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013B1 -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013B1
KR101297013B1 KR1020060116426A KR20060116426A KR101297013B1 KR 101297013 B1 KR101297013 B1 KR 101297013B1 KR 1020060116426 A KR1020060116426 A KR 1020060116426A KR 20060116426 A KR20060116426 A KR 20060116426A KR 101297013 B1 KR101297013 B1 KR 10129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emi
sliding
automat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6859A (en
Inventor
서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013B1/en
Publication of KR2008004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는 본체와,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더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장치로 구성된 슬라이딩 유형 휴대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제1곡면을 구비한 고정 부재; 상기 제1곡면과 대면하게 장착되어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제2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곡면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1,2곡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소정 거리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닫히려는 힘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열리려는 힘을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부로 구성된다.

Figure 112006086101501-pat00001

슬라이딩, 휴대 단말기, 슬라이딩 장치, 탄성체, 반 자동.

Disclosed is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disclosed is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 slider, and a sliding device for semi-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r in the main body. ; A sliding member mounted to face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having a second curved surface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facing state, the sliding member being curved in th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mi-automatic drive unit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to provide a force to close the slid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o provide a force to open the slid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t is composed.

Figure 112006086101501-pat00001

Sliding, mobile terminal, sliding device, elastomer, semi-automatic.

Description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curve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가 채용된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가 채용된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state of the slider of the curve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들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에 반 자동 구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mi-automatic drive unit is mounted on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FIG. 5;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ellular phone, a PC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 held phone (HHP),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employed in a curve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It is about.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의 일례로, 음성 통화, 메시지 전송, 파일 전송, 영상 통화, 카메라 기능 등이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전화번호 관리, 게인 스케줄 관리 등의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기로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the user can carry and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counterpart. Examples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 voice call, message transfer, file transfer, video call, camera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will perform the role of a personal assistant, such as telephone number management, gain schedule management.

또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서비스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 예를 들어 게임이나 오락 등을 포함하는 엔터테이먼트 콘텐츠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미래에는 휴대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 게임, 인터넷,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화 추세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 grip,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entertainment contents including multimedia directions for pursuing more various service functions, for example, games or entertainment.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importance. In the futur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xpected to change into a multifunctional complex trend that includes not only simple voice calls but also video calls, games, the Internet, cameras, and the like.

보편화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본체와 슬라이더가 대면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 쪽에 다수의 키들이 배치되고, 슬라이더 쪽에 표시부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univers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in body and a slider are faced to each other by a sliding device, a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on the main body, and a display is arranged on the slider.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한국 특허번호 '제2002-71911호'에 상세히 개시되었다.Th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No. 2002-7191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본체에서 슬라이더가 선형으로 이동하고, 본체 상면과 슬라이더 저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선형으로 이동하여 개 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고, 이는 상대방과 통화 시에 불편하다. 즉, 사용자의 귀와 입이 스피커와 마이크 장치에 근접하게 하는 동작이 불편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er moves linearly i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upper surface and the slider lower surface are formed in a plane to move linearly, thus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which is inconvenient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at i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user's ear and mouth close to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device is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형 슬라이딩 이동으로 스피커 및 마이크 장치에 귀와 입이 근접하게 되어서 통화가 편리한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ear and mouth are close to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device due to the curved sliding mov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림화에 유리한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for slimm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체가 2중 구조로 이루어져서 개폐 동작이 편리한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an elastic body has a double structure and is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 디자인이 보다 자유스러운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re free appearance desig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더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장치로 구성된 슬라이딩 유형 휴대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 slider, and a sliding device for semi-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r in the main body.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제1곡면을 구비한 고정 부재;A fixing member having a first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곡면과 대면하게 장착되어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제2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곡면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A sliding member mounted to face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having a second curved surface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facing state, the sliding member being cur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상기 제1,2곡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소정 거리 이 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닫히려는 힘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열리려는 힘을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부로 구성된다.A semi-automatic drive unit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to provide a force to close the sliding member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o provide a force to open the sliding member above a predetermined distance. do.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는 본체(100)와, 슬라이더(200)와, 상기 본체(100)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200)를 반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도 4에 도시됨)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는 본체(100) 가로 방향을 의미하고, 화살표 Y는 본체(100) 세로 방향 또는 슬라이더(200) 슬라이딩 방향을 의미하며, 화살표 Z방향은 본체(100) 상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 아울러, 화살표 XY는 수평 방향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0, a slider 200, and a half of the slider 200 on the main body 100. It is composed of a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shown in FIG. 4) to open and close automatically. The arrow X shown in FIG. 1 means the body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rrow Y means the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slider 200 sliding direction, and the arrow Z direction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100.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rrow XY means a horizontal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박스 형상이지만, 상기 본체(100) 상면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10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20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하여 상기 곡면(101)과 대면하게 슬라이딩하는 다른 곡면(202)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본체(10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상면, 즉 상기 곡면(101)을 개폐한다. 상기 곡면(101)에는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0)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더 상면(201)은 표시부(210), 스피커(212) 및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214)가 배치된다. 상기 제1키패드(110)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고, 상기 제2키패드(214)는 항시 노출된다. Although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has a box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has a curved surface 101 which is convex downward based o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lider 200 moves downward based on a vertical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nother curved surface 202 that is convex and slides facing the curved surface 101. The slider 2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curved surface 101. The first keypad 110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on the curved surface 101. The slider upper surface 201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210, a speaker 212, and a second keypad 214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The first keypad 110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slider 200, and the second keypad 214 is always exposed.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본체(100)에서 곡형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완료 후에 곡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었다. In addition, the slider 200 slides in the curved shape in the main body 100, and is disposed in the curved direction after the sliding is completed. This state is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언급된 '반 자동'이란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하에서는 후술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가 제공하는 구동원에 의해 닫히려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간이 제공되고,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후술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가 제공하는 구동원에 의해 열리려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가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구간이 제공되는 개폐 방식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는 소정 거리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닫히려는 힘을 제공해야 하고,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열리려는 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가 초기 위치와 종료 위치에서 슬라이더가 움직이지 못하는 힘을 제공해야 한다.A configuration of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In the above-mentioned 'semi-automatic'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 section in which a user applies force is provided because a force to be closed by a driving source provided by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to b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since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provides a force to be opened by a driving source provided by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it means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in which a section in which a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 force is provided. That is,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provide the force to close the slider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 the force to open the slider ab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must provide the force that the slider does not move i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30)는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장치로서, 고정 부재(310), 슬라이딩 부재(32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320)에 소정 거리 이하에서는 닫히려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열리려는 힘을 제공하는 반 자동 구동부(330)로 구성된다.4 and 5,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employed in the curve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the fixing member 310, the sliding member 320 and the sliding member ( The semi-automatic driving unit 330 provides a force to be closed at 320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orce to be opened at or ab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고정 부재(310)는 상기 본체 상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제1곡면(31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320)는 상기 제1곡면(311)과 대면하게 장착되어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제2곡면(321)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20)는 상기 고정 부재(310) 상에서 본체 길이 방향, 즉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중, 상기 제1,2곡면(311,321)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제1,2곡면(311,321)이 향하는 방향의 연장선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는 향한다.The fixing member 310 is a member fastened on the main body, and has a first curved surface 311 which is convex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320 has a second curved surface 321 mounted to face the first curved surface 311 and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facing state. The sliding member 320 moves on the fixing member 310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that is, together with the slider. During this movement,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311 and 321 continue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slider faces along an extension lin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311 and 321 face.

상기 반 자동 구동부(30)는 상기 제1,2곡면(311,321) 사이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1곡면(311)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가이드(331)와, 상기 가이드(331)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제2곡면(321)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331)쪽으로 힘을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331)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332,333)를 포함한다.The semi-automatic drive unit 30 is a device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311 and 321. The semi-automatic drive unit 30 is coupled to the first curved surface 311 so as to face the guide 331 and the guide 331. It is mounted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in a state to provide a force toward the guide 331, and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body (332,333) to interlock with the guide 331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상기 가이드(331)는 상기 제1,2곡면(311,321)과 대응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플레이트 형상이고, 그의 양 측면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 제1,2슬라이딩 곡면(3311,3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곡면(3311,3312)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곡면(3311,3312)에는 각각 제1,2슬라이딩 홈(3313,3314)이 연장되어 후술하는 탄성체가 구속된다.The guide 331 has a plate shape convex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311 and 321,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3311 and 3312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3311 and 3312 have a convex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ased on a horizont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3313 and 3314 exten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3311 and 3312 to constrain an elastic body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탄성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331)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장착되는 제1,2스프링(332,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스프링(332,333)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탄성 힘을 제공한다. 상기 제1스프링(332)은 상기 제1슬라이딩 곡면(3311)과 슬라이딩하는 제1곡형 탄성부(3321)와, 상기 제1곡형 탄성부(3321)의 양 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곡형 탄성부(3321)의 탄성력을 극대화하는 한 쌍의 제2곡형 탄성부(3322,332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곡형 탄성부(3322,3323)는 상기 제1곡형 탄성부(3321)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스프링(333)은 상기 제2슬라이딩 곡면(3312)과 슬라이딩하는 제3곡형 탄성부(3331)와, 상기 제3곡형 탄성부(3331)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3곡형 탄성부(3331)의 탄성력을 극대화하는 한 쌍의 제4곡형 탄성부(3332,333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4곡형 탄성부(3332,3333)는 상기 제3곡형 탄성부(3331)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2스프링(332,333)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331)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균일한 탄성력을 상기 가이드(331)에 제공한다.The elastic body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springs 332 and 333 symmetrically mounted about the guide 331.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332 and 333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he first spring 332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3321 and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3321 to slide with the first sliding curved surface 3311. And a pair of second curved elastic parts 3322 and 3323 for maximizing the elastic force of 3331. The pair of second curved elastic parts 3322 and 3323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3321. The second spring 33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3331 and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3331 that slides with the second sliding curved surface 3312. A pair of fourth curved elastic portion (3332, 3333)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of the). The pair of fourth curved elastic parts 3332 and 3333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3331.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332 and 333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nd are arrange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guide 331 to provide a uniform elastic force to the guide 331.

상기 제1,3곡형 탄성부(3321,3331)는 각각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2곡면(321)에 장착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2,4곡형 탄성부(3322,3323,3332,3333)는 각각 적어도 한 번 이상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90도 이상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두 군데에서 90도 이상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3탄성부(3321,3331)의 탄 성 동작을 도와준다.The first and third curved elastic parts 3321 and 3331 are convex in a direction to be close to each other based on a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convex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because they are mounted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The 2,4 curved elastic parts 3322, 3323, 3332, and 3333 are each configured to be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nd specifically, are configured to be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at least 90 degrees. Consists of a shape bent more than 90 degrees to help the elastic operation of the first and third elastic portion (3321,3331).

상기 제2곡면(321)은 가이드 수단(341,342)을 더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331)를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한 쌍의 봉 타입의 가이드 레일(341,342)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331)와 결합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341,342)은 상기 가이드(331)를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41,342)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곡면(321)과 대면한다.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further includes guide means 341 and 342 to move the guide 331. The guide means is composed of a pair of rod-type guide rails 341 and 342 to be coupled to the guide 331. In particular, the pair of guide rails 341 and 342 are coupled to penetrate the guide 331. The guide rails 341 and 342 are configured to be convex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331)는 상기 제1,2스프링(332,333)에 의해서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상기 가이드(331)를 소정 거리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331)의 제1,2슬라이딩 곡면(33111,3312)과 각각 제1,3곡형 탄성부(3321,3331)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제1,3곡형 탄성부(3321,3331)가 상기 가이드(331)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상기 제1,3곡형 탄성부(3321,3331)에 의해 상기 가이드(331)가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려는 힘을 상기 제1,3곡형 탄성부(3321,33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공한다.As shown in FIG. 6, the guide 331 is maintained at an initial position by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332 and 333. Subsequently, when the user forcibly moves the guide 331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curved surfaces 33111 and 3312 and the first and third curved elastic parts 3321 and 3331 of the guide 331 are respectively. While sliding, the first and third curved elastic parts 3321 and 3331 are gradually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guide 331, and the first and third curved elastic parts 3321 and 3331 are moved beyo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esult, the first and third curved elastic parts 3321 and 3331 return the original force to the final position by the guide 331.

그리고, 상기 제1,2스프링(332,333)은 상기 제2곡면(321)에 리벳 형상의 체결구(334)를 사용하여 장착된다.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332 and 333 are mounted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using rivet fasteners 334.

한편, 상기 고정 부재(310)와 슬라이딩 부재(3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 제1곡면(311)과 슬라이더의 제2곡면(321)에 미 도시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면과 상기 슬라이더 저면이 이용되어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상기 고정 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딩 부 재(320)가 각각 상기 본체 상면과 슬라이더 저면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member 310 and the sliding member 320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mount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311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321 of the slider using fastening means, for example, screw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ody top surface and the slider bottom surface may be used and constructed. That is, the fixing member 310 and the sliding member 320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injection molding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r.

도 4에는 상기 고정 부재(310)와 슬라이딩 부재(320)가 본체와 슬라이더에 각각 장착되는 체결 수단이 미 도시된다. 이는 공지의 미도시된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된다.4 illustrates a fastening means in which the fixing member 310 and the sliding member 320 are moun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respectively. It is fastened using a well-known not shown screw.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는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서 슬라이더의 개폐 동작이 편리하다.As a result,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in the curve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r is convenien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서 슬라이더의 개폐 동작이 편리하고, 슬림화에 유리하며, 외관 디자인이 자유스러워지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가 본체 상면과 슬라이딩 저면에 채용되면, 더욱더 슬림화에 유리하고, 반 자동 구동원을 제공하는 제1,2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대화하여 개폐 동작에 신뢰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dopted in the curve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thereby achieving the advantages of conveni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er, favorable for slimming, and free appearance design. In addition, wh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are adop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liding bottom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advantageous in slimming, and maximizes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providing a semi-automatic driving source, thereby providing reliability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본체와,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더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장치로 구성된 슬라이딩 유형 휴대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 slider, and a sliding device for semi-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r in the main body,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제1곡면을 구비한 고정 부재;A fixing member having a first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곡면과 대면하게 장착되어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제2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곡면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A sliding member mounted to face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having a second curved surface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facing state, the sliding member being cur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상기 제1,2곡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소정 거리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닫히려는 힘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상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열리려는 힘을 제공하는 반자동 구동부로 구성되고,A semi-automatic drive unit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s to provide a force to close the slid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o provide a force to open the slid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ecome, 상기 반 자동 구동부는The semi-automatic drive unit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제2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쪽으로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guide; And an elastic body mounted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guide, to provide a force toward the guide.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장착되는 제1,2스프링으로 구성되고,The elastic body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prings symmetrically mounted about the guide, 상기 제1스프링은 The first spring is 제1곡형 탄성부; 및 상기 제1곡형 탄성부 양단에 위치하여 제1곡형 탄성부의 탄성력을 극대화하는 한 쌍의 제2곡형 탄성부를 포함하고, A first curved elastic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curved elastic part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상기 한 쌍의 제2곡형 탄성부는 상기 제1곡형 탄성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The pair of second curved elastic parts are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first curved elastic part, 상기 제2스프링은The second spring is 제3곡형 탄성부; 및 상기 제3곡형 탄성부 양단에 위치하여 제3곡형 탄성부의 탄성력을 극대화하는 한 쌍의 제4곡형 탄성부를 포함하고, A third curved elastic portion; And a pair of fourth curved elastic part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상기 한 쌍의 제4곡형 탄성부는 상기 제3곡형 탄성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The pair of fourth curved elastic parts are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third curved elastic part, 상기 제2,4곡형 탄성부는 적어도 한 번 이상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Semi-automatic sl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d fourth curved elastic portion is configured to be bent at least one or more tim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플레이트 형상이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has a plate shape convex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그의 양 측면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 제1,2슬라이딩 곡면을 포함하며,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제1,2슬라이딩 곡면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ar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라이딩 곡면에는 각각 제1,2슬라이딩 홈이 각각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are respectively extend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면은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한 쌍의 봉 타입 형상의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urved surface further includes a guide means, and the guide means is configured by a pair of guide rails having a rod-shaped shape and is coupled to the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2곡면에 리벳 형상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ody is mounted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using a rivet-shaped faste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 상면이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저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The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member is a bottom surface of the slider.
KR1020060116426A 2006-11-23 2006-11-23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1297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426A KR101297013B1 (en) 2006-11-23 2006-11-23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426A KR101297013B1 (en) 2006-11-23 2006-11-23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59A KR20080046859A (en) 2008-05-28
KR101297013B1 true KR101297013B1 (en) 2013-08-14

Family

ID=3966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426A KR101297013B1 (en) 2006-11-23 2006-11-23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01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49A (en) * 2003-10-30 2003-11-28 (주)쉘-라인 Portable phone having a slinding part curvedly extending
KR200418802Y1 (en) * 2006-02-17 2006-06-14 이근주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49A (en) * 2003-10-30 2003-11-28 (주)쉘-라인 Portable phone having a slinding part curvedly extending
KR200418802Y1 (en) * 2006-02-17 2006-06-14 이근주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59A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en) Sliding-type portable phone
KR100689410B1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735304B1 (en) Slid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704031B1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90088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800712B1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swing type mobile phone
US8229525B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5286994A (en) Slide type mobile phone module
KR100827112B1 (en) Multi-stage tortion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1527B1 (en) Apparatus sliding of cellular phone
KR20120069167A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34647B1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and semi-automatic sliding unit thereof
KR100800808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US20070103851A1 (en)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R101297013B1 (en) Semi-automatic sliding unit for curved-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70048885A (en)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070021723A (en) Sliding-type portable device with wide display area
KR100790188B1 (en) Sliding type portable mobile phone amd sliding guide device thereof
KR100803457B1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59903Y1 (en)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KR20060091986A (en) Portable apparatus with dual display unit
KR100842528B1 (en) Swing type mobile phone and swing device thereof
KR20090006356A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375677Y1 (en)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KR200388393Y1 (en) Sliding assembly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