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626B1 -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626B1
KR101302626B1 KR1020110139069A KR20110139069A KR101302626B1 KR 101302626 B1 KR101302626 B1 KR 101302626B1 KR 1020110139069 A KR1020110139069 A KR 1020110139069A KR 20110139069 A KR20110139069 A KR 20110139069A KR 101302626 B1 KR101302626 B1 KR 10130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concrete
heat insulating
ca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700A (ko
Inventor
양영진
Original Assignee
양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진 filed Critical 양영진
Priority to KR102011013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6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와 수평면 상에서 접하는 캡; 상기 캡과 체결구조를 가지며, 캡 내부에 위치하는 너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쇠가 형성되는 삽입단; 및 내부에 상기 너트와 삽입되기 위한 볼트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헤드부와 결합되는 몸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단열재의 종류에 따라 몸통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콘크리트에 부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과 같은 마무리 부재가 단열재 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planar heat insulator}
본 발명은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재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콘크리트에 부착가능한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콘크리트건축물 시공시 단열을 하기 위해 거푸집 내면에 스치로폼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대응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과 압력에 의해 단열재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다수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공공건물 등의 콘크리트 건물은 동절기에 영하의 외부 기온과 실내의 내부 기온의 온도차 의해서 노점온도를 유지하는 벽체의 표면에 실내의 습한 공기와 접촉하면서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에 상기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열을 위한 목적으로 실내의 벽체에 발포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단열재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의 내면에는 합성수지표면재를 고정하며, 상기 합성수지표면재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지를 부착하는 단열공법이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을 완성한 후 벽체에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서 콘크리트 벽체와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 사이에 공기 유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되지 않고 접착제의 습기에 의해 곰팡이로 변하여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피스를 이용하여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를 고정할 경우에는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가 단단하지 못한 재질의 특성에 의해 피스가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시공시 금속거푸집 내면에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를 고정시킨 후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금속 거푸집에 발포성 합성수지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장치는 간단 용이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방법과 수단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단열재 고정구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선등록실용신안 제431161호 "단열재 고정장치"는 알루미늄 거푸집(30)의 판면에 나사결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 중앙에 끼움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부재(10)에 삽입된 단열재(40)의 상부면을 눌러주도록 된 원판형의 고정캡(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단열재 고정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상기 단열재 고정장치는 그 내측에 나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다수의 리브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그 상부쪽 중앙에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홀을 형성하여 단열재 고정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나사로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해야함으로 통상의 나사못을 사용하지 못하소 나사못 말단 양측에 날개가 달린 특수한 나사못을 사용해야하는 문제점과 나사못을 알루미늄거푸집에 결합시 별도의 전동드라이버를 사용해야하는 불편과, 거푸집 재질이 알루미늄이 아닌 경질 금속재 일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거푸집을 탈거시 고정부재가 단열재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 선 특허등록 제10-0708252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슬라브(500)를 타설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인 거푸집(300)의 하부를 통해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측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210)과; 상기 나사봉(210)의 상부측이 삽입되도록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내부홀(111)이 형성된 관체부(110)와, 상기 관체부(1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의 소원판(120)과, 상기 관체부(1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단열재(400)의 상면에 맞대어지는 상기 소원판(120)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대원판(130)과, 상기 대원판(300)의 하면에 서로 등간격이면서 대원판(130)의 중심점으로부터도 등간격을 갖도록 다수개 하측으로 돌설되어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정돌기(140)로 구성된 단열재 고정구(100)를 구성한 것이나, 상기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나사봉을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시 나비너트로 결합함으로서 일일이 수작업을 해야하는 불편과 나사봉을 나비너트를 결합시 나비너트를 더 조이면 나사봉이 길게 돌출되어 타측의 단열재를 고정하는 길이가 짧게 됨으로 나사봉과 나비너트의 결함 간격을 항사 유의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단열재 고정구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관부재 내부홀과 나사봉이 항상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따라서 유격이 큰 것이 있고 유격이 알맞은 것이 있는 관계로 유격이 큰것 일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보다 간편하게 콘크리트에 단열재를 부탁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접착제의 변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08252-0000호 (2007년04월1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81161-0000호 (2006년11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 길이를 이용해 콘크리트에 부착가능한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과 같은 마무리 부재가 단열재 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는,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와 수평면 상에서 접하는 캡; 상기 캡과 체결구조를 가지며, 캡 내부에 위치하는 너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쇠가 형성되는 삽입단; 및 내부에 상기 너트와 삽입되기 위한 볼트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헤드부와 결합되는 몸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단열재가 통과하여 상기 몸통부로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몸통부와 연결시 헤드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요부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체결시 헤드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단과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몸통부가 체결시 상기 몸통부의 체결단과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가 몸통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길이는 상기 단열재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는, 상기 삽입단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상기 삽입단과, 상기 단열재가 삽입되는 상기 몸통부을 구분하며,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는,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덕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침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는, 단열재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 길이를 이용해 콘크리트에 부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는, 철근과 같은 마무리 부재가 단열재 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재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가 콘크리트와 타설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상태도
도 5는 도 4의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헤드부가 몸통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3의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가 콘크리트와 타설된 후 단열재와 체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고정장치에 볼트 체결 및 마감공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상태도
도 14는 도 13의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3의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가 콘크리트와 타설된 후 단열재와 체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을 중심으로 도 3, 도 4,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그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10)는 크게 캡(11), 너트(12), 삽입단(13), 고정단(14), 몸통부(15), 헤드부(16), 그리고 걸림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11)은 고정장치(10)가 단열재(2)에 체결된 후 벽체에 구성되는 콘크리트(1)에 삽입되어 콘크리트(1)와 수평면으로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너트(12)는 상기 캡(11)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에 기술될 몸통부(15) 내부에 볼트(19)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삽입단(13)은 상기 너트(12)가 삽입된 캡(11)과 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캡(11)과 상기 삽입단(13) 내부에는 너트(1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단(13)은 몸통부(15)에서 연장된 볼트(19)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에는 고정단(14)과 연결된다.
상기 삽입단(13)은 콘크리트(1)에 캡(11)과 함께 삽입되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콘크리트(1)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쇠가 형성된다.
고정단(14)은 삽입단(13)의 최하단에 부착되며, 콘크리트(1)에 삽입된 삽입단(12)과 몸통부(15)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정단(14)과 삽입단(13)의 체결시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단(14)의 돌출부(도면부호 미도시)과 삽입단(13)의 체결홈(도면부호 미도시)이 각각 구성되어 상기 고정단(14)과 상기 삽입단(13)의 체결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5)의 내부는 관통홀이 구성되어 볼트(19)가 몸통부(15) 하부에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너트(12)와 체결되도록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통부(15)의 하단에는 헤드부(16)와 결합된다. 또한, 몸통부(15)는 단열재(2)가 헤드부(16)를 통과해 삽입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15)는 헤드부(16)와 체결시 헤드부(16)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단(18)이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16)는 단열재(2)가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몸통부(15)와 타단이 연결되며, 몸통부(15)와의 연결단에서 둘러싸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6)의 일측에는 상기 몸통부(15)와 연결시 헤드부(16)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요부홈(20)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브부(16)는 단열재(2)를 통과하여 상기 몸통부(15)로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단열재(2) 하부에 구성된 판넬과 부딪칠 때 충격으로 헤드부(16)의 하부에 구성된 뾰족한 끝단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몸통부( 15)와 연결시 헤드부(16)는 단열재(2)의 안정된 고정을 위해 일정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구성되고, 벌어질 때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요부홈(20)이 구성된다.
걸림단(17)은 헤드부(16)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16)와 몸통부(15)가 체결시 몸통부(15)의 체결단(18)과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16)가 몸통부(15)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10)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단열재(2)를 고정장치(10)를 이용해 콘크리트(1)에 타설할 경우 다수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10)의 헤드부(16)의 뾰족한 부분에 단열재(2)를 가압함으로써, 가압에 의해 상기 헤드부(16) 내부에 구성된 걸림단(17)과 몸통부(15)에 구성된 체결단(1)이 체결되면서 상기 단연재(2)가 몸통부(15)에 고정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10) 내부의 너트(13)에 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몸통부(15)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마감재인 덕트(3)를 작업하면 간단히 단열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10)의 몸통부(15)의 길이는 상기 단열재(2)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중심으로 도 14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이하 살펴보도록 한다.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30)는 캡(31), 너트(32), 삽입단(33), 고정단(34), 몸통부(35), 헤드부(36), 그리고 침탑(37)을 포함한다.
상기 캡(31)은 고정장치(30)가 단열재(2)에 체결된 후 벽체에 구성되는 콘크리트(1)에 삽입되어 콘크리트(1)와 수평면으로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너트(32)는 상기 캡(31)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에 술될 몸통부(35) 내부에 볼트(39)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삽입단(33)은 상기 너트(32)가 삽입된 캡(31)과 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캡(31)과 상기 삽입단(33) 내부에는 너트(3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단(33)은 몸통부(35)에서 연장된 볼트(39)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에는 고정단(34)과 연결된다.
상기 삽입단(33)은 콘크리트(1)에 캡(31)과 함께 삽입되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콘크리트(1)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쇠가 형성된다.
고정단(34)은 삽입단(33)의 최하단에 부착되며, 콘크리트(1)에 삽입된 삽입단(33)과 몸통부(15)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정단(14)과 삽입단(33)의 체결시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단(34)의 돌출부(도면부호 미도시)과 삽입단(33)의 체결홈(도면부호 미도시)이 각각 구성되어 상기 고정단(34)과 상기 삽입단(33)의 체결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5)의 내부는 관통홀이 구성되어 볼트(39)가 몸통부(35) 하부에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너트(32)와 체결되도록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통부(35)의 하단에는 헤드부(36)와 결합된다. 또한, 몸통부(35)는 단열재(2)가 헤드부(36)를 통과해 삽입되는 영역이다.
상기 헤드부(36)는 단열재(2)가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몸통부(35)와 타단이 연결되며, 몸통부(35)와의 연결단에서 둘러싸서 형성된다.
침탑(37)은 헤드부(36)의 중앙에 형성되어, 덕트(3)로 철판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마무리 작업시 철판을 탈착할 때 침탑(37)이 함께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20)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2)를 고정장치(30)를 이용해 콘크리트(1)에 타설할 경우 다수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30)의 헤드부(36)의 침탑(37)에 단열재(2)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30) 내부의 너트(33)에 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몸통부(35)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마감재인 덕트(3)를 작업하면 간단히 단열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30)의 몸통부(35)의 길이는 상기 단열재(2)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30 : 고정장치
11, 31 : 캡 12, 32 : 너트
13, 33 : 삽입단 14, 34 : 고정단
15, 35 : 몸통부 16, 36 : 헤드부
17: 걸림단 18 : 체결단
19, 39 : 볼트 20 : 요부홈

Claims (6)

  1.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와 수평면 상에서 접하는 캡; 상기 캡과 체결구조를 가지며, 캡 내부에 위치하는 너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쇠가 형성되는 삽입단; 및 내부에 상기 너트와 삽입되기 위한 볼트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헤드부와 결합되는 몸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단열재를 통과하여 상기 몸통부로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판넬과 부딪칠때 충격으로 헤드부에서 뾰족한 끝단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몸통부와 연결시 헤드부는 단열재의 안정된 고정을 위해 일정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구성되고, 벌어질 때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요부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체결시 헤드부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단과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와 몸통부가 체결시 상기 몸통부의 체결단과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가 몸통부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39069A 2011-12-21 2011-12-21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KR10130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69A KR101302626B1 (ko) 2011-12-21 2011-12-21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69A KR101302626B1 (ko) 2011-12-21 2011-12-21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00A KR20130071700A (ko) 2013-07-01
KR101302626B1 true KR101302626B1 (ko) 2013-09-03

Family

ID=4898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069A KR101302626B1 (ko) 2011-12-21 2011-12-21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98B1 (ko) * 2022-10-21 2023-12-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착성능이 향상된 고하중용 열교 차단형 외단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15Y1 (ko) 2000-02-08 2000-07-15 주식회사그룹원 단열재 고정용 단열볼트
KR200356434Y1 (ko) * 2004-04-30 2004-07-15 박종남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100708252B1 (ko) 2006-12-30 2007-04-16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15Y1 (ko) 2000-02-08 2000-07-15 주식회사그룹원 단열재 고정용 단열볼트
KR200356434Y1 (ko) * 2004-04-30 2004-07-15 박종남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100708252B1 (ko) 2006-12-30 2007-04-16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00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100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861254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간 단열재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806527B1 (ko)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
KR100708252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31161Y1 (ko) 단열재 고정장치
KR102316502B1 (ko) 단열갱폼 및 단열갱폼을 이용한 건물벽체 시공방법
KR101302626B1 (ko) 단열재 타설 고정장치
KR102025991B1 (ko)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101340773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101375463B1 (ko)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CA2659984C (en) Fastener element and system for curing concrete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170061053A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KR101493249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0189515Y1 (ko) 단열재 고정용 단열볼트
KR200493522Y1 (ko)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KR101788510B1 (ko) 고정력이 향상된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65382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170090536A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c형 고정구와 이를 포함하는 벽체용 에코 거푸집
KR101071030B1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의 고정장치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200242493Y1 (ko) 조합된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200186283Y1 (ko) 단열볼트를 이용한 단열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