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728B1 - 분말 응고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응고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728B1
KR101303728B1 KR1020110066955A KR20110066955A KR101303728B1 KR 101303728 B1 KR101303728 B1 KR 101303728B1 KR 1020110066955 A KR1020110066955 A KR 1020110066955A KR 20110066955 A KR20110066955 A KR 20110066955A KR 101303728 B1 KR101303728 B1 KR 10130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powder
fire extinguish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12A (ko
Inventor
나운용
Original Assignee
나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운용 filed Critical 나운용
Priority to KR102011006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7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7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지지체에 제공되는 지지부와, 분말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체결부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자성체가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회전시 자기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를 피지지체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편리하고 용이하게 용기 내부 분말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 응고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OLIDIFICATION OF POWDER}
본 발명은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소화기와 같은 분말을 포함하는 하우징이 피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하우징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에 포함된 분말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용기 내에 보관되는 분말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응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분말식 소화기의 경우,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소화기 내부의 분말이 응고되는 현상, 즉 약제 굳음 현상이 발생된다. 하지만, 소화기의 성능이 담보될 수 없다면 화재대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소화기를 거꾸로 들어 발생되는 소리의 청취가능 여부를 통해 소화기 내부의 분말이 응고되었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소화기 내부 분말의 응고 방지를 위해 소정 기간 경과시 소화기를 흔들어 주거나 또는 소화기를 거꾸로 뒤집었다 바로 세우는 행동을 반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소화기를 흔들거나 뒤집는 방식으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434980호, 공고일자 2007년 01월 02일)에는 '분말응고방지소화기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은, 소화기 측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와 돌출된 걸림돌기를 통해 소화기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소화기를 들어서 소화기를 고리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후 방향을 변경하여 다시 결합시키는 방식이므로 소화기의 하중을 고려할 때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여전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리가 소화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 고리로부터 소화기가 이탈하게되어 낙하하게 되며 지면과 충돌하여 소화기 자체에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힘이 약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하는 경우, 작업 중 소화기의 낙하 등에 의해 소화기 자체의 파손위험이라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소화기의 낙하로 인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발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라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를 피지지체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편리하고 용이하게 분말 응고 방지 작업이 가능한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작업시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가 피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소화기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작업시에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가 피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피지지체에 제공되는 지지부와, 분말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상기 하우징 외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자성체가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회전시 자기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서 상기 지지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돌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돌출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부분은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도 원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피지지체에 제공되는 지지부와, 분말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연결홈을 통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서 상기 자성체는 피지지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서 상기 피지지체는 벽면이며, 상기 하우징은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를 피지지체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편리하고 용이하게 용기 내부 분말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된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작업시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가 피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하여 소화기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작업시에 소화기 등의 분말이 포함된 용기가 피지지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결합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의 결합부분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피지지체(500)에 제공되는 지지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응고 방지 장치는 분말(210)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소화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피지지체(500)에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는 피지지체(5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20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지지체(500)는 지지부(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나무, 다양한 구조물 또는 건물의 벽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분말(210)이 포함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0)은 소화기의 하우징(200)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피지지체(50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다. 즉, 접착제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구조물에 따라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볼트 등의 결합부재(120)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는 자성체(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자상체에 의해 소화기 등의 하우징(200) 또는 소화기 등의 하우징(200)에 연결되는 체결부(300)에 자기력이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에 연결된 체결부(300)에 돌출부분(310)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분(310)이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개구(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체결부(300)의 상기 돌출부분(310)에 형성된 개구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00)에는 자성체(400)의 자기력이 작용되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개구(110)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부(300)에 포함된 돌출부분(310)도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개구(110)에 삽입된다.
여기서, 원기둥형상의 상기 체결부(300)의 돌출형상(310)이 동일한 형상의 상기 개구(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는 체결부(300)에 의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연결홈(220)을 통해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홈(220)은 상기 지지부(1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이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상기 연결홈(220)은 도넛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분말(210)이 포함되는 용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하우징(200)은 소화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하우징(200)에 연결된 체결부(300)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200) 일측에 형성된 연결홈(220)을 통해서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을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상기 하우징(20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도 2 내지 도 3 참조).
이러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포함되는 분말(210)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을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 채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자성체(400)의 자기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에 의해, 힘이 약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200)을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한 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이 소화기의 하우징(200)인 경우, 필요에 따라 소정 기간 경과 후 상기 소화기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소화기 내부에 포함된 분말(210)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재발생시에도 건물 등에 비치된 소화기의 즉시 사용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200) 외부에 체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200)에 연결된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체결부(300)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200) 역시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가능해진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는 자성체(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300)는 자성체(400)에 반응하는 물질인 철 등이 함유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00)와 상기 하우징(200)이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채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이 상기 체결부(300)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하우징(200) 및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지지부(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220)을 통해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는 자성체(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은 자성체(400)에 반응하는 소재, 즉, 자성체에 붙는 물질인 철 등이 함유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 배치된 자성체(4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체결부(300)는 하우징(200) 외부에 연결되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기 위해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이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300)도 이에 대응되도록 돌출부분(310)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00)는 돌출부분(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300)의 돌출부분(310)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00)는 개구(110)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300)의 돌출부분(310)이 상기 지지부(100)의 개구(110)에 삽입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00)의 돌출부분(310)과 상기 지지부(100)의 개구(110)는 상호 대응되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에 삽입된 채로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 자성체(400)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300)가 자성체(400)에 반응하는 소재로 마련된 경우라면,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연결이 유지된 채로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체결부(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화기 등의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3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00) 중 돌출부분(3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330)에 상기 띠 형상의 밴드(320)가 삽입된 후, 상기 밴드(320)가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를 감싸게 되며, 상기 밴드(320)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 등의 결합부재(3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트 등의 결합부재(340)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밴드(3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34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3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40)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밴드(32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350)은 상호 결합되어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340) 근처의 상기 밴드(320) 타측에 형성된 개구(360)를 통해 상기 밴드(3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밴드(320)의 삽입 후, 상기 결합부재(34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340)의 나사산을 따라 상기 밴드(320)가 상기 밴드(320) 타측에 형성된 개구(360)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체결부(300)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밴드(320)의 단부에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과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밴드(320)의 일측에는 복수의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밴드(32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재(3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허리띠의 버클처럼 상기 밴드(320)가 상기 하우징(200)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성체(400)는 지지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부(300) 또는 하우징(200)에 자기력이 작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자성체(400)는 상기 피지지체(500)와 상기 지지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피지지체(500)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120)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피지지체(500)와 상기 지지부(100)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400)는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개구(110)를 통해 상기 체결부(300)에 자기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은 상기 하우징(200)에 직접 자기력을 미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200)이 자성체(400)에 반응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연결홈(220)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은 상기 하우징(200)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하우징(200)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자성체(400)가 피지지체(500)에 접촉된 후, 지지부(100)의 개구(110)를 통해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이 미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0)를 볼트 등의 결합부재(120)에 의해 피지지체(500)에 결합시킨다.
다음, 체결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330)를 통해 밴드(320)를 통과시킨 후 밴드(320)가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를 감싸도록하여 상기 밴드(320)의 단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시키다.
여기서, 상기 밴드(320)의 조임을 조절하여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체결부(300)에 형성된 돌출부분(310)을 상기 지지부(100)에 형성된 개구(110)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에 의해 지지될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100) 일측에 배치된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으므로, 상기 체결부(300)는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소정기간이 경과하여 소화기 등의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포함된 분말(210)의 응고 방지를 위해 상기 하우징(200)을 회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200)을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상기 체결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채 회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400)의 자기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체(400)가 없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부(300)의 회전이 가능해지며, 상기 체결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부(300)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20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화기 등의 하우징(200)이 피지지체(500)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회전이 가능해져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용기 내부 분말(210)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순서가 변경되어도 상관없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분말 응고 방지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에 연결홈(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00)가 상기 연결홈(220)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홈(220)을 통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다음, 상기 하우징(200)은 자성체(400)에 반응하는 소재로 구성되며, 피지지체(500)와 지지부(100) 사이에 배치된 자성체(400)의 자기력의 영향을 받아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시, 체결부(300)없이 하우징(200)에 형성된 연결홈(220)을 통해 상기 지지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전술한 체결부(300)가 형성된 일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지지부 110 : 개구
120 : 결합부재 200 : 하우징
210 : 분말 220 : 연결홈
300 : 체결부 310 : 돌출부분
320 : 밴드 330 : 개구
340 : 결합부재 400 : 자성체
500 : 피지지체

Claims (8)

  1. 피지지체에 제공되는 지지부;
    분말이 포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체결부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자성체가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회전시 자기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응고 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돌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돌출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부분은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도 원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
  5. 피지지체에 제공되는 지지부;
    분말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연결홈을 통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
  6. 삭제
  7.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피지지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
  8.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체는 벽면이며, 상기 하우징은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응고 방지 장치.
KR1020110066955A 2011-07-06 2011-07-06 분말 응고 방지 장치 KR10130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55A KR101303728B1 (ko) 2011-07-06 2011-07-06 분말 응고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55A KR101303728B1 (ko) 2011-07-06 2011-07-06 분말 응고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12A KR20130005512A (ko) 2013-01-16
KR101303728B1 true KR101303728B1 (ko) 2013-09-05

Family

ID=4783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55A KR101303728B1 (ko) 2011-07-06 2011-07-06 분말 응고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98B1 (ko) * 2013-06-27 2014-07-22 (주)한화육삼시티 분말소화기의 벽걸이 구조
CN109529228A (zh) * 2017-09-22 2019-03-29 贵港市瑞成科技有限公司 一种能转动和拔保险销的灭火器支架
KR20190040696A (ko) 2017-10-11 2019-04-19 문상원 자속볼자동회전모듈·qr코드태그를 통한 스마트 소화기전용 현장 자동관리장치
CN108939377A (zh) * 2018-07-20 2018-12-07 长久(滁州)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可旋转式灭火器支架
KR102009035B1 (ko) * 2018-12-27 2019-08-09 문봉종 굳음 및 쏠림 방지용 분말소화기 회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649U (ko) * 1999-04-01 1999-07-05 지학선 소화기함의소화기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649U (ko) * 1999-04-01 1999-07-05 지학선 소화기함의소화기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12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728B1 (ko) 분말 응고 방지 장치
US8336114B1 (en) Protective mask
JP2004209270A (ja) 注射針の安全パッケージ
JP2013513440A (ja) 止血帯
CA2629210A1 (en) Self-retracting lifeline
EP2858607B1 (en) Orthopedic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9160393A (zh) 软管卷盘
KR102009035B1 (ko) 굳음 및 쏠림 방지용 분말소화기 회전장치
US20160114134A1 (en) Medical Adhesive Tape for Infusion Tubing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JP2007125834A (ja) 樹脂成型金型のキーロック構造
JP5203256B2 (ja) 消火器用安全栓及び消火器
US8366163B1 (en) Wheelchair pulling device
CN109966041A (zh) 约束带
GB2495746A (en) Bolt and nut arrangement for coupler
KR20100005166A (ko) 운구용 결관 부재
CN208030449U (zh) 一种鞋扣
KR20180014908A (ko) 배터리 수납형 웨어러블 밴드
KR102010373B1 (ko)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선반
KR20140004569U (ko) 소화기 거치대
KR20120140532A (ko) 소화기의 분말 응고 방지 장치
KR200437010Y1 (ko) 안전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TWM449406U (zh) 雙向活動式吊耳
JP3161258U (ja) 消防用ホース結束ゴム
TWM451520U (zh) 廢水回收系統廢熱回收用之熱交換器組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