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151B1 -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 Google Patents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151B1
KR101308151B1 KR1020100100441A KR20100100441A KR101308151B1 KR 101308151 B1 KR101308151 B1 KR 101308151B1 KR 1020100100441 A KR1020100100441 A KR 1020100100441A KR 20100100441 A KR20100100441 A KR 20100100441A KR 101308151 B1 KR101308151 B1 KR 10130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layer
floor
present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791A (en
Inventor
손창모
Original Assignee
손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모 filed Critical 손창모
Priority to KR102010010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151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8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층이 수평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고, 각 층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 또는 자석 부재가 부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일부 층이 제거된 후 가구의 다리받침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가구의 수평을 맞추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다양한 높이의 얇은 평판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간편하여 제조 단가 및 판매가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일부분을 쪼개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다리받침 면적에 따라 적절한 면적을 택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받침대는, 적층 형태로 제작하되 사용자가 간편하게 각 층을 벗겨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구의 다리받침에 추가되어야 하는 높이가 각각의 다리받침마다 다를 경우, 필요한 만큼의 층을 벗겨내고 쓸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각각의 층마다 로고 또는 광고 문구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층을 벗겨낼 때 광고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pedestal,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ayers are formed in a horizontally stacked form, the top or bottom of each layer is attached with a friction member or a magnet member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layers, If necessary, the floor is removed between the floor and the interior floor of the furniture is rem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furniture level.
According to the furniture pedesta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flat plate of various heights,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significantl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lling price, and can be used by dividing a portion, which i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ootrest area of the furniture. The area can be chosen, so the efficiency is high.
In addition, the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laminated for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el off each floor, if the height to be added to the footrest of the furniture is different for each footrest, as many floors as necessary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peeled off and used, and a logo or advertisement text can be inserted in each layer so that the user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when the user peels off the layer, thereby enjoying an advertisement promotion effect.

Description

가구 받침대{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Furniture stand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 형태로 형성되며 가구의 바닥면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놓임으로써, 실내 바닥면과 가구의 바닥면의 수평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가구가 안정적으로 놓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pedestal, formed in a laminated form and plac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of the interior of the furniture, the problem that the furniture is not placed stably when the horizontal level of the interior floor and the floor of the furniture does not exactly match Relates to a furniture pedestal that can be solved.

일반적으로 빌트-인(built-in)이 아닌 가구의 경우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며, 실내에 설치할 때 가구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의 각 모서리에 부착된 작은 다리받침을 실내의 바닥면에 접촉시켜 가구가 지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가구의 바닥면에 다리받침을 부착하는 것은, 실내 바닥과 가구의 마찰 면적을 줄여서 지면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가구를 받치기 위함이다.
In general, non-built-in furniture is made in the form of a cuboid, and when installed indoors, a small legres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urniture or to each corner of the floor touches the floor of the furniture. Use a way to ensure that is supported. At this time, attaching the leg rest on the floor of the furniture is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floor by reducing the friction area between the indoor floor and the furniture, to stably support the furniture.

그러나 실내 바닥면과 가구의 바닥면이 각각 평평하다고 하더라도, 두 면이 정확히 수평을 이루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는 가구가 노후화됨으로 인해 변형되어 가구의 바닥면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구가 수평으로 놓이지 못하여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f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floor of the furniture are each flat, the two surfaces are often not exactly horizontal, or because the furniture is deteriorated due to ag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is til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rniture can not be placed horizontally to maintain an unstable state.

따라서 종래에는, 가구의 다리받침에 두꺼운 종이나 나무 조각을 끼워 넣음으로써 가구의 수평을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적당한 종이 또는 나무 조각을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임시방편으로만 적절할 뿐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furniture is leveled by inserting a piece of paper or wood into the legrest of the furniture, which is not only suitable as a temporary measure becaus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obtain a suitable piece of paper or wood, but also hurts aesthetics. It can't be the right solu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너트를 회전시킬 때마다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기본적인 높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가구와 실내 바닥면 사이의 버려지는 공간을 넓히게 되므로 비효율적이고 지지가 불안정하며,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 및 판매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device using a bolt and nut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height is adjusted every time the user rotates the nut. However, since such a device has a substantial base height, the space that is discarde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floor of the indoor space is widened, which is inefficient and unstable, and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resulting in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a high selling price.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높이의 얇은 평판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간편하여 제조 단가 및 판매가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일부분을 쪼개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다리받침 면적에 따라 적절한 면적을 택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은 가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flat plate of various heights can significantly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selling price, can be used to split a por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furniture stand, which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furniture legrest area.

또한 본 발명은, 적층 형태로 제작하되 사용자가 간편하게 각 층을 벗겨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구의 다리받침에 추가되어야 하는 높이가 각각의 다리받침마다 다를 경우, 필요한 만큼의 층을 벗겨내고 쓸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각각의 층마다 로고 또는 광고 문구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층을 벗겨낼 때 광고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가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 a laminated for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el off each floor, if the height to be added to the footrest of the furniture is different for each footrest, so as to peel off and use as many layers as necessar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stand that is easy to use and inserts a logo or advertisement text on each floor so that the user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when the user peels off the flo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구 받침대는,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urniture pedestal,

복수 개의 층이 수평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고,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horizontally,

각 층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 또는 자석 부재가 부착되며,At the top or bottom of each layer, a friction member or a magnet member is attached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layers.

필요에 따라 상기 일부 층이 제거된 후 가구의 다리받침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가구의 수평을 맞추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f necessary, the floor is removed between the floor and the interior floor of the furniture is rem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furniture level.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부재는,Preferably, the friction member,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요철이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It may be a member having rubber or irregularities having elasticity.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최상층의 상단에는, 상기 가구의 다리받침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코팅이 형성되며,At the top of the top layer, an adhesive coating is formed to attach to the legrest of the furniture,

상기 접착제 코팅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코팅 상단에 부착되는 스티커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sticker attached to the top of the adhesive coating to protect the adhesive coating.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복수 개의 층이 수평으로 적층된 직육면체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ylindrical shape stacked horizont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층은,More preferably, each layer is

상기 로고 또는 광고 문구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logo or advertising text can be transmitted.

바람직하게는,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는,Preferably, at least one layer comprising a top layer or a bottom layer,

상면 또는 하면에 일정한 모양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쪼개어 상기 가구의 다리받침의 하단 면적에 맞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n incision lin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so that it can be split and, if necessary, to fit the bottom area of the leg rest of the furnitur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은,More preferably, the portion where the cut line is formed,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을 수 있다.
It may be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arts.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가구 받침대의 일 측면에 공기 방울을 이용한 수평계가 부착될 수 있다.A level using air bubbles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urniture suppor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다양한 높이의 얇은 평판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간편하여 제조 단가 및 판매가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일부분을 쪼개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다리받침 면적에 따라 적절한 면적을 택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According to the furniture pedesta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flat plate of various heights,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significantl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lling price, and can be used by dividing a portion, which i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ootrest area of the furniture. The area can be chosen, so the efficiency is hig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받침대는, 적층 형태로 제작하되 사용자가 간편하게 각 층을 벗겨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구의 다리받침에 추가되어야 하는 높이가 각각의 다리받침마다 다를 경우, 필요한 만큼의 층을 벗겨내고 쓸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각 층의 상부에서 로고 또는 광고 문구가 도시되어 보여 질 수 있도록 층과 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마찰 부재 또는 자석 부재 사이에 로고 또는 광고 문구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층을 벗겨낼 때 광고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laminated for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el off each floor, if the height to be added to the footrest of the furniture is different for each footrest, as many floors as necessary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peeled off and used, and the user can insert a logo or advertisement text between the friction member or magnet member attached to the layer and the bottom of the layer so that the logo or advertisement text can be shown on the top of each layer. When you peel off the floor, you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so you can enjoy the promo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furnitur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복수 개의 층(100)이 수평으로 적층된 직육면체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고, 각 층(10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200) 또는 자석 부재가 부착된다. 적층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은, 가구(도 2의 700)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 부착된 다리받침(도 2의 800)이 노후화되거나 손상될 경우 높이가 달라짐으로 인해 실내 바닥면에 놓일 때 가구(도 2의 70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없으므로, 각 다리받침(도 2의 800)에 적합하게 가구 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부 층(100)을 제거한 후, 가구(도 2의 700)의 다리받침(도 2의 800)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투입하여 가구(도 2의 70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100 are horizontally stacked, and an upper end of each layer 100. Or at the bottom of the friction member 200 or a magnet member is attached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layers. Fabrication in a stacked form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when the foot rest attached to each corner of the floor of the furniture (700 in Fig. 2) (800 in Fig. 2)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room due to a change in height if it is aging or damaged. Since 700 of FIG. 2 may not be supported horizontally, the height of the furniture pedestal 10 may be adjusted to suit each legrest (800 of FIG. 2). That is, the user removes some floors 100 as necessary, and then puts them between the legrest (800 of FIG. 2) and the floor of the room (700 of FIG. 2) to level the furniture (700 of FIG. 2). do.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가구(700)의 다리받침(800)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끼워지며, 가구(700)의 하중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면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사용자는 가구(700)를 실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좌측의 다리받침(800)에는 2개 층(100)만 남기고 벗겨서 사용하며 우측의 다리받침(800)에는 1개 층(100)만 남기고 벗겨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히 종이를 여러 번 접어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방법보다 사용이 훨씬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각 층(100)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 부재(200)나 자석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between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and the floor of the room, and under the load of the furniture 700. The position can be fix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indoor floor surface may be inclined or the height of the leg 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may be different.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moves the furniture 700 to the indoor floor surface. To be placed, the left footrest 800 can be used to peel off leaving only two layers 100, leaving only one layer 100 on the right footrest 80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easier to us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imply folding the paper several times to form a constant thickness, and because the friction member 200 or the magnet member is used so that each layer 100 does not slip on each other. Stable support is possible.

이때 마찰 부재(2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요철이 형성된 부재일 수 있으며, 물론 마찰 부재(200)나 자석 부재를 층(100)에 부착하는 대신에 층(100) 자체를 마찰 부재(200) 또는 자석 부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friction member 200 may be a member having rubber or irregularities having elastic force, and of course, the friction member 200 may be replaced by the friction member 200 instead of attaching the friction member 200 or the magnet member to the layer 100. Or a magnet member. Hereinafter,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복수 개의 층(100)들 중에서 최상층(100)의 상단에는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코팅(300)이 형성되며, 접착제 코팅(3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접착제 코팅(300) 상단에 부착되는 스티커(400)를 포함할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at the top of the top floor 100 among the plurality of floors 100. An adhesive coating 300 is formed, and may include a sticker 400 attached to the top of the adhesive coating 300 to protect the adhesive coating 300.

단순히 가구(700)의 하중에 의해서만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면, 사용자는 가구(700)를 바닥에 놓기 전에 본 발명을 가구(700)의 바닥받침과 대응되는 실내 바닥면의 특정한 위치에 놓아야 하는데, 이때 가구(700)를 내려놓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본 발명이 미동함으로 인해 가구(700)의 다리받침(800)과 제대로 닿지 않아 가구(700)의 지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상층(100)의 상단에 접착제 코팅(300)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가구(700)를 들어서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에 본 발명을 부착한 뒤 편리하게 가구(700)를 실내 바닥면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접착제 코팅(300)만을 형성한다면, 본 발명을 가구(700)의 다리받침(800)과 실내 바닥면의 사이에 투입하기도 전에 먼지 또는 기타 불필요한 물질이 접착됨으로 인하여 가구(700)와 맞닿는 면의 평평한 정도 및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접착제 코팅의 보호를 위해 스티커(400)를 포함하며, 스티커(400)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If the position is to be fixed simply by the load of the furniture 700, the user must place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position on the indoor floor corresponding to the floor support of the furniture 700 before placing the furniture 700 on the floor, where Unexpected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laying down the furniture 7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of the furniture 700 may be unstable because it does not properly contact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coating 30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uppermost layer 100, the user lifts the furniture 700 and attaches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conveniently after the furniture ( 700) can be placed on the floor of the room can greatl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However, if only the adhesive coating 300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between the footrest 800 and the interior floor of the furniture 700, dust or other unnecessary materials are adhered to the furniture 700 and Since the flatness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adhesive force may drop,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icker 400 to protect the adhesive coating, and the sticker 400 may use a material that may not impair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스티커(400)-접착제 코팅(300)-마찰 부재(200)-층(100)-마찰 부재(200)-마찰 부재(200)-층(100)과 같은 순서로 적층되며, 사용자는 높이 조절을 위하여 층(100)을 벗겨낼 때 접착제를 제거하지 않도록 최하층(100)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최하단의 층(100)+마찰 부재(200)를 벗겨내고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바로 위층(100)의 마찰 부재(200)+층(100)+마찰 부재(200)를 추가로 벗겨내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이의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최상층(100)의 접착제를 통해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종이를 접어서 다리받침(800)의 아래에 끼워 넣거나 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종래의 가구 받침 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That is,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er 400-adhesive coating 300-friction member 200-layer 100-friction member 200-friction member 200- Laminated in the same order as the layer 100, the user is preferably removed from the lowest layer 100 so as not to remove the adhesive when peeling off the layer 100 for height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the user may peel off and use the lowermost layer 100 + friction member 200 or, if necessary, the friction member 200 + layer 100 + friction member 200 of the immediately upper layer 100. Can be peeled off and used additionall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height at the same tim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through the adhesive of the top layer 100, simply by folding the paper of the legrest 800 Much more efficient than using underlays or using conventional furniture support consisting of bolts and nut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각 층(100)의 상부에서 로고 또는 광고 문구(500)가 도시되어 보여 질 수 있도록 층(100)과 층(1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마찰부재(200) 또는 자석 부재 사이에는 로고 또는 광고 문구(500)가 삽입되고, 상기 각 층(100)은 로고 또는 광고 문구(500)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층(100)을 벗겨내어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광고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층(100)을 벗겨낼 때마다 광고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돋울 수 있으므로 충분한 광고 홍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 층(100)의 사이에 도시된 로고 또는 광고 문구(500)는 층(100)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경품에 당첨될 수 있는 이벤트 광고 등을 도시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yer 100 and a logo or advertisement text 500 at the top of each layer 100. A logo or advertising phrase 500 is inserted between the friction member 200 or the magnet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layer 100, and each layer 100 is transparent so that the logo or advertising phrase 500 can be transmitted. Or it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height by peeling off the layer 100, by utilizing this can enjoy the effect of advertising promotion. That is, whenever the user peels off the layer 100, the user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dvertisement so that the user's interest may be enhanced. In this case, the logo or advertisement text 500 shown between the layers 100 may be different for each layer 100, and may increase the user's interest by showing an event advertisement that may win a priz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최상층(100) 또는 최하층(10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100)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일정한 모양(가로선, 세로선, 십자선, 또는 다각형이나 원형 모양)으로 절개선(600)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쪼개어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의 하단 면적에 맞출 수 있도록 한다. 가구(700)의 다리받침(800)은 가구(700)마다 면적이 각각 상이하므로,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는 본 발명의 면적이 모든 다리받침(800)의 면적에 대응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뿐만 아니라 다리받침(800)과 닿는 면적 또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최상층(100) 또는 최하층(100)에 절개선(600)을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층(100)을 벗겨내지 않더라도 절개선(600)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러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면적을 조절한 후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절개선(600)을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게 본 발명을 쪼갤 수 있도록, 절개선(600)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을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that is uniform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r more layers 100 including the uppermost layer 100 or the lowermost layer 100. An incision 600 is formed in a horizontal line, a vertical line, a cross line, or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so that it can be split to fit the bottom area of the leg 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as necessary. Since the legrest 800 of the furniture 700 has a different area for each furniture 700, the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size may not correspond to the areas of all the legrests 800. Therefore, not only the h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ootrest 800 can be freely adjusted by the user,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In this case, the incision 600 is formed on the uppermost layer 100 or the lowermost layer 100 so that the user may immediately check the incision 600 even if the user does not peel off the layer 100. After adjusting the area, the height is adjusted. In addition, the portion along which the cut line 600 is formed may be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so that the user may easily split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cut line 6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 받침대(10)는, 일 측면에 공기 방울을 이용한 수평계(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실내 바닥면이 평평한지 또는 가구(700)가 올바르게 놓였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다만 본 발명을 가구(700)의 다리받침(800)과 실내 바닥면의 사이에 투입하여 고정시킨 이후에는 수평계를 계속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평계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탈부착 방식으로는 도 5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선(6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수평계는 가구(700)를 실내 바닥면에 놓은 후 분리하여도 무방하도록, 적층된 형태의 전체 높이보다 낮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Furniture pedest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 level (not shown) using air bubbles on one side.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check whether the indoor floor is flat or the furniture 700 is placed correct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between the legrest 800 and the indoor floor of the furniture 700. After fixing it, there is no need to continue using the level, it is preferable to use a level that can be detachable. As a detachable method, an incision 600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horizontal level may be low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stacked form so that the furniture 700 may be separated after being placed on the indoor floor. It can hav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10: 가구 받침대 100: 층
200: 마찰 부재 300: 접착제 코팅
400: 스티커 500: 광고 문구
600: 절개선 700: 가구
800: 다리받침
10: furniture pedestal 100: floor
200: friction member 300: adhesive coating
400: sticker 500: advertising copy
600: incision 700: furniture
800: Footrest

Claims (9)

복수 개의 층이 수평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고,
각 층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부재 또는 자석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층에서 일부의 층이 제거된 후 가구의 다리받침과 실내 바닥면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가구의 수평을 맞추도록 구성하되,
최상층의 상단에는, 상기 가구의 다리받침에 부착되기 위해 형성된 접착제 코팅과, 상기 접착제 코팅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코팅 상단에 부착되는 스티커를 포함하고,
각 층의 상부에서 로고 또는 광고 문구가 도시되어 보여 질 수 있도록 층과 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마찰 부재 또는 자석 부재 사이에는 로고 또는 광고 문구가 설치되고, 상기 각 층은, 상기 로고 또는 광고 문구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horizontally,
At the top or bottom of each layer, a friction member or a magnet member is attached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layers.
After some of the floors are removed from the plurality of floors is put between the feet of the furniture and the interior floor is configured to level the furniture,
At the top of the top layer, includes an adhesive coating formed to attach to the legrest of the furniture, and a sticker attached to the adhesive coating top to protect the adhesive coating,
A logo or advertisement is installed between the layer and the friction member or magnet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ayer so that a logo or advertisement can be shown at the top of each layer. Furnitur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be transm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요철이 형성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iction member,
A furnitur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ember having rubber or irregularities having elastic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층이 수평으로 적층된 직육면체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A furnitur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layer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ylindrical stacked horizont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일정한 모양으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을 쪼개어 상기 가구의 다리받침의 하단 면적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layers comprising a top layer or a bottom layer,
An incision lin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and the furniture pedestal so as to split the incision line so as to fit to the bottom area of the leg rest of the furni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rtion where the incision is formed,
Furnitur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arts.
제1항에 있어서,
가구 받침대의 일 측면에 공기 방울을 이용한 수평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Furnitur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using the air bubbl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urniture stand.
KR1020100100441A 2010-10-14 2010-10-14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KR101308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41A KR101308151B1 (en) 2010-10-14 2010-10-14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41A KR101308151B1 (en) 2010-10-14 2010-10-14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91A KR20120038791A (en) 2012-04-24
KR101308151B1 true KR101308151B1 (en) 2013-09-12

Family

ID=4613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441A KR101308151B1 (en) 2010-10-14 2010-10-14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1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934327A (en) * 2018-02-05 2019-09-01 美商3M新設資產公司 Multilayer, restorable protective furniture pa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43Y1 (en) * 2004-11-18 2005-03-11 심종수 slide for furniture
KR200391600Y1 (en) * 2005-05-04 2005-08-04 박철휘 A cup support for emit light
KR20100005144U (en) * 2008-11-10 2010-05-19 허광범 Support Device for Furni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43Y1 (en) * 2004-11-18 2005-03-11 심종수 slide for furniture
KR200391600Y1 (en) * 2005-05-04 2005-08-04 박철휘 A cup support for emit light
KR20100005144U (en) * 2008-11-10 2010-05-19 허광범 Support Device for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91A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1399A3 (en) Foot-support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D627717S1 (en) Support frame rail for supporting a photovoltaic panel on a surface
KR101308151B1 (en) A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USD631109S1 (en) Foot pad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CN206994855U (en) With suctorial laying for goods platform
CN205771981U (en) A kind of glass storage rack being detachably easy to carrying
US9028005B2 (en) Stadium seat memorabilia support base
US20080216882A1 (en) Canopy for covering a table top
CN2580835Y (en) Shoe shelf
CN106031559A (en) A portable desk with a heat dissipation function
CN207429036U (en) The automatic toilet seat seat and cushion for being laid with cushion
US8136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t for the fee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S96625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abled individuals access to playground structures
CN102965273A (en) Pipe frame structure of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ipe
JP3128254U (en) Height-adjustable footrest
JP2010154896A (en) Base for taking off shoe
KR101371144B1 (en) Combined vertical frame equipped with a bunk bed ladder
JP5912897B2 (en) Prop support and fixing method thereof
USD601818S1 (en) High chair
US20230226425A1 (en) Portable putting green
KR101191736B1 (en) Fan Stands
CN207679193U (en) A kind of bunk beds
KR200311293Y1 (en) Stepping board for an elevator
KR20230070549A (en) chair for ice
KR101415845B1 (en) Table and table set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