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406B1 - 조립식 칸막이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406B1
KR101296406B1 KR1020130038461A KR20130038461A KR101296406B1 KR 101296406 B1 KR101296406 B1 KR 101296406B1 KR 1020130038461 A KR1020130038461 A KR 1020130038461A KR 20130038461 A KR20130038461 A KR 20130038461A KR 101296406 B1 KR101296406 B1 KR 10129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odule
cap
prefabricated partition
connection ca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천운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훈 filed Critical 조성훈
Priority to KR102013003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2Details of panel top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 환경 개선을 위하여 설치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캡이 칸막이 모듈을 이루는 각각의 지통에 체결되어 인접하는 지통끼리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칸막이 모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캡은 지통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칸막이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지통의 중간부에 체결되고 그 상부 지통은 장식이나 기타 물건이 끼워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캡은 기둥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기둥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는 하부몸체,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의 기둥부의 단부와 접착되는 마감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각각 상호 체결을 위한 돌출부와 수용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는 각각 체결용 고정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캡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 모듈{Assembly partition module}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용 연결캡 및 그에 의해 체결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듈 연결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조정하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연결캡과 상기 연결캡들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의 지통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이란 사무실, 또는 그 밖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는 칸막이 시설물로서, 프레임 상호간에 결합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보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단일몸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어 곡면을 이루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결합이 어렵고, 공간을 답답하고 무겁게 만들며, 이에 따른 사용용도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모듈을 연결하여, 곡면과 같이 구조형태가 다양한 공간에 적용 가능하고, 공간을 더욱 감성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칸막이 모듈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연결용 캡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은 기둥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기둥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는 환형상의 하부몸체,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의 기둥부의 단부와 접착되는 마감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각각 상호 체결을 위한 돌출부와 수용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는 각각 체결용 고정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캡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캡은 지통의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칸막이 모듈을 구성한다.
상기 마감캡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 단부와 접착되는 박판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마감캡이 연결캡 즉, 상기 연결캡의 기둥부 단부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체결수단에 해당하는 돌출부에는 네크가 형성되며, 수용홈은 상기 네크가 걸림되는 립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캡간의 체결을 돕는다. 또다른 체결수단으로는 고정핀이 있는데, 고정핀의 단면은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고, 상기 고정핀의 단부 근처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고정핀을 끼움홈에 끼울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몸체 또는 하부몸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고정핀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홈형상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캡이 칸막이 모듈을 이루는 지통의 양측 단부에 끼움되어 인접한 연결캡끼리 체결되며, 다양한 형상의 칸막이 모듈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연결캡은 지통의 중간부에 끼움되어, 상부 지통에는 장식이나 기타 물건이 끼워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캡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은, 각각의 모듈 연결을 통해 곡면구조를 포함하여 구조형태가 다양한 공간으로의 적용을 통해, 보다 감성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모듈 형태를 이루므로 제품에 파손이나 이상이 생겼을 경우, 부분 교체가 가능하며, 연결캡과 지통에 컬러를 적용하면, 단순한 파티션의 역할을 넘어,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다. 특히, 감성적인 업무가 많은 디자인 사무실, 여성고객을 위주로 하는 뷰티관련 안내데스크에 적용하면 트렌디하면서도 감성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모듈 연결캡의 단위 요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캡을 체결한 것에 대한 평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조립식 칸막이 모듈의 결합 모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높이를 연장한 조립식 칸막이 모듈의 결합 모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조립식 칸막이 모듈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의 예 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핀을 통해 결합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 연결캡의 단위 요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연결캡을 체결한 것에 대한 평면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모듈 연결캡의 단위 요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캡을 체결한 것에 대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캡(100)은 기둥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몸체(110), 상기 기둥부(120)를 수용하는 중공부(131)를 갖는 환형상의 하부몸체(130), 상부몸체(110)의 기둥부(120)의 단부와 체결되는 마감캡(200)으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연결캡(10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연결캡(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에는 각각 돌출부(111)와 수용홈(132)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간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연결캡(100)의 하부몸체(130)는 중심에 중공부(131)를 구비하고, 상부몸체(110)의 기둥부(120)가 중공부(131)에 수용되어, 이를 중심으로 하부몸체(130)가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감캡(200)은 박판(210)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연결캡(100) 상부몸체(110)의 기둥부(120) 단부와 접착을 용이하도록 하며, 하부몸체(130)의 중공부(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하부몸체(130)가 상기 중공부(131)를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연결캡(100)의 상부몸체(110)와 마감캡(200)이 부착된 형태이며, 그 사이로 연결캡(100)의 하부몸체(130)가 삽입되어 회전하므로 곡면을 갖는 칸막이 모듈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캡(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에는 인접하는 연결캡끼리 체결되기 위한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돌출부(111)와 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132)이 쌍을 이루며, 연결캡(100)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수단의 돌출부(111)에는 네크(113)가 형성되며, 수용홈(132)은 상기 네크(113)가 걸림되는 립부(133)를 구비하고 있어, 수용홈(132)에 돌출부(111)를 삽입할 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인접하는 연결캡끼리 서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돌출부(111)가 상부몸체(110)에 형성되고 동시에 수용홈(132)이 상부몸체(110)에 형성되는 타입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체결방법은 인접하는 연결캡들을 각각 상부몸체(110)끼리 체결되거나 또는 하부몸체(130)끼리 체결되는 방식으로 반복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캡(100)은 지통(400)의 양측 단부에 끼워지며, 인접한 연결캡(100)끼리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조립식 칸막이 모듈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캡(100)은 지통(400)의 중간부에도 체결이 가능하여, 고객의 니즈에 따라 칸막이 모듈의 길이 연장을 원할 때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상부 지통(400)에는 장식이나 기타 물건이 끼워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캡(200)의 대항되는 면에는 별도의 끼움부(230)가 부착되어 지통(400)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지통(400)은 상기 지통(400)의 길이보다 긴 또 다른 지통을 내부에 삽입하여, 두 지통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지통(400)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즉, 내부에 삽입되는 지통을 기둥 지통, 기둥 지통을 통해 연결되는 지통을 몸체 지통이라 하면, 기둥 지통을 몸체 지통에 삽입하였을시, 두 몸체 지통(400)의 단면이 서로 어긋남이 없도록 기둥 지통의 외경이 몸체 지통(400)의 내경과 맞닿아야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조립식 칸막이 모듈은 공간에 따라, 일자형, 'ㄷ'자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사무용, 가정용, 라운지, 회의실, 컨벤션센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7은 또 다른 체결수단인 고정핀(300)을 구비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 연결캡의 단위 요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캡을 체결한 것에 대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핀(300)을 구비하는 연결캡(1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나, 고정핀(3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에 각각 실시예 1의 수용홈(132)과 같은 작용을 하는 끼움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300)의 단면은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의 형상이고, 이에 상응하는 끼움홈(114)은 고정핀(300)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홈형상이다.
또한, 상기 고정핀(300)은 단부 근처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단턱부(301)를 형성하는데, 이는 수용홈(132)의 립부(133)와 같은 기능을 하며, 고정핀(300)이 끼움홈(114)에 삽입될 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핀(300)을 통해 체결한 연결캡(100)의 형상을 나타낸다. 고정핀(300)이 각각 연결캡(100)의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130)에 형성된 끼움홈(114)을 통해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몸체(130)는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연결캡(100)과 지통(400)으로 구성된 조립식 칸막이 모듈은 일자형, 'ㄷ'자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공간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100 : 연결캡 110 : 상부몸체
111 : 돌출부 113 : 돌출부 네크 114 : 끼움홈
120 : 기둥부 130 : 하부몸체
131 : 중공부 132 : 수용홈 133 : 립부
200 : 마감캡 210 : 마감캡 박판
220 : 마감캡 몸체 230 : 끼움부
300 : 고정핀 301 : 단턱부 400 : 지통

Claims (9)

  1. 사무실 환경 개선을 위하여 설치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기둥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몸체(110), 상기 기둥부(120)를 수용하는 중공부(131)를 갖는 환형상의 하부몸체(130), 및 상기 상부몸체(110)의 기둥부(120)의 단부와 체결되는 마감캡(200)으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상기 연결캡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상기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3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00)은 상기 기둥부(120) 단부와 접착되는 박판(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돌출부(111)와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32)이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3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1)는 네크(11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32)은 상기 네크(113)가 걸림되는 립부(1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핀(300)과, 상기 고정핀(300)이 끼움되는 끼움홈(114)이 상기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3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00)의 단면은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고 상기 끼움홈(114)은 상기 고정핀(300)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00)의 단부 근처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이탈방지용 단턱부(3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용 연결캡.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결캡이 지통(400)의 양측 단부에 끼움되어 인접한 연결캡끼리 체결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지통(400)의 중간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모듈.
KR1020130038461A 2013-04-09 2013-04-09 조립식 칸막이 모듈 KR10129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461A KR101296406B1 (ko) 2013-04-09 2013-04-09 조립식 칸막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461A KR101296406B1 (ko) 2013-04-09 2013-04-09 조립식 칸막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406B1 true KR101296406B1 (ko) 2013-08-14

Family

ID=4922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461A KR101296406B1 (ko) 2013-04-09 2013-04-09 조립식 칸막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4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833U (ja) * 1996-07-31 1997-05-27 合資会社ホ−ハン製陶所 基礎くい
JP3062005B2 (ja) 1994-04-28 2000-07-10 ゼオン化成株式会社 修景枠体
KR200261784Y1 (ko) 2001-10-18 2002-01-24 주식회사 퍼시스 보드의 연결구조
KR101145902B1 (ko) 2010-12-03 2012-05-15 주식회사 빈우드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05B2 (ja) 1994-04-28 2000-07-10 ゼオン化成株式会社 修景枠体
JP3037833U (ja) * 1996-07-31 1997-05-27 合資会社ホ−ハン製陶所 基礎くい
KR200261784Y1 (ko) 2001-10-18 2002-01-24 주식회사 퍼시스 보드의 연결구조
KR101145902B1 (ko) 2010-12-03 2012-05-15 주식회사 빈우드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18357S1 (en) Placard clip assembly
USD854909S1 (en) Handle
USD838959S1 (en) Footwear upper
USD778712S1 (en) Cable spool
USD610006S1 (en) Cap for cylindrical container
USD905592S1 (en) Snowflake ornament
USD885660S1 (en) Soap
USD825882S1 (en) Pallet
USD885496S1 (en) Construction toy
USD829634S1 (en) Truck bed cargo system
USD855462S1 (en) Bottle top
USD810881S1 (en) Faucet escutcheon
USD941117S1 (en) Appliance door lock
USD861952S1 (en) Cylinder lamp
USD862796S1 (en) Eyelash applicator
CA128451S (en) Sealing grommet component
USD636668S1 (en) Dip tubes
USD915969S1 (en) Module for passenger service unit
USD975417S1 (en) Shoe
USD871664S1 (en) Vaporizer
USD862121S1 (en) Mattress
USD910412S1 (en) Adapter handle
USD869630S1 (en) Fragrance diffuser element
KR101296406B1 (ko) 조립식 칸막이 모듈
USD848694S1 (en) Bristles of a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