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47B1 -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 Google Patents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47B1
KR101300847B1 KR1020120066708A KR20120066708A KR101300847B1 KR 101300847 B1 KR101300847 B1 KR 101300847B1 KR 1020120066708 A KR1020120066708 A KR 1020120066708A KR 20120066708 A KR20120066708 A KR 20120066708A KR 101300847 B1 KR101300847 B1 KR 10130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edical bed
emergency room
med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태
배수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8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medical bed for an emergency room is provide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an occupied space. CONSTITUTION: A medical bed unit (10) for an emergency room comprises: a duct (100) which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and comprises utility lines for networks, power sources, oxygen, and air pressure; a temporary wall (200) which connects to the duct, is vertically extended downwards, is formed with a space against the wall, and is cut across the middle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bed unit (300) which has cushions rotatio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joint and a second joint and is combined with the temporary wall to rotate within a bed accommodation unit through a rotation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motor-driven winch (400) which includes a wire of which free end connects to a lower cushion.

Description

공간절약형 응급실 의료침대{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본 발명은 공간절약형 응급실 의료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응급실을 찾은 환자수에 대응하여 필요치 않은 침대를 공간절약적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는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그만큼의 동선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하나의 의료침대 유니트를 환자의 병명과 상태에 따라 기본적인 누운 자세는 물론 상체거양, 하체거양의 자세와 앉은 자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다양하고 손쉽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간절약형 응급실 의료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saving emergency room medical bed, by using the remaining space for other purposes or to secure more copper wires 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store space-saving beds that are not need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In addition, the space can be changed in various shapes easily so that one medical bed unit can be applied to not only basic lying posture, but also upper and lower body posture and sitting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illness and condition. It is about the medical bed of the emergency room.

병원은 시간의 제약이 없고, 환자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방문하기 때문에 환자의 수가 일정하지 않다.The hospital has no time constraints and the number of patients is not constant because the patients visit for various purposes.

그 중 응급실의 경우는 다양한 병명을 가진 환자들이 긴급한 사항으로 오는 곳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의료장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장시간 머무르는 환자들이 없기 때문에 치료를 마치고 퇴원을 하거나 입원을 위해 다른 병실로 이동을 하게 되어 환자의 이동이 많으며, 일정한 수의 환자들이 주기적으로 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응급실의 침대 사용도 일정하지 않다. 그렇다고 하여 응급실의 침대를 여유분까지 충분히 확보해 놓는다는 것은 응급실의 한정된 공간에서 동선을 확보하고 긴급히 사용해야 할 다종다양한 의료장비를 보관, 설치해야 할 상황상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Among them, the emergency room requires various kinds of medical equipment because patients with various diseases come to urgent matter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patients who stay for a long time, they are discharged after treatment or moved to another room for hospitalization, so the number of patients mov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does not come periodically, so the use of beds in the emergency room is not constant. However, securing enough space in the emergency room is not an easy task in the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store and install various medical equipments that need to secure copper wire and use urgently in the limited space of the emergency room.

현재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75695호의 "접이식 휴대용 침대"나, 등록실용신안 제20-0331215호의 "접이식 침대"와 같이 일반적인 간이 침대를 접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은 소개되어 있지만 병원의 의료용 침대에는 적용된 예가 없으며, 위의 접이식 침대는 접철 방식이 복잡하고 수동으로만 가능하며 구조적으로도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병원 응급실의 의료용 침대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At present, it is possible to save the storage space when not in use by constructing a common rollaway bed such as the "folding portable bed" of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75695 or the "folding bed" of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31215. Although the design is introduced, there is no example applied to the medical bed of the hospital, and the above folding bed is used as a medical bed of emergency hospital emergency room because the folding method is complicated, manual only and structurally not robust. There is a limit to this.

또한 응급실은 다양한 병명을 가진 환자들이 긴급히 찾아오는 곳이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에 맞춰 누운 자세 이외의 적합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성이 높다. 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room is a place where patients with various illnesses are urgently visited, it is highly necessary to consider appropriate positions other than lying down positions for each situation.

예를 들어, 지혈이 필요한 출혈환자나 홍안 인사불성(얼굴이 붉고, 맥박이 강함), 뇌의 혈액순환이 불충분해서 내빈혈이 일어난 환자의 경우에는 하체거양의 자세가 적합하며, 하체거양에서 호흡을 잘못 하거나 머리나 목에 상처가 있는 출혈환자나 청안 인사불성(얼굴은 푸르고, 맥박은 약함), 혈압이 높은 뇌일혈 환자의 경우에는 상체거양의 자세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팔 골절이나 코의 출혈, 대개의 호흡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앉은 자세가 좋다.For example, lower bleeding posture is appropriate for bleeding patients who require hemostasis, red eye impotence (red face, strong pulse), and insufficient blood circulation in the brain, resulting in endemic anemia. In the case of bleeding patients who have wrong or hurt the head or neck or inability to hear (blue face, weak pulse), high blood pressure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upper body posture is more desirable. In addition, if you have arm fractures, nose bleeding, and most breathing disorders, sitting position is good.

그러나, 각 환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의료침대를 응급실에 모두 구비시켜 놓는 것은 공간 문제상 어려우며, 더욱이 어떤 병명의 환자가 찾아올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는 침대 형태별 환자 수요에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특수한 형태의 침대를 구비하는 것이 오히려 환자 처치에 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equip the emergency room with various types of medical beds that are suitable for each patient.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patient with a specific name may come to visi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isproportionate to the demand of patients by bed type. Having a bed may be rather problematic for patient care.

따라서, 본 발명은 응급실을 찾은 환자수에 대응하여 필요치 않은 침대를 공간절약적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의료침대 유니트를 구성함으로써, 남는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그만큼의 동선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하나의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medical bed unit to accommodate the unnecessary number of beds to save the space quickly and quickly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aining space for other purposes or to secure more copper wires There is only on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의료침대 유니트를 환자의 병명과 상태에 따라 기본적인 누운 자세는 물론 상체거양, 하체거양의 자세와 앉은 자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다양하고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variety of easy to change the shape so that one medical bed un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basic lying down posture, upper body lift, lower body lift posture and sitting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name and condition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는,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로 네트워크, 전원, 산소, 공압을 포함하는 유틸리티 라인이 배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그 높이방향의 중간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벽면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부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침대수용부를 구비하는 가벽;과, 3단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쿠션재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를 매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3단 쿠션재 중의 하나인 상단 쿠션재에 구비된 회동부를 통해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서 횡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벽에 결합되는 침대부; 및 상기 가벽의 상부 또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전동 드럼 및 상기 전동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윈치로서,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이 상기 3단 쿠션재 중 하단 쿠션재에 연결된 전동 윈치를 포함한다.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the duct is disposed inside the utility line including the network, power, oxygen, pneumatic; and connected to the duct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e intermediate wall of the height direction is bent obliquely to the outside to form a space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and the temporary wall having a bed accommodating portion cut longitudinally longitudinally across the middle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o be rotated, and through the pivo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which is one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to allow the lateral rotation in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Combining bed portion; And a winch including an electric drum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wall or the duct and a wire wound on the electric drum, wherein a fre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a lower cushion material of the three-stage cushion material.

여기서, 상기 3단 쿠션재의 상단, 중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침대수용부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 수납 가능하다.Here, the upper end, the middle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on part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middle part, and top of the bed accommodation part,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가 직선을 이루어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어 누운 자세를 이룰 수 있다.The bed part is drawn out from the bed accommodation part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the first joining part and the second joining part, and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s straight on the ground. Can be laid and fixed to achieve a lying position.

또한,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및 하단 쿠션재가 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수평한 상단 쿠션재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하체거양의 자세를 이룰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d portion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herein the middle and lower cushion material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s A straight line may be arranged and fixed to form an upward slope with respect to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horizontal to the ground to achieve a lower body lift posture.

그리고,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및 하단 쿠션재가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고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는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상체거양의 자세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And, the bed portion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herein the middle and lower cushion material of the three-stage cushion member i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raight lin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upper cushion material is arranged and fixed to form an upward inclination to achieve the upper body lift posture.

아울러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쿠션재가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고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는 상향경사를 이루고 하단 쿠션재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앉은 자세를 이루는 것 역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ed portion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herein the suspended cushion member of the three-stage cushion member is horizontal to the grou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raight line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is inclined upward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is inclined downward to form a seated posi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단 쿠션재가 수직하게 상기 침대수용부에 수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회동부 및 그보다 위에 위치한 제2회동부의 2개의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누운 자세와 하체거양의 자세를 이룰 경우 상기 상단 쿠션재는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part may include two pivot parts of the first pivot part and the second pivot part positioned on the basis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ushion member is vertically received in the bed accommodation part. In particular, when the posture of lying down and lower body lift is achieved, the upper cushion member is preferably rotated by the first pivot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체거양의 자세 및 앉은 자세의 경우에는 상기 상단 쿠션재가 상기 제2회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지면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osture of upper body lift and sitt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ushion member rotates by the second pivot to form an upward slope with respect to the ground.

한편, 상기 가벽에는 상기 유틸리티 라인으로부터 인출된 유틸리티 소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유틸리티 소켓은 상기 침대수용부의 상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부가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 수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wall may include a utility socket drawn out from the utility line, wherein the utility socket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b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ed is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be arranged.

그리고, 상기 유틸리티 라인에는 심장 제세동용 전원 라인이 포함될 수 있다.The utility line may include a heart defibrillation power line.

한편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는 벽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를 이룰 수 있다.Meanwhile, the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one emergency room medical bed set by arranging at least two or more side by side along the wall.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료침대 유니트가 하나의 덕트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덕트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복수의 가벽 및 침대부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t least two or more medical bed units may share one duc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emporary walls and the bed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while the duc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의료침대 유니트는 필요치 않은 침대의 경우 3단 쿠션재의 침대부를 침대수용부 안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절약하여 남는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그만큼의 동선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medical be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quickly store the bed portion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nto the bed accommodating part in the case of the bed which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remaining space is used for other purposes or the copper wire of the same I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mor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의료침대 유니트를 환자의 병명과 상태에 따라 기본적인 누운 자세는 물론 상체거양, 하체거양의 자세와 앉은 자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다양하고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종류의 의료침대 유니트로서 상황에 따라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medical bed unit can be variously and easily modifi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not only basic lying posture, but also upper and lower body posture and sitting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illness and condition. In other words, it is a single type of medical bed unit that has the additional advantage of allowing the patient to take the most appropriate ac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및 세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누운 자세를 취하는 일련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하체거양의 자세를 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상체거양의 자세를 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앉은 자세를 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edical bed unit and a set for an emergenc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eries of operating procedures in which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 1 is in a lying posi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ure 1 takes the upper body lif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dical bed unit 10 for emergency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및 세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누운 자세를 취하는 일련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하체거양의 자세, 상체거양의 자세 및 앉은 자세를 취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and the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eries of operating procedures to take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ure 1, Figures 3 to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of Figure 1 takes the posture of lower body lift, upper body lift and sitting position,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10)는 크게 덕트(100), 가벽(200), 침대부(300) 및 전동 윈치(400)로 구성되어 있다.Medical bed unit 10 of the emergenc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to 5 is largely composed of a duct 100, a wall 200, a bed 300 and an electric winch 400.

덕트(100)는 병원 응급실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그 내부로 네트워크, 전원, 산소, 공압을 포함하는 유틸리티 라인(110)이 배치된다.The duct 100 is a member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of the hospital emergency room, and the utility line 110 including a network, a power supply, oxygen, and pneumatic pressure is disposed therein.

그리고, 가벽(200)은 덕트(100)에 연결되어 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인데, 그 높이방향의 중간부(20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벽면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처럼 가벽(200)의 중간부(202) 아래로 벽면에 대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후술할 침대부(300)의 상단 쿠션재(311)가 가벽(200)에 대해 회동할 때 발생하는 벽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가벽(20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중간부(202)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침대수용부(210)를 구비하는데, 이 침대수용부(210) 안에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는 침대부(3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temporary wall 200 is connected to the duct 100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along the wall surface, and the middle portion 202 of the height direction is bent to be inclined outward to form a space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Have Forming a space for the wall surface below the middle portion 202 of the temporary wall 200 is the interference with the wall surface generated when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of the bed 300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emporary wall 200 This is to avoid,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the provisional wall 200 is provided with a bed accommodation portion 210 long inci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middle portion 202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atient can lie or sit The bed 300 is rotatably installed.

침대부(300)는 상단 쿠션재(311), 중단 쿠션재(312) 및 하단 쿠션재(313)의 3단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쿠션재로 구성되는데, 상단 쿠션재(311)와 중단 쿠션재(312)는 제1접합부(320)로, 그리고 중단 쿠션재(312)와 하단 쿠션재(313)는 제2접합부(330)를 매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3단 쿠션재(310)로 구성된 침대부(300)는 제1접합부(320) 및 제2접합부(330)를 통해 인접 연결된 각 단의 쿠션재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침대부(300)는 3단 쿠션재(310) 중 상단 쿠션재(311)에 구비된 회동부(340)를 통해 침대수용부(210) 안에서 횡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가벽(200)에 결합된다. 여기서 3단 쿠션재(310)를 상단, 중단, 하단으로 구분한 기준은 환자가 누운 자세를 취했을 때, 환자의 두부(頭部)가 위치하는 곳을 상단으로 지칭한 것이며, 따라서 도면상으로 침대부(300)가 침대수용부(210) 안에 수납되어 똑바로 섰을 때의 상하 방향과 구별하여야 한다.Bed portion 30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cushion material consisting of three stages of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the suspended cushioning material 312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313,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and the suspended cushioning material 312 is the first bonding portion At 320, the suspension cushioning material 312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313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joint portion 330. That is, in the bed part 300 composed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cushioning materials of adjacent stag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onding portion 320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330 are made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the bed 300 is coupled to the temporary wall 200 to enable the horizontal rotation in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210 through the rotating part 340 provided on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 Here, the criterion of dividing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refers to the upper part where the head of the patient is located when the patient is in a lying position. 300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it is stored in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210 standing upright.

그리고, 전동 윈치(400)는 가벽(200)의 상부(201) 또는 덕트(100)에 설치된 전동 드럼(410)과, 상기 전동 드럼(410)에 권취된 와이어(420)를 포함하는 윈치로서, 권취된 와이어(420)의 자유단(전동 드럼에 고정된 와이어 말단의 반대편 말단)이 침대부(300)의 3단 쿠션재(310) 중 하단 쿠션재(313)에 연결된다. 즉, 전동 위치의 전동 드럼(4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침대부(300)가 누운 자세나 상체거양 등의 자세를 취하기 위해 회동부(340)와 제1접합부(320) 및 제2접합부(330) 각각이 회동할 때의 하단 쿠션재(313)의 변위에 맞춰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여 와이어(420)의 길이를 조절하며, 와이어(420)는 상단 쿠션재(311)에 구비된 회동부(340)를 기점으로 한 반대편 하단 쿠션재(313)를 장력으로 지지하여 침대부(3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동 윈치(400)는 침대부(300)가 침대수용부(210) 안에 수납될 때에는 와이어(420)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침대부(300)의 수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전동 윈치(400)는 침대부(300)의 고정성능과 환자의 접근성을 위해 2개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 winch 400 is a winch including an electric drum 41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201 or the duct 100 of the temporary wall 200, and a wire 420 wound on the electric drum 410. The free end of the wound wire 420 (opposite end of the wire end fixed to the electric drum) is connected to the lower cushion material 313 of the three-stage cushion material 310 of the bed 300. That is, as shown in FIGS. 2 to 5, the electric drum 410 in the electric position is the pivoting part 340 and the first joint part (3) in order to take a posture such as lying down or upper body lift of the bed part 300. 320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330 are rotated at an appropriate ang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420 to match the displacement of the lower cushion member 313 when it rotates, the wire 420 to the upper cushion member 311 The opposite lower cushion material 313 starting from the provided rotating part 340 is supported by tension to support a part of the load applied to the bed part 300. Of course, 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winch 400 minimizes the length of the wire 420 when the bed part 300 is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ng part 210 to more reliably store the state of the bed part 300. It also plays a role. In addition, the electric winch 400 may be installed in two pairs for the fixed performance of the bed 300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patient.

이처럼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10)는 침대부(300)의 3단 쿠션재(310) 상단(311), 중단(312) 및 하단(313) 각각이 침대수용부(210)의 하부(203), 중간부(202) 및 상부(201)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침대수용부(210) 안에 수납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한편 침대부(300)가 인출되면서 3단 쿠션재(310)의 각 단 사이의 경사 조절을 통해 환자의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bed unit 10 of the emergenc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end 311, a middle point 312, and a lower end 313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of the bed 300. 203, the space can be saved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ng part 210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iddle part 202 and the upper part 201, while the bed part 300 is drawn out, and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is removed. By adjusting the slope between the stages, various postures can be taken to suit the patient's situation.

특히, 침대부(300)가 형성하는 자세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누운 자세, 하체거양 자세, 상체거양 자세 및 앉은 자세이다. 각 자세에 맞는 회동부(340), 제1접합부(320), 제2접합부(330)의 회동 각도과 전동 드럼(410)의 회전량 등은 사전에 프로그래밍되어 버튼 하나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수동으로 환자 개개인에 보다 나은 자세로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posture formed by the bed unit 30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which is a lying posture, lower body posture, upper body posture and sitting posture. Rotating angles of the rotating part 340, the first bonding part 320, and the second bonding part 330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electric drum 410 suitable for each posture can be programmed in advance and operated by one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fine tune the posture better for each patient.

이를 위해 회동부(340), 제1접합부(320) 및 제2접합부(330) 각각은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 자세에 맞는 각도로 회동하였을 때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적합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채택 적용할 수 있는 것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각 자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each of the pivoting unit 340, the first junction 320 and the second junction 330 is preferably driven electrically, and also does not rotate arbitrarily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rotated at an angle for each postur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include a braking mechanism. However, since such a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easily adopted and applied from a known techniqu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and each pos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는 침대부(300)가 누운 자세를 취하는 일련의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부(300)는 전동 윈치(400)의 와이어(420)의 신장(伸長)과 함께 회동부(340)와 제1접합부(320) 및 제2접합부(330)의 회동에 의해 침대수용부(210)로부터 인출되고, 이때 3단 쿠션재(310) 모두는 서로 직선을 이루어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됨으로써 가장 기본적인 누운 자세를 이루게 된다.FIG. 2 shows a series of steps in which the bed 300 is in a lying position. As shown, the bed 3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elongation of the wire 420 of the electric winch 400. It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210 by the rotation of the eastern portion 340, the first junction 320 and the second junction 330, wherein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is a straight line to each other and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By being fixed, the most basic lying posture is achieved.

그리고, 도 3은 하체거양의 자세를 보여주는데, 침대부(300)는 전동 윈치(400)의 와이어(420)의 신장(伸長)과 회동부(340)와 제1접합부(320) 및 제2접합부(330)의 회동에 의해 침대수용부(210)로부터 인출되면서, 3단 쿠션재(310) 중 상단 쿠션재(311)는 지면에 수평을 이루고 이에 대해 중단 및 하단 쿠션재(312,313)가 직선을 이루면서 상단 쿠션재(311)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된다.And, Figure 3 shows the posture of lower body lift, the bed 300 is the extension of the wire 420 of the electric winch 400 and the rotating portion 340, the first junction 320 and the second junction Withdrawal from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210 by the rotation of the 330, the upper cushion material 311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upper and lower cushioning materials 312 and 313 to form a straight line against this It is arranged and fixed to form an upward slope with respect to 311.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누운 자세와 하체거양의 자세의 공통점은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상단 쿠션재(311)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룬다는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ures 2 and 3, the common point of the lying posture and lower body posture is that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ocated is horizontal to the ground.

한편, 상체거양의 자세는 3단 쿠션재(310) 중 중단 및 하단 쿠션재(312,313)가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고,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311)는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는 것이며,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ture of upper body lift is the middle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312,313 forms a straight lin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is arranged and fixed to form an upward inclination, which is a figure 4 is shown.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앉은 자세는 3단 쿠션재(310) 중 중단 쿠션재(312)만이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면서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311)는 상향경사를 이루고 하단 쿠션재(313)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And, the sitting posture shown in FIG. 5 is a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of the three-phase cushioning material 310, while only the horizontal straight line on the ground while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forms an inclined upward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313 is inclined downward It is arranged to be fixed.

이처럼 상체거양의 자세와 앉은 자세의 공통점은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상단 쿠션재(311)가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를 이룬다는 것이며, 차이는 하퇴부가 위치하는 하단 쿠션재(313)가 수평을 이루느냐 아니면 하향 경사를 이루느냐이다.As such, the commonality between the upper body lift position and the sitting position is that the upper cushion member 311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difference is whether the lower cushion member 313 in which the lower leg is positioned is horizontal or not. Is it a downward slope?

위와 같은 각 자세를 고려할 때, 3단 쿠션재(310) 중 두부, 경부, 상지부 및 체간부가 위치하는 상단 쿠션재(311)는 침대부(300) 전체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중단 및 하단 쿠션재(312,313)는 비슷한 길이(침대부 전체 길이의 약 1/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onsideration of the respective postures above, the upper cushion material 311 in which the head, neck, upper limbs, and trunk portion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0 are positione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bout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ed 300 and is suspended.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s 312 and 313 preferably have similar lengths (about 1/4 of the total length of the bed).

또한, 환자의 상체가 거양되는 상체거양과 앉은 자세의 경우에는 침대부(300)의 높이를 다소 낮게 만드는 것이 환자에게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동부(340)를 상단 쿠션재(311)가 수직하게 침대수용부(210)에 수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1회동부(341) 및 그보다 위에 위치한 제2회동부(342)의 2개의 회동부(340)로 구성하고, 상체거양 및 앉은 자세의 경우에는 상단 쿠션재(311)가 높은 위치의 제2회동부(342)에 의해 회동하여 지면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하였다. 즉,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단 쿠션재(311)는 직립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160°정도 회전하게 되므로, 회동부(340)의 위치가 높을수록 그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patient to make the height of the bed 300 is somewhat lower in the case of upper body lift and sitting position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ift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is vertically stored in the bed accommodating part 210, the first rotating part 341 and the second second part positioned above the rotating part 340. It consists of two rotating parts 340 of the rotating part 342, and in the case of upper body lifting and sitting posture,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311 is rotated by the second rotating part 342 in a high position and tilts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achieve. That is, based on FIGS. 4 and 5, since the upper cushion member 311 rotates about 160 ° clockwise from the upright position, the higher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part 340 is, the lower the height is.

물론 제1, 제2 회동부는 상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누운 자세와 하체거양의 자세를 이룰 경우에는 상단 쿠션재(311)는 제1회동부(341)에 의해 회동한다.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pivots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movable, and when the posture of lying down and lower body lift is achieved, the upper cushion member 311 is rotated by the first pivot 341.

한편,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10)의 가벽(200)에는 덕트(100) 안을 지나가는 유틸리티 라인(110)으로부터 인출된 유틸리티 소켓(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틸리티 소켓(120)은 침대수용부(210)의 상부(201) 내측면에 구비되어 침대부(300)가 침대수용부(210) 안에 수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응급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틸리티 라인(110)에는 심장 제세동용 전원 라인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temporary wall 200 of the medical bed unit 10 for an emergency room may include a utility socket 120 drawn from the utility line 110 passing through the duct 100, where the utility socket 120 may accommodate a bed. 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201 of the portion 21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bed portion 3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ed portion 300 is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ng portion 210.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emergency room, the utility line 110 preferably includes a power line for cardiac defibrillation.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10)는 벽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20)를 이룰 수 있으며, 그 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Medical emergency unit medical bed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orm one emergency room medical bed set 20 by arranging at least two or more side by side along the wall, an example of which is shown in FIG. It is.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료침대 유니트(10)가 하나의 덕트(100)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덕트(100)는 건축공사 과정에서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의료침대 유니트(10)의 가벽(200) 및 침대부(300)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황에 맞춰 응급실의 병상 수 자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two or more medical bed units 10 may share one duct 100. In this case, the duct 1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medical bed unit 10 is installed. The temporary wall 200 and the bed 30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detachable by adjusting the number of beds of the emergency room according to the situ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의료침대 유니트는 필요치 않은 침대의 경우 3단 쿠션재의 침대부를 침대수용부 안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절약하여 남는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그만큼의 동선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medical be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quickly store the bed portion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nto the bed accommodating part in the case of the bed which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remaining space is used for other purposes or the copper wire of the same Mor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의료침대 유니트를 환자의 병명과 상태에 따라 기본적인 누운 자세는 물론 상체거양, 하체거양의 자세와 앉은 자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다양하고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단일한 종류의 의료침대 유니트로도 환자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medical bed unit can be variously and easily modifi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basic lying posture,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body postures and sitting postures according to the patient's illness and condition. A single type of medical bed unit can provide better quality medical care to pati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20: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
100: 덕트 110: 유틸리티 라인
120: 유틸리티 소켓 200: 가벽
201: 가벽의 상부 202: 가벽의 중간부
203: 가벽의 하부 210: 침대수용부
300: 침대부 310: 3단 쿠션재
311: 상단 쿠션재 312: 중단 쿠션재
313: 하단 쿠션재 320: 제1접합부
330: 제2접합부 340: 회동부
341: 제1회동부 342: 제2회동부
400: 전동 윈치 410: 전동 드럼
420: 와이어
10: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20: Medical bed set for emergency room
100: duct 110: utility line
120: utility socket 200: wall
201: upper part of the wall 202: middle part of the wall
203: lower portion of the wall 210: bed receiving portion
300: bed 310: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311: upper cushion material 312: suspended cushion material
313: lower cushion member 320: first bonding portion
330: second joint portion 340: rotating part
341: first rotating unit 342: second rotating unit
400: electric winch 410: electric drum
420: wire

Claims (14)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로 네트워크, 전원, 산소, 공압을 포함하는 유틸리티 라인이 배치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그 높이방향의 중간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벽면에 대해 공간을 형성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부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침대수용부를 구비하는 가벽;
3단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쿠션재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를 매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3단 쿠션재 중의 하나인 상단 쿠션재에 구비된 회동부를 통해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서 횡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벽에 결합되는 침대부; 및
상기 가벽의 상부 또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전동 드럼 및 상기 전동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윈치로서,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이 상기 3단 쿠션재 중 하단 쿠션재에 연결된 전동 윈치;
를 포함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A duct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into which a utility line comprising a network, power, oxygen, pneumatics is disposed;
It is connected to the duct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height direction is bent inclined outward to form a space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and has a bed accommodating section longitudinally cut across the middle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Wall made;
A rectangular cushion member consisting of three stages is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first joint portion and a second joint portion, and a lateral rotation in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is provided through a pivo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cushion member which is one of the three stage cushion members. A bed unit coupled to the temporary wall to enable it; And
A winch including an electric drum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wall or the duct and a wire wound on the electric drum, wherein a fre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a lower cushion material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 쿠션재의 상단, 중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침대수용부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iddle and upper portions of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가 직선을 이루어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어 누운 자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bed part is drawn out from the bed receiving part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the first joining part and the second joining part, and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in a straight line.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lying dow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및 하단 쿠션재가 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수평한 상단 쿠션재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하체거양의 자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bed part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ng part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 part,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joint part, wherein the middle and lower cushion members of the three-stage cushion material are straight.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cushions arranged on the ground to form an upward inclination to form a lower body lift pos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및 하단 쿠션재가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고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는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상체거양의 자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bed part is withdrawn from the bed accommodation part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joint part, wherein the middle and lower cushion members of the three-stage cushion material are placed on the ground. Forming a horizontal straight line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is arranged to form an inclined upwards, the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lift pos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와이어의 신장(伸長)과 상기 회동부와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침대수용부로부터 인출되되, 상기 3단 쿠션재 중 상기 중단 쿠션재가 지면에 수평한 직선을 이루고 이에 대해 상단 쿠션재는 상향경사를 이루고 하단 쿠션재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 고정되어 앉은 자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bed part is withdrawn from the bed receiving part by the extension of the wire of the electric winch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the first joining part and the second joining part, wherein the suspended cushion material of the three-stage cushioning material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n emergency bed medical be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cushion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is inclined upward and the lower cushioning material is arranged inclined downward to form a sitting position.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단 쿠션재가 수직하게 상기 침대수용부에 수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회동부 및 그보다 위에 위치한 제2회동부의 2개의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쿠션재는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pivot part includes two pivot parts of a first pivot part and a second pivot part positioned above the upper cushion material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ushion material is vertically stored in the bed accommodation part, and the upper cushion material includes the first pivot part. Medical bed unit for emergency room,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by the horizontal to the ground.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단 쿠션재가 수직하게 상기 침대수용부에 수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회동부 및 그보다 위에 위치한 제2회동부의 2개의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쿠션재는 상기 제2회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지면에 대해 상향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pivot part includes two pivot parts of a first pivot part and a second pivot part positioned above the first cushion part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ushion material is vertically stored in the bed accommodation part, and the upper cushion material is the second pivot part. Medical bed unit for the emergency room, characterized in that by rotating to form an upward inclination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벽에는 상기 유틸리티 라인으로부터 인출된 유틸리티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orary wall medical be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wall includes a utility socket drawn out from the utility l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소켓은 상기 침대수용부의 상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부가 상기 침대수용부 안에 수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tility socket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medical bed unit for an emergency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b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ccommodated in the bed accommodation portion.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라인에는 심장 제세동용 전원 라인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utility line medical bed unit for the emergency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t defibrillation power line is includ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응급실용 의료침대 유니트가 상기 벽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치된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A medical bed set for an emergency room, wherein at least two emergency room medical bed uni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wall.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의료침대 유니트는 하나의 상기 덕트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
The method of claim 12,
And at least two or more medical bed units share one of the duct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벽 및 침대부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실용 의료침대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The duc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surface, the plurality of temporary walls and bed portion is emergency medical bed set,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selectively.
KR1020120066708A 2012-06-21 2012-06-21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KR101300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8A KR101300847B1 (en) 2012-06-21 2012-06-21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8A KR101300847B1 (en) 2012-06-21 2012-06-21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847B1 true KR101300847B1 (en) 2013-08-27

Family

ID=4922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08A KR101300847B1 (en) 2012-06-21 2012-06-21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8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66U (en) 2016-09-07 2018-03-15 성낙경 Expansion tank system for both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046U (en) * 1990-03-16 1991-12-05
KR200292584Y1 (en) * 2002-07-27 2002-10-25 허금범 A Folder Style Bed
KR20040003390A (en) * 2002-07-02 2004-01-13 이용식 Operator
KR101128949B1 (en) * 2009-09-23 2012-04-12 안형준 Furniture for reclamation type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046U (en) * 1990-03-16 1991-12-05
KR20040003390A (en) * 2002-07-02 2004-01-13 이용식 Operator
KR200292584Y1 (en) * 2002-07-27 2002-10-25 허금범 A Folder Style Bed
KR101128949B1 (en) * 2009-09-23 2012-04-12 안형준 Furniture for reclamation type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66U (en) 2016-09-07 2018-03-15 성낙경 Expansion tank system for both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0152B (en) Multifunctional mattress
JP6158231B2 (en) Therapeutic cushion system and method
CN202458970U (en) Medical auxiliary device with functions of wheelchair and sickbed
US5832549A (en) Bed side part
US9381107B2 (en) Post shoulder surgery rehabilitation bed wedge
JP2001037589A (en)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type side fence of lying stand such as bed
CN107693246B (en) A kind of hospital bed
TW202402258A (en) Nursing care device
KR101300847B1 (en) Space-saving medical bed for emergency room
US10617218B2 (en) Method for adjusting mattresses into an operating position and mechanism for performing said method
KR200462021Y1 (en) A frame of a medical bed
US20060236453A1 (en) Equipment for moving patient without changing patient's pose
CN207928441U (en) Novel adjustable sick bed
CN215081260U (en) Device convenient for posture change for spinal surgery nursing
KR20160074338A (en) Bed for Nursing
CN210748279U (en) Folding accompanying bed
KR101459661B1 (en) structure for frame of foldable type bed
CN207837761U (en) Portable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arries combination chair
CN209361134U (en) A kind of improved multifunctional health care counteracting bedsores Restoring nursing bed
KR101168980B1 (en) Raising machine for backbone correction
CN213465705U (en) Adjustable multifunctional sickbed
JP5946913B2 (en) Bed equipment
CN216855070U (en) Folding nursing bed
CN211356398U (en) Posture exercise air inflation pillow before thyroid operation
CN209316370U (en) Multifunctional emergency section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