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345B1 -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345B1
KR101307345B1 KR1020100020272A KR20100020272A KR101307345B1 KR 101307345 B1 KR101307345 B1 KR 101307345B1 KR 1020100020272 A KR1020100020272 A KR 1020100020272A KR 20100020272 A KR20100020272 A KR 20100020272A KR 101307345 B1 KR101307345 B1 KR 10130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uch
input
button
touch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9375A (en
Inventor
신희숙
조일연
정현태
선우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10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터치 포인트 분석부,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상기 키 버튼에 해당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맵핑부, 및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포인터 터치를 또 다른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게 된다면 문자 입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요구되는 전체 키 스트로크(key stroke)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입력 성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nd a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n a touch screen and a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reby the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A touch point analyzer which checks the number of touch points, extracts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ouch time of the touch points, and input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as the input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ulti-pointer touch is used as another input means, the total number of key strokes required in the user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input performance.

Description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본 발명은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하여 키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문자 입력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직관적인 입력 방법으로써 문자 입력뿐 아니라 빠른 메뉴 선택 및 기능 제어에 적용 가능한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key input using a multi-touch point, a fast character input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nd a key input using a multi-touch point applicable to quick menu selection and function control as well as character input as a more intuitive input method. A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48-01, 과제명: u-컴퓨팅 공간 협업을 위한 Wearable Personal Companion 기술개발].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T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ask management number: 2008-F-048-01, Title: Development of Wearable Personal Companion technology for u-computing space collaboration] .

최근, MS의 Surface, Apple의 iPhone 또는 iPod Touch 등과 같이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상용 컴퓨팅 장치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Recently, commercial computing devices such as Microsoft's Surface, Apple's iPhone or iPod Touch have begun to appear.

이러한 장치들에 있어서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방향성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직관적이며 자연스러운 새로운 입력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In such devices, the multi-touch interface is used as a new intuitive and natural input means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a plurality of touch points.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여전히 싱글 포인터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However, these devices still use a character input method based on a single pointer.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단말에서의 한글 문자 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소프트 키보드 레이아웃의 특징을 이용하여 그래픽적인 보조 기능을 제공하거나 터치 포인터의 이동 정보 등 부가적인 터치 입력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새로이 제시되고 있다. Looking at the method of inputting Hangul characters in a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a new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 auxiliary function using a feature of a soft keyboard layout or using additional touch input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information of a touch pointer is newly presented. have.

삼성의 모아키, Apple의 iPhone 및 iPod Touch 소프트 키보드의 경우가 그래픽적인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모아키는 버튼의 선택과 함께 새로운 모음 조합의 버튼 레이아웃이 근접하여 나타나는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의 연속된 입력이 유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Apple의 터치 단말의 경우는 작은 버튼의 크기를 보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버튼의 문자를 돋보기 형식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Samsung's Moaki, Apple's iPhone, and iPod Touch soft keyboards provide graphical assistive features, and Moaki is a series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selection of buttons appear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button layout of the new vowel combination. The input is configured to be advantageou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e's touch terminal, the text of the selected button is enlarged in a magnifier form to assist with the size of the small button.

유사하게 근접한 영역의 버튼 다수 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방식이나, 터치 포인터의 이동 정보, 즉 드래깅을 하나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주어진 버튼 레이아웃에 각 버튼에 대한 1회 터치 태핑은 기본 자소를, 2회 터치 태핑 또는 수직 드래그 및 수평 드래그는 그 외의 자음 선택을 지시하는 방법이 그것이다.Similarly, there is a method of enlarging a plurality of buttons in an adjacent area, or using a touch pointer movement information, that is, dragging as an input means. One-touch tapping for each button in a given button layout is a basic phoneme. For example, two-touch tapping or vertical drag and horizontal drag may indicate other consonant selections.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하나의 터치 포인트에 기반한 입력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However, this method also uses an input method based on one touch point.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터치 포인터를 다른 입력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키 입력 시 요구되는 키 스트로크(key stroke) 수를 줄여 입력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멀티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use a multi-touch pointer as another input mean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key strokes required for key input in the user interface to improve input performance. A key input device using a pointer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터치 포인트 분석부,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에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맵핑부, 및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analyz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the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s and A touch point analyzer to identify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and a mapping to map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 the key group data of the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to the input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상기 터치 스크린의 위치에 따른 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데이터는, 순서대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상기 키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key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is stored, wherein the key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he key values listed in order.

이때, 상기 키 값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특수기호,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valu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an alphabet, a special symbol, and a number.

상기 터치 포인트 분석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들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 해당되는 키 버튼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oint analyzer may recognize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touch point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touch points.

상기 맵핑부는, 영어 입력 모드 동작 시, 상기 키 버튼에 대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해당 키 값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pp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map uppercase or lowercase letters of a corresponding key value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 touch point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during an English input mode operation.

상기 신호 처리부는, 한글 입력 모드 동작 시, 한글 모음에 해당되는 키 값이 연속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키 값들을 입력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대응하는 상기 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processor outputs a corresponding key signal by combining the key values according to an input order when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Hangul vowel is continuously input during the Hangul input mode operation.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키 버튼 선택 시, 선택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의 상기 키 값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gnal processor may process the key value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key button is selected.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에 해당되는 키 그룹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키 그룹 데이터에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key input method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analyz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n the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s and at the same time touch Checking the number of touch points that have been touched, detecting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and mapping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 the key group data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키 버튼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키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그룹 데이터는 순서대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상기 키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toring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key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key group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he key values listed in order.

이때, 상기 키 값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특수기호,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valu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an alphabet, a special symbol, and a number.

상기 키 버튼 선택 시, 선택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의 상기 키 값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electing the key button to enlarge and display the key value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on the touch screen.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은,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그룹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key input method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analyz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on which one or more menu items are displayed,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s and Identifying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extracting menu group data including the menu item displayed on a touch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points; and menu item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Mapping the signal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상기 키 신호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key signal may include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menu item.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포인터 터치를 또 다른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게 된다면 문자 입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요구되는 전체 키 스트로크(key stroke)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입력 성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ulti-pointer touch is used as another input means, the total number of key strokes required in the user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input performance.

또한, 손가락의 개수 선택에 대한 판단의 큐(cue)를 키보드 레이아웃에서 시각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버튼에 매핑되는 자음과 모음의 배치를 직관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손가락 이상을 사용할 때에 더욱 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ue for judging selection of the number of fingers visually in the keyboard layout, or in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 intuitive selec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mapped to buttons is possible. When using the can provide greater convenien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는 영어 입력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메뉴 실행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glish input mode.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orean input mode.
5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nother embodiment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nu execution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user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may be applied to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는 복수의 키 버튼이 표시되며, 각 키 버튼은 하나 이상의 키 값을 포함하는 키 그룹 데이터가 각각 할당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each key button is assigned key group data including one or more key values.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키를 입력함에 있어서, 선택 키 버튼에 대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키 버튼에 할당된 키 그룹 데이터에서 해당 순서의 키 값을 입력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terminal inputs a key using a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terminal inputs a key value of a corresponding sequence from key group data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points for the selected key button. Do it.

이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110), 터치 인식부(120),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 맵핑부(140), 이벤트 생성부(150), 및 신호 처리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 touch recognition unit 120, a touch point analyzer 130, a mapping unit 140, and an event generation. The unit 150 and a signal processor 160 are included.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각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그룹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each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is stored.

이때, 키 그룹 데이터는 순서대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키 값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key group data includes one or more key values listed in order.

여기서, 키 값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특수기호,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론, 키 그룹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지역,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등과 같은 사용 환경에 따라 할당되는 키 값이 달라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key value includes at least one of Hangul consonants, Hangul vowels, alphabets, special symbols, and numbers. Of course, the key group data may be assigned a key value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such as a user region of the user terminal, a type of applica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터치 스크린(110)은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손가락, 터치 펜 등에 의해 화면 터치 시,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touch screen 110 performs a function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when the screen is touched by a finger, a touch pen, or the like,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출력된 전기신호는 터치 인식부(120)에 의해 인식되며, 터치 인식부(120)는 터치 스크린(110)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신호를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로 전달한다.The output electrical signal is recognized by the touch recognizer 120, and the touch recognizer 120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110.

또한, 터치 스크린(110)은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10 performs a function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메시지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11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operates in the message input mode,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key input.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는 터치 인식부(12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분석한다. 이때, 터치 인식부(120)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입력 신호가 가지는 값이 상이하다.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analyzes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recognizer 120.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from the touch recognition unit 120 has a differe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또한,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는 터치 포인트들의 터치 시각이 동일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범위 내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은 동시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범위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정도의 미세한 시간 차이를 말한다. 물론, 일정 시간 범위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성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recognizes that touch point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re touch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touch times of the touch points are not the sa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refers to a minute time difference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user. Of course,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touch performance of the user terminal.

이때,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는 입력 신호가 갖는 값을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위치의 변화, 그리고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한다. 여기서,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는 동시에 입력된 터치 포인트들 중 가장 왼쪽 또는 가장 오른쪽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하여 키 버튼을 인식한다. 물론, 그 외에도 키 버튼 영역과 포인트 개수 결정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터치 포인트들의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키 버튼을 인식하는 등 키 버튼을 인식하는 실시예는 적용 방식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analyzes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to check the position and the change of the touch points and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Here,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recognizes a key button using the leftmost or rightmost touch points among the simultaneously input touch points.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 key button, such as using a key button area and an are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oints or recognizing a key button based on the center coordinates of touch points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method.

맵핑부(140)는 터치 포인트 분석부(130)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터치 위치에 해당되는 키 버튼에 할당된 키 그룹 데이터를 호출한다. 이후, 맵핑부(140)는 호출된 키 그룹 데이터에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 및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키 값을 입력 신호에 맵핑한다.The mapping unit 140 calls the key group data assigned to the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touch point analyzer 130. Thereafter, the mapping unit 140 maps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number and position of touch points in the called key group data to the input signal.

예를 들어,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가 하나이면 해당 키 그룹 데이터 중에서 첫 번째 키 값을, 두 개이면 두 번째 키 값을 입력신호에 맵핑한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one, the first key value is mapped from the corresponding key group data, and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is two, the second key value is mapped to the input signal.

다른 예로서, 터치 포인트의 터치 시작 좌표로부터 터치가 끝나는 좌표까지의 위치가 상향하였다면 첫 번째 키 값을, 하향하였다면 두 번째 키 값을 선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selecting a first key value when the position from the touch start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to the coordinate where the touch ends is upward, and selecting the second key value when downward.

이벤트 생성부(150)는 맵핑부(140)에 의해 입력 신호에 키 값이 맵핑되면, 키 값이 맵핑되었음을 알리는 입력 이벤트를 발생한다.When the key value is mapped to the input signal by the mapping unit 140, the event generator 150 generates an input event indicating that the key value is mapped.

또한, 신호 처리부(160)는 발생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터치 스크린(11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10)에는 출력된 키 신호에 해당되는 키 값이 표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60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put event to the touch screen 110. Therefore,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key signal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한편, 신호 처리부(160)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동작의 사전 동작으로서, 멀티 터치 동작이 용이하도록 키 그룹 데이터의 키 값이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or 160 may process a key value of the key group data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as a pre-operation of a key input operation using a multi-touch point.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160)는 터치 포인트에 표시된 복수의 키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그룹 데이터의 키 값들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In other words,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point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or 160 processes the key values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멀티 터치 동작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보다 직관적인 키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multi-touch operation from the user, and enables the user's more intuitive key input.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신호 처리부(160)는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이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10)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실행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or 160 may display a menu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110 while one or more menu item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You can also process the item to run.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의 메뉴 화면은 복수의 아이콘 또는 메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각 메뉴 항목은 순서값을 갖는다.In other words, the menu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icons or a menu list. At this time, each menu item has an order valu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메뉴 화면은 '1. 멀티미디어', '2. 인터넷', '3. 오피스'와 같은 메뉴 아이콘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the menu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1. Multimedia ',' 2. Internet ',' 3. Suppose you include a menu icon such as 'Office'.

이 경우, 터치 스크린(110) 상에 세 개의 터치 포인트들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맵핑부(140)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그룹 데이터를 호출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 즉, '3. 오피스'의 메뉴 항목을 입력 신호에 맵핑한다.In this case, when three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mapping unit 140 calls menu group data including a menu item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nd thus menu item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 Ie, '3. Office's menu items are mapped to the input signal.

이때, 신호 처리부(160)는 이벤트 생성부(150)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3. 오피스'의 메뉴 항목을 실행하도록 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or 160 according to the input event of the event generator 150 '3. Outputs a key signal for executing the menu item of 'Offi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메뉴 항목의 순서에 상관없이 한번의 멀티 터치만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the menu item using only one multi-touch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menu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3A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3A to 6 illustrate an embodiment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키 버튼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영어 입력 모드에서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에 할당된 키 값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First, FIG. 3A illustrates a key button structure applied to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arrangement of key values allocated to key group data of a key button in an English input mode.

도 3A를 참조하면, 버튼 '1'에는 'A', 'B', 'C'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2'에는 'D', 'E', 'F'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3'에는 'G', 'H', 'I'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4'에는 'J', 'K', 'L'이 각각 할당되고, 버튼 '5'에는 'M', 'N', 'O'가 각각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3A, buttons' 1 'are assigned' A ',' B ', and' C ', respectively, and buttons' 2' are assigned 'D', 'E' and 'F', respectively, and the buttons' 3 'is assigned' G ',' H 'and' I 'respectively, button' 4 'is assigned' J ',' K 'and' L 'respectively, and button' 5 'is assigned' M ',' N 'and' O 'are assigned respectively.

또한, 버튼 '6'에는 'P', 'R', 'S'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7'에는 'T', 'U', 'V'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8'에는 'W', 'X', 'Y'가 각각 할당되고, 버튼 '9'에는 'Q', 'Z'가 각각 할당된다.In addition, 'P', 'R' and 'S' are assigned to button '6', 'T', 'U' and 'V'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button '7', and '8' is assigned to ' W ',' X 'and' Y 'are assigned, and button' 9 'is assigned' Q 'and' Z ', respectively.

한편, 버튼 '0'에는 '.', ','이 각각 할당된다.
Meanwhile, '.' And ','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button '0'.

여기서, 버튼 '1'의 키 그룹 데이터는 버튼 '1'에 할당된 알파벳인 'A', 'B', 'C'를 포함한다. 이때, 버튼 '1'의 키 그룹 데이터는 'A', 'B', 'C'의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버튼 '2' 내지 버튼 '9' 또한 버튼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Here,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1' includes 'A', 'B', and 'C' which are alphabets assigned to the button '1'. In this case,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1' includes order information of 'A', 'B', and 'C'. Of course, the buttons '2' to '9' also apply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button '1'.

한편, 버튼 '0'의 키 그룹 데이터는 버튼 '0'에 할당된 특수기호인 '.', ','을 포함한다. 이때, 버튼 '0'의 키 그룹 데이터는 '.', ','의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0' includes the special symbols '.', ',' Assigned to the button '0'. At this time,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0' includes order information of '.', ','.

도 3B는 도 3A의 키 버튼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키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3B illustrates a key input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key button structure of FIG. 3A.

도 3B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키 입력 동작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키 입력 동작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3B의 (a)는 일반적인 키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동작은 나타낸 것이다.The embodiment of FIG. 3B is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key input operation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 of FIG. 3B illustrates a general key input operation, and (b) of FIG. 3B illustrates a key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J'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4'를 터치한다. 이때, 'J'는 버튼 '4'에 할당된 키 값 중 첫 번째로 할당된 키 값이므로, 도 3B의 (b)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As shown in (a) of FIG. 3B, in general, in order to input 'J' in the user terminal, the button '4' is touched by the single touch input method. At this time, since 'J' is the first key value assigned to the key value assigned to the button '4', the same applies to (b) of FIG. 3B.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서 'L'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3B의 (a)의 경우와 같이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4'를 3회 터치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J'를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 '4'의 위치에 세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put the 'L' in the user terminal, generally touch the button '4' three times in a single touch input method as in the case of (a) of 3B. On the other hand,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ree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4' in order to input 'J'.

따라서,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L'을 입력하기 위해 세 번의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한 번의 멀티 터치 동작만으로 'L'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requires three touch operations to input the 'L', but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L' using only one multi-touch 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input.

도 3C는 도 3A의 키 버튼 구조에서 도 3B의 키 입력 방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3C illustrates a character input operation using the key input method of FIG. 3B in the key button structure of FIG. 3A.

도 3C의 실시예는 도 3B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동작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문자 입력 동작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3C의 (a)는 일반적인 문자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3C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The embodiment of FIG. 3C, like FIG. 3B, is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character input operation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character input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 of FIG. 3C shows a general character input operation, and (b) of FIG. 3C shows a character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APPLE'와 같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A', 'P', 'P', 'L', 'E'를 각각 입력한다.As shown in (a) of FIG. 3C, in order to generally input a word such as 'APPLE' in the user terminal, 'A', 'P', 'P', 'L', and 'E' are respectively input. do.

이때, 'A'는 버튼 '1'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버튼 '1'을 1회 터치한다. 또한, 'P'는 버튼 '6'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마찬가지로 버튼 '6'을 1회 터치한다.At this time, since 'A'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value of the button '1', the button '1' is touched once. In addition, since 'P'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value of the button '6', the button '6' is similarly touched once.

또한, 'L'은 버튼 '4'의 세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①의 경우와 같이 버튼 '4'를 3회 터치하고, 'E'는 버튼 '2'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②의 경우와 같이 버튼 '2'를 2회 터치한다.In addition, since 'L' is assigned to the third key value of button '4', touch button '4' three times as in the case of ①, and 'E' is assigned to the second key value of button '2'. Touch button '2' twice as in the case of, ②.

이와 같이, 기존의 싱글 터치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단어 'APPLE'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총 여덟 번의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한다.
As such, in order to input the word 'APPLE' using the existing single touch input method, a total of eight touch operations are required.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APPLE'를 입력하기 위하여, 'A'는 버튼 '1'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1'을 1회 터치한다. 또한, 'P'는 버튼 '6'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마찬가지로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6'을 1회 터치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order to input 'APPLE', 'A' is assigned as the first key value of the button '1'. Touch times. In addition, since 'P'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value of the button '6', the button '6' is touched once by a single touch input method.

한편, 'L'은 버튼 '4'의 세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③의 경우와 같이 버튼 '4'의 위치에 세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버튼 'E'는 버튼 '2'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④의 경우와 같이 버튼 '2'의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L' is assigned to the third key value of the button '4', as in the case of ③, three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4'.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E' is assigned to the second key value of the button '2', two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2' as in the case of ④.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다섯 번의 멀티 터치 동작으로 단어 'APPLE'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the word 'APPLE' in five multi-touch operations.

즉,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APPLE'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 비해 세 번의 터치 동작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a user terminal applying a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input 'APPLE', three touch operations may be omitted as compared to a user terminal applying a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BELT'와 같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B', 'E', 'L', 'T'를 각각 입력한다.In another embodiment, generally, in order to input a word such as 'BELT' in the user terminal, 'B', 'E', 'L', and 'T' are respectively input.

이때, 'B'는 버튼 '1'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⑤의 경우와 같이 버튼 '1'을 2회 터치한다. 또한, 'E'는 버튼 '2'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버튼 '6'을 2회 터치한다.At this time, since 'B' is assigned as the second key value of the button '1', as in the case of ⑤, the button '1' is touched twice. In addition, since 'E' is assigned to the second key value of the button '2', as in the case of ⑥, the button '6' is touched twice.

또한, 'L'은 버튼 '4'의 세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⑦의 경우와 같이 버튼 '4'를 3회 터치하고, 'T'는 버튼 '1'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버튼 '2'를 1회 터치한다.In addition, since 'L' is assigned to the third key value of button '4', touch button '4' three times as in the case of ⑦, and 'T'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value of button '1'. Touch the button '2' once.

이와 같이, 기존의 싱글 터치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단어 'BELT'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총 여덟 번의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한다.
As such, in order to input the word 'BELT' using the existing single touch input method, a total of eight touch operations are required.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BELT'를 입력하기 위하여, 'B'는 버튼 '1'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⑧의 경우와 같이 버튼 '1'의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E'는 버튼 '2'의 두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버튼 '2'의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 is assigned as the second key value of the button '1' in order to input 'BELT',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button '1' as in the case of ⑧. Two multi-touch points occur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E' is assigned as the second key value of the button '2', as in the case of ⑨, two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2'.

또한, 'L'은 버튼 '4'의 세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⑩의 경우와 같이 버튼 '4'의 위치에 세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L' is assigned as the third key value of the button '4', three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4' as in the case of ⑩.

한편, 'T'는 버튼 '1'의 첫 번째 키 값으로 할당되었으므로, 이 경우에만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2'를 1회 터치한다.Meanwhile, since 'T' is assigned as the first key value of the button '1', the touch of the button '2' once with the single touch input method only in this cas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네 번의 멀티 터치 동작으로 단어 'BELT'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the word 'BELT' in four multi-touch operations.

즉,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BELT'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 비해 1/2의 터치 동작만을 필요로 한다.
That is, in order to input 'BELT'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1/2 of the touch operation is required as compared to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is applied.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A의 키 버튼 구조에서 입력 키가 모두 각 키 버튼의 세 번째로 할당된 키 값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비교하여 1/3의 터치 동작만으로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key button structure of FIG. 3A, when the input keys are all the third assigned key values of each key butto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user to which the existing key input method is applied. Compared to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only one-third touch operation.

예를 들어, 'VOLVO'의 경우, 'V', 'O', 'L'이 모두 버튼 '7', '5', '4'에 세 번째로 할당된 키 값이므로,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VOLVO'를 입력하기 위해 총 15회의 싱글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VOLVO', 'V', 'O', and 'L' are all key values assigned to the buttons '7', '5', and '4' thirdly.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is requires a total of 15 single touch operations to input the 'VOLVO'.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VOLVO'를 입력하기 위해 총 5회의 멀티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한다.
In contrast, a user terminal applying a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total of five multi-touch operations to input 'VOLVO'.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영문자 'A'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버튼 '1'을 1회 터치한다. 이때, 맵핑부(140)는 버튼 '1'을 터치하는 방향이 위쪽이면 대문자 'A'를, 터치의 방향이 아래쪽이면 소문자 'a'를 맵핑할 수 있다. 이는 영문자 이외에 한글의 된소리 등이나 메뉴 구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A', the button '1' is touched once. In this case, the mapping unit 140 may map a capital letter 'A'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 is touched is upward, and a small letter 'a' when the direction of the touch is downward.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applied to the composition of menus and the sound of Hangul in addition to English letters.

한편,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키 버튼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한글 입력 모드에서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에 할당된 키 값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4A illustrates a key button structure applied to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arrangement of key values assigned to key group data of a key button in the Korean input mode.

도 4A를 참조하면, 버튼 '1'에는 한글 모음 'l'가 할당되고, 버튼 '2'에는 아래 아 자인 'ㆍ'가 할당되고, 버튼 '3'에는 한글 모음 'ㅡ'가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4A, a button '1' is assigned a Korean vowel 'l', a button '2' is assigned a lower character '·', and a button '3' is assigned a Korean vowel '-'.

또한, 버튼 '4'에는 'ㄱ', 'ㅋ', 'ㄲ'이 각각 할당되고, 버튼 '5'에는 'ㄴ', 'ㄹ'이 각각 할당되며, 버튼 '6'에는 'ㄷ', 'ㅌ', 'ㄸ'이 각각 할당된다.In addition, button '4' is assigned 'B', 'ㅋ' and 'ㄲ', respectively, button '5' is assigned 'B' and 'ㄹ', respectively, and button '6' is assigned 'B', ' ㅌ 'and' ㄸ 'are assigned respectively.

또한, 버튼 '7'에는 'ㅂ', 'ㅍ', 'ㅃ'이 각각 할당되고, 버튼 '8'에는 'ㅅ', 'ㅎ', 'ㅆ'이 각각 할당되며, 버튼 '9'에는 'ㅈ', 'ㅊ', 'ㅉ'이 각각 할당된다.In addition, buttons' 7 'are assigned' ㅂ ',' ㄷ 'and' ㅃ 'respectively, buttons' 8' are assigned 'ㅅ', 'ㅎ' and 'ㅆ' respectively, and buttons' 9 'are assigned' ',' ',' And 'ㅉ' are assigned respectively.

마지막으로, 버튼 '0'에는 'ㅇ', 'ㅁ'이 각각 할당된다.
Finally, '0' and 'ㅁ'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여기서, 버튼 '1', '2', '3'의 키 그룹 데이터는 버튼 '1', '2', '3'에 각각 할당된 한글 모음인 'ㅣ', 'ㆍ', 'ㅡ'를 포함한다. Here, the key group data of buttons '1', '2', and '3' refers to 'ㅣ', '·', 'ㅡ', which are Korean vowels assigned to buttons '1', '2', and '3', respectively. Include.

한편, 버튼 '4'의 키 그룹 데이터는 버튼 '4'에 할당된 한글 자음인 'ㄱ', 'ㅋ', 'ㄲ'을 포함한다. 이때, 버튼 '4'의 키 그룹 데이터는 'ㄱ', 'ㅋ', 'ㄲ'의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버튼 '5' 내지 버튼 '9', 그리고 버튼 '0' 또한 버튼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4' includes the Hangul consonants 'ㄱ', 'ㅋ' and '할당' assigned to the button '4'. In this case, the key group data of the button '4' includes order information of 'B', 'ㅋ' and 'ㄲ'. Of course, the buttons '5' to '9' and the button '0' are also applied as in the case of the button '4'.

도 4B는 도 4A의 키 버튼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키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4B illustrates a key input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key button structure of FIG. 4A.

도 4B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키 입력 동작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키 입력 동작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4B의 (a)는 일반적인 키 입력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동작은 나타낸 것이다.The embodiment of Fig. 4B is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key input operation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llustrates a general key input operation, and FIG. 4B illustrates a key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1'과 버튼 '2'를 연속하여 터치한다. 이때, 한글 모음 'ㅏ'는 버튼 '1'과 '2'에 할당된 키 값은 하나이므로, 도 4B의 (b)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As shown in (a) of FIG. 4B, in order to input the Korean vowel 'ㅏ' in the user terminal, the button '1' and the button '2' are continuously touched by the single touch input method. In this case, since the Korean vowel 'ㅏ' has one key value assigned to the buttons '1' and '2', the same applies to (b) of FIG. 4B.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도 4B의 (a)의 경우와 같이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버튼 '2'를 2회 터치하고, 이어서 버튼 '1'을 2회 터치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put the Hangul vowel 'ㅖ' in the user terminal, as in the case of (a) of FIG. 4B, the button '2' is touched twice by a single touch input method, and then the button '1' is pressed twice. Touch

반면, 도 4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ㅖ'를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 '2'의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고, 이어서 버튼 '1'의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4B,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wo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2' in order to input 'ㅖ'. Then, two multi-touch points occur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1' at the same time.

따라서, 기존의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ㅖ'를 입력하기 위해 네 번의 터치 동작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두 번의 멀티 터치 동작만으로 'ㅖ'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requires four touch operations to input the 'ㅖ', but the user terminal applying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ㅖ' only with two multi-touch operations. It becomes possible to input.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한글로 '벨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 '7', '2', '1(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 '5(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 '6(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 '3'을 터치하면 된다. 물론, 기존의 싱글 터치 포인트 방법으로는 버튼 '7', '2', '1', '1', '5', '5', '6', '6', '3'의 연속적인 터치가 있어야지 입력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you want to enter the 'belt' in Korean, buttons '7', '2', '1 (two multi-touch points)', '5 (two multi-touch points)', Touch '6 (two multi-touch points)', '3'. Of course, the conventional single touch point method is a continuous touch of the buttons '7', '2', '1', '1', '5', '5', '6', '6', '3' It should be possible to inpu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 방식을 이용하면 9회의 터치 동작을 6회의 터치 동작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by using the multi-touch poi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nine touch operations to six touch operations.

도 5는 소형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경우, 작은 하나의 버튼 범위 안에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멀티 터치 포인트들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의도가 있는 하나의 키 버튼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다. 그림과 같이 가장 좌측에 위치한 터치 포인트를 Activation Touch Point로 설정하고 그 외의 터치 포인트들은 전체 터치 포인트의 개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FIG. 5 illustrates a method for extracting one key button with a user's intention from multi-touch points, since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touch several fingers within a small one button range in the case of a small touch display. An example is shown. As shown in the figure, the leftmost touch point is set as the Activation Touch Point, and the other touch points are used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touch points.

도 5와 같이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 이외에도 도식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버튼 이미지 등의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포인트를 Activation Touch Point로 설정하거나 또는 멀티 터치 포인트로 설정된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먼저 터치된 포인트를 Activation Touch Point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metho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 as shown in FIG. 5, the point touched on a specific area such as a button image is set as an Activation Touch Point or the first touched point in a group of points set as a multi-touch point. You can also set the point as an Activation Touch Poi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시 요구되는 전체 키 스트로크(key stroke)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입력 성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
Therefore,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tal number of key strokes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thereby improving input performance.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의 메뉴 실행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6 illustrates a menu execution operation of a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싱글 터치 입력방식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메뉴를 실행하기 위해 해당 메뉴 아이콘을 2회 터치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방식의 사용자 단말기는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번의 멀티 터치 동작만으로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user terminal of the single touch input method has to touch the corresponding menu icon twice to execute a menu, whereas the user terminal of the multi touch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one multi-touch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6. It is possible to launch the corresponding menu.

즉,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도 6의 (a)와 같이 기존의 싱글 터치 입력방식으로 해당 메뉴 아이콘(610)을 1회 터치하면 된다. 이로써, 화면에는 선택 메뉴 아이콘(620)이 표시된다.That is, in order to select the menu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rresponding menu icon 610 may be touched once by the existing single touch input metho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selection menu icon 6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도 6의 (b)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해당 메뉴 아이콘(630)이 배치된 위치에 두 개의 멀티 터치 포인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이로써, 화면에는 실행 메뉴 화면(640)이 표시된다.Meanwhile, in order to execute the menu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B, two multi-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menu icon 630 i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110. Thus, the execution menu screen 640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맵핑부(140)는 도 6의 (a)와 (b)의 경우에 동일하게 입력 신호에 워드 아이콘을 맵핑 하지만, 이벤트 생성부(150)는 도 6의 (a)의 경우에는 아이콘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고, 도 6의 (b)의 경우에는 아이콘 실행 이벤트를 발생한다.In this case, the mapping unit 140 maps the word icon to the input signal in the case of FIGS. 6A and 6B, but the event generator 150 selects the icon in the case of FIG. 6A. An event is generated, and in the case of FIG. 6B, an icon execution event is generated.

따라서, 신호 처리부(160)는 도 6의 (a)의 경우 아이콘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출력하고, 도 6의 (b)의 경우에는 아이콘 실행을 위한 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Therefore, the signal processor 160 outputs a key signal for icon selection in FIG. 6A and a key signal for icon execution in FIG. 6B.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First, FIG. 7 illustrates an operation flow of a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 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S700),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인식한다(S710). As shown in FIG. 7, when a touch input for a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is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700), the user terminal is input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Recognized input signal (S710).

'S710' 과정에서 터치 신호를 센싱하여 인식된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S720' 과정에서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설정된 시간 범위에 따라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한다(S720). In operation S710, a touch signal is sensed to provide a recognized input signal, and in operation S720, the number of touch points that are simultaneously touch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s and a set time range in operation S720.

만일,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가 2 이상인 경우(S730),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포인팅 시간 등의 정보에 따라서 해당되는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를 호출하고(S740), 호출된 키 그룹 데이터에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입력 신호에 맵핑한다(S750). 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is 2 or more (S730), the key group data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call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the pointing time of the touch points (S740), and the called key group data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are mapped to the input signal (S750).

이때 'S740' 과정에서 키 버튼을 추출하기 위한 실시예는 버튼 레이아웃 디자인 및 활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앞서 설명한 다수의 방법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mbodiment for extracting the key button in the process 'S740' may be applied in one or more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according to the button layout design and the environment used.

'S750' 과정에서는 맵핑된 키 값에 대응하는 입력 이벤트를 발생한다(S760). 여기서, 입력 이벤트는 터치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맵핑된 키 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신호임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이다.In operation S750, an input event corresponding to the mapped key value is generated (S760). Here, the input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that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is a signal for inputting a mapped key value.

마지막으로, 'S760' 과정에서 발생된 입력 이벤트에 따라 맵핑된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S770).Finally,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key value is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event generated in step 'S760' (S770).

이로써, 'S770' 과정의 키 신호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에 해당 키 값을 표시하게 된다.Thus, the corresponding key valu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by the key signal of the 'S770' process.

반면, 'S730' 과정에서 터치 포인트가 하나인 경우에는, 'S780' 및 'S760', 'S770' 과정과 같이 일반적인 키 입력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only one touch point in the 'S730' process, it operates according to a general key input method such as 'S780', 'S760', and 'S770' process.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은, 'S700'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각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키 그룹 데이터는 해당 키 버튼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키 값이 포함되며, 하나 이상의 키 값은 키 그룹 데이터 상에서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Of course, the key input method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ceded by a process of storing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each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prior to performing the 'S700' process. have. Here, the key group data includes one or more key value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and the one or more key values include order information on the key group data.

또한,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동작의 사전 동작으로서,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복수의 키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 멀티 터치 동작이 용이하도록 선택된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그룹 데이터의 키 값들이 터치 스크린(110) 상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 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a pre-operation of the key input operation using the multi-touch point,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is selected, the key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selected to facilitate the multi-touch operation The process of processing values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may be preced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법을 이용한 메뉴 실행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execution operation using a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S800),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인식한다(S810). As shown in FIG. 8, when a touch input for a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is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800), the user terminal is input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The input signal is recognized (S810).

이후, 'S810' 과정에서 인식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한다(S820).Thereafter, the input signal recognized in step S810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s and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S820).

만일,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가 2 이상인 경우(S830), 문자 입력 방식과 마찬가지로 Activation Touch Point를 찾고 이 포인트의 위치로부터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그룹 데이터를 호출하고(S840), 호출된 메뉴 그룹 데이터에서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입력 신호에 맵핑한다(S850).If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simultaneously is 2 or more (S830), the Activation Touch Point is found as in the text input method, and the menu group data including the menu item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is called from the position of the point. In operation S850, menu item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 the called menu group data are mapped to the input signal in operation S850.

이때, 'S860' 과정에서 맵핑된 메뉴 항목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입력 이벤트는 터치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맵핑된 메뉴 항목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임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이다.In this case, an input event for the mapped menu item is generated in step S860. Here, the input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that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is a signal for executing the mapped menu item.

마지막으로, 'S860' 과정에서 발생된 입력 이벤트에 따라 맵핑된 메뉴 항목을 실행하기 위한 키 신호를 출력한다(S870).Finally, a key signal for executing the mapped menu item according to the input event generated in the 'S860' process is output (S870).

이로써, 'S870' 과정의 키 신호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상에 해당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Thus, the execution screen for the corresponding menu item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by the key signal of the process 'S870'.

반면, 'S830' 과정에서 터치 포인트가 하나인 경우에는, 'S880' 및 'S890' 과정과 같이 일반적인 키 입력 방법에 따라 메뉴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only one touch point in the 'S830' process, the menu se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general key input method such as the 'S880' and the 'S890' proces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input device and the method using the multi-touch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키 입력 장치 110: 터치 스크린
120: 터치 인식부 130: 터치 포인트 분석부
140: 맵핑부 150: 이벤트 생성부
160: 신호 처리부 170: 저장부
100: key input device 110: touch screen
120: touch recognition unit 130: touch point analysis unit
140: mapping unit 150: event generating unit
160: signal processing unit 170: storage unit

Claims (16)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터치 포인트 분석부;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에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맵핑부; 및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포인트 분석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들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 해당되는 키 버튼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ouch screen;
A touch point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n input signal input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n a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etermine a location of touch points and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simultaneously;
A mapping unit configured to map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 the key group data of the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to the input signal; And
And a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The touch point analyzer,
And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touch point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touch poi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그룹 데이터는, 순서대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상기 키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key group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he key values listed in ord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 값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특수기호,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key value,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Hangul consonants, Hangul vowels, alphabets, special symbols, number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맵핑부는,
영어 입력 모드 동작 시, 상기 키 버튼에 대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해당 키 값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pping unit,
When the English input mode operation, the key input device using a multi-touch point, characterized in that for mapping the upper or lower case letters of the corresponding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ouch point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한글 입력 모드 동작 시, 한글 모음에 해당되는 키 값이 연속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키 값들을 입력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대응하는 상기 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case of the Korean input mode operation, when key values corresponding to Korean vowels are continuously input, the key input device using the multi-touch point is output by combining the key values according to the input orde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키 버튼 선택 시, 선택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의 상기 키 값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when the key button is selected, processing the key value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버튼에 대한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 및 동시에 터치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키 버튼의 키 그룹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키 그룹 데이터에서 상기 터치 포인트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 값을 상기 입력 신호에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키 값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포인트들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에 해당되는 키 버튼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Analyz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n a key butt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confirming positions of touch points and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at the same time;
Detecting key group data of the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Mapping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in the key group data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Wherein the verifying step comprises:
Recognizing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touch points;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touch point comprising 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그룹 데이터는, 순서대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상기 키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Storing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key group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he key values listed in ord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키 값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알파벳, 특수기호,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key value,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touch p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Hangul consonants, Hangul vowels, alphabets, special symbols, numbers.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맵핑하는 단계는,
영어 입력 모드 동작 시, 상기 키 버튼에 대한 터치 포인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해당 키 값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apping comprises:
When the English input mode operation, the key input method using a multi-touch point, characterized in that for mapping the upper or lower case letters of the corresponding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ouch point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한글 입력 모드 동작 시, 한글 모음에 해당되는 키 값이 연속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키 값들을 입력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대응하는 상기 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utputting step comprises:
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mode operation, if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Hangul vowel is continuously input, combining the key values according to the input order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multi-touch point comprising a Key input method us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선택 시, 선택된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키 그룹 데이터의 상기 키 값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key value of the key grou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key button is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20272A 2009-03-31 2010-03-08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KR1013073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16 2009-03-31
KR20090027516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75A KR20100109375A (en) 2010-10-08
KR101307345B1 true KR101307345B1 (en) 2013-09-11

Family

ID=4313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272A KR101307345B1 (en) 2009-03-31 2010-03-08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3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56B1 (en) * 2011-06-02 2013-03-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keystroke dynamics pattern data
KR101284771B1 (en) 2011-09-21 2013-07-17 김호성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US20130222276A1 (en) * 2012-02-29 2013-08-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1331531B1 (en) * 2012-03-30 2013-11-20 주식회사 코맥스 Conversion device of screen menu using the gesture of the fingers
US8907910B2 (en) * 2012-06-07 2014-12-09 Keysight Technologies, Inc. Context based gesture-controlled instrument interface
CN113282346A (en) * 2017-03-29 2021-08-20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266A (en) * 2006-05-17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movement of fingers using multi-touch sensor arrays
KR100923755B1 (en) * 2009-07-06 2009-10-27 라오넥스(주) Multi-touch type character inpu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266A (en) * 2006-05-17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movement of fingers using multi-touch sensor arrays
KR100923755B1 (en) * 2009-07-06 2009-10-27 라오넥스(주) Multi-touch type character in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75A (en)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US20060119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sing a touchpad
KR10130734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CN103870192B (en)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touch screen, Chinese pinyin input method and system
JP2006524955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and reduced keyboard
KR201400266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portable device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WO201317191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control program,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KR20210030908A (en) The method of changing the text of specific group which is allocatwd in button
CN102841752B (en) The characters input method of a kind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ice and device
KR20110049617A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WO2014045414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KR200800709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JP5977764B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JPH0683522A (en) Coordinate input system
JP4030575B2 (en) Touch type key input device, touch type key input method and program
KR100656779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20120083293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20010073976A (en)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Information Unit
JP3747022B2 (en) Control system using tactile input field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JP20121088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device operation method
KR20120097921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20100027195A (en) Method for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