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162B1 -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162B1
KR101301162B1 KR1020110119535A KR20110119535A KR101301162B1 KR 101301162 B1 KR101301162 B1 KR 101301162B1 KR 1020110119535 A KR1020110119535 A KR 1020110119535A KR 20110119535 A KR20110119535 A KR 20110119535A KR 101301162 B1 KR101301162 B1 KR 10130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ignal
unit
outsid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850A (ko
Inventor
노경석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이한나
노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나, 노경석 filed Critical 이한나
Priority to KR102011011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1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01T1/023Scintillation dose-rat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0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using a combination of a scintillator and photodetector which measures the means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12Provision for actuation of an ala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의 방사선실의 근무자에 대한 방사선의 노출상태를 측정하는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방사선 발생장치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의 신호를 받아서, 타단에 연결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방사선 센서로 연결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서 입력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방사선 센서와; 상기 방사선 센서로부터 측정된 미약전류를 증폭시켜서 시간연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를 통해서 증폭된 신호를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신호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시간연장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시간동안 점멸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램프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경보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부져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방사선 노출에 대한 음성신호를 알려주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펄스로 재증폭한 후, 누적된 방사선 감지횟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감지횟수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 Portable radioactive ray detecting device }
본 발명은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의 방사선이 사용되는 공간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하여 음성 및 빛 신호 등으로 알려주어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내 방사선 모니터링기술은 개인피폭모니터링과 환경모니터링으로 모두 기본기능과 보조기능은 있으나 경보기능에는 취약하였다. 특정의 방사선에 대한 에너지와 선량률 방향성에 관계 없이 단일 방향의 흡수선량만 나타내었다.
하나의 에너지범위에서 핵종분석 없이 모든 방사선 검출량을 검출하여 검출 값을 나타내므로 현행 원자력법상 ICRP-60에서 권고하는 선량값과 앞으로 강화된 ICRP-103에서 유효선량에 대한 권고치는 더욱더 강화되는 추세로 기존 방사선 경보설정치를 보완하여 다시 산정할 필요성과 경보기능을 기존의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서의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있었다.
즉, 종래의 소내 방사선 감시시스템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ICRP 권고의 방사선 경보설정치 강화를 적용할 시에 실시간으로 방출에 대한 계산을 할 수 없으며 핵종별 효율 확산인자를 고려하지 않고 단지 카운터량 만을 계산하였다. 종래에 사용하는 개인 피폭선량계는 방사선 관리 수행를 목적으로 모든 방사선과, 에너지, 선량률, 방향성 등에서 여러 변화 요인을 포함한 방사선경보기능 관리가 필요하였다.
방사선에서 방사선 경보를 발생할 확률이 높았으며, 종래기술은 핵종에 따른 확산인자를 보정하지 못하여 정밀도가 떨어졌고, 방사능 핵종에 따른 선량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방사능 감시시스템에서 따로 샘플을 채취하여 방사화학 실험실에서 장시간에 걸쳐 핵종을 분석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종래에 적용되었던 TWA(Triple Window Analyzer)는 Gaussian분포 성형으로 입력된 펄스(Pulse)를 3개의 채널(Channel)을 통해 방사능 핵종을 감시하지만, 실제 모니터링(Monitoring)된 방사능 에너지 대비 채널의 곡선형태가 폭이 넓고 광대하게 형성되어 정확한 방사능 핵종을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 뿐만 아니라, 방사선을 취급하는 병원이나 기타 소규모 연구소 등에서는 설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휴대성 및 구입비용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병원의 방사선실 등에서와 같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공간에서 근무하는 근무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에 방사선을 감지하여 노출상태와 빈도를 음성 및 빛 신호로 근무자에게 알려주는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의한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는, 병원의 방사선실의 근무자에 대한 방사선의 노출상태를 측정하는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방사선 발생장치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의 신호를 받아서, 타단에 연결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방사선 센서로 연결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서 입력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방사선 센서와; 상기 방사선 센서로부터 측정된 미약전류를 증폭시켜서 시간연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를 통해서 증폭된 신호를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신호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시간연장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시간동안 점멸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램프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경보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부져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방사선 노출에 대한 음성신호를 알려주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펄스로 재증폭한 후, 누적된 방사선 감지횟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감지횟수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사선 센서는, 외부로 부터 방사선 신호를 받으면 발광하여 빛신호로 변환하는 신틸레이터부와, 상기 신틸레이터부로부터 조사된 빛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류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광전 변환 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방사선이 상기 방사선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는 경우에,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주는 음성이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안내되고, 해당 시간동안 반복되는 경보음과, 소정의 밝기를 가진 빛신호가 점멸되어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방사선에 노출된 누적된 횟수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모자챙의 둘레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들은 모자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방사선 센서로 연결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의 방향과 무관하게 방사선 신호를 일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근무자가 착용하는 윗옷의 칼라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들은 윗옷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방사선 센서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의 방향과 무관하게 방사선 신호를 일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를 이용하면 그 크기가 소형이어서 직접 모자나 근무복 등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그 휴대성에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에 음성안내 및 LED 램프 등을 이용한 빛 경고신호 그리고, 경고음을 안내하는 부져 등을 통해서 근무자에게 방사선에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방사선에 누적된 횟수를 근무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방사선에 자주 노출됨으로 인한 피폭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그 크기의 소형화로 인해서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방사선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모자 캡에 적용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근무복에 적용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방사선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병원의 방사선실의 근무자에 대한 방사선을 감시하는 상기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10)는, 일단은 방사선 발생장치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의 신호를 받아서, 타단에 연결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방사선 센서(100)로 연결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서 입력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방사선 센서(100)와, 상기 방사선 센서(100)로부터 측정된 미약전류를 증폭시켜서 시간 연장부(300)로 출력시키는 신호 증폭부(200)와,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통해서 증폭된 신호를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신호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시간 연장부(300)와, 상기 시간 연장부(300)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시간동안 점멸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램프부(500)와, 상기 시간 연장부(300)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경보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부져부(600)와, 상기 시간 연장부(300)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방사선 노출에 대한 음성신호를 알려주는 음성안내부(400)와, 상기 신호 증폭부(200)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펄스로 재증폭한 후, 누적된 방사선 감지횟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본 발명은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센서(100), 방사선 센서(100)로부터 검출된 방사선실 내의 방사선을 입력받아 방사선 계측을 수행하고, 미약전류의 방사선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200)와,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거쳐 증폭된 신호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시간 연장부(300)와,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거친 신호를 음성 및 빛 신호로 변환시켜서 외부로 알려주는 음성안내부(400)와, 램프부(500)와, 부져부(600) 그리고, 방사선에 노출된 누적횟수를 알려주는 감지횟수 카운터부(70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방사선 센서(100)는 방사선이 통과하면 원자의 여기 및 전리작용이 생긴 후 극히 짧은 시간에 원래 상태로 복귀될 때 에너지의 일부를 빛(광자)으로 방출되어 광전효과를 일으켜 전자를 발생하는 형광 방사선 센서(100)(Scintillation 방사선 센서)를 사용하거나, 방사선이 통과하면 전리작용에 의하여 이온쌍들이 형성되고 외부 전장에 의해서 집적되어 입사방사선의 에너지에 비례하는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반도체 방사선 센서(Semiconductor 방사선 센서)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전자는 상기 신호 증폭부(200)로 전달하게 된다.
방사선을 검출하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사선 센서(100)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방사선 센서(100)의 구성과 관련해서는 차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방사선센서(100)는 방사선실 내에서 검출된 베타선 또는 감마선의 펄스를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방사선 계측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10)는 신호 증폭부(200) 및 시간 연장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신호 증폭부(200)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로부터 입력받은 펄스를 수 볼트(V)로 증폭하여 상기 시간 연장부(300)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시간 연장부(300)는 상기 신호 증폭부(200)로부터 증폭되어 입력받은 펄스를 선별된 Peak값으로 유지하면서 10 내지 15초동안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통해서 출력된 펄스 신호는, 소정의 시간동안 음성 안내부를 통해서 "방사선에 노출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경고 안내 멘트를 외부로 공지시켜준다.
또한,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통해서 출력된 펄스 신호는, 소정의 시간동안 LED 램프 등으로 구현되는 램프부(500)를 통해서 점멸신호를 외부로 공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통해서 출력된 펄스 신호는, 소저의 시간길이 동안 "삐삐"등과 같은 경고음을 방사선실내의 근무자 등에게 음성신호를 통해서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준다.
한편,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통해서 증폭된 펄스 신호는, 소정의 증폭소자를 거쳐서, 방사선에 노출된 횟수를 카운팅(Counting)을 해주는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를 동작시킨다. 상기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는, 근무자에게 방사선에 노출된 누적횟수를 알려줌으로써 방사선 피폭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 부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상기 방사선 센서(100)는, 근무자의 어느 방향에서도 조사되는 방사선에 대해서 그 측정의 정확도를 높히기 위해서, 근무자가 착용하는 모자 또는 의복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광섬유와 연동해서 외부에서 조사되는 미량의 방사선을 조사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방사선 센서의 구성도이다.
살펴보면, 도면부호 "100"은 방사선 검출기로서의 방사선 센서(100)이고, 이 방사선 센서(100)는 방사선상인 X선상을 검출하는 X선 평면 센서이고, 예를 들면 일반 의료 용도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방사선 센서(100)는 형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판인 광전 변환 기판으로서의 어레이 기판(미도시), 이 어레이 기판(미도시)의 한 주면인 표면상에 설치되어 입사하는 X선을 빛신호으로 변환시켜주는 X선 변환부인 신틸레이터층(120), 이 신틸레이터층(120)상에 설치되어 신틸레이터층(120)으로부터의 빛신호를 어레이 기판(미도시)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미도시), 어레이 기판(미도시)상에 신틸레이터층(120) 및 반사층(미도시)을 덮어 설치되어 이것들을 외기나 습도로부터 보호하는 업커버(110)와 베이스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미도시)은 신틸레이터층(120)에 의해 X선으로부터 가시광으로 변환된 빛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140)에 설치되어 광센서로서 기능을 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광전 변환소자(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광전 변환소자(130)는 상기 신틸레이터층(120)을 거쳐서 나온 빛신호를 받아서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소자이다.
일반적으로 물질이 빛을 쬐었을 때, 물질 내부의 전자가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광전효과라고 한다. 광전효과에는 고체 표면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는 외부 광전효과, 전자나 분자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는 광이온화, 절연체나 반도체 등의 고체 내부에서 전도전자가 생성되어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내부광전효과, 물질의 경계면에 기전력이 생기는 광기전력 효과 등이 있다. 이런 광전효과를 이용하면 빛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거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광전소자에는, 광전관,포토다이오드,포토트랜지스터,자(光電導素子) 등이 이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모자 캡에 적용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의 근무복에 적용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살펴보면, 방사선실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등이 착용하는 모자를 일 실시예로 적용한 도면이다.
상세히, 모자 챙의 단부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광섬유의 일단부가 설치되고, 그 타단부는 각각 상기 방사선 센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사선실내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방사선이 조사되는 경우에, 상기 모자 챙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를 통해서 방사선 신호가 전달되게 되고, 상기 빛신호는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방사선 센서(100)로 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방사선 센서(100)로 전송된 방사선 신호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 내에 구비된 상기 신틸레이터층(120)을 통해서 빛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된 빛 신호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내에 구비된 상기 광전 변환소자(130)를 통해서 소정의 펄스의 크기를 가진 전기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그렇게 변환된 전기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거치면서 그 신호의 크기가 정해진 배수의 크기만큼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는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거치면서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연장된 신호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크기와 길이가 증폭되고 신장된 전기신호는 각각 상기 음성안내부(400)와, 램프부(500), 그리고 부져부(600)를 통해서 외부로 음성신호 및 빛신호로 변환되어 근무자 등에게 통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통해서 증폭된 전기신호는, 상기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를 거치면서 방사선에 누적된 횟수를 카운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방사선실과 같은 실내에서 뿐 아니라, 방사선이 측정되는 곳이라면 실내외를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근무복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내용이다.
상세히, 상기 광섬유의 일단은 방사선실내에서 근무자 등이 착용하는 근무복의 옷깃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방사선 센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10)는, 근무복의 상단 포켓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센서(100)로 전송된 방사선 신호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 내에 구비된 상기 신틸레이터층(120)을 통해서 빛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된 빛 신호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내에 구비된 상기 광전 변환소자(130)를 통해서 소정의 펄스의 크기를 가진 전기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그렇게 변환된 전기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거치면서 그 신호의 크기가 정해진 배수의 크기만큼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는 상기 시간 연장부(300)를 거치면서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연장된 신호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크기와 길이가 증폭되고 신장된 전기신호는 각각 상기 음성안내부(400)와, 램프부(500), 그리고 부져부(600)를 통해서 외부로 음성신호 및 빛신호로 변환되어 근무자 등에게 통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통해서 증폭된 전기신호는, 상기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를 거치면서 방사선에 누적된 횟수를 카운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요약하면, 상기 광섬유를 통해서 감지된 방사선 신호는 상기 방사선 센서(100)를 거치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200)와 시간 연장부(300)를 통해서 그 펄스의 크기 및 길이가 증폭 및 신장되고, 각각 상기 음성안내부(400), 램프부(500) 그리고 부져부(600)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선에 노출되었음 경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신호 증폭부(200)를 통해서 증폭된 전기적 신호는, 감지횟수 카운터부(700)로 전송되어 방사선에 감지 횟수를 카운팅하여 근무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10)는, 방사선으로 부터 노출될 수 있는 모든 환경에서 근무자가 휴대할 수 있음으로 해당 근무환경에 일하는 근무자의 건강과 근무환경을 증진할 수 있게 된다.
* 주요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100. 방사선 센서
110. 업커버 120. 신틸레이터층
130. 광전 변환소자 140. 베이스 커버
200. 신호 증폭부 300. 시간 연장부
400. 음성안내부 500. 램프부
600. 부져부 700. 감지횟수 카운터부

Claims (5)

  1. 방사선 발생지역의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을 측정하고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방사선 발생장치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의 신호를 받아서, 타단에 연결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방사선 센서로 연결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서 입력된 방사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고, 외부로부터 방사선 신호를 받으면 형광체가 발광하여 빛신호로 변환하는 신틸레이터부와, 상기 신틸레이터부로부터 조사된 빛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류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광전 변환 소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선 센서와;
    상기 방사선 센서로부터 측정된 미약전류를 증폭시켜서 시간 연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를 통해서 증폭된 신호를 10 내지 15초의 길이로 신호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시간연장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시간동안 점멸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램프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경보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부져부와;
    상기 시간연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외부로 방사선 노출에 대한 음성신호를 알려주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소정의 펄스로 재증폭한 후, 누적된 방사선 감지횟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감지횟수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방사선이 상기 방사선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는 경우에,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주는 음성이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안내되고, 해당 시간동안 반복되는 경보음과, 소정의 밝기를 가진 빛신호가 점멸되어 방사선에 노출되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방사선에 노출된 누적된 횟수를 표시하여 주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모자챙의 둘레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들은 모자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방사선 센서로 연결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의 방향의존성과 무관하게 방사선 신호를 일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근무자가 착용하는 방호복과 가운의 칼라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들은 윗옷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방사선 센서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의 방향의존성과 무관하게 방사선 신호를 일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19535A 2011-11-16 2011-11-16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KR10130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535A KR101301162B1 (ko) 2011-11-16 2011-11-16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535A KR101301162B1 (ko) 2011-11-16 2011-11-16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50A KR20130053850A (ko) 2013-05-24
KR101301162B1 true KR101301162B1 (ko) 2013-09-03

Family

ID=4866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535A KR101301162B1 (ko) 2011-11-16 2011-11-16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1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196Y1 (ko) 2001-06-07 2001-10-22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개인용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196Y1 (ko) 2001-06-07 2001-10-22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개인용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50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5872B2 (en) Portable radiation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radiation
JP4159052B2 (ja) 放射線方向性検出器及び放射線モニタリング方法、装置
KR101864716B1 (ko) 알파·베타·감마 방사선 검출기능을 갖는 스마트 슬림형 플라스틱 섬광계수기
US20100264319A1 (en) Intelligent Sensor Platform
CN108535768B (zh) 一种基于双探测器技术的伽马相机
KR102182318B1 (ko) 부호화구경 기반 이중입자 영상 융합장치
Kim et al. Efficient design of a∅ 2× 2 inch NaI (Tl) scintillation detector coupled with a SiPM in an aquatic environment
CN104076385A (zh) γ射线辐射量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6524484B2 (ja) 放射線計測方法及び放射線計測装置
KR101702977B1 (ko) 다기능 휴대형 방사선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측정시스템
Terasaka et al. Evaluation of a one-dimensional position-sensitive quartz optical fiber sensor based on the time-of-flight method for high radiation dose rate applications
US20150309185A1 (en) Extremity radiation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301162B1 (ko) 방사선 경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방사선 검출장치
CN104730563A (zh) 通道式人员放射性监测仪
CN203773064U (zh) α、β射线探测器窗口保护罩结构
KR20120124705A (ko) 휴대용 방사선측정기
Kobayashi et al. Characteristic X-ray detector: In-situ imaging of radioactive contaminant distributions
JP2004361290A (ja) ガンマ線方向性検出器及び放射線モニタリング方法、装置
JP3242756B2 (ja) 放射性表面汚染検出器
Pausch et al. Application of $^{6}{\rm LiI}({\rm Eu}) $ Scintillators With Photodiode Readout for Neutron Counting in Mixed Gamma-Neutron Fields
KR101838273B1 (ko) 방사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모니터링 방법
KR20150106123A (ko) 원거리 방사선 측정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방사선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분석 장치
KR100795183B1 (ko) 자동 핵종분석 소내 디지털방사선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009344A (ko) 다분할 플라스틱 섬광체 기반의 방사성 핵종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검출방법
KR102244538B1 (ko) 광대역 방사선 측정센서와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