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85B1 -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 Google Patents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85B1
KR101305085B1 KR1020110103616A KR20110103616A KR101305085B1 KR 101305085 B1 KR101305085 B1 KR 101305085B1 KR 1020110103616 A KR1020110103616 A KR 1020110103616A KR 20110103616 A KR20110103616 A KR 20110103616A KR 101305085 B1 KR101305085 B1 KR 10130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eat exchanger
raw material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388A (ko
Inventor
가즈노리 모리나가
노리유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ublication of KR2012009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수 장치를 제공한다.
원료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기(10)와, 생성된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기(30)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100)로서, 복수기(30)는 수증기를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기(310)와 수증기를 원료수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기(320)를 구비하고, 제 2 열교환기(320)를 통과한 원료수를 가열기(10)에 도입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WATER DESALINATION SYSTEM AND WATER DESAL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기로부터 동력을 얻는 증기 터빈 플랜트에 있어서, 터빈군으로부터 배출되어 복수기에서 응축된 증기 복수를 이용하여 조수하는 것이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증기 터빈 플랜트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91)으로부터 복수기(92)에 도입된 증기가 냉해수(93)와 열교환함으로써 복수(94)로 되어 응축기(95)에 도입된다. 응축기(95)에 집적된 증기 복수는 다시 보일러 급수로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조수 장치의 냉각수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열회수를 꾀하여, 터빈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절약화를 실시해 왔다. 도 5의 구성에 있어서는, 냉해수(93)는 복수기(92)에서 온해수(96)로 되어 일부가 증발기(97)에 도입되고, 생성된 증기가 응축기(95)로 유도되어 복수(94)와 열교환함으로써 담수(98)가 생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소61―161189호 공보
그런데 현재의 증기 터빈 플랜트에 대해서는, 더한층의 에너지 절약화의 흐름에서 증기 조건의 고압화에 의한 고효율화가 도모되고 있으며, 응축기(95)에 도입하여 증기의 응축에 이용되는 복수(94)의 온도가 고온화하는 것과 함께, 증기 복수의 감량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필요한 조수량에 적합한 복수 온도와 유량이 수급 불능으로 되어, 종래의 조수 장치에서는 증발 온도 등의 제한에서 필요한 조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염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료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기와 생성된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기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로서, 상기 복수기는 수증기를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수증기를 원료수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통과한 원료수를 상기 가열기에 도입하도록 구성된 조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는 냉각수 및 원료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일체화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기는 2개의 단판(端板)의 사이에 적층 배치된 복수의 전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전열 플레이트는 개재된 구획 부재에 의하여 2개의 플레이트군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한쪽의 상기 단판으로부터 냉각수를 도입하고,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군을 통하여 수증기와의 열교환을 실시하고, 열교환 후의 냉각수를 한쪽의 상기 단판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다른쪽의 상기 단판으로부터 원료수를 도입하고, 다른쪽의 상기 플레이트군을 통하여 수증기와의 열교환을 실시하고, 열교환 후의 원료수를 다른쪽의 상기 단판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복수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가 터빈의 구동 후에 터빈 복수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보일러에 환류되도록 순환로가 구성된 증기 터빈 플랜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터빈 복수기에서 생성된 터빈 복수가 냉각수로 되도록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상기 순환로에 개재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료수를 가열기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 단계와 생성된 수증기를 냉각수 및 원료수에 의해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복수 단계에서 수증기와 열교환한 원료수를 상기 가열기에 도입하는 조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수 장치의 주요부 계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조수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조수 장치의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수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수 장치(1)는 증기 터빈 플랜트(50)의 계통에 조수 장치 본체(100)가 편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증기 터빈 플랜트(50)는 일례로서, 보일러(51), 터빈군(52), 터빈 복수기(53), 그랜드 콘덴서(54), 급수 가열기(55) 및 탈기기(5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의 구성 요소가 순환로(6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보일러(51)는 중유, 액화 천연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서 급수로부터 증기를 생성하고, 터빈군(52)에 공급한다. 터빈군(52)은 예를 들면, 고압 터빈 및 저압 터빈으로 구성되는 증기 터빈군이고, 선박의 프로펠러 등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터빈 복수기(53)는 터빈군(52)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해수 등에 의해 냉각하여 터빈 복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터빈 복수는 펌프(61)의 작동에 의해 그랜드 콘덴서(54) 및 급수 가열기(55)를 통과하고, 터빈군(52)에 도입된 증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가열된 후, 탈기기(56)에 도입되어 산소 등이 제거된다. 탈기기(56)에 저류된 터빈 복수는 펌프(62)의 작동에 의해 보일러(51)에 급수되어 다시 증기로 되고, 순환로(60)를 순환한다. 증기 터빈 플랜트(50)는 증기 터빈선에 탑재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는데,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발전용이어도 좋다.
조수 장치 본체(100)는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증기 터빈 플랜트(50)에 있어서, 펌프(61)와 그랜드 콘덴서(54)의 사이의 순환로(60)에 분기로(63)를 거쳐서 개재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환로(60)를 통과하는 터빈 복수를 조수용의 냉각수로서 사용한다. 조수 장치 본체(100)에 공급되는 터빈 복수의 유량은 순환로(60)에 설치된 조정 밸브(64)의 조작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조수 장치 본체(100)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순환로(60)로부터 바이패스시키는 대신에, 순환로(60)에 직접 개재시켜도 좋다.
도 2는 조수 장치 본체(100)의 계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수 장치 본체(100)는 원료수인 해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기(10)와, 수증기를 브라인(농축 해수) 등의 농축 원료수와 분리하는 증발기(20)와,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기(30)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기(10)는 원료수를 각각 도입 및 배출하는 원료수 도입구(11) 및 수증기ㆍ브라인 출구(12)와, 선박용 엔진의 재킷 냉각수 등의 온수를 각각 도입 및 배출하는 온수 도입구(13) 및 온수 배출구(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료수 도입구(11)로부터 도입된 원료수가 온수 도입구(13)로부터 도입된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하고, 수증기ㆍ브라인 출구(12)로부터 배출된다. 가열기(10)는 후술하는 복수기(3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는데, 열교환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수증기의 가열원도 온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증기, 연소식 히터나 전기 히터 등이어도 좋다.
증발기(20)는 수증기ㆍ브라인 출구(12)로부터 배출된 가열 후의 원료수를 도입하는 가열 원료수 도입구(21)와, 원료수로부터 생성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구(22)와, 잔류하는 브라인을 배출하는 브라인 배출구(2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기(30)는 증기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도입하는 증기 도입구(31)와, 수증기를 냉각하여 얻어진 증류수를 배출하는 증류수 배출구(32)와, 증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각각 도입 및 배출하는 냉각수 도입구(33) 및 냉각수 배출구(34)와, 마찬가지로 증기를 냉각하는 원료수를 각각 도입 및 배출하는 원료수 도입구(35) 및 원료수 배출구(36)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수 도입구(33)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플랜트(50)의 터빈 복수가 냉각수로서 도입되고, 냉각수 배출구(34)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다시 증기 터빈 플랜트(50)의 순환로(60)로 되돌아간다. 냉각수로 되는 터빈 복수는 통상은 고순도의 청수(淸水)인 것에서, 복수기(30)에는 냉각수와 원료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구획 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기(30)는 이 구획 부재(37)에 의하여 수증기를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기(310)와 수증기를 원료수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기(320)로 분리되어 있다. 냉각수는 반드시 청수일 필요는 없고, 원료수와는 다른 별도의 냉각액이어도 좋다.
또, 원료수 도입구(35)에는 다른 계통, 또는 이젝터 펌프(41)의 작동에 의해 해수가 원료수로서 도입되고, 원료수 배출구(36)로부터 배출된 원료수가 가열기(10)의 원료수 도입구(11)에 도입된다. 원료수로서는, 본 실시 형태의 해수 이외에, 수도수, 우수(雨水), 지하수, 하천수, 공업 배수, 생활 배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젝터 펌프(41)에 의해 공급되는 원료수는 물 이젝터(40)의 구동수로서도 이용되고, 증발기(20) 및 복수기(30)는 물 이젝터(40)의 최대 부압(負壓)부에 접속되어 불응축 가스가 흡인됨으로써 진공 상태가 유지된다. 증류수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는 증류수 펌프(42)에 의해 청수 탱크(도시하지 않음)로 유도된다.
본 실시 형태의 복수기(30)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주요부 사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기(30)는 2개의 단판(111, 112)의 사이에 2종류의 전열 플레이트(113a, 113b)가 각각 복수 번갈아 적층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부가 연결 막대(30a, 30a)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쪽의 단판(111)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층 방향의 중앙 부근에 인접 배치된 2장의 전열 플레이트(113b, 113b) 간에 상기한 구획 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이 구획 부재(37)에 의하여 2개의 플레이트군으로 분리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획 부재(37)는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보다도 두꺼운 플레이트의 개구를 마개(37a)에 의해 밀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냉각수가 고압의 터빈 복수인 경우에도 높은 내압 성능을 발휘하여 냉각수와 원료수의 혼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구획 부재(37)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 배치된 2장의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에 의하여 구획 부재(37)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구획 부재(37)를 구성하는 2개의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후술하는 증류 유통구(114, 115)를 갖는 한편, 그 이외의 개구가 마개(37a)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증기 도입구(31) 및 증류수 배출구(32)는 한쪽의 단판(111)에 있어서의 한쪽의 대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증기 도입구(31) 및 증류수 배출구(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증류 유통구(114, 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증류 유통구(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증기 도입구(31)가 접속되고, 각 증류 유통구(1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증류수 배출구(32)가 접속되어 있다.
냉각수 도입구(33) 및 냉각수 배출구(34)는 한쪽의 단판(11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대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단판(111)과 구획 부재(37)의 사이에 배치된 한쪽의 플레이트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냉각수 도입구(33) 및 냉각수 배출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냉각수 유통구(116, 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냉각수 유통구(116)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냉각수 배출구(33)가 접속되고, 각 냉각수 유통구(117)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냉각수 배출구(34)가 접속되어 있다.
원료수 도입구(35) 및 원료수 배출구(36)는 다른쪽의 단판(112)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대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단판(112)과 구획 부재(37)의 사이에 배치된 다른쪽의 플레이트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원료수 도입구(35) 및 원료수 배출구(3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원료수 유통구(118, 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원료수 유통구(118)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원료수 배출구(36)가 접속되고, 각 원료수 유통구(119)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에 원료수 배출구(36)가 접속되어 있다. 구획 부재(37)는 증류 유통구(114, 115)를 갖는 한편, 상기와 같이, 냉각수 유통구(116, 117) 및 원료수 유통구(118, 119)에 대응하는 개구가 마개(37a)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는 모두 한쪽면에 홈부(120a, 12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열 플레이트(113a)의 홈부(120a)는 2개의 증류 유통구(114, 115)끼리를 연통하는 한편, 2개의 냉각수 유통구(116, 117)끼리 또는 2개의 원료수 유통구(118, 119)끼리는 격리한다. 또, 전열 플레이트(113b)의 홈부(120b)는 2개의 증류 유통구(114, 115)끼리를 격리하는 한편, 2개의 냉각수 유통구(116, 117)끼리 또는 2개의 원료수 유통구(118, 119)끼리는 연통한다. 인접하는 각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사이는 개스킷(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일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적층 방향에 형성되는 유로가 홈부(120a, 120b)와 연통하는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홈부(120a, 120b)와 격리되어 있는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복수기(30)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한쪽의 단판(111)과 구획 부재(37)의 사이에서는 증기 도입구(31) 및 냉각수 도입구(33)로부터 도입된 수증기 및 냉각수가 전열 플레이트(113a)의 홈부(120a) 및 전열 플레이트(113b)의 홈부(120b)를 각각 흐르기 때문에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적층 방향에서 보면, 인접하는 전열 플레이트(113a, 113b) 간을 수증기 및 냉각수가 번갈아 통과한다. 이 결과, 수증기와 냉각수의 사이에서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를 통하여 열교환이 실시되고, 이 부분이 제 1 열교환기(310)로서 기능한다. 열교환을 끝내고 형성된 증류수 및 냉각수는 각각 증류수 배출구(32) 및 냉각수 배출구(34)로부터 배출된다.
복수기(30)의 다른쪽의 단판(112)과 구획 부재(37)의 사이에서는 원료수 도입구(35)로부터 도입된 원료수가 전열 플레이트(113b)의 홈부(120b)를 흐르기 때문에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적층 방향에서 보면, 인접하는 전열 플레이트(113a, 113b) 간을 수증기 및 원료수가 번갈아 통과한다. 이 결과, 수증기와 원료수의 사이에서 전열 플레이트(113a, 113b)를 통하여 열교환이 실시되고, 이 부분이 제 2 열교환기(320)로서 기능한다. 열교환을 끝내고 가열된 원료수는 원료수 배출구(36)로부터 배출된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조수 장치(1)에 따르면, 복수기(30)의 한쪽의 단판(111)으로부터 냉각수 도입구(33)를 통하여 도입된 냉각수와 다른쪽의 단판(112)으로부터 원료수 도입구(35)를 통하여 도입된 원료수가 각각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에서 수증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증류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순히 냉각수와 수증기를 열교환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수증기의 복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복수기(3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가열기(10)에는 제 2 열교환기(320)에 있어서 수증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승온된 원료수가 도입되기 때문에 가열기(10)에 도입되는 원료수를 초기 단계에서증발시켜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열기(10)에 도입되는 원료수의 온도는 복수기(30)에 설치되는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매수나 구획 부재(37)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조수 장치(1)가 이루는 상기의 효과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증기 터빈 플랜트(50)의 터빈 복수를 냉각수로 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고, 증기 조건의 고온화에 동반하여 터빈 복수가 비교적 고온이어도 필요한 조수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복수기(30)에 도입되는 냉각수는 반드시 증기 터빈 플랜트(50)의 터빈 복수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증기 사이클 시스템에서 생성된 응축수나 증기를 열원이나 동력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생성되어 고온인 채 다른 용도 등에 이용되는 드레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가 냉각수 및 원료수의 혼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의 콤팩트화를 꾀하면서 복수기(30)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를 전열 플레이트(113a, 113b)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병렬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복수기(30)에 도입되는 수증기가, 최초에 그 일부가 제 1 열교환기(310)에 도입되고, 다음에 나머지 수증기가 제 2 열교환기(320)에 도입된다. 다만,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의 배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냉각수 도입구(33) 및 냉각수 배출구(34)를 다른쪽의 단판(112)에 설치하고, 원료수 도입구(35) 및 원료수 배출구(36)를 한쪽의 단판(111)에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쉘 앤드 튜브식 등, 다른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는 반드시 일체화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서로 분리된 구성이어도 좋다.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는 수증기의 흐름을 분기시켜서 제 1 열교환기(310) 및 제 2 열교환기(320)에 각각 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 조수 장치
10: 가열기
30: 복수기
310: 제 1 열교환기
320: 제 2 열교환기
37: 구획 부재
50: 증기 터빈 플랜트
100: 조수 장치 본체
111, 112: 단판
113a, 113b: 전열 플레이트

Claims (5)

  1. 원료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기와, 생성된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기를 구비하는 조수 장치로서,
    상기 복수기는 수증기를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기와 수증기를 원료수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통과한 원료수를 상기 가열기에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기는 2개의 단판의 사이에 적층 배치된 복수의 전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전열 플레이트는 개재된 구획 부재에 의하여 2개의 플레이트군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한쪽의 상기 단판에 형성된 냉각수 도입구를 통하여 냉각수를 도입하고,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군을 통하여 상기 냉각수와 수증기의 열교환을 실시하고, 열교환 후의 냉각수를 한쪽의 상기 단판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다른쪽의 상기 단판에 형성된 원료수 도입구를 통하여 원료수를 도입하고, 다른쪽의 상기 플레이트군을 통하여 상기 원료수와 수증기의 열교환을 실시하고, 열교환 후의 원료수를 다른쪽의 상기 단판에 형성된 원료수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
    조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가 터빈의 구동 후에 터빈 복수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보일러에 환류되도록 순환로가 구성된 증기 터빈 플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터빈 복수기에서 생성된 터빈 복수가 냉각수로 되도록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상기 순환로에 개재시킨
    조수 장치.
  3. 제 1 항에 기재된 조수 장치를 이용한 조수 방법으로서,
    원료수를 상기 가열기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열 단계와,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복수기에서 냉각수 및 원료수에 의해 냉각하여 증류수를 생성하는 복수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복수 단계에서 수증기와 열교환한 원료수를 상기 가열기에 도입하는
    조수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3616A 2011-02-25 2011-10-11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KR101305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0914 2011-02-25
JP2011040914A JP5672450B2 (ja) 2011-02-25 2011-02-25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88A KR20120098388A (ko) 2012-09-05
KR101305085B1 true KR101305085B1 (ko) 2013-09-12

Family

ID=4669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616A KR101305085B1 (ko) 2011-02-25 2011-10-11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72450B2 (ko)
KR (1) KR101305085B1 (ko)
CN (1) CN102649591B (ko)
TW (1) TWI568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4557B (zh) * 2012-01-16 2017-03-01 笹仓机械工程有限公司 真空蒸发式脱盐装置
JP6090839B2 (ja) * 2013-02-13 2017-03-08 国立研究開発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多段フラッシュ型海水淡水化装置及び方法
JP2014171962A (ja) * 2013-03-08 2014-09-22 Sasakura Engineering Co Ltd 造水装置及び造水方法
CN103787434B (zh) * 2013-12-19 2016-05-18 潘庆光 凝汽式汽轮发电机组电、水、盐联产工艺
CN109179842B (zh) * 2018-10-30 2023-11-21 南京工程学院 一种基于太阳能和空气源热泵的屠宰场工艺用水再生系统
CN114856739B (zh) * 2022-05-24 2023-08-08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低温多效蒸发技术的水热电联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927A (ja) * 1996-05-14 1997-11-25 Sasakura Eng Co Ltd プレート式造水装置
KR100774546B1 (ko) 2006-11-13 2007-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방출수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기
KR20090027676A (ko) * 2006-06-20 2009-03-17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584B2 (ja) * 1992-04-15 2000-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造水装置
JP2003106782A (ja) * 2001-09-28 2003-04-09 Hisaka Works Ltd 溶接型プレート式熱交換器
TW200700682A (en) * 2005-06-17 2007-01-01 Far East College Dual-function distilling system
JP4621597B2 (ja) * 2006-01-20 2011-01-26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サイクル
CN201132777Y (zh) * 2007-11-23 2008-10-15 广东东南薄膜科技股份有限公司 蒸馏水产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927A (ja) * 1996-05-14 1997-11-25 Sasakura Eng Co Ltd プレート式造水装置
KR20090027676A (ko) * 2006-06-20 2009-03-17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KR100774546B1 (ko) 2006-11-13 2007-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방출수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9591B (zh) 2015-04-08
TWI568680B (zh) 2017-02-01
JP2012176364A (ja) 2012-09-13
TW201235304A (en) 2012-09-01
CN102649591A (zh) 2012-08-29
JP5672450B2 (ja) 2015-02-18
KR20120098388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085B1 (ko)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CN103387308B (zh) 多效膜蒸馏‐多级闪蒸海水淡化系统
EP1481947B1 (en) Combined power generation and desaliniza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JP5132091B2 (ja) プレート式造水装置
EP2754861A1 (en) Steam power cycle system
JP6730004B2 (ja) 蒸留プロセス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インタークーラ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145407B (zh) 基于船舶柴油发动机余热发电及海水淡化的装置
CN102762501A (zh) 废热驱动式脱盐工艺
US10029923B2 (en) Water treatment device
US20080017498A1 (en) Seawater Desalination Plant
EP0114830B1 (en) De-salinator for brackish or salt water
KR101323160B1 (ko) 선박용 수직형 다단 조수기
US11465068B2 (en) Multi-stage flash (MSF) reversal system and method
JP5979395B2 (ja)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CN214734639U (zh) 一种多级气液分离式热泵海水淡化装置
CN112673161B (zh) 用于蒸发液化气以为发动机提供燃气的布置系统
CN214829123U (zh) 低温多效海水淡化装置和海水淡化系统
AU2014231976B2 (en) Methanol plant and gasoline synthesis plant
CN112943397B (zh) 一种用于海水温差发电装置的循环系统
Sommariva Thermal desalination processes and economics
EP4225637A1 (en) Marine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a marine boiler
EP2917514B1 (en) A cooling arrangement for a combined cycle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power plant
KR20190128552A (ko) 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