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487B1 -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 Google Patents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0487B1 KR101300487B1 KR1020120023410A KR20120023410A KR101300487B1 KR 101300487 B1 KR101300487 B1 KR 101300487B1 KR 1020120023410 A KR1020120023410 A KR 1020120023410A KR 20120023410 A KR20120023410 A KR 20120023410A KR 101300487 B1 KR101300487 B1 KR 101300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auxiliary body
- auxiliary
- elastic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등의 전자기기용 보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등의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 등을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필요 시 이를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영상 시청 시 혹은 휴대폰 등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의 보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natural function of protecting a mobile phone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supporting the image when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when watching or utilizing various applications using a mobile phone.
최근들어 휴대폰의 한 종류인 스마트폰(smart phone)이 등장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웹 검색이나 이메일 전송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영상매체 및 게임 컨텐츠 등을 자유롭게 시청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a smart phone (smart phone) of a kind of mobile phone, you can freely watch or use various multimedia, video media and game contents as well as web search and email transmission anytime and anywhere.
특히, 스마트폰이 큰 화면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화면을 통한 영상매체, 즉 영화나 동영상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a smart phone provides a large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watch a video medium, that is, a movie or a video through the screen,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life.
한편, 종전과 달리 스마트폰은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충격 방지 혹은 생활 스크래치 방지 등을 위해 보조물이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ast, smart phones are expensive products, and auxiliary materials have been widely used to prevent shocks and life scratches.
스마트폰 보조물은 고무 재질의 소프트 보조물을 비롯하여 플라스틱 하드 보조물, 가죽 재질의 지갑형 보조물 등 다양하며,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보조물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양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하여 조작하는 경우가 많다.Smartphone aids vary from rubber soft aids to plastic hard aids and leather wallet aids, and most users do not separate the smartphone from the aid and hold the smartphone with both hands.
하지만, 각종 멀티미디어 혹은 게임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것 외에 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영화나 동영상 등의 영상을 시청하려 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영상을 시청하면 흔들림이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스마트폰을 테이블 등에 받쳐 지지해두고 시청하는 편이 유리할 수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playing various multimedia or game contents, for example, when using a smartphone to watch a video such as a movie or a video, when watching a video while holding the smartphone by hand, the shaking may be severe. It may be advantageous to support the smartphone by supporting it on a table or the like.
이처럼 스마트폰을 테이블 등에 받쳐 지지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시청 및 이용에 적합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세 불안정 등에 따른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 smartphone is support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smartphone can be maintained at an angle suitable for viewing and using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image without shaking, thereby reducing fatigue due to posture instability.
그렇지만,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스마트폰을 받치면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향후 스마트폰에 적용될 예정도 아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조물에 스마트폰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부가한다면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필요 시 스마트폰을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However, currently available smartphones do not have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m while supporting them, and are not expected to be applied to smartphones in the future. If it is add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ucture for this, since i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ecause it can support the smartphone if necessary while providing the original function of protecting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필요 시 상기 전자기기를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영상 시청 시 혹은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의 보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roviding a natural func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mart phone to protect it, but can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when necessary to watch a video or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electronic device It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 목적은,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면의 일 영역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보조물 바디; 및 상기 보조물 바디의 관통공 영역에 결합되되 탄성변형을 위한 비직선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측을 가압할 때 타측이 상기 보조물 바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보조물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n auxiliary body detachably coupl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the auxiliary body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in one area of the back; And a non-linear cross-sectional structure coupled to the through-hole region of the auxiliary body for elastic deformation, and the other side elas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body when pressing one side. Is achieved by the aid of.
상기 관통공은 상기 보조물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보조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bod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auxiliary body.
상기 탄성 받침대는, 금속 재질의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의 외부에 피복되어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edestal, a metal spring spring; And it may include a non-slip pad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leaf spring to prevent the slip.
상기 미끄럼 방지용 패드에는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을 보조하는 그루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non-slip pa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roove to assis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at a position spaced inwardly from the rim.
상기 탄성 받침대에는 상기 탄성 받침대의 조작을 위한 누름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push display for operating the elastic support.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필요 시 상기 전자기기를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영상 시청 시 혹은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mart phone to provide an inherent function of protecting them, the electronic device can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when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applications when watching an image or using the electronic device.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as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보조물과 전자기기 간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보조물의 탄성 받침대를 가압하기 전 상태의 이미지,
도 2b는 도 2a의 사시도,
도 3a는 보조물의 탄성 받침대를 가압한 후 상태의 이미지,
도 3b는 도 3a의 사시도,
도 4는 도 3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보조물의 거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image of the state before pressing the elastic support of the support,
2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A,
Figure 3a is an image of the state after pressing the elastic support of the auxiliary,
3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A,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B;
5 and 6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mounting forms of the auxiliary bodies, respectivel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물과 전자기기 간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보조물의 탄성 받침대를 가압하기 전 상태의 이미지, 도 2b는 도 2a의 사시도, 도 3a는 보조물의 탄성 받침대를 가압한 후 상태의 이미지, 도 3b는 도 3a의 사시도, 도 4는 도 3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보조물의 거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image of a state before pressing the elastic support of the support,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A, and FIG. 3A is an elastic support of the support. 3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A,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B, and FIGS.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mounting forms of an auxiliary body,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물(120)는 전자기기(110),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PC, PDA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결합되어 전자기기(110)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보조물 바디(130)와, 보조물 바디(130)에 결합되는 탄성 받침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보조물 바디(130)는 전자기기(110)에 감싸지게 결합되어 전자기기(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물 바디(130)는 금속 재질일 수도 있고 아니면 플라스틱 재질일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하드 보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보조물 바디(130)는 배면판(131)과, 배면판(131)의 둘레면에서 절곡되어 전자기기(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스커트(132)를 포함한다.The
스커트(132)에는 절취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판(131)과 스커트(132)에는 스피커와 버튼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통공(133a,133b)이 형성된다.The
배면판(131)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공(135)이 형성된다. 관통공(135)은 보조물 바디(130)의 배면판(131)의 중앙 영역에서 보조물 바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으로 형성된다.The through
이러한 관통공(135) 영역에 탄성 받침대(140)가 결합된다. 탄성 받침대(140)가 결합되기 위해 관통공(135) 영역에는 고무패드(136)가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고무패드(136)는 금속 재질의 보조물 바디(130) 사출 시 일체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The
이처럼 본 실시예의 탄성 받침대(140)는 보조물 바디(130)의 관통공(135) 영역에 결합되되 탄성변형을 위한 비직선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측을 가압할 때 타측이 보조물 바디(140)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다.Thus, the
따라서 도 5처럼 세로 방향으로 혹은 도 6처럼 가로 방향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시청 시 혹은 전자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6,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when viewing a video or when using a variety of applications using electronic devices.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 받침대(140)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배면판(131)의 중앙 영역에 한 개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으므로 탄성 받침대(140)의 개수와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탄성 받침대(140)는, 금속 재질의 판스프링(141)과, 판스프링(141)의 외부에 피복되어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를 포함한다.The
판스프링(141)은 비직선형의 자체 구조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구조체이다. 즉 평상 시 즉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평상 시 평평하거나 혹은 약간 볼록한 형태의 비직선형 단면 구조를 이루지만, 일측을 가압할 때 탄성변형되면서 타측이 도 3a 및 도 3b처럼 보조물 바디(140)에 대해 이격된다. 물론, 이격된 부분을 다시 가압하면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평상 시 형태가 된다.
판스프링(141)을 동작시키기 위해 탄성 받침대(140)에는 탄성 받침대(140)의 조작을 위한 누름표시부(144)가 형성된다.In order to operate the
따라서 평상 시 편평한 상태로 있던 탄성 받침대(140)의 누름표시부(144)를 가압하면 다소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탄성변형을 통해 누름표시부(144)의 반대쪽이 도 3a 및 도 3b처럼 보조물 바디(140)에 대해 이격되면서 돌출되어 받침다리를 이루게 된다. 물론, 돌출된 부분을 다시 가압하면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평상 시 형태가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는 판스프링(141)의 외부에 피복되어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본 실시예의 경우,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가 판스프링(141)의 외부 전체에 피복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테이블에 접하는 영역에만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를 부착시키는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러한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에는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판스프링(141)의 탄성변형을 보조하는 그루브(143)가 더 형성된다. 다시 말해, 그루브(143)는 피복된 고무 재질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가 판스프링(141)의 구부러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물(12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우선,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평상 시 평평하거나 혹은 약간 볼록한 형태의 비직선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탄성 받침대(140)의 누름표시부(144)를 가압한다.First, the
그러면 탄성 받침대(140)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탄성변형을 통해 누름표시부(144)의 반대쪽이 도 3a 및 도 3b처럼 보조물 바디(140)에 대해 이격되면서 돌출된다.Then, the opposite sid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 받침대(140)를 통해 보조물(120)를 도 5처럼 세로 방향으로 혹은 도 6처럼 가로 방향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시청 시 혹은 전자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화면 시청방향(A)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영상 시청이 완료되어 이격된 부분을 다시 가압하면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평상 시 형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viewing of the image is completed and presses the spaced apart part again, it may be a normal form as shown in FIGS. 2A and 2B.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110)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필요 시 전자기기(110)를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영상 시청 시 혹은 전자기기(110)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various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대해 적용된 것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외에도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mart phone, but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it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ablet PC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전자기기 120 : 보조물
130 : 보조물 바디 131 : 배면판
132 : 스커트 133a,133b : 통공
134 : 절취부 135 : 관통공
140 : 탄성 받침대 141 : 판스프링
142 : 미끄럼 방지용 패드 143 : 그루브
144 : 누름표시부110: electronic device 120: auxiliary
130: auxiliary body 131: back plate
132:
134: cutout 135: through hole
140: elastic support 141: leaf spring
142: non-slip pad 143: groove
144: push display
Claims (5)
상기 보조물 바디의 관통공 영역에 결합되되 탄성변형을 위한 비직선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측을 가압할 때 타측이 상기 보조물 바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조물.
An auxiliary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n area of a rear surface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region of the auxiliary body has a non-linear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elastic deformation, when pressing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rest spaced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body .
상기 관통공은 상기 보조물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보조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hole is an electronic device auxilia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bod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auxiliary body.
상기 탄성 받침대는,
금속 재질의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의 외부에 피복되어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조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astic pedestal,
Leaf springs made of metal; And
And an anti-slip pad co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af spring to prevent slipping.
상기 미끄럼 방지용 패드에는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을 보조하는 그루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non-slip pad is an electronic device auxili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urther formed to assis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in a position spaced inward from the rim.
상기 탄성 받침대에는 상기 탄성 받침대의 조작을 위한 누름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support is an electronic device auxili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display for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support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410A KR101300487B1 (en) | 2012-03-07 | 2012-03-07 |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410A KR101300487B1 (en) | 2012-03-07 | 2012-03-07 |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0487B1 true KR101300487B1 (en) | 2013-09-02 |
Family
ID=4945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410A KR101300487B1 (en) | 2012-03-07 | 2012-03-07 |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48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1725Y1 (en) | 2008-10-06 | 2011-01-07 | 주식회사 뉴빛 | A cradle for Mobile phone |
KR20120001434U (en) * | 2012-01-17 | 2012-02-29 | 최광성 | Case For Cliping and Cradling Portable Terminal |
-
2012
- 2012-03-07 KR KR1020120023410A patent/KR10130048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1725Y1 (en) | 2008-10-06 | 2011-01-07 | 주식회사 뉴빛 | A cradle for Mobile phone |
KR20120001434U (en) * | 2012-01-17 | 2012-02-29 | 최광성 | Case For Cliping and Cradling Portab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686B1 (en) | adhesive type goods cradle | |
US8960630B2 (en) | Support structure | |
US8218954B2 (en) | Fragrant electronic device | |
US8886257B2 (en) | Electronic device | |
CN102082850B (en) | Support | |
US20130134274A1 (en) | Structure of support frame featuring fast warping and closing | |
KR101390427B1 (en) | The hand grip with holder function for cell phone | |
KR20150003379U (en) |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 |
KR20120080809A (en) | Smart phone cover | |
KR101300487B1 (en) | Auxially means for a electronic equipment | |
KR20170133138A (en) | A both supporter 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 |
KR200477120Y1 (en) | Mobile Phone Cover | |
KR101559317B1 (en) | Protection Cover Case with Ringhandle for Mobile Device | |
KR101041472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rrying case | |
KR101346572B1 (en) | Case for portable device | |
KR200464019Y1 (en) | The pouch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standing function | |
KR20140116993A (en) | Cell phone case with tanse prop | |
EP2947782A1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101354213B1 (en) | Handhelds holder | |
KR200478291Y1 (en) | support for cellphone | |
KR101349706B1 (en) | Holder For Portable Display Device | |
KR20170069709A (en) | Paper Smart Phone Stand | |
KR101632906B1 (en) | Smart Device | |
US9816664B2 (en) |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 |
KR200468603Y1 (en) | Case for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