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154B1 -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154B1
KR101299154B1 KR1020060116584A KR20060116584A KR101299154B1 KR 101299154 B1 KR101299154 B1 KR 101299154B1 KR 1020060116584 A KR1020060116584 A KR 1020060116584A KR 20060116584 A KR20060116584 A KR 20060116584A KR 101299154 B1 KR101299154 B1 KR 10129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key
dire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6916A (en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154B1/en
Publication of KR2008004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키로 암호를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최초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암호를 설정 및 저장하고, 보안 기능이 설정된 장치의 암호 입력 요청에 의해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동일한 경우 장치를 정상 동작시키고, 비교 결과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치를 비 정상 상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ts a password with a direction key. The securit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an operation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receives a direction key input signal by a first user, sets and stores a password, and a password inputted by a direction key by a password input request of a device for which a security function is set. Compare the password with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operate the device normally if the password entered with the direction key and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are the same. It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in a state.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ecurit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3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external appear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 중 최초 사용자에 의한 보안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curity function setting method by a first user of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 및 도 6을 설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시되는 방향키에 의해 입력되는 암호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ssword input by a direction key shown on a display panel for explaining FIGS. 5 and 6.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키로 암호를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ts a password with a direction key.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원하는 영상을 확인하고 셔터를 누름으로써 그 영상을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셔터를 누름으로써 저장되는 파일의 영상과 매수를 설정하는 모드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셔터를 누른 시점의 영상, 셔터를 누른 후,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의 여러 장의 영상,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일정 간격의 여러 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등이 제공되고 있다.A method of capturing a desired image 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to identify a desired image and to store the image in a file form by pressing a shutter. There are several modes for setting the number of images and the number of files to be saved by pressing the shutter.The images at the time the shutter is pressed, the multiple imag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fter the shutter is pressed, and the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the shutter is pressed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images is provided.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용도가 촬영된 사진을 여러 사람이 함께 보는 것이 통상적인 개념이지만, 사회의 개인주의가 팽배한 지금은 본인이 촬영한 영상을 본인만이 본다거나, 아니면 특정한 사람만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While the concept of 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a common concept, it is a common concept, but nowadays, when the individualism of society prevails, only the person who can see the picture taken or only a specific person can see i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ecurit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키 해제 상태 신호가 입력되면(101단계),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인가 상태를 판단한다(102단계). 상기 판단 결과, 휴대용 단말기가 꺼져 있는 상태일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구동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한다(103단계).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가 켜져 있을 경우, 키 잠금 보안 사용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4단계). 키 잠금 보안 사용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숫자 키를 이용한 비밀 번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105단계).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비밀 번호가 올바른 비밀 번호인지를 판단한다(106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인증 작업이 올바르면, 키와 화면 잠금을 해제한다(107단계).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 인증 작업이 올바르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 작업을 재 수행한다.When the key release state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step 101),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step 10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ff, the portable terminal is powered on to switch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wake-up state (step 103). However, if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key lock security usage is set (step 104). If key lock security is set to be used,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a password using a numeric key from the user (step 105).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is the correct password (step 106).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correct, the key and the screen lock are released (step 107). However, if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not correc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gai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방법은 대부분 숫자 키를 이용한 입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숫자 키가 없고 방향 키만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숫자 키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방향 키만 존재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shown in FIG. 1, the security method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dopts an input method using a numeric key. However, in the cas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re is no number key and only a direction key, a security method using the number key cannot be appli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measures for security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only a direction key exis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방향키로 암호를 설정하여 보안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숫자 키 없이도 보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maintain a security function without a numeric key by setting a security function by setting a password with a direction ke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a) 최초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암호를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 (b) 보안 기능이 설정된 상기 장치의 암호 입력 요청에 의해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장치를 정상 동작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비교 결과,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를 비 정상 상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direction key input signal from an initial user and setting and storing a password; (b) comparing a password input by a direction key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by a password input request of the device on which a security function is set; (c) operating the device when the password inputted with the direction key and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are the sa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d) operating the device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input password and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do not ma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비 정상 상태는 상기 장치로부터 부팅 프로그램이 정지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로부터 키 입력 프로그램이 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of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ting program is stopped from the device or the key input program is stopped from the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생성되는 방향키는 시각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key generated at the time of password setting and password inp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isualiz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기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direction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during the password setting and the password in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상기 방향키들 간의 또는 상기 방향키와 임의의 키 간의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방향키를 생성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new direction key is generated and a signal is received by combining input signals between the direction keys or between the direction keys and an arbitrary key at the time of the encryption setting and the password in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상기 방향키 입력 시간에 따라 새로운 방향키 생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new direction key gen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input time at the time of password setting and password inp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플래시(13), 뷰 파인더의 대물렌즈(15a), 전원 스위치(17), 렌즈 부(19)가 있다.2, in fro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 the flash 13, the objective lens 15a of the viewfinder, the power switch 17, the lens unit 19 There is.

셔터 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 opens and closes to expose the CCD or film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s the image on the CCD by properly exposing the subject in conjunction with an aperture (not shown).

플래시(13)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The flash 13 brightens the bright light instantly when shooting in a dark place. Flash modes include auto flash, forced flash, flash off, red-eye reduction, and slow synchro.

뷰 파인더의 대물렌즈부(15a)는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카메라의 작은 창이다. The objective lens unit 15a of the view finder is a small window of the camera for setting a composition by looking at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3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external appear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에는 뷰파인더의 접안렌즈부(15b), 방향 버튼(21),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23w), 망원(Telephoto)-줌 버튼(23t), 디스플레이 패널(25), 스피커(SP)가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rea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an eyepiece unit 15b of the viewfinder, a direction button 21, a wide angle-zoom button 23w, and a telephoto-zoom. There is a button 23t, a display panel 25, and a speaker SP.

방향 버튼(21)은 상향 버튼(↑)(21-1), 하향 버튼(↓)(21-2), 좌향 버튼(←)(21-3), 우향 버튼(→)(21-4) 및 OK버튼(21-5)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 방향 버튼(21)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로 특히, 노출을 제어할 수 있는 노출영역을 활성화 또는 선택하거나 노출영역을 이동시킬 때 입력하는 키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방향 버튼(21)은 상향 버튼(↑)(21-1), 하향 버튼(↓)(21-2), 좌향 버튼(←)(21-3), 우향 버튼 (→)(21-4) 및 OK버튼(21-5)의 입력에 의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기능을 위한 암호를 설정 및 확인하는데 이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설명하도록 한다.The direction button 21 is an up button ↑ 21-1, a down button ↓ 21-2, a left button ← 21-3, a right button 21-4, and Including the OK button 21-5, a total of five buttons are included. The direction button 21 is a key input for executing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In particular, the direction button 21 is a key for activating or selecting an exposure area for controlling exposure or moving the exposure area.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button 21 is an up button (↑) 21-1, a down button (↓) 21-2, a left button (←) 21-3, a right button (→) ( 21-4) and the OK button 21-5 are used to set and confirm a password for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광각-줌 버튼(23w) 또는 망원-줌 버튼(23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3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3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The wide-angle zoom button 23w or the tele-zoom button 23t increases the angle of view or narrows the angle of view depending on the input. In particular, it is input when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to be changed. When the wide-zoom button 23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zoom button 23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increased.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23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23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25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25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 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angle zoom button 23w or the telephoto-zoom button 23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512. Accordingly, as the micro controller 512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5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That is,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25w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is shortened to widen the angle of view,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25t is pressed, the focus of the zoom lens is pressed. The longer the length, the narrower the angle of view. Here, since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s adjusted while the position of the zoom lens is set, the angle of view is hardly influenced by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510 through the micro controller 512 to drive the focus motor M F. As a result, the focus lens is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wher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the image signal is the largest, for example, the number of driving steps of the focus motor M F is set.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symbo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Infra-red cut filter blocks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sion unit 501.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element 501 as an analog-to-digital conversion section processes an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section OEC to remove high frequency noise,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time clock 5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cesses digital signals from the CDS-ADC device 501 to generate digital image signals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23w) 및 망원-줌 버튼(23t) 등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the light-emitting portion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cludes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nd a flash. A standby lamp is included. 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es a shutter release button 11, a direction button 21, a wide-angle zoom button 23w, a telephoto- zoom button 23t, and the like.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a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such as a boot program and a key input progra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a user's memory card is detached.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er 514, which causes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portion 31a or an RS232C interface 508 and the connection portion 31b, and a video filter ( 509 and the video output unit 31c may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corporates a microcontroller therein.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제어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제어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제어기(512)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side the control apparatus for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shown in Figure 4,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the main algorithm of the control method is to help the peripheral The received signal may be perform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ecurit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 중 최초 사용자에 의한 보안 기능 설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구입한 최초 사용자는 보안 기능 설정을 위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동작시킨다(501단계). 최초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원 동작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동작시킨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curity function setting method by a first user of the securit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s operated (step 501).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ceiving the power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first user operates the powe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동작되면, 최초 사용자는 보안 기능 설정 메뉴를 호출하고, 사용자의 호출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보안 기능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한다(502단계).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operated, the first user calls the security function setting menu, and according to the user's cal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displays the security function setting menu on the display panel ( Step 502).

보안 기능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면, 최초 사용자는 방향 버튼(21)(이 하, 버튼을 키로 표기함)을 이용하여, 암호를 설정한다(503단계). 입력된 방향키에 의한 암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이를 암호로 설정한다.When the security function setting menu is displayed, the first user sets a password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 21 (hereinafter, the button is indicated by a key) (step 503).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that receives the encryption by the input direction key sets it as the encryption.

방향키(21)에 의한 암호 설정을 다음에 설명한다. 방향키(21)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향키(↑)(21-1), 하향키(↓)(21-2), 좌향키(←)(21-3), 우향키(→)(21-4) 및 OK키(21-5)를 포함하는 총 5개의 키로 구성된다. The encryption setting by the direction key 21 will be described next. As mentioned above, the arrow keys 21 are the up key (↑) 21-1, the down key (↓) 21-2, the left key (←) (21-3), and the right key (→). It consists of a total of five keys including (21-4) and OK key 21-5.

암호 설정 시에 최초 사용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향키(21)를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향키(↑)(21-1)만을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 있고, 또는 하향키(↓)(21-2) 및 좌향키(←)(21-3)를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 있고, 또는 하향키(↓)(21-2), 상향키(↑)(21-1), 좌향키(←)(21-3) 순으로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7c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방향키(21)(상향키(↑)(21-1), 하향키(↓)(21-2), 좌향키(←)(21-3), 우향키(→)(21-4))를 조합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키(21)는 디스플레이 패널(25)에 시각화 되고, 방향키(21) 조합에 따라 다양한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최초 사용자로부터 이들을 수신하여 암호로 설정한다.In setting the password, the first user may set the password by inputting at least one or more direction keys 21. For example, a user may set a password by entering only the up key ↑ 21-1, or enter a down key 21-2 and the left key ← 21-3. A password may be set, or a password may be set by inputting a down key (↓) 21-2, an up key (↑) 21-1, and a left key (←) 21-3.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S. 7C and 7C, four direction keys 21 (up key ↑ 21-1, down key ↓ 21-2 and left key ← 21-3) are shown. And a right key (→) 21-4) may also be set.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key 21 of the user is visualized on the display panel 25 and various password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direction keys 21.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ceives them from the first user and sets them as ciphers.

암호 설정 시에 최초 사용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방향키(21)를 동시에 조합하여 새로운 방향키를 생성하여 이를 암호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향키(↑)(21-1) 및 우향키(→)(21-4)를 함께 입력하면, ①과 같은 새로운 방향의 방향키가 형성되고, 좌향키(←)(21-3) 및 하향키(↓)(21-2)를 함께 입력하면, ②와 같은 새로운 방향의 방향키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롭게 생성된 방향키(①, ②)를 포함한 암호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키(21)는 디스플레이 패널(25)에 시각화 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최초 사용자로부터 이들을 수신하여 암호로 설정한다.In setting the password, the first user may combine the at least two direction keys 21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 new direction key and set it as a password. Referring to FIG. 7D, when the up key (↑) 21-1 and the right key (→) 21-4 are input together, a direction key in a new direction as in ① is formed, and the left key ← (21) is input. If -3) and the down key (↓) 21-2 are input together, a direction key of a new direction such as ②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7D, a password including newly generated direction keys ① and ② may be formed. In this way, the user's direction key 21 is visualized on the display panel 25,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ceives them from the first user and sets them as ciphers.

암호 설정 시에 최초 사용자는 방향키(21) 입력 시간에 따라 다른 크기의 방향키(21)를 생성하여 이를 암호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향키(↑)(21-1) 입력 시간에 따라 다른 크기의 상향키(↑)(③, ④)가 생성될 수 있다. 최초 사용자가 상향키(↑)(21-1) 입력 시간을 길게, 예를 들어 1초 동안 입력하면 그 모양이 긴 상향키(↑)(③)가 생성되고, 최초 사용자가 상향키(↑)(21-1) 입력 시간을 짧게, 예를 들어 0.1초 동안 입력하면 그 모양이 짧은 상향키(↑)(④)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향키(→)(⑤)는 우향키(→)(21-4) 입력 시간을 길게 하여 생성할 수 있고, 좌향키(←)(⑥)는 좌향키(←)(21-3) 입력 시간을 짧게 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롭게 생성된 방향키(③, ⑤)를 포함한 암호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키(21)는 디스플레이 패널(25)에 시각화 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최초 사용자로부터 이들을 수신하여 암호로 설정한다.When the password is set, the first user may generate a direction key 21 having a different size according to the input time of the direction key 21 and set it as a password. Referring to FIG. 7E, for example, different sizes of up keys ↑ (③, ④)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input time of the up keys ↑ 21-1. When the first user inputs the up key (↑) 21-1 for a long time, for example, for 1 second, a long up key (↑) (③) is generated and the first user enters the up key (↑). (21-1) If the input time is input for a short time, for example, 0.1 second, an up key ↑ (④) having a short shape can be generated. Similarly, the right key (→) (⑤) can be generated by lengthening the right key (→) (21-4) input time, and the left key (←) (⑥) is input the left key (←) (21-3). It can be produced by shortening the time. As shown in FIG. 7E, a password including newly generated direction keys ③ and ⑤ may be formed. In this way, the user's direction key 21 is visualized on the display panel 25,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ceives them from the first user and sets them as ciphers.

이와 같은 방향키(21)의 조합으로 생성된 암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생성된 암호를 EEPROM(505)에 저장한다(504단계). 이와 같은 동작으로, 최초 사용자의 암호 설정에 따른 보안 기능 설정이 완료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which has received the password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irection keys 21, stores the generated password in the EEPROM 505 (step 504). In this operation, the security func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password setting of the first user is comple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보안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써,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동작시킨다(601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원 동작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동작시킨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curit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ser for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a powe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ep 601).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ceiving the power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operates the powe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동작 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602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보안 기능 설정여부 판단은 EEPROM(505)에 암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opera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determines whether a security function is set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ep 602).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set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password is stored in the EEPROM 505.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전원 동작과 동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정상 동작시킨다(603단계).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not set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operate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rmally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supply operation (step 603).

그러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방향키를 이용한 암호 입력을 요청한다(604단계). 도 7a에는 암호 입력 요청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디스플레이 패널(25)에 "시스템 통작을 위해 암호를 입력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However,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set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requests a password input using a direction key (step 604). 7A shows an example of a password input request. As shown in FIG. 7A,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displays a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5 such as "Enter a password for system operation".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암호 입력 요청에 의 해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한 암호를 입력한다(605단계). 방향키를 이용한 암호 입력은 도 7b 내지 도 7e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개시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response to a password input reques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the user inputs a password using a direction key (step 605). The password input using the arrow keys is shown in FIGS. 7B to 7E, which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고(606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607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정상 동작시킨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compares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user with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step 606), and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are store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step 607). When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match,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normally.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5회)만큼 암호 입력을 재 요청하여, 비교 동작을 수행한다(608단계).However, if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do not matc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may enter the password input a 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5 times). The request is made again, and a comparison operation is performed (step 608).

설정된 횟수 이내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역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정상 동작시키나, 설정된 횟수 이후에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EEPROM(505)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비정상 동작시킨다(609단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된다는 의미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가 EEPROM(505)에 저장된 부팅 프로그램 또는 키 입력 프로그램의 실행이 정지한다는 의미로써, 부팅 프로그램 또는 키 입력 프로그램의 실행이 정지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부팅되지 않거나, 또는 부팅 되더라도 키 입력 이 되지 않게 되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동작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A/S 센터를 방문하여 부팅 프로그램 또는 키 입력 프로그램을 다시 입력 받아야만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If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coincide with each other within the set number of time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normally operated.However, even after the set number of times,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EEPROM 505 are stored. If it does not match,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abnormally operated (step 609).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ans that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microcontroller 512 stops executing a boot program or a key input program stored in the EEPROM 505. When the execution of the is stoppe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oes not boot, or even when booted, the key input is not performe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not operated. In this case, the user must visit the A / S center and receive a boot program or key input program again to operat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rmal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5개의 방향키의 조합으로 암호를 설정하여 보안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숫자 키 없이도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5개의 방향키 조합은 숫자 키의 조합에 비해 단순하므로,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시스템의 부팅 블록 또는 키 입력 블록을 삭제하여 A/S를 유도함으로써 실제 등록된 소유자 임을 판단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be recognized without a numeric key by setting a security function by setting a password using a combination of five direction keys. In addition, since the combination of the five direction keys is simpler than the combination of the numeric keys, if a certain number of times is exceed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owner is actually registered by inducing A / S by deleting the boot block or key input block of the system.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일 뿐만 아니라 분실에 따른 정신적, 재산상의 손해를 줄이며, A/S 센터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를 판단하여 분실된 기기를 돌려줄 경우 고객에 대한 제품 및 회사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refore, it not only raises the awareness of the safety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but also reduces the mental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loss, and determines the registered user through the A / S center to return the lost device to the product and the customer.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your company's imag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A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최초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암호를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a) receiving a direction key input signal by the first user and setting and storing a password; (b) 보안 기능이 설정된 상기 장치의 암호 입력 요청에 의해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는 단계;(b) comparing a password input by a direction key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by a password input request of the device on which a security function is set;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방향키로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장치를 정상 동작시키는 단계; 및(c) operating the device when the password inputted with the direction key and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are the sa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d) 상기 비교 결과,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를 비 정상 상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비 정상 상태는(d) operating the device in a non-normal state when a password inpu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do not ma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rein the non-normal state of the device is 상기 장치로부터 부팅 프로그램이 정지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로부터 키 입력 프로그램이 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And a booting program is stopped from the device or a key input program is stopped from the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생성되는 방향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key generated at the time of setting the password and inputting the password is visualized on a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ssword is set and the password is entered.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기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And receiving at least one direction key input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ssword is set and the password is entered.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방향키를 동시에 입력하는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방향키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And combining a signal for simultaneously inputting at least two direction keys to generate a new direction key, and receiving the new direction key input sig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설정 및 암호 입력 시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ssword is set and the password is input. 상기 방향키 입력 시간에 따라 새로운 방향키 생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방법.And receiving a new direction key gen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input time.
KR1020060116584A 2006-11-23 2006-11-23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299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84A KR101299154B1 (en) 2006-11-23 2006-11-23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84A KR101299154B1 (en) 2006-11-23 2006-11-23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16A KR20080046916A (en) 2008-05-28
KR101299154B1 true KR101299154B1 (en) 2013-08-22

Family

ID=3966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584A KR101299154B1 (en) 2006-11-23 2006-11-23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1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65B1 (en) * 2009-12-29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and method for setting lock function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526A (en)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Digital still camera with security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20000019490A (en) * 1998-09-11 2000-04-15 구자홍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e of lcd monitor
KR20030076866A (en) * 2002-03-23 2003-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lamp power of projector against the robb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526A (en)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Digital still camera with security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20000019490A (en) * 1998-09-11 2000-04-15 구자홍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e of lcd monitor
KR20030076866A (en) * 2002-03-23 2003-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lamp power of projector against the robb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16A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04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200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n screen display when shutter is pressed half state in digital camera
KR1011293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gae in digital camera
US20100123801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299154B1 (en) Securit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929390B1 (en) Adaptive menu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device therefor
KR100651811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leting images by the p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56441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987771B1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6559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060064227A (en) Digital camera for storing authentication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KR2010007771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700214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0604311B1 (en) Managament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KR100781159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user defined script and apparatus thereof
KR10128891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0873042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0600344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carmera according to recognizing voice
KR101387406B1 (en) Apparatus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KR100651812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shortcut key sett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143683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35803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ccording to area setting up
KR101385959B1 (en)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determined direction when power is ON or OFF,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5610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5659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