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146B1 -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146B1
KR101300146B1 KR1020110080272A KR20110080272A KR101300146B1 KR 101300146 B1 KR101300146 B1 KR 101300146B1 KR 1020110080272 A KR1020110080272 A KR 1020110080272A KR 20110080272 A KR20110080272 A KR 20110080272A KR 101300146 B1 KR101300146 B1 KR 10130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eight
signal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693A (ko
Inventor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조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기 filed Critical 조영기
Priority to KR102011008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착석한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여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은 비데 상부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중량 감지기, 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여 컨텐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컨텐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bidet}
본 발명은 비데(bidet)를 포함하여 구현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 내부에 중량 감지용 센서를 구비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비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들 각각에 대하여 가사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가정 및 가사 생활의 자동화를 위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이 증가하고 있다.
그 주요한 시스템으로는 홈쇼핑이나 홈뱅킹(home banking) 이외에 방범 및 방재를 위한 홈 시큐리티(home security), 전기, 가스 조절, 계량기 자동계측, 자동요리기기 등의 하우스 컨트롤(house control), 에너지, 조명, 냉난방, 급탕 관리 등의 에너지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기기들을 관리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보다 나아가, 화장실의 비데 내부에 중량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화장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들 통하여 어학 학습을 포함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조작 없이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은 비데 상부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중량 감지기, 상기 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여 컨텐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컨텐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량 감지기는 상기 사용자가 비데에서 일어나는 경우 중량 제거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던 컨텐츠에 대하여 책갈피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데 시스템은 화장실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시스템에 있어서 중량 감지 신호와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사용자, 중량 값과 더불어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도록 설정된 컨텐츠 종류들과 컨텐츠들에 설정된 책갈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용 모듈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비데 제어기에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은 비데 내부의 중량 감지기에서 수신된 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파악하여 어학 학습, 뉴스, 음악 등의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하는 비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실제로 구현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능적 블록도들을 기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10)은 중량 감지기(100), 제어부(200), 컨텐츠부(300) 및 입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 감지기(100)는 비데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비데에 사용자가 앉는 경우,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 신호(WSENSE)를 생성한다. 중량 감지기(100)는 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중량 감지기(100)는 비데에 앉았던 사용자가 일어나는 경우, 중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를 인지하여 중량 제거 신호(WSTOP)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중량 제거 신호(WSTOP)는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 비데에 앉은 사용자가 현재의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상응하는 중량 값을 특정한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식부(250)를 구비하여 사용자와 그에 상응하는 중량 감지 신호(WSENSE)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따라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컨텐츠 제어 신호(CON)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입출력부(400)에 대하여 제어 출력 신호(COUT)를 제공하거나, 입출력부(400)로부터 제어 입력 신호(CIN)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중량 제거 신호(WSTOP)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부(300)로 하여금, 중량 제거 신호(WSTOP)가 발생한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던 컨텐츠에 대하여 책갈피를 설정하여 이후에 해당 사용자가 다시 비데에 앉았을 경우, 직전까지 보았던 컨텐츠가 이어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어 신호(CON)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과도한 시간 동안 비데에 앉아있을 경우, 건강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알람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중량 감지 신호(WSENSE)가 활성화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도록 컨텐츠 제어 신호(CON)를 생성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도중에 컨텐츠부(300)가 알람을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신호(COUT)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은 3분, 5분, 또는 10분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책갈피는 중량 제거 신호(WSTOP)이 활성화된 시점에 재생되고 있던 컨텐츠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책갈피가 설정된 컨텐츠에 대하여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기초하여 동일한 사용자가 비데에 착석한 경우, 책갈피가 설정된 시점부터 컨텐츠가 다시 재생될 수 있다.
컨텐츠부(300)는 컨텐츠 제어 신호(CON)에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부(300)는 사용자 별로 상이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스 컨텐츠(Source contents)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업데이트(update)하거나, 컨텐츠부(300)의 외부에서 USB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USB 포트를 통하여 소스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부(3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어학 학습 컨텐츠, 방송 컨텐츠, 음악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부(300)는 버퍼와 같은 임시 저장용 장치를 포함하여 제어부(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바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여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출력 컨텐츠 신호(CNT)로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츠부(300)에서는 컨텐츠 제어 신호(CON)에 따라서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생성하여 입출력부(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입출력부(400)는 사용자별로 상이한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수신하여 비데에 앉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부(400)는 키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제어 입력 신호(CIN)를 생성하고,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수신하여 제어 출력 신호(COUT)를 생성하여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출력 신호(COUT)는 음성 출력 및 표시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 컨텐츠부(300) 및 입출력부(400)는 컨텐츠 재생 모듈에 구비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모듈은 비데와 근접한 벽면에 실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 입력 신호(CIN)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데 시스템(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재생 모듈은 비데 측면에 위치한 비데 조작용 제어기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에 있어서 중량 감지 신호와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정보와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포함된 중량 값이 매칭되어 있다. 해당 매칭은 제어부(200)에 포함된 사용자 인식부(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의하여 19kg의 중량 값을 가지는 사용자가 비데에 앉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다' 사용자에 상응하는 컨텐츠 제어 신호(CON)를 생성하여 컨텐츠부(300)에 제공하고, 컨텐츠부(300)는 '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 예를 들어 동요 또는 기초 영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입출력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부(300)는 '다'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정렬하고, 출력 컨텐츠 신호(CNT)로 제공하여 입출력부(400)를 통하여 '다' 사용자가 정렬된 컨텐츠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제어 입력 신호(CIN)로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입출력부(400)가 제어 출력 신호(COUT)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중량 값과 더불어 해당 사용자에게 상응하도록 설정된 컨텐츠 종류들과 컨텐츠들에 설정된 책갈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서 사용자 및 중량은 사용자 인식부(250)에 저장되고, 컨텐츠 종류 및 설정된 책갈피는 컨텐츠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부(300)에 저장된 컨텐츠 종류 및 책갈피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구분자를 부여받는 등으로 사용자에게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사용자가 비데에 앉는 경우, 중량 감지기(100)에 의하여 발생된 중량 감지 신호(WSENSE)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식부(250)는 해당 사용자가 '가' 사용자 임을 인식하고, 컨텐츠 제어 신호(CON)를 컨텐츠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부(300)는 컨텐츠 제어 신호(CON)에 기초하여 '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가 초급 일본어 또는 뉴스 임을 판단하고 이들 중 우선 순위가 부여된 하나의 컨텐츠 또는 직전까지 제공되고 있던 컨텐츠의 해당 책갈피 부분부터 출력되도록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생성하여 입출력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부(300)는 초급 일본어 및 뉴스 컨텐츠 중 어느 컨텐츠를 재생할 것인지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컨텐츠 신호(CNT)를 생성하여 입출력부(400)에 제공하고, 입출력부(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드라마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이를 컨텐츠 입력 신호(CIN)로 수신하여 제어부(200) 또는 컨텐츠부(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컨텐츠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부(300)는 송수신부(310) 및 컨텐츠 저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제어부(200) 및 입출력부(400)로부터 컨텐츠 제어 신호(CON) 및 제어 입력 신호(CIN)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소스 컨텐츠(SCNT)를 수신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10)은 컨텐츠부(300)의 송수신부(310)와 연결된 직렬 연결 버스(universal serial bus)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소스 컨텐츠(SCNT)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수신부(310)의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무선 연결된 서버로부터 소스 컨텐츠(SCNT)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부(320)는 수신된 소스 컨텐츠(SCNT)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별로 상이한 저장 공간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부(32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책갈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부(300)는 컨텐츠 저장부(320)에 컨텐츠를 저장하지 않고 소스 컨텐츠(SCNT)로 수신된 컨텐츠를 곧바로 출력 컨텐츠 신호(CNT)로 입출력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컨텐츠 저장부(320)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가 제공하는 버퍼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소스 컨텐츠(SCNT)를 전혀 저장하지 않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데이터베이스화 하지 않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구현된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컨텐츠 재생용 모듈(20) 내부에는 도 1의 제어부(200), 컨텐츠부(300) 및 입출력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은 하우징(21), 터치식 표시부(23), 스피커(25), 스피커 외부를 감싸는 스피커 덮개(27) 및 키패드(29)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컨텐츠 재생용 모듈(20) 내부의 회로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터치식 표시부(23)는 도 1의 입출력부(400)와 연결되어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을 받거나, 제어 출력 신호(COUT)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25)는 도 1의 입출력부(400)와 연결되어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이 화장실 내부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25)를 통하여 습기가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의 내부 회로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25)를 감싸는 스피커 덮개(27)를 포함하여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을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스피커 덮개(27)은 습기 제어용 방수포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29)는 터치식 표시부(23)와 유사하게 입출력부(400)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어하거나, 터치식 표시부(23)의 입력과 동일한 종류의 입력을 할 수도 있다.
USB 포트(22)는 USB 저장 장치로부터 소스 컨텐츠(SCNT)를 수신하여 컨텐츠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USB 저장 장치로부터 소스 컨텐츠(SCNT)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소스 컨텐츠(SCNT)는 USB 저장 장치가 삽입된 당시에 인식된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컨텐츠 저장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USB 저장 장치로부터 제공된 소스 컨텐츠(SCNT)는 스피커(25) 및 터치식 표시부(23)를 통하여 출력되고 USB 저장 장치가 제거된 경우에는 재생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1)은 좌변기 상에 장착된 비데(30) 및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4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40)는 비데(30)를 제공하는 회사 혹은 통신사의 컨텐츠 제공 사이트(예를 들어, 앱스토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을 통하여 컨텐츠 팜에 접속하여 소스 컨텐츠(SCNT)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데(30)는 중량 감지기(100)를 포함하여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 신호(WSENSE)를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에 제공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벽면에 실장된 컨텐츠 재생용 모듈(20)과는 별도로, 또는 단독으로 비데(30)에 장착된 비데 제어기(35)에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구현될 수도 있다.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비데 제어기(35) 내부에 구현되는 경우, 비데 제어기(35)는 비데(30)로부터 착탈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비데(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비데 제어기(35) 내부에는 상술한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의 구성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벽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중량 감지 신호(WSENSE)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에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은 중량 감지 신호(WSENSE)를 수신하여 현재 좌변기에 앉아있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컨텐츠 재생용 모듈(2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가 USB 포트와 같은 유선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공한 컨텐츠 또는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비데 제어기에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데 제어기(35)는 복수의 입력 키들(37a, 37b)과 표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비데 제어기(35)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적인 비데의 제어기와 외형은 유사할 수도 있으나, 표시부(39)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입력 키들(37a, 37b) 또는 표시부(39)가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데 제어기(35) 내부에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구현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및 스피커를 습기에서 보호하는 스피커 덮개가 포함될 수 있다.
비데 제어기(35) 내에 컨텐츠 재생용 모듈이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벽면을 응시하지 않고도 자유로운 시선에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1, 10)은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아도 감지된 중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착석한 사용자가 일어난 경우, 이를 인지하여 책갈피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10: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100: 중량 감지기
200: 제어부
300: 컨텐츠부
400: 입출력부

Claims (8)

  1. 비데 상부의 중량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중량 감지기;
    상기 중량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 감지 신호에 포함된 중량 값과 매칭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컨텐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감지 신호 및 상기 사용자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컨텐츠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고,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기는 상기 비데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상기 컨텐츠부 및 상기 입출력부는 컨텐츠 재생용 모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출력 컨텐츠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출력 신호 및 음성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스 컨텐츠(Source contents)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소스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기는,
    감지된 중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경우, 사용자가 비데에서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중량 제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제거 신호에 응답하여 재생중인 컨텐츠의 해당 시점에 대하여 책갈피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부는,
    상기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책갈피를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설정된 사용자와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KR1020110080272A 2011-08-11 2011-08-11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KR10130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72A KR101300146B1 (ko) 2011-08-11 2011-08-11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72A KR101300146B1 (ko) 2011-08-11 2011-08-11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93A KR20130017693A (ko) 2013-02-20
KR101300146B1 true KR101300146B1 (ko) 2013-08-26

Family

ID=4789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72A KR101300146B1 (ko) 2011-08-11 2011-08-11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78A (ko) 2014-07-07 2016-01-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건강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57B1 (ko) * 2014-10-27 2021-1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78Y1 (ko) * 2002-06-07 2002-10-04 채병태 음향/발향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20050052901A (ko) * 2003-12-01 2005-06-07 영지전자(주) 외부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비데기
KR100602709B1 (ko) 2004-04-26 2006-07-25 계림엔텍 주식회사 멀티미디어/자동물내림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80107564A (ko) * 2007-06-07 2008-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원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78Y1 (ko) * 2002-06-07 2002-10-04 채병태 음향/발향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20050052901A (ko) * 2003-12-01 2005-06-07 영지전자(주) 외부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비데기
KR100602709B1 (ko) 2004-04-26 2006-07-25 계림엔텍 주식회사 멀티미디어/자동물내림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80107564A (ko) * 2007-06-07 2008-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원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78A (ko) 2014-07-07 2016-01-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건강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93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63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452822A (zh) 声事件检测装置和操作其的方法
CN110278509A (zh) 一种无线耳机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CN106104528A (zh) 用于屏幕上项目选择和消歧的基于模型的方法
KR2013012506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3189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10097895B (zh) 一种纯音乐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2003353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larm mode and alarm method thereof
KR101883414B1 (ko) 안내 장치, 안내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저장 매체
CN108614851A (zh) 教学系统中的注释内容显示方法以及装置
CN103546763A (zh) 用于提供内容信息的方法和广播接收设备
KR101300146B1 (ko)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CN111491211A (zh) 视频处理方法、视频处理装置及电子设备
CN103152481B (zh) 移动终端语音报时系统及移动终端语音报时方法
CN106162446A (zh) 音频播放方法、装置及耳机
CN105185396B (zh) 一种播放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CN110930969A (zh) 背景音乐的确定方法及相关设备
JP2008123576A (ja) ポータブ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
CN101714355A (zh) 语音辨识功能启动系统及方法
CN202650293U (zh) 信息处理装置
CN105930522A (zh) 智能推荐音乐的方法、系统和装置
US20070221048A1 (en) Audio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comparing audio signals of different sources and method thereof
CN113033336A (zh) 家庭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909576A (zh) 歌曲推荐方法及装置
CN108681567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