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563B1 -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563B1
KR101304563B1 KR1020120003975A KR20120003975A KR101304563B1 KR 101304563 B1 KR101304563 B1 KR 101304563B1 KR 1020120003975 A KR1020120003975 A KR 1020120003975A KR 20120003975 A KR20120003975 A KR 20120003975A KR 101304563 B1 KR101304563 B1 KR 10130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virtual
password
fingerprint recogni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88A (ko
Inventor
이택기
황인창
김금용
Original Assignee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주식회사 디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주식회사 디젠트 filed Critical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5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06K19/0735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by biometrically sensitive means, e.g. fingerprint sensi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지문 인식 장치는 복수의 가상 구획들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지문 접촉부, 단일 스캔으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수신하는 지문 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된 가상 구획과 상기 수신된 지문 쌍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 인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문 인식 장치는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지문 인식의 속도를 개선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A STORING PROGRAM PERFORMING THE SAME}
본 출원은 지문 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지문 인식의 속도를 개선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지문 인식은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체인식 기술로서, 지문은 땀샘이 융기하여 일정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그 모양이 개인마다 다를 뿐 아니라, 태어날 때의 모습 그대로 평생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지문 인식은 사용자의 지문 특성을 등록한 후 나중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과 비교 및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나타낸다. 지문 특성은 지문 융기의 분기점, 끝점 등으로 구성되는 특징점의 위치와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장치는 지문 특성의 추출, 검색 및 비교 과정에서 상당한 연산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식 장치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조 지문을 검출하는 연산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산들은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큰 오버헤드 비용에 해당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9-0046522호는 생체지문과 모조지문을 판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해당 기술은 먼저 다수의 생체지문으로부터 취득한 흡수영상 및 산란영상으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여 특징공간 상의 분포 특성(예: 평균, 분산 등)을 구하고 다수의 모조지문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포 특성을 구한다. 다음으로 해당 기술은 이러한 두 종류의 지문에 대한 분포특성을 구하면, 다양한 패턴인식(pattern recognition)기법을 사용하여 두 가지 패턴을 분류하는 패턴분류기(pattern clasifier)를 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당 기술은 미지의 지문이 입력되면, 이 설계된 패턴분류기를 이용하여 미지의 지문이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별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123812호는 생체 지문과 모조 지문을 구별할 수 있는 생체지문 판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해당 기술은 생체 지문이 가지는 특이한 색상과 생체 지문이 지문입력창에 접촉함에 따른 접촉 압력변화에 의한 지문 색상의 변화를 이용하여 해당 지문이 생체 지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기술은 컬러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지문 영상으로부터 색상정보와 접촉 압력의 변화에 따른 색상변화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색상정보가 기준 색상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 및/또는 색상변화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지문이 생체 지문인지를 판단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016225호는 광원, 정삼각 프리즘, 결상광학렌즈, 영상 검출기로 구성되는 지문인식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당 기술은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정삼각프리즘의 지문 접촉면에 도달하되 지문의 골 부분에서는 광이 투과 또는 반사되며, 지문 돌기 부분에서는 빛 산란에 의한 난반사 빛들이 결상광학렌즈로 입사되어 최종적으로 검출부에 영상으로 맺히게 된다. 해당 기술은 지문의 골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중 일부를 결상광학렌즈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당 기술은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정삼각 프리즘을 이용하므로 프리즘의 가공성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9-0046522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123812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016225호
본 출원은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지문 인식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지문 인식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지문 인식 기술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지문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므로, 등록된 모든 사용자의 지문을 검색 및 비교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정확하게 인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 인식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지문 인식 기술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지문을 요구하므로 모조 지문의 식별 기능이 없더라도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모조 지문의 식별 기능 배제는 본 출원의 권리불요구(disclaimer)에 해당하지 않는다.
실시예들 중에서, 지문 인식 장치는 복수의 가상 구획들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지문 접촉부, 단일 스캔으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수신하는 지문 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된 가상 구획과 상기 수신된 지문 쌍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 인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각각은 해당 위치로 구분되는 비밀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수신부는 복수의 지문들과 복수의 해당 가상 구획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문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 수신부는 복수의 지문들과 복수의 해당 가상 구획들을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해당 가상 구획들 모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지문 인식 장치는 외부 저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와 해당 지문 쌍을 포함하는 원본 지문 정보를 얻는 원본 지문 수신부, 복수의 가상 구획들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을 통해 단일 스캔으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수신하여 검증 생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지문 수신부 및 상기 원본 생체 정보와 상기 검증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 인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저장 장치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수동적인 저장 소자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소자와 같은 능동적인 저장 소자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는 외부 저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와 해당 지문 쌍을 포함하는 원본 생체 정보를 얻는 기능, 복수의 가상 구획들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을 통해 단일 스캔으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수신하여 검증 생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기능 및 상기 원본 생체 정보와 상기 검증 생체 정보를 기초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지문 인식 기술들은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지문 인식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등록된 모든 사용자의 지문을 검색 및 비교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정확하게 인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지문 인식 기술들은 비밀번호를 도입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접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수신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수신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 인식 장치(1000)는 지문 접촉부(100), 프리즘(200), 렌즈군(300), 지문 수신부(400), 광원(500) 및 지문 인증부(600)를 포함한다.
지문 접촉부(100)는 손가락(10)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단일 접촉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접촉부(100)는 단일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접촉부(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문 접촉부(100)는 프리즘(200)의 광입사면(201)에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리즘(200)은 적어도, 광원(500)에서 조사된 빛이 입사하는 광입사면(201), 손가락(10)의 지문을 접촉하는 지문접촉면(202) 및 프리즘(200) 내에서 지문면에서 반사된 빛이 프리즘(200)을 나가면서 광축의 연장선과 만나는 출사면(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군(300)은 다양한 형태와 특성의 렌즈들이 다수 모여서 이루어지고, 지문 수신부(400)는 CIS(CMOS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 스캔으로 렌즈군(300)을 통해 입사되는 지문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지문 수신부(400)는 복수의 손가락들이 지문 접촉부(100)에 접촉되어 있더라도 단일 스캔을 통해 복수의 해당 지문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일 스캔은 복수의 손가락들이 지문 접촉부(100)에 접촉되어 있더라도 한꺼번에 지문들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문 인식 장치(1000)는 손가락(10)의 지문이 지문 접촉부(100)에 접촉되면 프리즘(200) 및 광원(500)을 통해 지문의 융선과 골의 밝기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문을 렌즈군(200)과 지문 수신부(400)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지문 인증부(600)는 지문 수신부(400)에서 얻어지는 지문과 해당 지문의 위치에 해당하는 비밀번호 쌍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증부(600)는 지문 수신부(400)에서 얻어지는 지문과 해당 비밀번호에 있는 지문만을 비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접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지문 접촉부(100)는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며,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인 구분은 대쉬 라인으로 지문 접촉부(100)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은 해당 위치로 구분되는 비밀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은 숫자 0 ~ 9, * 및 #을 포함하는 12 개의 키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 각각은 해당 비밀번호를 지문 접촉부(101)에 인쇄될 수 있고, 해당 비밀번호는 지문 입식에 방해되지 않게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수신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지문 수신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적어도 하나의 해당 가상 구획과 함께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수신부(400)는 제1 단일 스캔 과정에서 제1 지문(102)을 비밀번호(7)에 해당하는 가상 구획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제2 단일 스캔 과정에서 제2 지문(103)을 비밀번호(6)에 해당하는 가상 구획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지문 인증부(600)는 {제1 지문(102), 비밀번호(7)} 쌍과 {제2 지문(103), 비밀번호(6)} 쌍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인증부(600)는 비밀번호(7)에 해당하는 지문만으로 제1 지문(102)을 비교 및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비밀번호(6)에 해당하는 지문만으로 제2 지문(103)을 비교 및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인 수신은 상대적으로 강화된 보안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비밀번호의 순서 구분(즉, 가상 구획의 순서 구분)과 동일 지문의 수신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문 수신부(400)는 비밀번호의 입력 순서를 구분할 수 있고, 동일 지문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수신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지문 수신부(400)는 복수의 지문들을 복수의 해당 가상 구획들과 함께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수신부(400)는 단일 스캔 과정에서 {제1 지문, 비밀번호(7)} 및 {제2 지문, 비밀번호(6)}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비밀번호(예를 들어, 7)는 제1 및 제2 지문들(102, 103)을 동시에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동시적인 수신은 상대적으로 빠른 지문 수신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비밀번호의 순서 구분(즉, 가상 구획의 순서 구분)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 지문의 수신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문 수신부(400)는 비밀번호의 입력 순서를 무시할 수 있고, 동일 지문의 수신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문 인식 장치(2000)는 지문 접촉부(100), 프리즘(200), 렌즈군(300), 지문 수신부(450), 광원(500), 지문 인증부(650) 및 원본 지문 수신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문 접촉부(100), 프리즘(200), 렌즈군(300) 및 광원(500)은 도 1에 있는 해당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원본 지문 수신부(700)는 외부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와 해당 지문 쌍을 포함하는 원본 지문 정보를 얻는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 카드 또는 수동적 RFID(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수동적인 저장 소자에 해당할 수 있다. 수동적이란 원본 지문 수신부(700)에 의하여 읽혀지는 것을 의미하고, 자체 전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NFC(Near Field Commnunication) 소자 또는 능동 RFID(Act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소자와 같은 능동적인 저장 소자에 해당할 수 있다. 능동적이란 원본 지문 수신부(7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자체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능동적 저장 소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구현될 수 있다.
즉, 수동적인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스스로 전송하지 않고 원본 지문 수신부(700)에 의하여 읽혀지는 저장 소자에 해당하고, 능동적인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스스로 원본 지문 수신부(700)에 전송하는 저장 소자에 해당한다.
지문 수신부(450)는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100)을 통해 단일 스캔으로 복수의 가상 구획들(101)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예를 들어, 102, 103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신하여 검증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접촉면(100)은 프리즘 상에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일 접촉면(100)은 프리즘과 별개의 단일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검증 생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구획과 적어도 하나의 해당 지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가상 구획들 각각은 외부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지문 인증부(650)는 원본 지문 정보와 검증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지문 인증부(650)는 원본 지문 정보에 있는 {지문, 비밀번호}와 검증 생체 정보에 있는 {지문, 비밀번호}를 비교 및 판단한다.
한편, 도 1 및 도 5에서, 본 출원의 지문 인식 장치(1000 또는 2000)는 광학식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가정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출원에 있는 지문 인식 장치(1000 또는 2000)는 다른 광학식(예를 들어, 홀로그램 방식) 또는 비광학식(예를 들어, 반도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지문 인식 장치
100: 지문 접촉부 200: 프리즘
300: 렌즈군 400: 지문 수신부
500: 광원 600: 지문 인증부

Claims (8)

  1. 복수의 가상 구획들로 구분된 단일 접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지문 접촉부 -복수의 가상 구획들 각각은 해당 위치로 구분되는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각각의 코너에 위치함-;
    단일 스캔으로 상기 복수의 가상 구획들 중 둘 이상에 접촉된 상호 상이한 지문들을 수신하여 검증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수신부;
    외부 저장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비밀번호와 해당 지문 쌍을 포함하는 원본 지문 정보를 얻는 원본 지문 수신부; 및
    상기 원본 지문 정보와 상기 검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 인증부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03975A 2012-01-12 2012-01-12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130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75A KR101304563B1 (ko) 2012-01-12 2012-01-12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75A KR101304563B1 (ko) 2012-01-12 2012-01-12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88A KR20130083288A (ko) 2013-07-22
KR101304563B1 true KR101304563B1 (ko) 2013-09-05

Family

ID=4899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975A KR101304563B1 (ko) 2012-01-12 2012-01-12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5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14A (ko) * 2001-07-12 2003-01-24 (주)니트 젠 지문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40025004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20080085268A (ko) * 2007-03-19 2008-09-24 (주)실리콘화일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를 내장한 카드의 사용자인증방법
KR20090017058A (ko) * 2007-08-13 2009-02-18 (주)아이디티아이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14A (ko) * 2001-07-12 2003-01-24 (주)니트 젠 지문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40025004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20080085268A (ko) * 2007-03-19 2008-09-24 (주)실리콘화일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를 내장한 카드의 사용자인증방법
KR20090017058A (ko) * 2007-08-13 2009-02-18 (주)아이디티아이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88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5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recognition
US10169637B2 (en) On-screen optical fingerprint capture for user authentication
RU258934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на основе биолог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US20190258795A1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variable keypad and biometric identification
RU23612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ного сличения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EP10930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fingerprint
KR100862916B1 (ko)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11095246B (zh) 用于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CN10914555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US20180107885A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user using a plura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CN109582416A (zh) 指纹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8263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biological information
KR102014394B1 (ko)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KR101304563B1 (ko)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N113360874B (zh) 用户生物特征信息认证方法及系统
US111384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fingerprint
US20180239884A1 (en) Detection System,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Finger Touch Authentication Thereof
US202201725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security card
CN10958316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Ungureanu et al. Palm print as a smartphone biometric: Another option for digital privacy and security
CN109543380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KR102014410B1 (ko) 가짜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
KR20070119922A (ko) 호환가능한 지문정보를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965749B1 (ko)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 지문인식 장치
US20220366028A1 (en) Method and sysem for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enrollment with secure storage of tem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