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741B1 - 족답식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족답식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741B1
KR101302741B1 KR1020120043346A KR20120043346A KR101302741B1 KR 101302741 B1 KR101302741 B1 KR 101302741B1 KR 1020120043346 A KR1020120043346 A KR 1020120043346A KR 20120043346 A KR20120043346 A KR 20120043346A KR 101302741 B1 KR101302741 B1 KR 10130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base plate
ball
connecting shaft
inclin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김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선 filed Critical 김용선
Priority to KR102012004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63B22/006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about an ax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steppers with an inclined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Abstract

본 발명은 족답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구조에 의해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양발의 뒤꿈치 부분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는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 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족답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 폭을 가지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중앙에 라운드진 하부 요홈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볼이 안착되는 하부 볼 안착부가 하향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면 중앙에 원기둥 상으로 중앙돌출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볼 안착부와 대향되어 상부 볼 안착부가 하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부 요홈과 대향되는 상부 요홈을 가지도록 상향 함몰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돌출부에 삽입되어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 설치된 상기 회전플레이트 외측면과 일정 간극을 가지되 좌우 대향되어 전, 후단의 중앙부가 일정거리만큼 분할되어 한 쌍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감싸도록 배치 고정되는 한편, 분할 형성된 각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전단 및 후단의 상면에는 가이드 롤러의 회전 안내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향 돌출 구비된 경사가이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수직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고정되는 수직연결축; 상기 수직연결축 상부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직연결축과 연결되는 수평연결축; 및 상기 수평연결축에 내 측면 후방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과 대응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경사가이드 상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되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브래킷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족답식 운동기구{Stepper type 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족답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발을 각각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다리운동과 동시에 허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족답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운동이 필요하나,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 등으로 규칙적으로 운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실내에서도 다리운동이나 허리운동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 중 최근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되고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족답식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족답식 운동기구는 실내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스텝퍼(stepper)가 있으며, 아울러 상기 스텝퍼와 같은 족답식 운동기구와 유사한 운동기구로써 허리강화 및 유연성을 위해 허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허리운동기구가 공원 등에 설치되거나 실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허리운동기구는 통상 회전판이 구비되고, 회전판 일측으로 손잡이 프레임이 기립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회전판에 올라서서 손잡이 프레임을 가볍게 파지한 후, 허리를 좌우로 트위스팅하게 되면 회전판이 좌우로 선회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하체가 허리를 기준으로 회전판의 선회작동에 따라 트위스팅되어 운동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마련되는 허리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단순히 회전판 상에 서서 허리를 비트는 과정만을 반복하여 운동함에 따라 허리의 스트레칭 및 강화하는 정도의 운동에 불과하여 운동효과가 허리에 국한되어 부분적이고 단순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허리운동기구는 회전판이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허리 부분을 비트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허리를 비틀게 되면 회전판의 관성에 의해 허리가 과도하게 비틀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허리부상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허리운동기구와 더불어,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텝퍼는 통상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 좌우측에 발판이 형성되며, 발판 하부에 결합된 상하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격수단은 유압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이 복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써 스텝퍼는 사용자가 발판 상에 양쪽 발을 위치시킨 후, 제자리 걷기와 같이 다리를 움직이게 되면 좌우 측 발판이 이격수단에 의해서 상하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협소한 장소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써 스텝퍼는 상기 이격수단이 유압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이 복합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복잡한 제조공정과 부품으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단순히 양쪽 발을 제자리 걷기와 같이 교번하여 굴러 수직 상승 및 하강의 동작만을 반복하므로 사용자의 다리운동에 초점이 맞춰져 다리운동에만 국한되기 있기 때문에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며, 따라서 별도의 허리운동 등을 위한 운동기구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실내에서 다리와 복부에 대한 운동은 물론이거니와, 이와 함께 허리와 옆구리에 대한 운동이 병행될 수 있도록 한 특허문헌 2(KR 10-2011-0124498 A 2011.11.1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양발을 함께 굴러 상하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를 반복함에 의해 상하이동되고, 상하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가 자동으로 비틀림되거나, 사용자의 허리 비틀림에 의해 사용자의 무릅이 굽혔다 폈다가 반복되어 다리근력 운동을 위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고정하판, 선회상판, 탄성보강안전판, 압축탄성부재, 인장탄성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는 선회상판이 단일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면서 두발을 동시에 함께 구르는 동작에 국한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두발을 동시에 함께 굴러서 운동해야 하므로 운동을 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두발을 동시에 함께 굴러서 운동하는 과정에서 두발을 동시에 굴러 무릎이 굽혔다 펴지면서 상승 및 하강이 반복되되, 승강과 동시에 몸이 좌우로 트위스팅되므로 사용자에게 균형감각이 요구되며, 이로 인하여 운동기구의 사용을 위한 습득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는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두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두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의 습득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는 압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이 반복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압축탄성부재의 탄성력 강도는 통상 몸무게에 따라 2종류 정도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압축탄성부재에 대한 탄성력 강도에 따라 몸무게에 따라 사용자가 국한되며, 상기 압축탄성부재가 높은 탄성력 강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어린이 등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용자가 사용하면 탄성력을 통해 상승시 운동기구로부터 튕겨져 이탈하면서 사용자의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압축탄성부재에 대한 탄성력 강도에 따라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운동을 위한 기구로 적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족답식 운동기구로서의 허리강화용 운동기구는 두발을 함께 굴러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이 있으며, 동시에 압축탄성부재의 탄성강도에 따라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부상이 없이 용이하게 운동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두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부상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습득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족답식 운동기구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20-1996-0002724 Y1 1996.03.30. KR 10-2011-0124498 A 2011.11.17. KR 20-0319059 Y1 2003.06.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양발의 뒤꿈치 부분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족답식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구조에 의해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양발의 뒤꿈치 부분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부상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간단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운동기구 제품에 대한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는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 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족답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 폭을 가지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중앙에 라운드진 하부 요홈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볼이 안착되는 하부 볼 안착부가 하향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볼 안착부와 대향되어 상부 볼 안착부가 하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부 요홈과 대향되는 상부 요홈을 가지도록 상향 함몰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 설치된 상기 회전플레이트 외측면과 일정 간극을 가지되 좌우 대향되어 전, 후단의 중앙부가 일정거리만큼 분할되어 한 쌍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감싸도록 배치 고정되는 한편, 분할 형성된 각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전단 및 후단의 상면에는 가이드 롤러의 회전 안내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향 돌출 구비된 경사가이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수직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고정되는 수직연결축; 상기 수직연결축 상부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직연결축과 연결되는 수평연결축; 및 상기 수평연결축에 내 측면 후방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과 대응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경사가이드 상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되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브래킷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면이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간섭이 없이 유연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볼 안착부는 상면에 판 상의 원형 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볼의 하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하부 볼 안착홈이 하향 함몰 형성된 하부 미끄럼 편이 밀착 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부 볼 안착부는 상기 하부 미끄럼 편과 대향되어 중앙에 상기 볼의 상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상부 볼 안착홈이 상향 함몰 형성된 상부 미끄럼 편이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볼은 상기 하부 볼 안착부에 밀착 고정된 상기 하부 미끄럼 편의 하부 안착홈 상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되, 리테이너를 통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도록 구속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판의 승강과 동시에 회전되는 동작에 따라 회전 안내될 때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가이드 롤러를 안착시키는 가이드 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경사가이드는 내면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와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 상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간섭이 없도록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돌기가 형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경사가이드에 의해 상기 발판의 후방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하강한 후, 상기 발판이 타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승하여 복귀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복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발판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연결축 측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연결축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중앙에 원기둥 상으로 중앙돌출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삽입공이 상기 중앙돌출부의 외면과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돌출부에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삽입되어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발판에 대하여 각 후방부가 교번하여 승강됨과 동시에 일정각도만큼 회전 및 복귀가 반복되는 시간, 분당 스텝 수, 칼로리 소모량 및 총 스텝 수의 운동량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연결축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운동량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량 감지장치는 상기 수직 연결축 상부에 구비되어 운동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직 연결축 하부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는 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돌출부 상면에는 상기 감지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양방향 반복 회전에 대한 횟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용 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하면서 양발의 뒤꿈치 부분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구조에 의해 양발의 뒤꿈치 부분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양발의 뒤꿈치 부분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부상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셋째, 경사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간단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운동기구 제품에 대한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발판을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평면에서 바라본 반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평면에서 바라본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반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3 사용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4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발판을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평면에서 바라본 반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평면에서 바라본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반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3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시계방향 회전상태를 나타낸 제4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 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운동기구로, 베이스 플레이트(110), 회전플레이트(120), 경사가이드(140), 수직연결축(150), 수평연결축(160) 및 발판(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사용되는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볼(130)이 개재되어 상호 일정간극을 가지고 회전가능하도록 안착 설치되고, 상기 경사가이드(140)가 일정간극 이격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설치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면에 상기 경사가이드(140)의 하면과 대응되어 안착홈(117)이 일정깊이로 하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7)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상면 후방에는 상기 수직연결축(150)의 하단이 고정 연결되며, 상기 수직연결축(150)의 양 측면 상부에 상기 수평연결축(160)이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축(160)의 각 단부에는 각각 상기 발판(170)의 일 측면 후방이 연결 고정되며, 다시 말하면 상기 발판(170)이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수평연결축(160)의 각 단부에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상기 각 발판(170)에 양 발을 각각 올려놓고 선 자세로 양 발의 뒤꿈치 부분에 교번하여 하중을 실어 발을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하면서 좌, 후 트위스팅이 교번하여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양 무릎이 교번하도 굽혔다 폈다 되면서 몸통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동시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실내에서도 간편하게 다리 및 허리 등에 대한 현저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족답식 운동기구(100)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 폭을 가지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중앙에 라운드진 하부 요홈(111a)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볼(130)이 안착되는 하부 볼 안착부(111)가 하향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면 중앙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원기둥 상으로 중앙돌출부(113)가 상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돌출부(113)는 후술 될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23) 내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원기둥 상은 물론이거니와 다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하면이 상기 볼(130)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간섭이 없이 유연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 볼 안착부(111)는 상면에 판 상의 원형 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볼(130)의 하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하부 볼 안착홈(112a)이 하향 함몰 형성된 하부 미끄럼 편(112)이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볼(130)은 상기 하부 볼 안착부(111)에 밀착 고정된 상기 하부 미끄럼 편(112)의 하부 안착홈(112a) 상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되, 리테이너(131)를 통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도록 구속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리테이너(131)는 통상의 볼 베어링에서의 볼 리테이너와 같은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테이너(131)에 의해 상기 볼(13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구속되어 배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양방향 회전을 위한 상기 볼(130)의 적용 개수를 최적화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130)의 개수를 상기 하부 볼 안착홈(112a)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상기 리테이너(131)가 없이 상기 볼(130)만 구비되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볼(130)이 상기 하부 미끄럼 편(112)의 하부 안착홈(112a) 상에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실내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하면 각 모서리부에 받침구(119)가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받침구(119)는 사용자의 하중 및 운동기구의 사용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대하여 완충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 볼 안착부(111)와 대향되어 상부 볼 안착부(121)가 하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부 요홈(111a)과 대향되는 상부 요홈(121a)을 가지도록 상향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중앙에 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3)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돌출부(113)에 삽입되어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면에 상기 볼(130)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돌출부(113)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3) 내면과 일정간극을 가지는 원기둥 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삽입공(123) 내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23)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원기둥 상 또는 다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상기 볼(130)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며,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간섭이 없이 유연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볼 안착부(121)는 상기 하부 미끄럼 편(112)과 대향되어 중앙에 상기 볼(130)의 상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상부 볼 안착홈(122a)이 상향 함몰 형성된 상부 미끄럼 편(122)이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안착 설치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외측면과 일정 간극을 가지되 좌우 대향되어 전, 후단의 중앙부가 일정거리만큼 분할되어 한 쌍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감싸도록 배치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된 각 후단으로부터 각각 전단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전단 및 후단의 상면에는 가이드 롤러(172)의 회전 안내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41)가 상향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상기 발판(170)의 하면 중앙에 고정브래킷(171)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기 가이드 롤러(172)가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판(170)의 승강과 동시에 회전되는 동작에 따라 회전 안내될 때, 상기 가이드 롤러(172)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가이드 롤러(172)를 안착시키는 가이드 홈(143)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내면과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와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 상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상면과 간섭이 없도록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돌기(1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폐돌기(145)는 4분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정방형이나 장방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돌기(14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경사가이드(140)는 내면과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와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기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사용상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연결축(150)은 상술한 회전플레이트(120)의 상면 일측, 상세하게는 상면 후방 측에 수직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연결축(160)은 상기 수직연결축(150) 상부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직연결축(15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170)은 사용자의 발과 대응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마주하는 내 측면 후방이 상기 수평연결축(160)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경사가이드(140) 상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172)가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브래킷(171)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판(170)은 상면의 일정면적에 대하여 미끄럼방지 돌기(175)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75)는 사용자의 발 형상과 대응되는 면적에 걸쳐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75)는 상기 발판(17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돌설되거나 전방과 후방 일정면적에 대하여 돌설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상기 가이드 롤러(172)와 상기 경사가이드(140)에 의해 상기 발판(1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회전과 동시에 좌측 발이 올려진 발판(170)은 후방부가 하강하며, 우측발이 올려진 발판(170)은 후방부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 롤러(172)와 상기 경사가이드(140)에 의해 상기 발판(17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회전과 동시에 우측 발이 올려진 발판(170)은 후방부가 하강하며, 좌측 발이 올려진 발판(170)은 후방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가이드(140)가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판(170)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경사가이드(140)의 경사면을 타고 후방 측을 향하여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 롤러(172)를 통하여 상기 발판(170)의 후방이 상승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상기 가이드 롤러(172)를 통하여 상기 발판(170)의 후방에 대한 상승 복귀는 보다 원활하게 상승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일단이 상기 발판(170)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연결축(150) 측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연결축(160)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탄성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80)는 코일스프링 타입으로 구비되되 일단 및 타단이 직선 타입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상기 한 쌍의 발판(170)의 후방부가 교번하여 승강됨과 동시에 일정각도만큼 회전 및 복귀가 반복되는 시간, 분당 스텝 수, 칼로리 소모량 및 총 스텝 수 등의 운동량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연결축(150)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운동량 감지장치(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운동량 감지장치(190)는 상기 수직 연결축(150) 상부에 구비되어 운동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191)와, 상기 수직 연결축(150) 하부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는 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돌출부(113) 상면에는 상기 감지센서부(193)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양방향 반복 회전에 대한 횟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부(193)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용 돌기(113a)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부(193)는 자기센서 타입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용 돌기(113a)는 자기센서 타입으로 구비되는 상기 감지센서부(193)와 대응되어 자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감지용 돌기(113a)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3) 내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23)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원기둥 상 또는 다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돌출부(113) 상면에 자성체로 상향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부(193)는 상기 수직 연결축(150) 하부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는 횟수를 감지하도록, 자기센서 타입으로 구비되어 자성체로 구비되는 상기 감지용 돌기(113a)에 대하여 반복 회전하여 지나치는 횟수를 감지함이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상기 운동량 감지장치(190)를 통하여 운동 시간, 분당 스텝 수, 칼로리 소모량 및 총 스텝 수 등에 대한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경사가이드(140)와 가이드 롤러(172)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 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이 안정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경사가이드(140)와 가이드 롤러(172)의 구조에 의해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되면서 트위스팅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로부터 장년층에 걸쳐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부상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경사가이드(140)와 가이드 롤러(172)의 간단한 구조를 적용시킴으로써 운동기구 제품에 대한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100)의 사용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양발을 각각 좌우 대칭으로 구비된 발판(170) 상에 올려놓은 후, 선택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발의 뒤꿈치에 하중을 가하여 구르는 동작을 하게 되며, 이하 좌측 발의 뒤꿈치를 먼저 구르게 되는 동작을 기준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발판(170) 상에 놓인 발 중에서 좌측 발의 뒤꿈치에 하중을 가하여 구르게 되면, 좌측에 위치한 상기 발판(170)의 후방이 하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즉 사용자의 좌측 발의 뒤꿈치 부분이 하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서 하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좌측 다리운동과 하체의 트위스팅에 따른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좌측 발이 놓인 상기 발판(170)의 후방부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170)이 회전되는 작동은 상기 발판(170)의 하면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롤러(172)가 경사가이드(140)의 상면에 안내됨에 따라 하강과 동시에 회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170) 상에 놓인 발 중에서 좌측 발의 뒤꿈치에 하중을 가하여 구르는 동작 후에는 사용자가 우측 발의 뒤꿈치에 하중을 가하여 구르는 동작을 취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우측에 위치한 상기 발판(170)의 후방이 하강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즉 사용자의 우측 발의 뒤꿈치 부분이 하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서 하체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우측 다리운동과 하체의 트위스팅에 따른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우측 발이 놓인 상기 발판(170)의 후방부가 하강과 동시에 회전되는 작동은 상기 발판(170)의 하면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롤러(172)가 경사가이드(140)의 상면에 안내됨에 따라 하강과 동시에 회전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우측에 위치한 발판(170)의 후방부가 하강과 동시에 회전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상기 좌측에 위치한 발판(17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함께 후방부가 상승하게 되며, 특히 상기 좌측에 위치한 발판(170)은 하면 중앙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롤러(172)가 상기 경사가이드(140)의 전단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41)에 이르기까지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스토퍼(141)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후에는 재차 반대방향으로, 즉 상기 좌측에 위치한 발판(170)에 올려진 좌측 발의 뒤꿈치에 하중을 가하여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과 동시에 상기 좌측에 위치한 발판(170)을 하강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발판(170)이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교번하여 하강되도록 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좌측 발이 올려진 발판(170)과 우측 발이 올려진 발판(170)의 각 후방부가 상호 엇갈려 하강 및 상승이 되도록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다리운동과 동시에 하체의 트위스팅에 따른 허리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족답식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좌측과 우측 발의 뒤꿈치를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양발의 뒤꿈치가 상호 엇갈려 교번하여 승강됨과 동시에 하체를 회전시켜 다리운동과 하체의 트위스팅에 따른 허리운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판(170)의 후방이 하강 및 상승하는 작동은 상기 발판(170)의 내측에 연결된 수평연결축(160)을 감싸도록 구비된 탄성부재(180)를 통하여 상승 복귀에 대한 동작이 더욱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발판(170)이 교번되어 승강과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하는 경우에 전술한 운동량 감지장치(190)를 통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완료하거나 운동 도중에 운동 시간, 분당 스텝 수, 칼로리 소모량 및 총 스텝 수 등에 대한 운동량 데이터를 확인하여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족답식 운동기구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하부 볼 안착부
111a: 하부 요홈 112: 하부 미끄럼 편
112a: 하부 볼 안착홈 113: 중앙돌출부
113a: 감지용 돌기 119: 받침구
120: 회전플레이트
121: 상부 볼 안착부 121a: 상부 요홈
122: 상부 미끄럼 편 122a: 상부 볼 안착홈
123: 삽입공
130: 볼 131: 리테이너
140: 경사가이드 141: 스토퍼
143: 가이드 홈 145: 차폐돌기
150: 수직연결축
160: 수평연결축
170: 발판 171: 고정브래킷
172: 가이드 롤러 175: 미끄럼방지 돌기
180: 탄성부재
190: 운동량 감지장치 191: 디스플레이부
193: 감지센서부

Claims (8)

  1. 양쪽 무릎을 교번되게 굽혔다 폈다 하면서 양발을 교번하여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몸이 승강하면서 트위스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족답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 폭을 가지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중앙에 라운드진 하부 요홈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볼이 안착되는 하부 볼 안착부가 하향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볼 안착부와 대향되어 상부 볼 안착부가 하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부 요홈과 대향되는 상부 요홈을 가지도록 상향 함몰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 설치된 상기 회전플레이트 외측면과 일정 간극을 가지되 좌우 대향되어 전, 후단의 중앙부가 일정거리만큼 분할되어 한 쌍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감싸도록 배치 고정되는 한편, 분할 형성된 각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전단 및 후단의 상면에는 가이드 롤러의 회전 안내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향 돌출 구비된 경사가이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수직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고정되는 수직연결축;
    상기 수직연결축 상부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수직연결축과 연결되는 수평연결축; 및
    상기 수평연결축에 내 측면 후방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과 대응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경사가이드 상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되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브래킷이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족답식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면이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간섭이 없이 유연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볼 안착부는 상면에 판 상의 원형 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볼의 하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하부 볼 안착홈이 하향 함몰 형성된 하부 미끄럼 편이 밀착 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부 볼 안착부는 상기 하부 미끄럼 편과 대향되어 중앙에 상기 볼의 상부 외주면 일부분이 밀착되는 상부 볼 안착홈이 상향 함몰 형성된 상부 미끄럼 편이 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하부 볼 안착부에 밀착 고정된 상기 하부 미끄럼 편의 하부 안착홈 상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되, 리테이너를 통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도록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판의 승강과 동시에 회전되는 동작에 따라 회전 안내될 때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가이드 롤러를 안착시키는 가이드 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는 내면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와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 상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간섭이 없도록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경사가이드에 의해 상기 발판의 후방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하강한 후, 상기 발판이 타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승하여 복귀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복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발판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연결축 측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연결축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중앙에 원기둥 상으로 중앙돌출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삽입공이 상기 중앙돌출부의 외면과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돌출부에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삽입되어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볼에 의해 유격을 가지도록 안착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양방향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에 대하여 각 후방부가 교번하여 승강됨과 동시에 일정각도만큼 회전 및 복귀가 반복되는 시간, 분당 스텝 수, 칼로리 소모량 및 총 스텝 수의 운동량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연결축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설치되는 운동량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량 감지장치는 상기 수직 연결축 상부에 구비되어 운동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직 연결축 하부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는 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돌출부 상면에는 상기 감지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양방향 반복 회전에 대한 횟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용 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운동기구.
KR1020120043346A 2012-04-25 2012-04-25 족답식 운동기구 KR10130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46A KR101302741B1 (ko) 2012-04-25 2012-04-25 족답식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46A KR101302741B1 (ko) 2012-04-25 2012-04-25 족답식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741B1 true KR101302741B1 (ko) 2013-08-30

Family

ID=4922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46A KR101302741B1 (ko) 2012-04-25 2012-04-25 족답식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7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3872C1 (ru) * 2016-06-27 2017-10-18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Григоренко Фиксатор стопы для спортивного тренажера
CN110510106A (zh) * 2018-05-22 2019-11-29 空中客车运营简化股份公司 用于飞行器方向舵脚蹬的整体且可移除的踏板模块
KR102340475B1 (ko) * 2021-07-02 2021-12-17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허리운동기구용 회전판의 회전각도조절장치
WO2022139024A1 (ko) * 2020-12-22 2022-06-30 브이알카버주식회사 운동기구에 사용하는 원복장치
CN115445166A (zh) * 2022-10-14 2022-12-09 合肥工业大学 一种智能健身用模拟划船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097Y1 (ko) 2005-04-04 2006-06-15 추안 -핀 창 허리 운동형 스텝퍼
KR100828099B1 (ko)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KR20090007847U (ko) * 2009-07-02 2009-08-03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097Y1 (ko) 2005-04-04 2006-06-15 추안 -핀 창 허리 운동형 스텝퍼
KR100828099B1 (ko)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KR20090007847U (ko) * 2009-07-02 2009-08-03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구
KR20110002785A (ko) * 2009-07-02 2011-01-10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3872C1 (ru) * 2016-06-27 2017-10-18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Григоренко Фиксатор стопы для спортивного тренажера
CN110510106A (zh) * 2018-05-22 2019-11-29 空中客车运营简化股份公司 用于飞行器方向舵脚蹬的整体且可移除的踏板模块
WO2022139024A1 (ko) * 2020-12-22 2022-06-30 브이알카버주식회사 운동기구에 사용하는 원복장치
KR102340475B1 (ko) * 2021-07-02 2021-12-17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허리운동기구용 회전판의 회전각도조절장치
CN115445166A (zh) * 2022-10-14 2022-12-09 合肥工业大学 一种智能健身用模拟划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41B1 (ko) 족답식 운동기구
KR100923868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CN113893493B (zh) 坐式跑步机和使用方法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10363449B2 (en)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KR101313316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EP2682088B1 (en) Upper limb exercising device
CN105816987A (zh) 一种带有测试装置的立柱式体育健身器材
KR20100075809A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1064309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064307B1 (ko) 상체 운동기구
EP2682089B1 (en) Upper limb exercising device
Caltenco et al.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for balan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KR101439537B1 (ko) 실내용 복합 운동기구
KR20090008969U (ko) 런닝머신
KR102584397B1 (ko)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KR102150353B1 (ko) 다변형 자전거 운동기구
KR20110056170A (ko) 점핑 트위스트 운동기구
JP2019065573A (ja) 作業用ゴンドラ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CN106039647A (zh) 一种智能多功能健身器
RU2531880C2 (ru) Тренажёр "балатрон"
KR101349325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AU2006100451A4 (en) Method for improving muscle balance
KR101078622B1 (ko) 다리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