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83B1 -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83B1
KR101295883B1 KR1020090124860A KR20090124860A KR101295883B1 KR 101295883 B1 KR101295883 B1 KR 101295883B1 KR 1020090124860 A KR1020090124860 A KR 1020090124860A KR 20090124860 A KR20090124860 A KR 20090124860A KR 101295883 B1 KR101295883 B1 KR 10129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ven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038A (ko
Inventor
김형진
조성철
조권도
김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83B1/ko
Priority to US12/860,494 priority patent/US8531287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30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검출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6-S-001-04, 과제명 : 4세대 이동통신용 적응 무선접속 및 전송 기술개발]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되면서, 개인용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초기의 개인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전자 장치에 무선 통신 모듈이 추가된 형태로 구현되었다. 무선 통신 기술 및 전자 기술이 발전되면서, 자체적으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통화 요청 또는 통화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동기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가 변할 때, 상기 변화 이전에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변화 이후에 검출된 위치 정보가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지국에 기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요청, 통화 수신,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동기화하는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에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이 변할 때,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 이전의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변화 이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위치 정보들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상기 변화 이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 그리고 상기 변화 이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동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화 요청, 통화 수신,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벤트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위치 정보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벤트 및 위치 정보를 연계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제 1 내지 제 6 셀들(110~160)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6 셀들(110~160)은 대응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들(111~161)에 기반하여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셀(110)은 제 1 무선 통신 기지국(111)에 기반하여 형성된다. 제 1 무선 통신 기지국(111)은 제 1 셀(110) 내의 무선 통신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 채널들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지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들(112~116)은 각각 제 2 내지 제 6 셀들(120~160) 내의 무선 통신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 채널들을 제공한다.
도 1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2 셀(120)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 무선 통신 채널이 제공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제 1 내지 제 6 셀들(110~1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제 1 내지 제 6 셀들(110~16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제 1 내지 제 6 셀들(110~160)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셀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기지국 주변의 환경 및 무선 통신 기지국의 출력에 따라 셀의 면적은 가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단말기(17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내부 버스(171), 제어부(173), 통신부(175), 메모리(177),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포함한다.
내부 버스(171)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채널을 제공한다.
제어부(173)는 내부 버스(171)에 연결된다. 제어부(173)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3)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서 구동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Application), 펌웨어(Firmware) 등과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software)를 구동할 것이다.
통신부(175)는 내부 버스(171)에 연결된다. 통신부(175)는 제어부(173)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통신부(175)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 도 1 참조)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75)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통신부(175)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CDMA 2000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WCDMA (wideband CDMA), WiFi,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bro, WiMax, 유레카-147 (Eureka-147) 등과 같은 통신 표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메모리(177)는 내부 버스(171)에 연결된다. 메모리(171)는 제어부(173)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177)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동작 메모리일 것이다. 메모리(177)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버퍼 메모리일 것이다. 메모리(177)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캐시 메모리일 것이다. 메모리(177)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저장용 메모리일 것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177)는 SRAM (Static RAM), DRAM (Dynamic RAM), SDRAM (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일 것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177)는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 (Phase-change RAM), MRAM (Magnetic RAM), RRAM (Resistive RAM), FRAM (Ferroelectric RAM) 등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일 것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177)는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는 내부 버스(171)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는 제어부(173)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는 키패드,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카메라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로젝터 등과 같은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휴대 전화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휴대 전화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검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될 때, 이벤트가 검출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검출되는 통화 요청일 것이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79)의 통화 버튼을 누를 때, 이벤트가 검출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검출되는 통화 수신일 것이다. 즉, 통신부(175)를 통해 통화(call)가 수신되고, 사용자가 사용 자 인터페이스(179)의 통화 버튼을 누를 때, 이벤트가 검출될 것이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전화를 걸거나 전화를 받을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통화 요청 또는 통화 수신을 이벤트로서 검출할 것이다.
S12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통신부(175)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 도 1 참조)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로서 검출할 것이다. 이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셀 단위로 제공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으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기(170)로 제공될 것이다.
S13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즉 통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출력할 것이다.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검출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출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통화 시간,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 등과 같은 통화 정보와 함께, 통화 위치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79)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다.
통화 정보 및 통화 위치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통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통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정보 활용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통화 정보로부터 통화 시간 및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통화 위치 정보로부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를 확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통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통화 상대와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에서 통화를 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통화가 수행된 시간 및 상대 정보에 위치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통화 내용에 대한 기억을 용이하게 떠올릴 수 있다.
예시적으로, S130 단계는 이벤트가 종료된 후에 수행될 것이다. 즉,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검출된 위치 정보는 검출된 이벤트가 종료된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출력될 것이다. 예를 들면, 통화 정보 및 통화 위치 정보는 통화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79)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검출된 위치 정보는 불휘발성 메모리(177)에 저장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통화 요청 및 통화 수신을 이벤트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벤트는 통화 요청 및 통화 수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사진 촬영, 메시지 송신 및 수신,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모 작성 등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벤트로서 검출할 것이다. 따라서, 사진이 촬영된 위치 정보, 메시지가 송신 및 수신된 때의 위치 정보, 음성이 녹음된 때의 위치 정보, 영상이 녹화된 때의 위치 정보, 메모가 작성된 때의 위치 정보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무선 통신 기지국(121)은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 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동기 신호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 및 무선 통신 기지국(121)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일 것이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될 것이다.
S22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이벤트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통화 요청, 통화 수신, 메시지 송신, 메시지 수신, 사진 촬영, 영상 촬영, 음성 녹음, 메모 작성 등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이벤트로서 검출할 것이다.
S23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동기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동기 신호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디코딩할 것이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갱신할 것이다. 그리고,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가 검출된 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무시할 것이다.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디코딩할 것이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할 것이다.
S24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검출된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S240 단계는 도 3의 S13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S310 단계는 도 3의 S11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것이다.
S32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S33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기지국(121)은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일 것이다.
S34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검출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출력한다. S340 단계는 도 3의 S13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가 검출될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벤트의 정보 및 이벤트가 검출된 때의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 의하여 이벤트 정보 활용도가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으로부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제공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에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자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가 무선 통신 단말기(170)로 제공된다.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무선 통신 기지국(121)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로 이용한다. 무선 통신 기지국(121)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 또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 및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서, 위치 정보를 획득 또는 산출하기 위한 별도의 부하(load)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발생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핸드 오버(hand over)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2 셀(120)로부터 제 6 셀(160)로 이동한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동 전에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과 통신하며, 이동 후에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과 통신한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과 통신할 때 이벤트가 발생되고,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과 통신할 때 이벤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제 2 셀(120)로부터 제 6 셀(160)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벤트가 발생될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는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 대응하고, 이벤트가 종료될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는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에 대응한다. 이벤트가 수행되는 동안 통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이 변할 때, 즉 위치 정보가 변할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변화 이전 및 변화 이후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 및 제공한다.
도 7은 도 6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이벤트를 검출한다. S410 단계는 도 3의 S11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것이다.
S42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1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 대응하는 제 2 셀(120) 내에 위치하므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을 통해 제 1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의 위치 정보를 제 1 위치 정보로서 검출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제 1 위치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검출될 것이다.
S430 단계에서, 핸드 오버(hand over)가 발생된다. 즉,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제 2 셀(120)로부터 제 6 셀(160)로 이동한다. 핸드 오버가 발생한 후에, S44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이동 후의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을 통해 제 2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 정보로서 검출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제 2 위치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검출될 것이다.
S450 단계에서, 이벤트가 종료된다. 이벤트가 종료되면, S460 단계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1 및 제 2 위치 정보들을 이벤트 정보와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179)를 통해 출력한다.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무선 통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즉 무선 통신 기지국이 변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변화 전의 제 1 위치 정보 및 변화 후의 제 2 위치 정보를 검출 및 제공한다. 따라서, 이벤트의 발생되는 동안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이동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제 2 무선 통신 기지국(121)에 대응하는 제 1 위치 정보 및 제 6 무선 통신 기지국(161)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정보를 검출 및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두 개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 및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한 무선 통신 단말기(170)가 n 개의 셀들을 통과할 때, 무선 통신 단말기(170)는 n 개의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n 개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 및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정보가 검출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핸드 오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동기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통화 요청 또는 통화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가 변할 때, 상기 변화 이전에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변화 이후에 검출된 위치 정보가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되는 동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무선 통신 기지국에 기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에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요청, 통화 수신,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이 변할 때,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 이전의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변화 이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위치 정보들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상기 변화 이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 그리고 상기 변화 이후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이벤트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동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화 요청, 통화 수신, 사진 촬영, 메모,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메시지 수신, 그리고 메시지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벤트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KR1020090124860A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KR10129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60A KR101295883B1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US12/860,494 US8531287B2 (en) 2009-12-15 2010-08-20 Wireless terminal,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60A KR101295883B1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038A KR20110068038A (ko) 2011-06-22
KR101295883B1 true KR101295883B1 (ko) 2013-08-12

Family

ID=4414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860A KR101295883B1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31287B2 (ko)
KR (1) KR101295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0850B2 (en) * 2015-03-31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urate over the air synchroniz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687A (ko) * 2004-06-04 2005-12-08 (주)케이엔제이솔루션 위치기반 통화연결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654B1 (ko) 2005-02-21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정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이벤트장치 및 방법
KR20090019140A (ko) * 2007-08-2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 알림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090126557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202A (ko) 1999-06-12 2001-01-05 구자홍 디지털 텔레비젼의 부가 데이터 표시장치
JP2002044714A (ja) 2000-07-31 2002-02-08 Nec Eng Ltd 移動電話端末の位置取得システム
JP2002077977A (ja) 2000-08-24 2002-03-15 Aion:Kk 位置検索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237491B (en) * 2002-12-13 2005-08-01 Lite On Technology Corp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 of cellular phone caller
US7269413B2 (en) * 2004-08-10 2007-09-11 Oro Grande Technology Llc Telephone location caller ID
KR100677355B1 (ko) 2004-09-1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동경로 표시방법
KR100617784B1 (ko) * 2004-12-1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06303831A (ja) 2005-04-19 2006-11-02 Aruze Corp 周辺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687A (ko) * 2004-06-04 2005-12-08 (주)케이엔제이솔루션 위치기반 통화연결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654B1 (ko) 2005-02-21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정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이벤트장치 및 방법
KR20090019140A (ko) * 2007-08-2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 알림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090126557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0881A1 (en) 2011-06-16
US8531287B2 (en) 2013-09-10
KR20110068038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274B2 (en)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devi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CN108702700B (zh) 定义小区同步广播块位置的指示、搜索方法及装置和基站
WO2018103492A1 (zh) WiFi漫游的设置方法及终端设备
CN105487802B (zh) 屏幕投影管理方法、装置和系统
CN106413128B (zh) 一种投影方法及移动终端
CN105075333A (zh) 一种用户设备及无线网络中保证业务连续接收的方法
CN105978788A (zh) 消息推送装置和方法
US20220369400A1 (e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method for coordinating resource, and multi-card terminal
CN104796956A (zh) 一种移动终端网络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US119741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measurement control
CN106454965A (zh) 一种双卡网络切换方法及终端
CN106231650A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JP6997875B2 (ja) セルタイプ指示方法および装置
CN105101325A (zh) 语音切换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KR20160099662A (ko) 데이터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933704A (zh)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5491548A (zh) 一种搜网的方法及装置
CN111263437B (zh) 一种寻呼消息的传输方法、设备及介质
CN105227771B (zh) 图片传输方法和装置
CN106455118A (zh) 屏幕投影装置和方法
CN106454446A (zh) 屏幕投影装置和方法
WO2019174046A1 (zh) 定义小区同步广播块位置的指示、搜索方法及装置和基站
KR101295883B1 (ko)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WO2021232381A1 (zh) 信息发送方法、基站切换方法、信息接收方法以及装置
CN10602067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