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333B1 -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 Google Patents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333B1
KR101297333B1 KR1020110042069A KR20110042069A KR101297333B1 KR 101297333 B1 KR101297333 B1 KR 101297333B1 KR 1020110042069 A KR1020110042069 A KR 1020110042069A KR 20110042069 A KR20110042069 A KR 20110042069A KR 101297333 B1 KR101297333 B1 KR 10129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m forming
water film
forming fil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272A (ko
Inventor
윤병용
Original Assignee
윤병용
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용, 기성환 filed Critical 윤병용
Priority to KR102011004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3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vibrat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가 송풍력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통로에 가로놓이도록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기 위하여 다공 구조를 가지는 수막형성필터와, 수막형성필터에 물을 공급하여 수막형성필터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물공급부와, 수막형성필터를 진동시키기 위한 필터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환경오염 물질 등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VIBRATIONAL LIQUID LAYER FORMING FILTER}
본 발명은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환경오염 물질 등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 등은 냉난방 효율의 증대 및 소음 유입의 차단 등으로 인해 환기에 소홀하거나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염된 상태로 장시간 존재하게 됨으로써 실외보다 실내의 공기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 패턴을 감안할 때, 이러한 실내 오염은 실내 거주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실내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이나 악취 제거를 위하여 공기 정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의 인식이 확대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의 보급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공기 정화 장치는 집진 방식에 따라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구분되는데, 전기식은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음이온화 영역에서 공기중 부유물을 대전시켜 집진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며, 기계식은 필터에 의해 먼지, 악취, 세균 등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정화 장치 중에서 기계식의 경우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클리닝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관리가 부족한 경우 공기 정화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정화 장치는 필터에 대한 관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먼지 등의 부착이나 흡착 등에 의하여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부우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환경오염 물질 등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송풍력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통로에 가로놓이도록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기 위하여 다공 구조를 가지는 수막형성필터;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수막형성필터를 진동시키기 위한 필터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분사하도록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상단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저면에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물수집부; 및 상기 물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로 회수하도록 설치되는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진동부는,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일단이 고정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진동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수막형성필터를 관통한 일단에 너트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진동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수막형성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전면에 하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되는 제 1 경로조절부재; 및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후면에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되는 제 2 경로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조절부재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 구조를 가지되, 상기 수막형성필터보다 낮은 공기 통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에 의하면,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환경오염 물질 등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100)는 공기통로(10)에 가로놓이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필터(110)와, 수막형성필터(1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20)와, 수막형성필터(110)에 진동을 가하는 필터진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통로(10)는 정화를 위한 공기가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덕트 또는 파이프라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막형성필터(110)는 공기통로(10)에 가로놓이도록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기 위하여 다공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수막형성필터(110)는 통과하는 공기가 후술하게 될 물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어 표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과 접촉 내지 충돌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도록 한다.
수막형성필터(110)는 일례로 합성수지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기공이 다수로 형성되는 구조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와이어와 같은 조직이 다수로 엉킴으로써 다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수막형성필터(110)는 후술하게 될 필터진동부(130)에 의한 진동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공급부(120)는 수막형성필터(110)에 물을 공급하여 수막형성필터(110)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물공급부(12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121)와, 물탱크(121)로부터 공급라인(1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막형성필터(110)에 분사하도록 수막형성필터(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23)과, 공급라인(122) 상에 설치되어 분사노즐(123)로 물을 공급하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프(124)와, 수막형성필터(110)의 저면에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물수집부(125)와, 물수집부(125)로부터 수집되는 물을 물탱크(121)로 회수하도록 설치되는 회수라인(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23)은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공이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단일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진동부(130)는 일례로 수막형성필터(110)에 일단이 고정되는 로드(131)와, 로드(131)를 통해 수막형성필터(110)에 진동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드(131)는 수나사부를 형성한 일단이 수막형성필터(110)를 관통하여 다수의 너트(131a)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수막형성필터(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터(132)는 예를 들면,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이거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 부재 등을 포함하는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진동부(130)는 로드(131)가 관통하여 고정됨과 아울러, 바이브레이터(132)와 수막형성필터(110) 사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33)은 진동하는 로드(131)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로드(131)의 진동력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물이 바이브레이터(132)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바이브레이터(132)는 하우징(134) 내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하우징(134)은 로드(131)가 통과하도록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개구에 판스프링(133)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바이브레이터(132)의 기밀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형성필터(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제 1 및 제 2 경로조절부재(141,142)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경로조절부재(141)는 수막형성필터(110)의 전면에 하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될 수 있고, 제 2 경로조절부재(142)는 수막형성필터(110)의 후면에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경로조절부재(141,142)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 구조를 가지되, 수막형성필터(110)보다 낮은 공기 통과율을 가지는 재질 또는 구조를 가지며, 예컨대, 통기성을 가진 직물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서 섬세한 통기홀이나 통기로를 가질 수도 있다.
수막형성필터(11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 1 및 제 2 경로조절부재(141,142)를 통해서 통과하되, 대부분의 공기가 제 1 및 제 2 경로조절부재(141,142)를 피해서 수막형성필터(11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수막형성필터(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통과 경로를 증대시켜서 물과의 접촉 기회 및 필터링 시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공기에 대한 필터링 효과가 뛰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송풍팬의 구동력에 의해 공기통로(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수막형성필터(110)를 통과함으로써 물공급부(120)에 의해 수막형성필터(110)의 표면을 흐르는 물에 충돌하고, 이로 인해 공기로부터 분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도록 하여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필터진동부(130)의 바이브레이터(132)의 동작에 의해 로드(131)를 통해 수막형성필터(110)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수막형성필터(110)의 수막이 공기의 저항을 덜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기가 수막형성필터(110)를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고, 공기와 물의 충돌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수막형성필터(110)에 포집된 분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주도록 하여 수막형성필터(110)가 막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막형성필터(110)에 대한 클리닝 주기를 대폭 증대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공기통로 110 : 수막형성필터
120 : 물공급부 121 : 물탱크
122 : 공급라인 123 : 분사노즐
124 : 펌프 125 : 물수집부
126 : 회수라인 130 : 필터진동부
131 : 로드 131a : 너트
132 : 바이브레이터 133 : 판스프링
134 : 하우징 141 : 제 1 경로조절부재
142 : 제 2 경로조절부재

Claims (6)

  1. 공기가 송풍력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통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하여 다공 구조를 가지는 수막형성필터와,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표면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수막형성필터를 진동시키기 위한 필터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에 있어서;
    상기한 수막형성필터는 상기 공기통로에서 수평상으로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수막이 형성되며;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수막형성필터보다 낮은 공기 통과율을 가지는 제 1 경로조절부재와 제 2 경로조절부재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경로조절부재는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전면에 하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되며, 상기 제 2 경로조절부재는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후면에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진동부는, 상기 수막형성필터를 관통한 일단에 너트가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 로드 및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진동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수막형성필터 사이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채워지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막형성필터에 분사하도록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상단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수막형성필터의 저면에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물수집부; 및
    상기 물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로 회수하도록 설치되는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42069A 2011-05-03 2011-05-03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KR10129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69A KR101297333B1 (ko) 2011-05-03 2011-05-03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69A KR101297333B1 (ko) 2011-05-03 2011-05-03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72A KR20120124272A (ko) 2012-11-13
KR101297333B1 true KR101297333B1 (ko) 2013-08-14

Family

ID=4750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069A KR101297333B1 (ko) 2011-05-03 2011-05-03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11B1 (ko) * 2015-12-09 2019-03-26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0517A (ja) * 1995-06-30 1997-03-18 Nico Tec:Kk 高温焼却灰の集塵処理装置
KR0138238Y1 (ko) * 1996-02-07 1999-04-15 원영식 배출가스정화장치의 초음파 분산트레이
US6391099B1 (en) * 1999-03-29 2002-05-21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Scrubbing dust collector and exhaust gas treatment installation
KR20060108350A (ko) * 2005-04-14 2006-10-17 노광철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0517A (ja) * 1995-06-30 1997-03-18 Nico Tec:Kk 高温焼却灰の集塵処理装置
KR0138238Y1 (ko) * 1996-02-07 1999-04-15 원영식 배출가스정화장치의 초음파 분산트레이
US6391099B1 (en) * 1999-03-29 2002-05-21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Scrubbing dust collector and exhaust gas treatment installation
KR20060108350A (ko) * 2005-04-14 2006-10-17 노광철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72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130B2 (ja) 空気濾過および空気浄化装置
KR101191593B1 (ko) 집진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KR100601029B1 (ko) 자체 세척기능을 가진 건습식 복합 공기청정기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1288217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2142012B1 (ko)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여과 시스템
KR20180083234A (ko) 원통형의 바가 구비된 워터필터 와 이를 적용한 공기청정기 및 굴뚝분진저감장치
KR20140046151A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KR10102851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2116381B1 (ko) 다중이용시설용 습식공기정화장치
US6544320B2 (en) Air-cleaning apparatus
KR101297333B1 (ko) 진동식 수막 형성 필터
CN208185014U (zh) 一种新型排气扇
JP2011206665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KR101139366B1 (ko) 공기조화기용 습식 여과형 필터장치
KR20190050248A (ko) 프레쉬 에어 펌프
CN101571305A (zh) 低阻力空气除尘净化设备
CN212431108U (zh) 水洗空气净化装置和空调
JP2019058256A (ja) 空気清浄機
JP3790852B2 (ja) 空気洗浄装置
KR200388724Y1 (ko) 공기정화기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