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24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249B1
KR101308249B1 KR1020060008478A KR20060008478A KR101308249B1 KR 101308249 B1 KR101308249 B1 KR 101308249B1 KR 1020060008478 A KR1020060008478 A KR 1020060008478A KR 20060008478 A KR20060008478 A KR 20060008478A KR 101308249 B1 KR101308249 B1 KR 10130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stroke
vowel
inpu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8310A (en
Inventor
노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249B1/en
Publication of KR2007007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1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모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2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자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모음 자획과 자음 자획을 한글 필기 순서에 따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완성형의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ul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a Hangul is a first group to which vowel strokes are assigned for inputting a Hangul vow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keys. Receiving at least one vowel stroke using a key of the user; receiving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using a second group of keys to which consonant strokes for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re allocated; Recognizing the input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according to the Hangul writing order, and combining the recognized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to generate a complete Hangul characters.

한글 입력, 자음 자획, 모음 자획, 키패드 Hangul input, consonant stroke, vowel stroke, keypad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and Apparatus for Hangul Input of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Keypad)를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keypad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에 의해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5A and 5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Korean character by inputting a vowel stroke and a consonant strok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한글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terminal.

통신 기술의 발달과 대중화로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음성 통신은 기본이고 문자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까지 제공되고 있다. 특히, 단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는 부가서비스를 즐기는 일부에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여러 계층의 사람들에 의해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단문자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이용되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문자 입력 방식, 특히,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s, voice communication is basic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text services are provided. In particular, the Short Message Service is used not only by a part of enjoying additional services, but by people of all ages. Therefore, a lot of researches on a convenient and efficient character input method, in particular, the Hangul input method used to use the single character service.

종래의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해 삼성전자의 통신 단말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삼성전자의 통신 단말기는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 천지인(l,·,ㅡ)이라는 방식을 이용하고, 19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이용하여 한글을 표기한다.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of Samsung Electronics. Samsung'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es Cheonjiin (l, ·, ㅡ) to express vowels and uses 19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ㅋ, ㅋ) Hangul is written using,, ㅎ, ㄲ, ㄸ, ㅃ, ㅆ, ㅉ).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Keypad)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키패드에서 숫자키 '1' '2' '3'에는 모음 합성을 위한 천지인(l,·,ㅡ)이 각각 할당되고, 숫자키 '4'에는 자음 'ㄱ'과 'ㅋ'이 할당되고, 숫자키 '5'에는 자음 'ㄴ'과 'ㄹ'이 할당되고, 숫자키 '6'에는 자음 'ㄷ'과 'ㅌ'이 할당된다. 그리고, 숫자키 '7'에는 자음 'ㅂ'과 'ㅍ'이 할당되고, 숫자키 '8'에는 자음 'ㅅ'과 'ㅎ'이 할당되며, 숫자키 '9'에는 자음 'ㅈ'과 'ㅊ'이 할당되고, 숫자키 '0'에는 자음 'ㅇ'과 'ㅁ'이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s' 1 ',' 2 ', and' 3 'are assigned to cheonjiin (l, ·, ㅡ) for vowel synthesis, respectively, and the consonant' a 'and' ㅋ 'is assigned, the consonants' b' and 'ㄹ'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 '5', and the consonants' ㄷ 'and' ㅌ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 6 '. Then, consonants' ㅂ 'and' ㄷ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7', consonants' ㅅ 'and' ㅎ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8', and consonants' ㅈ 'and' ',' And '0' are assigned consonants 'ㅇ' and 'ㅁ'.

천지인과 자음이 할당된 상기한 바와 같은 키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7개의 키들을 사용하여 19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의 자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자음에 할당된 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해당 자음들을 생성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하고자 하는 자음의 총 수는 19개임에 반해, 자음이 할당된 키의 개수는 7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숫자키에 두 개 이상의 자음들이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할당된 자음들 중에는 숫자키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자음들(ㄲ, ㄸ, ㅃ, ㅆ, ㅉ)도 있게 된다. 이렇게 숫자키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입력 방식을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자음들이 할당된 숫자키를 누르는 경우,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다른 자음들이 표기되기 때문에 상기 숫자키를 누르는 시간 간격도 중요하다. 상기 숫자키를 늦게 누르거나 빨리 누르게 되면 의도하지 않던 글자가 표기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If you use the keypa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elestial and consonant assigned, you can use the seven keys (19, ㄱ, ,,, ,, ,, ㅂ, ㅅ, ㅇ, ,, ㅋ, ㅋ, ㅌ, ,, ㅎ). , ㄲ, ㄸ, ㅃ, ㅆ, ㅉ) can be generated. That is, the consonant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s is press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tal number of consonants to be generated is 19, since the number of keys to which the consonants are assigned is seven, two or more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numeric key. Among them are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which are not marked on the numeric keys. In order to input consonants not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it is inconvenient to remember the input method. In addition, when pressing a number key assigned a plurality of consonants, the time interval between pressing the number key is also important because different consonant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If the numeric key is pressed late or quickly, there may be a case where an unintended letter is displayed.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상에 모음 자획과 자음 자획들을 표시해 두고, 상기 표시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만으로 한글의 모음과 자음을 생성할 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vowel strokes and consonant strokes on a keypa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vowels and consonants of Korean characters using only the displayed vowel strokes and consonant strok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한글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1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모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2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자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모음 자획과 자음 자획을 한글 필기 순서에 따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완성형의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input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keys (key) for inputting Hangul, a vowel stroke for the input of Hangul vowels of the plurality of keys from the user is assigned Receiving at least one vowel stroke using a first group of keys and inputting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using a second group of keys to which consonant strokes for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re input from the user Receiv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input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in the Hangul writing order, and combining the recognized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to generate a complete Hangul characte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1 그룹의 키들과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2 그룹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와, 상기 제 1 그룹의 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 자획 및 상기 제 2 그룹의 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 자획을 한글 필기 순서에 따라 인식하는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완성형의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한글 글자 생성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ul input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group of keys to which vowel strokes are assigned for Hangul vowel input and a second group of keys to which consonant strokes are assigned to Hangul consonant input. A vowel mark and a consonant mark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inputted through a key of the first group and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inputted through a key of the second group according to a Hangul writing order; Recognition unit, and Hangul charac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mplete Hangul character by combining the recognized vowel and consonant stroke.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The foregoing is a somewhat broad summary of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better able to understand i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rm the subject matter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o those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 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disclosed concept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changed or modified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concepts and structures equivalent to the concepts and structures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broadest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 numerals and lik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Radio Frequency:이하 "RF"라 칭함)부(210)는 통신 단말기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n RF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2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RF unit 21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모뎀(MOdulator-DEModulator)(215)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The modem (MOdulator-DEModulator) 215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오디오 처리부(225)는 코덱(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25)는 상기 모뎀(215)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15)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상기 오디오 처리부(225)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220)에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225 may include a coder (Coder-DECoder).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225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odem 215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audio codec to play through a speaker SPK or to output an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MIC. It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through an audio codec and transmits it to the modem 215. The codec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udio processor 225 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220.

키패드(2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키패드에는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 'ㅣ', '·', 'ㅡ'이 할당된 키들이 구비되고,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 'ㄱ', 'ㄴ', 'ㅅ', 'ㅇ', '-', '│', '\'이 할당된 키들이 구비된다. 상기 키패드(230)는 카메라 모드 실행키, 동영상 촬영키, 종료키 등의 기능키와 특수 문자키 등의 보조키, 숫자키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The keypad 23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20. In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vowel strokes 'ㅣ', '·', 'ㅡ' are assigned to the vowel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consonant strokes 'ㄱ', 'ㄴ', 'ㅅ' for Korean consonant input. Keys assigned with ',' ㅇ ','-',' │ 'and', 'are provided. The keypad 230 may also include a function key such as a camera mode execution key, a video recording key, and an end key, an auxiliary key such as a special character key, and a numeric key.

메모리(235)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5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program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 data memory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control or during execution by the user.

제어부(22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모뎀(215)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220)는 입력되는 자음 자획과 모음 자획들을 인식하고 한글 글자를 조합하여 표시부(25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자음 자획과 모음 자획들을 인식하여 조합하는 경우, 의미 있는 한글 단어를 만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2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roller 220 may include the modem 215 and a codec.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20 recognizes input consonant strokes and vowel strokes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255 to combine the Hangul characters.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o create a meaningful Hangul word when the consonant stroke and the vowel stroke are recognized and combined.

카메라부(2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amera unit 2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and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The camera sensor is assumed to be a 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신호처리부(245)는 상기 카메라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처리부(245)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즉, 직렬 아날로그 적녹청(RED, GREEN, BLUE: 이하 "RGB"라 칭함) 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245)의 AFE(Analog Front End) 칩을 통해 디지털 변환되고, 상기 디지털 변환된 12비트의 RGB 신호는 8비트의 YUV 데이터로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YUV 데이터는 영상의 색을 밝기인 Y 성분과 색인 U 및 V 성분으로 구분된다. The signal processor 245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240 into an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245 may be implement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analog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mera sensor (ie, a serial analog red-green (RED, GREEN, B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GB") signal) is digitally transmitted through an analog front end (AFE) chip of the signal processor 245. The converted, digitally converted 12-bit RGB signal is output as 8-bit YUV data. In general, the YUV data is classified into a Y component, which is a color of an image, and an index U and V component.

영상처리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55)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255)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정지영상(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코덱, 동영상(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코덱, 웨이브렛(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50)는 온스크린 표시(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220)가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2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240. The image processor 2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2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255.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5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image data to original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still picture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codec, a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250 has an on-screen display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20.

표시부(255)는 상기 영상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220)에서 출력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55)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255)는 LCD 제어부,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255)는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255)는 입력된 한글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인식하여 조합된 한글 글자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55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220. The display unit 255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55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 LCD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t can be provided.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55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The display unit 255 recognizes the input Hangul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and displays the combined Hangul character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키패드(230)의 숫자키들 '1' '2' '3'에는 천지인에 해당하는 모음 자획들 'ㅣ', 'ㆍ', 'ㅡ'이 각각 할당되고, 숫자키 '4'에는 자음 자획 'ㄱ'이 할당되고, 숫자키 '5'에는 자음 자획 '-'이 할당되고, 숫자키 '6'에는 자음 자획 'ㄴ'이 할당된다. 그리고, 숫자키 '7'에는 자음 자획 '│'이 할당되고, 숫자키 '8'에는 자음 자획 'ㅅ'이 할당되며, 숫자키 '9'에는 자음 자획 'ㅇ'이 할당되고, 숫자키 '0'에는 자음 자획 '\'이 할당된다. 상기 모음 자획 'ㅣ', 'ㆍ', 'ㅡ'가 할당되어 있는 3개의 키들을 제 1 그룹키라고 일컬으며, 상기 자음 자획 'ㄱ', 'ㄴ', 'ㅅ', 'ㅇ', '-', '│', '\'이 할당되어 있는 7개의 키들을 제 2 그룹키라고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음과 자음 자획들의 할당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것은 일예일 뿐이며 상기 모음 자획들과 자음 자획들의 할당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vowel strokes' ㅣ ',' · ',' ㅡ 'corresponding to Cheonjiin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 '2' and '3' of the keypad 230, and the numeric keys' '4' is assigned to the consonant stroke 'a', '-'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5', and 'b' is assigned to the number '6'. Then, the consonant stroke '│'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7', the consonant stroke 'ㅅ'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8', the consonant stroke 'ㅇ'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9', and the numeric key ' 0 'is assigned a consonant stroke' \ '. The three keys to which the vowel traces' ㅣ ',' · 'and' ㅡ 'are assigned are called first group keys, and the consonant traces' ㄱ', 'ㄴ', 'ㅅ', 'ㅇ', ' Seven keys to which '-', '│' and '\' are assigned are referred to as a second group ke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assignment of vowels and consonant strok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vowel and consonant strokes may be assigned in various forms.

한편, 상기의 모음 자획들과 자음 자획들의 조합으로 한글 글자를 생성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자음 자획들의 조합으로 자음을 구성하는 예를 살펴본다. Meanwhile, the Hangul characters ar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strokes and the consonant strokes. First, an example of configuring a consonant with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strokes will be described.

여기에서 자음 자획은 자음을 구성하기 위해 쪼개어진 최소 단위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7개('ㄱ', 'ㄴ', 'ㅅ', 'ㅇ', '-', '│', '\')의 자음 자획으로 구성된다. 상기 7개의 자음 자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자획들이 조합되어 19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의 한글 자음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자음 자획은 필기순서에 따라 자음을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19개의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상기 자음 자획들의 조합 예를 <표 1>을 통해 알아본다.Here, the consonant stroke means a minimum unit split to form consonant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ven units ('a', 'b', 'ㅅ', 'ㅇ', '-', '│ ',' \ ') Consists of consonant strokes. Among the seven consonant strokes,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is combined to include nineteen (a, b, c,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한글, ㅆ, ㅉ) Hangul consonants. In addition, the input consonant stroke constitutes a consonant according to the writing order. Then, a combination example of the consonant strokes for generating the 19 Korean consona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입력자음자획Consonant 숫자키Numeric keys 인식자음Recognition A 44 A N 66 N -, ㄴ           -, N 5, 65, 6 C ㄱ, -, ㄴA,-, b 4, 5, 6 4, 5, 6 D │, ㄱ, - │, a,- 7, 4, 57, 4, 5 │, │, -, -│, │,-,- 7, 7, 5, 57, 7, 5, 5 S 88 S 99 -, ㅅ-, ㅅ 5, 8 5, 8 I \, -, ㅅ\,-, ㅅ 0, 5, 80, 5, 8 The ㄱ, -A,- 4, 54, 5 Lol -, ㄴ, --, N, - 5, 6, 55, 6, 5 I -, │, │,--, │, │,- 5, 7, 7, 55, 7, 7, 5 The \, -, ㅇ\,-, ㅇ 0, 5, 9         0, 5, 9 ㄱ, ㄱA, a 4, 44, 4 -, ㄴ, -, ㄴ-, B,-, b 5, 6, 5, 65, 6, 5, 6 │, │, -, -, │, │, -, -│, │,-,-, │, │,-,- 7, 7, 5, 5, 7, 7, 5, 5 7, 7, 5, 5, 7, 7, 5, 5 ㅅ, ㅅㅅ, ㅅ 8, 88, 8 -, ㅅ, -, ㅅ        -, ㅅ,-, ㅅ 5, 8, 5, 8        5, 8, 5, 8

예를 들어,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음 'ㅈ'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음 자획들 '-'와 'ㅅ'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숫자키들 '5'와 '8'을 필기순서를 고려하여 순서대로 입력하고, 자음 'ㅎ'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음 자획들 '\', '-'와 'ㅇ'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숫자키들 '0', '5'와 '9'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글의 자음을 생성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ㅈ', the numerical keys '5' and '8' to which the consonant strokes '-' and 'ㅅ' are assigned, To input consonants 'ㅎ', input the numeric keys '0', '5' and '9' assigned to consonant traces '\', '-' and 'ㅇ' respectively. . By doing this, Korean consonants are gen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2의 키패드(230)는 기능키(410), 모음 입력키(420), 자음 입력키(430), 보조키(440)로 구성된다. 상기 기능키(410)에는 일반적으로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키', 칼라 메시지, 문자 메시지, 문장 보관함, 이모티콘 보관함 등의 메시지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시지키', 항목 선택을 위한 '확인키',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키', 취소를 위한 '취소키', 종료를 위한 '종료키' 등이 포함된다. 상기 기능키(410)는 기능을 갖도록 설정된 키들을 의미하고,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목적에 따라서 추가/삭제/변경 가능하다. 상기 모음 입력키(420)는 상기 도 3에서 도시된 제 1 그룹키에 해당하는 것으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키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지인에 해당하는 모음 자획들, 'l',' ·','ㅡ'을 상기 도 3의 숫자키 1, 2, 3에 각각 할당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이 모음 입력키(420)에 해당한다. 상기 자음 입력키(43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 2 그룹키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키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음 자획들, 'ㄱ', 'ㄴ', 'ㅅ', 'ㅇ', '-', '│', '\'를 상기 도 3의 숫자키 '4', '5', '6', '7', '8', '9', '0'에 각각 할당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이 자음 입력키(430)에 해당한다. 상기 보조키(440)는 특수 문자키를 할당한 키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향키(왼쪽, 오른쪽 화살표키)를 '*'와 '#'키들에 각각 할당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이 보조키(440)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keypad 230 of FIG. 2 includes a function key 410, a vowel input key 420, a consonant input key 430, and an auxiliary key 440. The function key 410 generally includes a 'menu key' for displaying a list for selecting menus, a 'message key' for displaying a menu related to a message such as a color message, a text message, a text box, an emoticon box, It includes a confirmation key for selecting an item, a call key for a phone call, a cancel key for canceling, and an end key for ending. The function key 410 refers to keys that are set to have a function, and may be added / deleted /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rather than being regularly determined. The vowel input key 420 corresponds to the first group key illustrated in FIG. 3 and is assigned to vowel strokes for inputting a vow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strokes 'l', '·', '-' corresponding to Cheonjiin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 2, and 3 of FIG. 3, respectively, and the keys are assigned to the vowel input key 420. Corresponding. The consonant input keys 430 correspond to the second group key shown in FIG. 3 and are assigned to consonant strokes for inputting conson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strokes, 'a', 'b', 's', 'o', '-', '│', '\' of the numeric keys '4', '5', '6', '7', '8', '9', and '0' are respectively assigned, and the keys correspond to the consonant input key 430. The auxiliary key 440 is a key to which a special character key is as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keys (left and right arrow keys) are assigned to the '*' and '#' keys, respectively, and the keys correspond to the auxiliary key 440.

상기 제어부(220)는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와 한글 글자 생성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사용자의 상기 키패드(230)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의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인식한다.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에서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한글 글자를 생성한다.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에서 생성된 한글 글자는 표시부(255)를 통해 표시되고 이후의 사용을 위하여 저장부(235)에 저장된다.The controller 220 includes a vowel and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and a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recognizes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of the Hangul input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pad 230.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generates Hangul characters by combining the vowel and consonant strokes recognized by the vowel and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The Hangul characters generated by the Hangul character generation unit 460 a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5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5 for later use.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에 의해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5A and 5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Korean characters by inputting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510 단계에서 한글 글자의 초성을 구성하기 위한 자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자음 자획이 입력되었다면, 515 단계에서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입력되는 자음 자획을 표시부(255)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입력되는 자음 자획을 필기순서대로 상기 <표 1>의 구성 예에 따라 자음을 생성하도록 표시한다.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520 단계에서 한글 글자의 중성을 구성하기 위한 모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모음 자획이 입력된다면,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52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15 단계에서 입력된 자음 자획들을 조합하여 자음을 구성한다. 즉, 초성 조합을 수행한 후 530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모음 자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상기 515 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입력된 자음 자획을 추가하여 상기 표시부(255)에 표시한다. 530 단계에서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조합된 자음을 초성으로써 상기 표시부(255)에 표시한다. 535 단계에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자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5A,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determines whether a consonant stroke for forming a consonant of the Hangul characters is input in step 510. If the consonant stroke is input, the Korean character generator 460 displays the input consonant stroke on the display unit 255 in step 515. In this case, the Hangul character generation unit 460 displays the input consonant stroke to generat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Table 1 in writing order.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checks whether the vowel stroke for constituting the neutrality of the Hangul characters is input in step 520. If the vowel stroke is input,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proceeds to step 525 to combine consonant strokes input in step 515 to form consonants. That is, after performing the initial combin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30. If the vowel stroke is not inpu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15 and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adds the input consonant strok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55. In operation 530,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displays the combined consonants on the display unit 255 as initial consonants. In operation 535,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check whether the consonant stroke is input.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535 단계에서 자음 자획이 입력되는 경우, 540 단계에서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520 단계에서 입력된 모음 자획과 530 단계에서 표시된 초성을 조합하여 초성과 중성을 이루도록 한다. 만약 상기 도 5a의 535 단계에서 자음 자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모음 자획이 입력된 것이므로,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535 단계에서 입력된 모음 자획과 상기 520 단계에서 입력된 모음 자획으로 이중 모음을 구성한다. 이미 입력되어 표시된 초성은 변함이 없다. 545 단계에서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540 단계에서 조합된 초성과 중성을 상기 표시부(255)에 표시한다. 550 단계에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모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550 단계에서 모음 자획이 입력된다면,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535 단계에서 입력된 자음 자획으로 종성을 구성할지, 입력된 모음의 초성을 구성할지 판단하고 555 단계에서 한글 글자를 조합한다.Referring to FIG. 5B, when consonant stroke is input in step 535,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combines the vowel stroke input in step 520 and the initial consonant displayed in step 530 to form a consonant and a neutral. To achieve. If the consonant stroke is not input in step 535 of FIG. 5A, since the vowel stroke is input,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double-vowels the vowel stroke input in step 535 and the vowel stroke input in step 520. Configure The already entered and displayed initials remain unchanged. In operation 545,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displays the initial and neutral combinations combined in operation 540 on the display unit 255. In operation 550,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check whether the vowel stroke is input. If the vowel stroke is input in step 550, the Hangul character generation unit 460 determines whether to form a finality or the initial vowel of the input vowel in step 535 and combines the Hangul characters in step 555. do.

상기 550 단계에서 모음 자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560 단계에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자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560 단계에서 자음 자획이 입력된다면, 상기 545 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미 입력되어 표시된 초성과 중성은 변함이 없다. 상기 560 단계에서 상기 자음 자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565 단계에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입력하고 있는 위치 변경을 지시하는 방향키(화살표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방향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한글 글자 생성부(460)는 상기 545 단계에서 표시된 초성과 중성으로, 또는 상기 560 단계에서 입력된 자음 자획이 있다면, 상기 자음 자획을 종성으로 구성하고 570 단계에서 상기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한글 글자를 완성한다. 상기 565 단계에서 상기 방향키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575 단계에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종료키가 입력된다면, 한글입력 모드를 종료한다. 만약 상기 575 단계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상기 550 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450)는 모음 자획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If the vowel stroke is not input in step 550, in step 560,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determines whether the consonant stroke is input. If consonant stroke is input in step 56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45. The initials and neutrals already entered and displayed remain unchanged. If the consonant stroke is not input in step 560, in step 565, the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determines whether a direction key (arrow key) indicating an input position change is input. When the direction key is input, the Hangul character generator 460 configures the consonant stroke as the final consonant stroke if the consonant stroke is entered as the initial and neutral displayed in the step 545 or the input of the consonant stroke in the step 560. Complete the Hangul letters consisting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star. If the direction key is not input in step 565, the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determines whether an end key is input in step 575. If the exit key is entered, the Hangul input mode is exited. If the end key is not input in step 575,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50, and the vowel and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450 determines whether vowel stroke is input.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삭제키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삭제키가 입력되면 삭제하고자 하는 글자 또는 자획을 삭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는 점을 유의한다. For reference, although the deletion key i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a process of deleting a character or a stroke to be deleted is performed when the deletion key is inpu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상에 표시된 모음 자획과 자음 자획을 필기순서대로 입력하면서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 한글 글자를 생성하여 표기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의 배열이나 입력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d display Korean characters composed of vowels and consonants while inputting vowel and consonant strokes displayed on the keyp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rder of writing.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used.

Claims (9)

한글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keys (key) for inputting Hangul,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1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모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Receiving, by a user, at least one vowel stroke using a first group of keys to which vowel stroke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re assigned;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키들 중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2 그룹의 키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자음 자획을 입력 받는 과정과, Receiving, by the user,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using a second group of keys to which consonant strokes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re allocated; 상기 입력된 모음 자획과 자음 자획을 한글 필기 순서에 따라 인식하는 과정과,Recognizing the input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according to the Hangul writing order; 상기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완성형의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vowel stroke and consonant stroke to generate a complete Hangul characters, 상기 제 2 그룹의 키들에는 7개의 자음 자획 'ㄱ', 'ㄴ', 'ㅅ', 'ㅇ', '-', '│', '\'이 할당되고,Seven consonant traces 'ㄱ', 'ㄴ', 'ㅅ', 'ㅇ', '-', '│' and '\' are assigned to the second group of keys. 상기 7개의 자음 자획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키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All of the seven consonant strokes are assigned to different key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자음 자획을 하기의 <표 2>와 같이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recognizing process, the input consonant trace is recognized as shown in Table 2 below. . <표 2><Table 2> 입력자음자획Consonant 인식자음Recognition A A N N -, ㄴ           -, N C ㄱ, -, ㄴA,-, b D │, ㄱ, - │, a,- │, │, -, -│, │,-,- S S -, ㅅ-, ㅅ I \, -, ㅅ\,-, ㅅ The ㄱ, -A,- Lol -, ㄴ, --, N, - I -, │, │,--, │, │,- The \, -, ㅇ         \,-, ㅇ ㄱ, ㄱA, a -, ㄴ, -, ㄴ-, B,-, b │, │, -, -, │, │, -, -│, │,-,-, │, │,-,- ㅅ, ㅅㅅ, ㅅ -, ㅅ, -, ㅅ       -, ㅅ,-, ㅅ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키들에는 모음 자획 'ㅣ', 'ㆍ', 'ㅡ'이 각각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4. The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vowels 'ㅣ', '·', and '-' are assigned to the keys of the first group, respectively.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1 그룹의 키들과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자음 자획들이 할당된 제 2 그룹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와, A keypad comprising a first group of keys to which vowel strokes for Hangul vowel input are assigned and a second group of keys to which consonant strokes for Hangul consonant input are assigned; 상기 제 1 그룹의 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 자획 및 상기 제 2 그룹의 키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 자획을 한글 필기 순서에 따라 인식하는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와, A vowel and consonant stroke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vowel stroke input through the key of the first group and at least one consonant stroke input through the key of the second group according to the Hangul writing order; 상기 인식된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을 조합하여 완성형의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한글 글자 생성부를 포함하며,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vowel and consonant strokes Hangul charac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mplete Hangul character, 상기 제 2 그룹의 키들에는 7개의 자음 자획 'ㄱ', 'ㄴ', 'ㅅ', 'ㅇ', '-', '│', '\'이 할당되고,Seven consonant traces 'ㄱ', 'ㄴ', 'ㅅ', 'ㅇ', '-', '│' and '\' are assigned to the second group of keys. 상기 7개의 자음 자획 모두는 각각 서로 다른 키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ll of the seven consonant strokes are assigned to different keys.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자획 및 자음 자획 인식부는 상기 입력된 자음 자획을 하기의 <표 3>과 같이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owel stroke and the consonant stroke recognition unit recognize the input consonant stroke a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입력자음자획Consonant 인식자음Recognition A A N N -, ㄴ           -, N C ㄱ, -, ㄴA,-, b D │, ㄱ, - │, a,- │, │, -, -│, │,-,- S S -, ㅅ-, ㅅ I \, -, ㅅ\,-, ㅅ The ㄱ, -A,- Lol -, ㄴ, --, N, - I -, │, │,--, │, │,- The \, -, ㅇ         \,-, ㅇ ㄱ, ㄱA, a -, ㄴ, -, ㄴ-, B,-, b │, │, -, -, │, │, -, -│, │,-,-, │, │,-,- ㅅ, ㅅㅅ, ㅅ -, ㅅ, -, ㅅ       -, ㅅ,-, ㅅ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키들에는 모음 자획 'ㅣ', 'ㆍ', 'ㅡ'이 각각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8. The Korean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7, wherein the vowels 'ㅣ', '·', and '-'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keys of the first group. 삭제delete
KR1020060008478A 2006-01-26 2006-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08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78A KR101308249B1 (en) 2006-01-26 2006-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78A KR101308249B1 (en) 2006-01-26 2006-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10A KR20070078310A (en) 2007-07-31
KR101308249B1 true KR101308249B1 (en) 2013-09-13

Family

ID=3850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478A KR101308249B1 (en) 2006-01-26 2006-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2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20055833A (en) * 2000-12-29 2002-07-10 안상범 a word input unit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KR20030049443A (en)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50042115A (en) * 2005-04-11 2005-05-04 김세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order of handwri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20055833A (en) * 2000-12-29 2002-07-10 안상범 a word input unit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KR20030049443A (en)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50042115A (en) * 2005-04-11 2005-05-04 김세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order of handwri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10A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5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message
US72459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952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using mouse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3082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Hangeul word on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788B1 (en) Method for inputting key in wireless terminal
KR100735261B1 (en) Wireless terminal and a method for outputting voice data using that
KR100790159B1 (en)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427B1 (en) Method for changing data and background in wireless terminal
CN102202136A (en) Telephone, key setting method, quick dialing method and caller identification method
CN202050458U (en) Telephone set
KR1010557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key button signal during call using voice recognition
KR1006635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terminal
KR100983727B1 (en)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735430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menu in wireless terminal
KR200900807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text message during video calling with a terminal
KR100408207B1 (en) A color converter of text in a mobile phone
KR20060112934A (en) Method for turning image state in wireless terminal
KR20120017272A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spacing words in wireless terminal
JP5061838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058505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gesture recognition
KR100660463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1169645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Smart Dia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502B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peed of screen display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56B1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wireless telephone
KR100579656B1 (en) A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nd a method thereof by using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