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34B1 -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34B1
KR101309134B1 KR20110144170A KR20110144170A KR101309134B1 KR 101309134 B1 KR101309134 B1 KR 101309134B1 KR 20110144170 A KR20110144170 A KR 20110144170A KR 20110144170 A KR20110144170 A KR 20110144170A KR 101309134 B1 KR101309134 B1 KR 10130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mposable organic
hardly decomposable
organic material
landfill
organic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875A (ko
Inventor
김석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1014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지에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함께 건설폐기물을 매립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여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TEATMENT METHOD FOR ORGANIC MATERIALS AND STABILIZATION METHOD FOR LANDFILL}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분해성 유기물질은 재래식 생물학적 처리공정이나 자연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이들 물질은 자연계에서도 분해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전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잔류하므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지하수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물리적 처리(스크리닝, 침사, 응결, 침강분리, 부상분리, 흡착 등), 화학적 처리(중화, 폭기, 산화, 환원, 이온교환 등), 생물학적 처리(살수여상법, 활성슬러지법, 혐기성 소화법, 호기성 소화법 등)에 의한 처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리그노 셀룰로오스, 유기농약과 같이 대규모로 발생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경우에는 매립 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난분해성 유기물질은 그 분해에 대단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여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매립지에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함께 건설폐기물을 매립하여, 상기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건설폐기물은 석고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성분은 황환원박테리아(SRB : Sulfur Reducing Bacteria)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슬러지를 함께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생산되는 유기물 및 미생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폐기물과 상기 탈수슬러지는 1:1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폐기물 매립지를 조기에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여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은 기본적으로, 매립지에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함께 건설폐기물을 매립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박테리아 중 황환원박테리아(SRB : Sulfur Reducing Bacteria)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폐기물 매립지 중 건설폐기물이 주로 매립되는 매립지의 경우 H2S의 발생으로 인한 악취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는 건설폐기물 중의 석고성분이 황환원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됨에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건설폐기물 중에는 석고(CaSO4·2H2O)성분이 다량(시멘트의 3~6%)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석고성분은 분해 시 다량의 황산이온(SO4 -2)을 발생하므로, 이것이 황환원박테리아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한 것으로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매립 시 건설폐기물을 함께 매립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석고성분에 의해 생장 및 활동이 왕성해진 황환원박테리아에 의해 자연스럽게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가 촉진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건설폐기물을 각각 별개의 매립지에 매립하였으므로, 난분해성 유기물질 매립지의 경우 분해기간이 길어 매립지의 안정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건설폐기물을 함께 매립함으로써, 분해기간을 단축하여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꾀한다는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건설폐기물 중 황환원박테리아의 생장을 촉진하는 성분은 석고성분인 것으로 파악되므로, 건설폐기물에 석고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적용할수록 상술한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한편, H2S의 발생으로 인한 악취 문제를 겪고 있는 건설폐기물 매립지 중 탈수슬러지가 함께 매립되는 매립지의 경우, 이러한 악취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탈수슬러지가 황환원박테리아의 활동(석고성분의 분해)을 더욱 왕성하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건설폐기물에 더하여, 탈수슬러지를 함께 매립하는 경우, 황환원박테리아의 활성화에 의해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탈수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생산되는 유기물 및 미생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된다.
건설폐기물과 탈수슬러지는 1:1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황환원박테리아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매립지에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함께 건설폐기물을 매립하여, 상기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상기 건설폐기물은 석고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성분은 황환원박테리아(SRB : Sulfur Reducing Bacteria)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탈수슬러지를 함께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생산되는 유기물 및 미생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폐기물과 상기 탈수슬러지는 1:1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폐기물 매립지를 조기에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KR20110144170A 2011-12-28 2011-12-28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KR10130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4170A KR101309134B1 (ko) 2011-12-28 2011-12-28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4170A KR101309134B1 (ko) 2011-12-28 2011-12-28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875A KR20130075875A (ko) 2013-07-08
KR101309134B1 true KR101309134B1 (ko) 2013-09-16

Family

ID=4898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44170A KR101309134B1 (ko) 2011-12-28 2011-12-28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46A (ko) * 1999-08-19 1999-12-06 김민영 황산염환원균을 이용한 소각재 처리방법
KR20020091477A (ko) * 2001-05-30 2002-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황산화 세균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처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46A (ko) * 1999-08-19 1999-12-06 김민영 황산염환원균을 이용한 소각재 처리방법
KR20020091477A (ko) * 2001-05-30 2002-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황산화 세균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처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875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ásquez-Murrieta et al. Approaches for removal of PAHs in soils: Bioaugmentation, biostimulation and bioattenuation
Fazal et al. Biological treatment of combined industrial wastewater
Abdel-Shafy et al. Landfill leachate: Sources, nature, organic composition, and treatment: An environmental overview
JP3820180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Singh et al. Impact of organic loading rate and earthworms on dissolved oxygen and vermifiltration
Garkal et al. Domestic waste water treatment by bio-filtration: a case study
CN105271611A (zh) 截污化肥厂
KR100785849B1 (ko) 축분을 이용한 유기성 비료 제조방법 및 유기성 비료의 제조반응기
CN111087141A (zh) 一种治理污泥的重金属稳定剂及其使用方法
RU2584031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ешламов и очистки замазученных грунтов
JP2015134343A (ja) 金属汚染物質の原位置での化学固定化処理
KR101309134B1 (ko)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 방법
KR20130123799A (ko)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KR101207565B1 (ko) 황산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유발 오염물질의 악취 제거방법
Mroczek-Krzyzelewska et al. Changes in acrylamide monomer content during composting of dairy processing sludge.
KR100279802B1 (ko) 폐기물 매립용 복토재
JP2004066193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JP6393491B2 (ja) 水処理設備、及び有機性排水の生物処理方法
CN102757103B (zh) 一种新型环保炼油废水除臭剂及其应用
KR100763838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복토재의 제조방법
CN104418475B (zh) 污泥与有机废弃物除臭及分解之处理剂及处理方法
Singh et al. Bioremediation of Wastewater Sludge from Pharmaceutical Industries through Vermistabilization
Chowdhary et al. Treatment of wastewater by vermifiltration integrated with plants
JP2011050318A (ja) 浄化機能水とその利用方法
Yadav et al. Nutrient status of vermicompost of Paper Mill Sludge with different wastes by using Eisenia fet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