부채꼴형 홈 (27) 을 갖는다.
캐치 (19) 를 해제함으로써 드럼 (16) 이 회전하기 위해 해제될 때, 드럼은 드럼 (16) 의 내측 돌기가 브레이크 스프링 (26) 에 맞부딪힐 때까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것이다.
상기 내측 돌기 (25) 가 브레이크 스프링 (26) 에 맞부딪히면, 브레이크 스프링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휘고, 회전 운동이 캐리어 요소 (15) 에 전달된다. 캐리어 요소가 함께 회전하면, 나선형 스프링 (17) (도 1 참조) 이 다시 인장된다. 이로 인해, 드럼 (16) 에서부터 여분의 에너지가 나선형 스프링 (17) 에 전달되어 다음 작업 스트로크에 이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드럼 (16) 은 360 °회전되어 드럼의 외측 돌기 (24) 가 캐치 (19) 에 맞부딪칠 때까지 캐리어 요소 (15) 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브레이크 스프링을 통해 탄성 스탑에 의해 캐리어 요소 (15) 에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이 전달되면, 운동 충격이 캐리어 요소에도 전달되며, 이 펄스는 구동 장치에서 뒷쪽으로, 구동 축 (10, 11) 과, 대응하는 기어 휠 (5,6) 에 각각 전달된다. 이 작동에 따라, 운동 모멘트는 최후의 피동 기어 휠에 회전 펄스를 부여하고, 이 펄스는 각각의 폴 (13,14) 이 다시 각각의 래칫 기어 (12, 13) 에 단단하게 파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극단적인 작업 조건하에서, 오일의 온도가 매우 낮고 예를 들어 - 40 ℃ 이고,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을 가지면, 상기 회전 펄스는 래칫 기어에서 결합을 보정하기에는 너무 약할 수도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력 구동축의 운동을 일방향으로 전환시켜서 중간축
(3) 에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엇보다도 그 기능을 위해 다음의 일련의 사건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극한적인 작동 조건에 무관한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환 스위치의 구동 축 (1a) 이 변압기 장력을 증가시키는지 또는 감소시키는지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중간축 (3a) 은 중간체 (3) (도 1 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3 에는 미 도시) 와, 연관된 에너지 축적 요소 및, 피동 축 (2a) (도 1) 을 갖는 피동체 (2) 에 연결된다 .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을 피동 축 (2a)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중간 운동 부재 (101) (도 3 과 도 4) 가 크랭크 기구 (100) 를 통해 구동 축 (1a) 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은 운동 부재 (101) 의 교번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이 부재에는 구동 부재 (103) 를 통해 선형 운동을 중간축 (3a) 의 일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중개 수단 (102) 이 제공된다.
크랭크 기구 (100) 는 구동 축 (1a) 에 연결된 크랭크 디스크 (100a) 로 구성되며, 이 크랭크 디스크는 크랭크 핀 (107) 에 연결된다. 크랭크 핀은 축 핀 (112) 을 통하여 중간 운동 부재 (101) 에 연결되고, 이 부재 (101) 는 결합 수단 (102) 이 제공된 가동 캐리지 (104) 를 포함한다.
결합 수단 (102) 은 제 1 폴 (114) 과 제 2 폴 (115) 을 포함하는데, 이 폴들은 구동 부재 (103) 를 번갈아 결합함으로써 캐리지 (104) 의 선형 운동을 구동 부재 (103)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부재는 축 (108) 을 포함하는데, 이 축에는 후크 디스크 (105, 106) 와, 이 축에 고정된 기어 휠 (109a) 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기어 휠은 중간 축 (3a) 에 장착된 기어 휠 (109b) 과 조절되어 구동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 축 (1a) 으로부터의 회전 운동은 가동 캐리지 (104) (도 4) 를 통해 구동 부재 (103) 의 출력 축 (108) 에 전달되고, 상기 캐리지는 상부 후크 디스크 (105) 와 하부 후크 디스크 (106) 사이에 위치된다. 각 후크 디스크 (105, 106) 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105a, 105b 및 106a, 106b) 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후크 디스크는 축 (108) 에 고정되지만, 도 3 에서 명백히 나타내는 것과 같이 서로에 대해 90 °의 각으로 변위되어 있다. 축 (108) 은 기어 휠 (109b) 에 맞물리는 기어 휠 (109a) 에 고정된다. 도 3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들 기어 휠들은 서로 직접 맞물림 되어 있지만, 이 기어휠들은 체인 기구 (미 도시) 에 의해 조절되어 구동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 는 캐리지 (104) 의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다. 캐리지에는 평행하게 배열된 윗 덮개 판 및 밑 덮개 판 (110) 이 제공되며 윗 덮개 판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연결 로드 (107) 의 일단부에는 크랭크 핀 (100b) 이 끼워지는 원형 부싱 (111) 이 제공되고, 타단부에서 연결 로드는 상기 덮개 판 (110) 사이에 있는 축 핀 (112) 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journal)된다. 상기 덮개 판 (110) 에는 축 (108) 의 직경에 적합한 폭을 갖는 슬롯 (113)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판 사이에, 그리고 슬롯에 평행하게 각 측에 제 1 폴 (114) 과 제 2 폴 (115) 이 위치되어 있다. 각 폴은 덮개 판 사이에 배치된 핀 (114a 및 115a) 을 중심으로 각각 지지되며, 슬롯 (113) 의 개구에 제 1 폴의 핀 (114a) 이 배치되고, 슬롯 (113) 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폴의 핀 (115a) 이 배치되는데, 이는 도 5 에서 명백히 알수있다. 지지된 내측 단부에서, 폴들에 러너 (114b 및 115b) (각 덮개 판의 평면에 수직으로 배열된 축 핀 (114c 와 115c) 을 중심으로 함) 가 각각 제공되며 (115c 는 미도시), 러너 (114b) 는 윗 덮개 판 (110) 의 외부에 배열되며, 하부 러너 (115b) 는 밑 덮개 판 (110) 의 외부에 배열된다. 슬롯 (113) 에서부터 나가는 방향으로 덮개 판의 평면에 평행하게 각각의 핀 (114a, 115a)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윗 덮개 판 및 밑 덮개 판 (110) 에 홈 (116, 117) 이 제공된다. 판 스프링 (118 및 119) 들이 각 폴 (114, 115) 을 슬롯 (113) 쪽을 향한 안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캐리지 (104) 에서 폴 (114, 115) 들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기능을 유지한 채 위치를 바꿀 수 있는데, 따라서 하부 폴 (115) 의 핀 (115a) 이 슬롯의 개구에 있다면, 상부 폴 (114) 의 핀 (114a) 은 슬롯의 내측 단부에 있게 된다. 기어 휠 (109a 및 109b) 들은 기어 휠 (109a) 이 일 회전할 때, 기어 휠 (109b) 과 외부 중간 축 (3a) 은 4 번 회전하는 기어비를 갖는다.
모터 장치 (미 도시) 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동 축 (1a) 은 각 작동시 한 방향으로 반 회전 (180°) 운동한다. 구동 축 (1a) 의 회전에 의해 지지 롤러 (120a, 120b, 120c, 120d) 사이에서의 선형 왕복 운동이 크랭크 기구 (100) 의 도움으로 캐리지 (104) 에 부여된다. 전후 왕복 운동하는 동안, 어떤 후크가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러너 (114b 또는 115b) 는 상부 후크 디스크의 후크 (114a 또는 114b) 중 하나와 결합하거나, 또는 이에 대안으로 하부 후크 디스크의 후크 (115a 또는 115b) 에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결합되지 않은 반대 측 후크는 대응하는 러너를 홈 (116, 117) 안으로 가압한다.
구동 축 (1a) 에 의해 반회전이 완료될 때 마다, 기어 휠 (109a) 의 축 (108) 은 항상 구동 축 (1a) 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90°회전한다. 기어 휠 (109b) 과의 기어비로 인해, 완전 1 회전 (360°) 이 출력 중간 축 (3a) 에 부여된다.
이제 작동 모드가 연속된 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6a - 6f 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a - 6f 에서, 상부 후크 디스크 (105) 는 전체가 보여지고, 하부 후크 (106) 는 윤곽만이 보여진다.
도 6a 에서, 크랭크 기구는 후방 위치에 있고, 폴 (115) 은 하부 후크 디스크 (106) 의 러너 (115b) 와 결합되어 있다.
도 6b 에서, 크랭크 기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으며, 러너 (114b) 와 함께 제 1 폴 (114) 은 후크 (105a) 와 결합되어 있으며, 후크 디스크 (105) (그리고 축 (108)) 에 반시계방향 회전 운동을 부여한다.
도 6c 에서는, 크랭크 기구는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였으며, 러너 (115b) 와 함께 폴 (115) 은,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고, 이 위치에서 후크 디스크 (106) 에 대항하여 판 스프링 (119) 으로 가압되어 후크 (106a) 와 결합하는 과정에 있다.
도 6d 에서는, 크랭크 기구는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였으며, 폴 (115) 은 슬롯 (113) 쪽으로 가장 안쪽 위치까지 가압되어 있다.
도 6e 에서는, 크랭크 기구는 먼 위치 (초기 위치에서 108°) 까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였으며, 폴 (114) 은 후크 (105a) 에서 후크 디스크 (105) 를 구동하는 것을 종료하였다.
도 6f 에서, 크랭크 기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였고, 폴 (115) 은 하부 후크 디스크 (106) 를 후크 (106a) 를 통하여 구동하고 (도면에서 우측으로), 축 (108) 에 연속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부여한다.
크랭크 기구가 초기 위치 (도 6a 에 따른) 에 도달되면, 구동 축 (1a) 이 양 방향 중 한 방향으로 다시 180 ° 회전할 때, 주기가 반복된다.
축 (108) 에 그리고 이 축 (108) 에 연결된 중간 축 (3a) 에 기어 휠 (109a, 109b) 을 통해 구동 축 (1a) 의 방향에 무관하게 일방향의 회전 운동이 부여된다. 더 나아가, 축 (108) 의 구동 운동과 관련한 오버 트래블 (overtravel) 이 운동 부재 (101) 의 캐리지 (104) 에 부여되는데, 도면에서 이 오버 트래블은 도 6a 에서 도 6b 의 캐리지의 중간 위치 (도 6b 에 따라 폴 (114) 이 도 6b 에 따른 위치에 있는 후크 (105a) 를 통해 상부 후크 디스크 (105) 와 구동 결합되기 시작되는 위치) 로 나타나 있다. 상기 캐리지가 도 6e 에 따른 위치를 벗어날 때, 제 2 폴이 후크 (106a) 를 통해 하부 후크 디스크 (106) 와 결합할 때까지 캐리지의 대응되는 오버 트래블이 발생된다. 상기 오버 트래블로 인해, 항상 구동 축 (1a) 의 회전 운동이 중간 축 (3a) 과 에너지 축적 부재의 필요한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고, 그리고 나서 피동 축 (2a) 을 통해 피동체 (2) 에 전달된다. 에너지 축적 부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자유 휠 (미 도시) 이 구동 부재 (103) 에서 구동 축 (2a) 까지의 구동 시스템에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동 운동이 역전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상기 에너지 축적 부재의 구성에 따라, 중간 축 (3a) 과 이에 연관된 중간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통합 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축전지 또는 반응기 또는 변압기를 제어하는 전환 스위치 안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의 용도와도 관련될 수 있다.

Claims (11)

  1. 전환 스위치에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는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을 피동 축 (2a) 을 중심으로 구동되는 피동체 (2)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며, 이 운동 전달 부재는 중간 축 (3a)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중간체 (3) 와, 상기 피동체 (2) 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축 (3a) 에서 나온 에너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식 에너지 축적 부재 (17) 와, 상기 기계식 에너지 축적 부재에 축적된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피동체 (2) 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회전 운동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 (1a) 의 교번 회전 운동을 상기 피동 축 (2a)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 전달 부재는 크랭크 기구 (100) 에 의해 상기 구동 축 (1a) 에 연결되어 교번 회전 운동을 교번 선형 운동으로 전환하는 중간 운동 부재 (101) 를 포함하며, 이 중간 운동 부재 (101) 에는 구동 부재 (103) 를 통해 선형 운동을 상기 중간 축 (3a) 의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결합 수단 (102) 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운동 부재 (101) 는 전달된 회전 운동과 관련한 오버 트래블 (overtravel) 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 (103) 는 기어 휠 (109a, 109b) 을 통하여 상기 중간 축 (3a) 과 조절되어 구동 연결되는 축 (10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운동 부재 (101) 는 캐리지 (104)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 (102) 은, 상기 캐리지가 왕복 운동하는 동안 상기 축 (108) 에 고정된 후크 디스크 (105, 106) 와 교번으로 결합하여, 일방향 회전 운동을 상기 축 (108) 에 부여하는 제 1 유지 폴 (114) 과 제 2 유지 폴 (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기구 (100) 는 상기 구동 축 (1a) 에 고정된 크랭크 디스크 (100a) 를 포함하며, 연결 로드 (107) 가 크랭크 핀 (100b) 에 의해 편심 지지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저널에 의해 상기 캐리지 (104)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104) 는 상부 후크 디스크 (105) 와 하부 후크 디스크 (10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크 디스크 (105) 와 상기 하부 후크 디스크 (106) 각각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후크 (105a,105b) 및 후크 (106a, 106b) 가 제공되며, 이들 후크가 있는 상기 후크 디스크는 서로에 대하여 90 °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104) 의 상기 제 1 유지 폴 (114) 과 상기 제 2 유지 폴 (115) 은 그 일단부에서 핀 (114a, 115a) 에 의해 상기 캐리지 (104) 상에 지지(journal)되고 타단부에서 러너 (114c, 115b) 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 (1a) 의 회전 운동의 적어도 10 % 는 운동 부재의 선형 오버 트래블에 기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103) 는 상기 에너지 축적 부재 (17) 의 일체적인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 (1a) 과 상기 피동 축 (2a) 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 전달 장치.
  11. 변압기 또는 반응기 또는 축전지에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운동 전달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087013885A 2005-12-09 2006-12-06 회전 운동 전달 장치 KR101309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2717A SE529799C2 (sv) 2005-12-09 2005-12-09 Anordning för överföring av vridrörelse
SE0502717-2 2005-12-09
PCT/SE2006/050552 WO2007067144A1 (en) 2005-12-09 2006-12-06 A device for transmitting rotary mo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626A KR20080082626A (ko) 2008-09-11
KR101309353B1 true KR101309353B1 (ko) 2013-09-17

Family

ID=3812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885A KR101309353B1 (ko) 2005-12-09 2006-12-06 회전 운동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42073B2 (ko)
EP (1) EP1958224B1 (ko)
JP (1) JP2009518602A (ko)
KR (1) KR101309353B1 (ko)
CN (1) CN101326602B (ko)
BR (1) BRPI0619526B8 (ko)
RU (1) RU2367047C1 (ko)
SE (1) SE529799C2 (ko)
UA (1) UA89453C2 (ko)
WO (1) WO2007067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195B2 (ja) 2003-08-01 2010-01-27 株式会社マキタ 往復動式電動工具
DE102010020180A1 (de) 2010-05-11 2011-11-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für einen Stufenschalter
DE102011013749B4 (de) 2011-03-12 2015-03-1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JP5677163B2 (ja) * 2011-03-28 2015-02-25 株式会社東芝 強制投入機構付きの蓄勢機構及び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CN103358295B (zh) * 2013-07-15 2015-11-18 芜湖精锋园林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刀具加工台架
EP3761333B1 (en) 2019-07-01 2023-08-30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Drive arrangement for a tap chan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61A (ko) * 1991-06-21 1993-01-16 아이자와 스스무 회전식 스위치 구조
KR19990083221A (ko) * 1998-04-17 1999-11-25 까리아스 알렝 플러그인 회로차단기의 적출 실행시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방전 및 분리 제어장치
KR20070027757A (ko) * 2004-06-30 2007-03-09 에이비비 리써치 리미티드 전환 스위치, 이 스위치의 작동 방법, 및 이 스위치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048A (en) * 1906-11-16 1913-11-18 Thomas Simmons Homans Mechanical movement.
US3020773A (en) * 1959-03-25 1962-02-13 Golding William Frank Apparatu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into intermittent motion
US3422941A (en) * 1967-07-06 1969-01-21 Bliss Co Rotary drive stepper
GB1368137A (en) * 1971-10-13 1974-09-25 Engish Numbering Machines Ltd Rotary indexing mechanisms
JPS5149208B2 (ko) * 1971-10-27 1976-12-25
AT389187B (de) * 1988-03-18 1989-10-25 Elin Union Ag Federsprungantrieb fuer lastumschalter von stufenschaltern
US5693922A (en) * 1995-11-13 1997-12-02 Abb Power T&D Company Inc. Diverter switch and link system for load tap changer
CN1205798A (zh) * 1995-12-21 1999-01-20 赖茵豪森机械制造公司 步进开关用的负荷转换开关
DE10050932C1 (de) * 2000-10-13 2002-06-13 Reinhausen Maschf Scheubeck Kraftspeicher für einen Stufenschalter
SE527560C2 (sv) 2004-03-22 2006-04-11 Sapa Heat Transfer Ab Höghållfast aluminiumlegering för lödda produkter, ett plätterat material för lödda produkter samt metod för framställning av aluminiumb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61A (ko) * 1991-06-21 1993-01-16 아이자와 스스무 회전식 스위치 구조
KR19990083221A (ko) * 1998-04-17 1999-11-25 까리아스 알렝 플러그인 회로차단기의 적출 실행시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방전 및 분리 제어장치
KR20070027757A (ko) * 2004-06-30 2007-03-09 에이비비 리써치 리미티드 전환 스위치, 이 스위치의 작동 방법, 및 이 스위치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6602B (zh) 2011-10-26
SE529799C2 (sv) 2007-11-27
EP1958224A1 (en) 2008-08-20
UA89453C2 (uk) 2010-01-25
EP1958224B1 (en) 2012-06-13
BRPI0619526B1 (pt) 2018-02-06
US20090151486A1 (en) 2009-06-18
EP1958224A4 (en) 2011-03-30
CN101326602A (zh) 2008-12-17
BRPI0619526A2 (pt) 2011-10-04
US7942073B2 (en) 2011-05-17
BRPI0619526B8 (pt) 2022-09-27
KR20080082626A (ko) 2008-09-11
SE0502717L (sv) 2007-08-29
RU2367047C1 (ru) 2009-09-10
WO2007067144A1 (en) 2007-06-14
JP2009518602A (ja)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353B1 (ko) 회전 운동 전달 장치
KR101702974B1 (ko)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을 가진 부하시 탭 전환기
RU2345437C2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шунтирующе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переключателем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так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CN104145134A (zh) 轮内马达
KR102556185B1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및 에너지 축적기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
US10927823B2 (en) Power genera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CN104635467B (zh) 具有单向轮的钟表轮副
EP1999769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transmitting rotary motion
JP5759141B2 (ja) 駆動力配分装置
JP5945584B2 (ja) 動力伝達装置
RU2150605C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пруж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для получения энергии
JP7285575B2 (ja) 発電機構及び発電方法
KR101964664B1 (ko) 자가 발전장치
RU201764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риводимое в действие мускульной силой человека
CN213360891U (zh) 一种螺旋分离离合器
SU1384820A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куперации энергии колебательных движений поворотного звена
SE527506C2 (sv) Anordning för överföring av vridrörelse samt användning av anordningen
JP2005325939A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