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280B1 -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280B1
KR101299280B1 KR1020110098105A KR20110098105A KR101299280B1 KR 101299280 B1 KR101299280 B1 KR 101299280B1 KR 1020110098105 A KR1020110098105 A KR 1020110098105A KR 20110098105 A KR20110098105 A KR 20110098105A KR 101299280 B1 KR101299280 B1 KR 10129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ar
steel bar
pai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208A (ko
Inventor
홍석우
김상하
김학진
박유진
안형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2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는, 봉강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봉강의 양측 면을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봉강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그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그를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STEEL MATERIALS FIXED DEVICE}
본 발명은 봉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강의 양측 면을 파지하기 위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거리조절과, 봉강을 지지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변속기 및 샤시 등에 사용되는 봉강은 열간 단조가 완료된 후에, 드릴, 밀링 및 선삭 가공 등을 통해 완제품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봉강은, 고강도, 고경도인 경우, 실제 가공라인에서 공구마모 및 파손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봉강의 가공성을 예측하는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봉강의 가공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봉강을 파지 및 지지할 수 있는 지그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82063호(1998년11월25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고속 가공에서의 가공성 평가를 위한 공작기계용 절삭력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강의 양측 면을 파지하기 위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거리조절 가능함과 아울러, 봉강의 Z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봉강을 지지하는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지그를 적용함으로써, 봉강의 크기 및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봉강의 높이 변경을 위한 지그를 별도로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봉강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봉강의 양측 면을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봉강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그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그를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이 오목하게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수직의 절곡부를 기중으로 수평 방향으로 다단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에 홈 형태의 눈금 홈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 홈에는 상기 봉강의 Z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봉강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 핀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핀은 수평으로 넓은 판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로 구비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로드가 상기 본체를 통해 상기 지그의 일측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지그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위치 감지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위치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강의 크기 및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봉강의 높이변경을 위한 지그를 별도로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강봉의 형상에 따라 지지면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어,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게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를 보어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는 본체(100)와, 한 쌍의 지그(200)와, 구동부(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봉강(10)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지그(200)는, 공간부(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응되는 X축, Y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봉강(10)의 양측 면을 각각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그(200)는 봉강(10)과 접하는 일면이 오목하게 안착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210)은, 봉강(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강(10)이 원형인 경우 안착면(210)을 반원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그(200)는 봉강(1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수직의 절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지그(200)는 상기 절곡부(211)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다단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그(200)는 봉강(10)과 접하는 일면에 홈 형태의 눈금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눈금홈(220)에는, 봉강(10)의 Z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봉강(10)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핀(2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30)은, 수평으로 넓은 판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핀(2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핀(230)의 상단에 봉강(10)을 올려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그(200)는 봉강(10)과 접하는 일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미도시)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가 봉강(10)의 외주 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봉강(10)이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그(200)를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부(300)는, 본체(100)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일측으로 출몰하는 로드가 본체(100)를 통해 지그(200)의 일측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부(300)를 구동시켜 한 쌍의 지그(200)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본체(100)에는 지그(200)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위치 감지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위치센서(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센서(400)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재 봉강(10)을 파지하는 지그(200)들의 위치를 수치 또는 그래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봉강(10)의 크기 및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봉강(10)의 높이변경을 위한 지그(200)를 별도로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강봉의 형상에 따라 지지면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어,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봉강 100: 본체
110: 공간부 200: 지그
210: 안착면 211: 절곡부
220: 눈금홈 230: 고정핀
300: 구동부 400: 위치센서

Claims (8)

  1. 봉강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봉강의 양측 면을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봉강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그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그를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에 홈 형태의 눈금 홈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 홈에는 상기 봉강의 Z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봉강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 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이 오목하게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의 양측 면에 대응하도록 수직의 절곡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다단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수평으로 넓은 판재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그는,
    상기 봉강과 접하는 일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로 구비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로드가 상기 본체를 통해 상기 지그의 일측 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지그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위치 감지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위치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KR1020110098105A 2011-09-28 2011-09-28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KR10129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05A KR101299280B1 (ko) 2011-09-28 2011-09-28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05A KR101299280B1 (ko) 2011-09-28 2011-09-28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08A KR20130034208A (ko) 2013-04-05
KR101299280B1 true KR101299280B1 (ko) 2013-08-23

Family

ID=4843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05A KR101299280B1 (ko) 2011-09-28 2011-09-28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7762B (zh) * 2020-08-17 2022-06-21 德清县伟盛铸造有限公司 一种异型角件定位夹紧装置
CN113070706A (zh) * 2021-05-14 2021-07-06 中航动力株洲航空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零部件加工用插工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538U (ja) * 1991-12-16 1993-07-09 有限会社東阪精工 自動締付式のバイス装置
JPH1110470A (ja) * 1997-06-20 1999-01-19 Daido Kikai Seisakusho:Kk クランプ装置
KR20090012265U (ko) * 2008-05-28 2009-12-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압실린더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538U (ja) * 1991-12-16 1993-07-09 有限会社東阪精工 自動締付式のバイス装置
JPH1110470A (ja) * 1997-06-20 1999-01-19 Daido Kikai Seisakusho:Kk クランプ装置
KR20090012265U (ko) * 2008-05-28 2009-12-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압실린더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08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282B2 (en) Method for moving a tool of a CNC machine over a surface
US9545654B2 (en) Press brake and bending method using press brake
CN101571443B (zh) 用于平衡车辆车轮的机器
CN203299062U (zh) 全尺寸金属复合管四点弯曲试验装置
KR101724424B1 (ko) 선박의 곡블록 내부재 용접 자동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299280B1 (ko) 가공성 평가용 봉강 고정장치
DE502005003499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rkteils durch biegeumformung
CA2712191A1 (en) Method of measuring a length of sections of extrados or intrados curves of an elongated workpiece, and relevant length measuring instrument
CN103776408A (zh) 产品厚度自动快速定位检测治具
JP4761886B2 (ja) ロボットによる曲げ加工システム及び曲げ加工方法
CN202661035U (zh) 阀体直径测量装置
JP2013180339A (ja) プレスブレーキおよびワークの曲げ加工方法
CN102706300B (zh) 高度检测装置
TW201325808A (zh) 平衡裝置及其平衡方法
EP2508297A1 (en) Machine tool balancer and balance control method
CN103157940A (zh) 防止汽车仪表盘支架焊接变形的定位工装
CN205537563U (zh) 塑料叶片安装到位用检测机构
CN205735021U (zh) 一种机械手工作平台
RU1408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иловых деформаций изгиба и кручения станин координатно-расточных станков
CN104526094B (zh) 具有高精度高负载的工作台的线切割机
CN203621360U (zh) 自由锻造水压机锻造尺寸控制系统
CN108907251A (zh) 用于自动加工系统的测头
JP6085432B2 (ja) 管端部の形状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形状測定方法
RU1428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иловых деформаций станин координатно-расточных станков
CN203672253U (zh) 用于空调压缩机汽缸侧面各孔位置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