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62B1 -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 Google Patents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62B1
KR101295862B1 KR1020100118062A KR20100118062A KR101295862B1 KR 101295862 B1 KR101295862 B1 KR 101295862B1 KR 1020100118062 A KR1020100118062 A KR 1020100118062A KR 20100118062 A KR20100118062 A KR 20100118062A KR 101295862 B1 KR101295862 B1 KR 10129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ong
marker
augmented reality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6489A (en
Inventor
이주형
한덕민
김미애
윤진석
안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62B1/en
Publication of KR2012005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55Camera input, e.g. analyzing pictures from a video camera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선곡한 노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래방 기기에 선곡된 노래의 반주 음악을 재생시키고, 이에 동기하여, 카메라로 촬영되는 노래 부르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과, 선곡된 곡에 해당하는 가수 또는 캐릭터의 가상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와 가수가 함께 노래 부르는 듯한 증강된 영상을 보여주어,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노래 부르는 흥을 돋을 수 있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photographs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camera, plays back accompaniment music of a song selected by a karaoke device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is, sings a song photographed by the camera. A karaoke device that can synthesize the user's actual video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singer or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show an augmented video as if the user and the singer are singing together. It's about how.

Description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Karaok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video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한 후, 카메라로 촬영하는 노래 부르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과, 선곡된 노래에 해당하는 가수 또는 캐릭터의 가상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와 가수가 함께 노래 부르는 듯한 증강된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user selects a song, the actual image of the user singing a song taken by the camera, the sing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shows an augmented image as if a user and a singer are singing together by synthesizing a virtual image of a character.

종래 노래방에 사용되는 노래방 기기는 다수의 반주용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래의 음악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영상 장치에 가사와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The karaoke apparatus used in the conventional karaoke stores a plurality of accompaniment music data, reproduces the music data of the selected so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provides lyrics and image data to the image device.

사용자가 노래방 기기에 선곡한 노래의 반주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노래방에 비치된 노래 안내 책자나 노래방 벽면에 부착된 노래 선곡 리스트를 이용하여 부르고자 하는 노래를 찾은 후, 노래방 기기에 선곡된 노래의 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된 노래의 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노래방에서 제공되는 노래 책자의 글자는 작고, 노래방의 조명은 어두워서 원하는 노래의 여러 숫자의 번호를 찾아 노래방 기기에 번호를 직접 입력하기엔 불편함이 있었다. To play the accompaniment of a song selected by a user on a karaoke device, find a song to sing using a song guide book provided in karaoke or a song selection list attached to the karaoke wall, and then select the number of songs selected on the karaoke device. You must enter the number directly or use the remote control to enter the number of the selected song. However, the letters of the song book provided in the karaoke is small, the lighting of the karaoke is dark, it was inconvenient to find the number of the number of the desired song and enter the number directly on the karaoke device.

또한, 사용자가 노래방에서 노래를 선곡하여, 선곡된 노래의 반주용 음악 데이터의 재생시, 노래방 기기의 영상은 비디오 테이프나 콤팩트 디스크에 수록되어 선곡되는 노래와는 관계없이 항상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어 바탕 화면으로만 사용되고, 이의 영상 위에 가사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 출력 방법은 선곡된 노래와는 관계없는 영상이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됨으로써 노래의 흥을 돋우거나 노래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selects a song in karaoke and plays back the accompaniment music data of the selected song, the image of the karaoke device is always displayed on the displayer regardless of the song that is recorded on the videotape or compact disc and is displayed. It is used only as a screen, and lyrics are displayed on its video. 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output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n image irrelevant to the selected song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entertainment of the song or the atmosphere suitable for the song cannot be produced.

다른 방법의 노래방 기기의 영상 출력 방법으로는, 하나의 노래와 그에 맞는 하나의 영상이 동일한 매체 또는 파일로 수록되어 음향과 가사 및 영상이 하나의 프레임에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와 같이 영상 위에 가사를 불러올 필요가 없고 곡에 적합한 동영상이 출력되는 장점이 있지만, 각각의 곡에 맞춘 영상을 각각의 파일이나 매체에 수록해야 하므로, 수많은 곡들을 수록하여야 하여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므로, 모든 곡에 대해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As another method of outputting an image of a karaoke apparatus, one song and one image corresponding thereto are recorded on the same medium or file, and sound, lyrics, and image ar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frame. This method does not need to load the lyrics on the video as described above, but the video that is suitable for the song has the advantage that the output, but the video for each song to be recorded in each file or media, so a large number of songs must be stored Since it requires memory, it is not suitable for all songs.

따라서, 종래의 노래방 기기는 단순히 노래의 반주용 음악 제공 및 가사 전달 기능에만 머물고 있어 멀티미디어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따라서 노래방 기기의 기능은 차별화되지 않고 고정화되어, 노래방 사용 횟수를 거듭할수록 이용자들이 싫증을 느끼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karaoke device merely stays in the function of providing music and lyrics for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thus cannot play the role of multimedia.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karaoke device is fixed without being differentiated, and users get tired of the number of karaoke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feel.

한편 종래 기술에는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방식 즉,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has a computer graphics method, that i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synthesizes virtual objects in a real environment and looks like objects existing in the original environment.

증강 현실 기술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를 기반에 두고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런데, 증강 현실 기술을 통해 현실 세계에 부가적인 정보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증강 현실 데이터의 저작은 사전 정의된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마커에 정의된 인물 사물 등을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nlike the existing virtual reality that targets only virtual space and objects, synthesizes virtual objects based on the real world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only in the real world. However, in order to reinforc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thr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ugmented reality data should be authored. In general, authoring of augmented reality data is performed by recognizing a predefined marker and matching and displaying a person's object defined in the marker.

이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저작된 증강 현실 데이터는 사전 정의된 하나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data authored in this general manner is produced to display only one predefined ima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reflect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응하는 가수나 캐릭터의 영상과 노래 부르는 사용자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합성된 영상을 영상 장치에 출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노래 부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해당 가수와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한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synthesized video of the image of the singer or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image of the actual image of the user sing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araoke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through an image, which enables the user to obtain a visual effect as if they are singing a song with the singer instead of singing. The purpose i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장치는, 노래방 벽면이나 바닥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하여 얻은 마커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마커 인식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상기 마커 인식부에서 인식된 마커의 위치에 가상 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랜더링부; 상기 랜더링부에서 랜더링한 가상 영상과 실시간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rk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marker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karaoke wall or floor; A search unit for sear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A rendering unit for rendering the image data retrieved by the searching unit and loading the virtual image at the position of the marker recognized by the marker recognizing unit; And a synthesizer for compos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by synthesizing a virtual image rendered by the rendering unit and a real image of a user photographed by a camera in real time.

상기 노래방 장치는 소정의 이미지, 마커 이미지, 반주 정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를 노래방 장치에 입력하게 하는 조작부; 상기 검색된 반주 정보의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음향 재생부; 상기 합성부에서 저작된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The karaoke apparatus may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edetermined image, a marker image,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song selected by a user into a karaoke device; A sound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sound data of the retrieved accompaniment informa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created by the synthesis unit.

상기 마커 인식부는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미지를 더 인식하고, 상기 소정의 이미지는 제공자 측에서 반주 정보에 대응되도록 정하여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해 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rker recognizing unit may further recognize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the predetermined image may be an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by determining that the provider corresponds to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상기 마커 이미지는 가상의 영상이 로딩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rker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virtual image is loaded.

상기 반주 정보는 노래방 반주 음악인 음향 데이터와 가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해당 가수 이미지나 캐릭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cludes sound data and lyrics, which are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nd the image data includes a corresponding singer image, a character image, or a video.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카메라로 노래방 바닥 또는 벽면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마커 이미지를 노래방 장치가 인식하게 하는 마커 인식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가상 영상을 인식된 마커 위치상에 로딩하는 랜더링 단계; 카메라에 의해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과 상기 랜더링된 가상 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합성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 the marker recognition step of allowing the karaoke device to recognize the marker image in the captured image by photograph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floor or wall of the karaoke with a camera; A search step of sear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A rende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i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exists, rendering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and loading the virtual image on the recognized marker position; And synthesiz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by synthesizing the real image photographed with the rendered virtual image by photographing a user singing by a camera in real time.

상기 방법은, 상기 검색된 반주 정보의 음향 데이터를 음향 재생부로 보내 재생하는 음향 재생 단계; 상기 합성 단계에서 저작된 증강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로 보내, 상기 음향 재생 단계와 동기하여 표시하는 영상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includes: reproducing sound by transmitting sound data of the retrieved accompaniment information to a sound reproducing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 augmented image created in the synthesizing step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the imag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ound reproducing step.

상기 방법은, 상기 검색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를 리모콘 또는 노래방 장치의 조작부를 통해 노래방 장치에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step of inputting a song selected by the user to the karaoke devic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karaoke device before the searching step.

상기 방법은, 상기 검색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응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획득된 이미지를 마커 인식부로 보내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와 매칭하는 과정을 통해 노래방 장치가 인식하게 하는 인식 단계를 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include: a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before the search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recognition step of sending the acquired image to the marker recognition unit to recognize the karaoke apparatus through matching with the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에 의해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반주 정보의 가사를 삽입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there is no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photographing a user singing by a camera in real time, and inserting lyrics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into the actual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video display device; It features.

상기 인식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마커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recognition step, it is possible to add a marker by the user's selection.

상기 추가된 마커는 상기 선곡된 노래의 장르 또는 가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dded mark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genre or singer of the song selected.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 방법들의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sses of the above methods of providing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래방 기기에 선곡한 노래를 입력할 때, 노래방에서 카메라를 통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별도의 수동 입력 과정 없이 선곡한 노래를 노래방 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song selected to a karaoke device, the karaoke recognizes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through the camera to input the song selected into the karaoke device without a separate manual input process.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카메라를 통해 노래방 바닥이나 벽면 등의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하나의 마커에 대해 선택된 곡에 맞춰 가수 또는 캐릭터를 변경하여,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캐릭터(가상 영상)와, 촬영되는 노래 부르는 사람(실제 영상)의 합성 화면(증강 현실 영상)이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가수와 실제로 노래 부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recognizes a marker such as a karaoke floor or a wall, and changes the singer or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lected song with respect to one recognized marker, and shoots the singer or character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By displaying the composite screen (augmented reality video) of the singer (real video), the user can bring a visual effect as if the user is actually singing with the singer.

또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노래방 바닥이나 벽 등에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에 대해 다양한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노래의 흥을 돋우거나 노래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recogniz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floor or the wall of the karaoke by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camera, by adding a variety of effects to the recognized mark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imulate the excitement of the song or create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song.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apparatus for providing a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vide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ll-known configur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a karaoke apparatus providing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설명에 앞서, 증강 현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마커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 Prior to this description, the markers used i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마커(marker)는 컴퓨터 비전 기술로 인식하기 쉬운 어떤 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검은 바탕에 쓰여진 평면 문양이나 특이한 색상을 갖는 기하학적인 물체라고 할 수 있고, 마커는 로고(logo), 사진(photograph)이나 그림(picture) 또는 영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의 이미지(image), 문자(character), 기호 등을 포함한다. A marker is any object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computer vision technology. For example, a marker is a flat pattern written on a black background or a geometric object with an unusual color. A marker is a logo or a photo ( concept images, characters, symbols, etc., including photographs or pictures or portions of images.

한편,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사 영상에 가상 영상을 정합하기 위해서 미리 3차원으로 모델링 된 데이터를 실제 카메라가 실사 영상을 투영하는 것과 같은 3차원 원근 투영법을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렌더링한 다음 실사 영상과 가상의 그래픽을 합성하여 보여준다. 이때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사 영상의 정확한 위치에 가상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2차원 화면에서 가상 객체들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알아내야 하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문제를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의 어떤 지점(예를 들어 가상 객체가 그려 넣어지게 되는 위치)의 3차원 좌표가 필요하며, 이 좌표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이 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renders a virtual image by using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projection method such as a real camera projecting the data modeled in three dimensions in order to match the virtual image to the real image, and then the real image and virtual Shows a composite of the graphics.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has a registration problem of finding out the exact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virtual objects in the 2D screen in order to synthesize the virtual graphic object at the exact position of the live image. To solve this problem,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a point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a virtual object is to be drawn) are required, and this coordinate should be a coordinate value based on a camera.

따라서, 증강 현실 시스템은 카메라의 영상에서 현실 세계의 어떤 지점이나 물체에 대한 카메라의 상대 3차원 좌표를 얻어내야 하는데 3차원 좌표를 얻어내기 위해서 마커(marker)를 이용한다.Therefor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needs to obtain the relati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camera with respect to a certain point or object in the real world in the image of the camera, and uses a marker to obtai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커 인식을 통한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는 소정의 이미지(10), 마커(20), 제1 카메라(100)가 부착된 마이크(미도시), 제2 카메라(200), 노래방 기기(300), 영상 표시 장치(400), 스피커(미도시)를 필요로 한다. Karaoke device that provides a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 through marker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not shown) to which a predetermined image 10, a marker 20, the first camera 100 is attached; , A second camera 200, a karaoke device 300, an image display device 400, and a speaker (not shown) are required.

제1 카메라(100)가 부착된 마이크는 노래 부르는 사람 및 이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microphone to which the first camera 100 is attached serves to collect voices of a singer and a user, and output the collected voices through a speaker.

제1 카메라(100)는 마이크에 부착되어 이동이 자유롭고, 노래방에서 제공하는 노래 선곡 리스트에 표시된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소정의 이미지들 각각은, 제공자 측에서 특정 노래에 대응되도록 정하여 놓은 이미지로서, 예를 들면, 노래의 곡 번호, 노래의 제목, 바코드 또는 마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camera 100 is attached to a microphone, which is free to move, and plays a role of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a song selection list provided by karaoke. Each of the predetermined images is an image set to correspond to a specific song by the provider,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ong number of a song, a title of a song, a barcode, or a marker.

제2 카메라(200)는 영상 표시 장치(400) 위에 위치한 벽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노래방 바닥에 부착된 마커와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camera 200 is attached to a wall locat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to capture a marker and a user who sings on the floor of a karaoke room in real time.

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였지만, 노래방에서 제공하는 노래 선곡 리스트에 표시된 소정의 이미지, 노래방 바닥이나 벽에 부착된 마커, 및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노래방 기기(300) 내에 전송할 수 있으면, 카메라의 형태, 종류 또는 개수에 제한이 없다. Although two cameras ar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a song selection list provided by karaoke, a marker attached to the karaoke floor or a wall, and a user singing a song are photographed to transmit shooting information to the karaoke device 300. If possible,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type or number of cameras.

노래방 기기(300)는 마커 인식부(310), 메모리부(320)와, 검색부(330), 음향 재생부(340), 렌더링부(350), 합성부(360), 조작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karaoke device 300 may include a marker recognition unit 310, a memory unit 320, a search unit 330, a sound reproduction unit 340, a rendering unit 350, a synthesis unit 360, and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so on.

마커 인식부(310)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소정 이미지(10)를 인식하고, 제2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서 마커를 찾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The marker recognition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by wire or wirelessly, recognizes the predetermined image 10 taken by the first camera, and finds a marker in the image taken by the second camera. It has a role to recognize.

메모리부(32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마커 이미지, 반주 정보, 영상 데이터, CPU에 의해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반주 정보는 노래방 반주 음악인 음향 데이터와 노래의 가사로서 상기 소정의 이미지와 대응되어 있고, 영상 데이터는 해당 가수 이미지나 캐릭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The database of the memory unit 320 stores marker images, accompaniment information, image data,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karaoke apparatus by the CPU.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image as sound data and lyric of the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nd the image data includes a corresponding singer image, a character image, or a video.

검색부(330)는 마커 인식부에서 인식된 소정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반주 정보를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매칭되는 반주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archer 330 searches for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mage recognized by the marker recognizer from a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320 to extract mat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음향 재생부(340)는 추출된 반주 정보 중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The sound reproducing unit 340 plays a role of reproducing sound data among the extracted accompaniment information.

랜더링부(350)는 추출된 반주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마커 인식부가 인식한 마커의 위치에 가상 영상을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랜더링이란,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툴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만들고 이것을 영화영상 등에 이용하기 위해서 2차원적 그림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말한다.The rendering unit 350 render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loads the virtual image at the position of the marker recognized by the marker recognition unit. Here, rendering refers to a process of creating a 3D model using a 3D computer graphics tool and converting it into a 2D picture for use in a movie image.

합성부(360)는 상기 가상 영상과,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실제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와 해당 가수가 함께 노래 부르는 듯한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역할을 한다. The synthesizing unit 360 synthesizes the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and authors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seems to be sung by a user and a corresponding singer.

영상 표시 장치(400)는 액정 표시 판넬 이나 CR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400)는 음향 재생부(340)의 반주 정보의 재생에 동기하여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영상 또는 실제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CRT.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serve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 actual image to a us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tion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the sound reproducing unit 340.

조작부(미도시)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includes a keypad, a jog, a dial, and the like, and can be operated by a user.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통해 노래를 선곡하고 노래방 기기를 통해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selecting a song through a user operation and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rough a karaok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노래방에서 제공하는 노래 선곡 리스트 중에서 선곡한다(단계 S10). The user selects from a list of song selections provided by karaoke (step S10).

선곡한 노래를 노래방 기기에 인식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노래방 기기의 조작부를 이용하는 방법과, 선곡한 노래의 소정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Recognizing the selected song to the karaoke device, there is a method for the user to use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or karaoke device, and a method using a predetermined image of the selected song.

리모콘이나 노래방 기기의 조작부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 번호 또는 노래 제목을 리모콘 또는 노래방 기기의 조작부를 직접 조작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다. The method of us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or karaoke apparatus is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a song number or song title selected by the user by directl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or karaoke apparatus.

소정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선곡한 곡의 노래 선곡 리스트에 표시된 소정 이미지를 마이크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소정의 이미지를 마커 인식부로 보내 이미지를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이미지의 인식은 촬영된 소정의 이미지가 메모리부(320)에 기 저장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The method of using a predetermined imag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n image by captur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a song selection list of a song selected by a user with a camera mounted on a microphone and sending the photographed predetermined image to a marker recognition unit. Recogni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image photographed matches with an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검색부는 인식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고(단계 S20). 매칭되는 노래가 검색되면, 검색된 노래의 반주 정보 중 음향 데이터가 음향 재생부로 전송된다.The search unit searches for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ong from the memory (step S20). When a matching song is found, sound data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the found song is transmitted to the sound reproducing unit.

또한, 검색부는 검색된 노래의 반주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S30). In addition, the search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the found song (step S30).

상기 검색된 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래방 기기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증강 현실 영상이 저작된다(단계 S40). 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song is stored in the memory, the augmented reality image using the image data is authored by the karaoke device (step S40).

노래방 기기에서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니터 벽면 위에 부착된 카메라로 노래 부르는 사용자와 바닥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한다. 이 촬영으로 노래 부르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과 마커 이미지가 획득된다. In order to author an augmented reality image in a karaoke device, first, a user who sings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monitor wall and a marker attached to the floor are photographed. This shooting acquires the actual image and the marker image of the user singing.

획득된 마커 이미지는 마커 인식부로 보내져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메모리부(320)에 기 저장된 마커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마커가 인식된다. 마커 인식부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마커 위치 정보에 따라 인식된 마커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The obtained marker image is sent to the marker recognition unit, and the marker is recognized through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y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match the marker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20. The marker recognition unit detect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marker according to the marker posi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상기 검색된 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즉 가수나 캐릭터의 이미지나 동영상이 선택되어 랜더링부에서 랜더링되어 마커의 위치에 가상 영상이 로딩된다. 합성부에서 상기 획득된 가상 영상과 촬영되는 실제 영상이 합성되고(단계 S40), 합성된 영상에 반주 정보의 가사를 삽입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고, 상기 음향 재생부로 보내진 음향 데이터의 재생에 동기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단계 S50). Whe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song is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image data, that is, an image or a video of a singer or a character, is selected and rendered by the rendering unit, and a virtual image is loaded at the position of the marker. The synthesized unit synthesizes the acquired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photographed (step S40), inserts lyrics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into the synthesized image, authors an augmented reality image, and synchronizes the reproduction of the acoustic data sent to the sound reproducing unit. And display on the video display device (step S50).

상기 검색된 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합성부에서 촬영되는 실제 영상 영상에 반주 정보의 노래 가사를 삽입하여, 상기 음향 재생부로 보내진 음향 데이터의 재생에 동기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단계 S60). I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song is not stored in the memory, the song lyrics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actual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synthesis unit, and the image is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sound data sent to the sound reproduction unit. It is displayed on the device (step S60).

사용자는 노래 부르는 동안 가수나 캐릭터와 함께 노래 부르는 듯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곡이 변경되면 대응하는 캐릭터나 가수도 바뀌게 되므로 하나의 마커를 통해 다양한 캐릭터로의 변환 효과가 있다. The user can watch an image as if singing with a singer or a character while singing. When a song is changed,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singer is also changed, and thus, a single marker has a conversion effect to various characters.

상기의 마커에 추가하여, 제2 마커, 제3의 마커 등을 부착하여 증강 현실 영상에 다양한 배경, 폭죽 영상, 비누 방울 영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제2 마커, 제3 마커는 노래 각각에 매칭되도록 할 수도 있고, 노래 장르에 매칭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가수별로 매칭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추가의 마커들을 노래방 벽이나 바닥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만들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마커 제공자는 각 마커 이미지와 이 마커 이미지에 대응하는 효과 영상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어야 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markers, a second marker, a third marker,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produce various effects such as various backgrounds, firecracker images, and soap bubble images i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may be matched to each song, may be matched to a song genre, or may be matched for each singer. Alternatively, additional markers may be made detachable to the karaoke wall or floo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t this time, the marker provider should store in advance a memory image with each marker image and an eff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mage.

이하에, 사용자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마커를 추가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marker whic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a user is further used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먼저, 사용자는 증강 현실 영상에 추가하고 싶은 영상, 예컨대 오르간 및 폭죽이 터지는 영상에 대응하는 마커들을 선택하여, 제2 카메라의 촬영 범위 안에 추가로 선택한 마커들을 위치시킨다. First, the user selects markers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added to the augmented reality image, for example, an organ and a firecracker popping image, to place additionally selected markers within a shooting range of the second camera.

다음, 사용자는 노래를 선곡하여 노래방 장치에 직접 입력하거나, 소정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래방 기기에 인식시켜 노래의 반주를 재생시킨다. 선곡된 노래의 반주가 재생되고, 이에 동기하여, 선택한 곡의 가수와 오르간을 연주하며 노래 부르는 사용자의 모습과 함께 폭죽이 터지는 듯한 영상이 영상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Next, the user selects a song and inputs it directly into the karaoke apparatus, or recognizes the karaoke apparatus using a predetermined image to play back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The accompaniment of the selected song is reproduced, 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is, an image of a popping firecracker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screen along with the singer of the selected song and the user playing the organ and singing.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마커를 이용한 노래 선곡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aratuses by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using the markers described above by using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ing them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embedded in each reproduction apparatus, or an external optical disk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a memory stick, have.

이 경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노래방 바닥 또는 벽면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마커 이미지를 노래방 장치가 인식하게 하는 마커 인식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검색 단계;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가상 영상을 인식된 마커 위치상에 로딩하는 랜더링 단계; 카메라에 의해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과 상기 랜더링된 가상 영상을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에 반주 정보의 가사를 삽입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합성 단계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marker recognition step of allowing the karaoke apparatus to recognize the marker image in the captured image by photographing the marker attached to the floor or wall of the karaoke using a camera; A search step of sear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from a memory; A rende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i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exists, rendering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and loading the virtual image on the recognized marker position; Can be programmed to perform a synthesis step of real-time shooting of a user singing by a camera, synthesizing the actual image being photographed with the rendered virtual image, and inserting lyrics of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to the synthesized image to author the augmented reality image. hav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이용하여 노래방 사용자가 선곡하여 반주를 재생할 때 노래의 곡 번호나 제목을 수동 입력하지 않고 이미지를 촬영하여 반주를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노래 부르는 동안 가상의 가수나 캐릭터 또는 다양한 효과를 주는 증강 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When the karaoke user selects and plays back the accompanimen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manually enter a song number or title of the song to play the accompaniment by photographing and playing the accompaniment.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provides an effect may be provided to a user to induce interest of the user.

300 : 노래방 기기
310 : 마커 인식부
320 : 메모리부
330 : 검색부
340 : 음향 재생부
350 : 렌더링부
360 : 합성부
400 : 영상 표시 장치
300: Karaoke device
310: marker recognition unit
320: memory unit
330: search unit
340: sound playback unit
350: renderer
360: synthesis unit
400: video display device

Claims (13)

노래방에서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의 바닥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하여 얻은 마커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마커 인식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에 상기 가상 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랜더링부;
상기 가상 영상과 실시간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합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 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추가 마커가 인식되면, 상기 합성부가 상기 증강 현실 영상에 상기 추가 마커에 대응되는 효과 영상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In the karaoke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in the karaoke,
A mark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marker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mark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karaoke;
A search unit for sear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A rendering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image by rendering the image data and loading the virtual image at a position of the recognized marker;
Synthesis unit for author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by synthesizing the virtual image and the real image of the user taken by the camera in real time
Including;
When the additional marker selected by the user and detachable by the marker recognition unit is recognized, the synthesis uni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im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synthesizing the eff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marker to the augmented reality image Karaok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이미지와, 각각의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를 노래방 장치에 입력하게 하는 조작부;
상기 검색된 반주 정보의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음향 재생부;
상기 합성부에서 저작된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marker image,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ng;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song selected by a user into a karaoke device;
A sound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sound data of the retrieved accompaniment informatio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authored by the synthesis unit
Karaoke device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부는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곡 이미지를 더 인식하고,
상기 곡 이미지는 제공자 측에서 반주 정보에 대응되도록 정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해 둔 이미지로서, 노래의 곡번호, 노래의 제목, 바코드 또는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marker recognizing unit further recognizes a so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The song image is an imag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by determining that the song image corresponds to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ncludes a song number of a song, a title of a song, a barcode or a mark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이미지는 가상의 영상이 로딩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The karaok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rker image has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virtual image is load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 정보는 노래방 반주 음악인 음향 데이터와 가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해당 가수 이미지나 캐릭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cludes sound data and lyrics that are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nd the image data includes a singer image, a character image, or a video. . 노래방에서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상기 노래방의 바닥에 부착된 마커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마커 이미지를 노래방 장치가 인식하여 마커 위치를 확인하는 마커 인식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가상 영상을 생상하고 생성된 가상 영상을 상기 인식된 마커 위치상에 로딩하는 랜더링 단계;
카메라에 의해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과 상기 랜더링된 가상 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저작하는 합성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 인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추가 마커가 인식되면, 상기 합성 단계에서 상기 증강 현실 영상에 상기 추가 마커에 대응되는 효과 영상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in the karaoke,
A marker recognition step of confirming a marker position by recognizing a marker image in a captured image by photographing a mark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karaoke with a camera;
A search step of searchi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Checking whether there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if there is corresponding image data, rendering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to generate a virtual image and loading the generated virtual image on the recognized marker position. A rendering step;
A synthetic step of author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by real-time shooting a user singing by a camera, synthesizing the actual image being photographed and the rendered virtual image
Including;
In the marker recognition step, if an additional marker selected and detachable by the user is recognized, an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synthesizing an eff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marker wit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 the synthesis step.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반주 정보의 음향 데이터를 음향 재생부로 보내 재생하는 음향 재생 단계;
상기 합성 단계에서 저작된 증강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로 보내, 상기 음향 재생 단계와 동기하여 표시하는 영상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ound reproduction step of sending sound data of the retrieved accompaniment information to a sound reproduction unit for reproduction;
The image reproducing step of sending the augmented image authored in the synthesizing step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ound reproducing step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를 리모컨 또는 노래방 장치의 조작부를 통해 노래방 장치에 입력하는 입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put step of inputting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to the karaoke devic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or karaoke device before the search step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응하는 곡 이미지를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획득된 이미지를 마커 인식부로 보내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와 매칭하는 과정을 통해 노래방 장치가 인식하게 하는 인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song image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before the searching step;
Recognition step of sending the acquired image to the marker recognition unit to recognize the karaoke device by matching the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tha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에 의해 노래 부르는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여,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반주 정보의 가사를 삽입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does not exist, real-time recording of the user singing by the camera, inserting the lyrics of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to the actual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마커는 상기 선곡된 노래의 장르 또는 가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ditional marker corresponds to a genre or a singer of the selected song. 제6항 내지 제10항 및 제12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and 12.
KR1020100118062A 2010-11-25 2010-11-25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KR101295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62A KR101295862B1 (en) 2010-11-25 2010-11-25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62A KR101295862B1 (en) 2010-11-25 2010-11-25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89A KR20120056489A (en) 2012-06-04
KR101295862B1 true KR101295862B1 (en) 2013-08-12

Family

ID=4660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62A KR101295862B1 (en) 2010-11-25 2010-11-25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59B1 (en) * 2014-07-16 2015-01-29 김진갑 Karaoke System to improve the immersion.
WO2018004232A1 (en) * 2016-06-28 2018-01-04 주식회사 카이비전 Augmented reality system linked to external content player
KR102028139B1 (en) * 2019-03-29 2019-10-04 주식회사 스탠스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augmented rea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308A (en) * 2004-04-28 2005-11-04 주식회사 다림비젼 3d virtual studio karaoke
KR100677502B1 (en) * 2006-01-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compo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106676A (en) * 2007-06-04 2008-12-0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nging room service
KR100957189B1 (en) * 2008-02-13 2010-05-11 광주과학기술원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simple frame marker, and method therefor, and the recording media stor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308A (en) * 2004-04-28 2005-11-04 주식회사 다림비젼 3d virtual studio karaoke
KR100677502B1 (en) * 2006-01-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compo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106676A (en) * 2007-06-04 2008-12-0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nging room service
KR100957189B1 (en) * 2008-02-13 2010-05-11 광주과학기술원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simple frame marker, and method therefor, and the recording media stor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89A (en)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86B1 (en) Karaoke system and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karaoke service method thereof
KR102028139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augmented reality
JP2015520403A (en) Karaoke dancing game
JP4981370B2 (en) Movie generation system and movie generation method
JP2016119600A (en) Editing device and editing method
KR20120119725A (en) Video object detecting apparatus, video object d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295862B1 (en)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KR101414217B1 (en) Real time image synthesis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method
KR101267247B1 (en) Karaoke apparatus and karaoke servi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marker-based
GB2288109A (en) Karaoke apparatus having video mixer of main and insert pictures
JP2017005371A (en) Coaction video presentation device and coaction video presentation system
JP2012198380A (en) Display control device
KR20170075321A (en) Karaoke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JP6058991B2 (en) Singing video selection system corresponding to singing voice
JP6313003B2 (en) Karaoke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JP5310682B2 (en) Karaoke equipment
JP5550593B2 (en) Karaoke equipment
JP2011053276A (en) Karaoke system including background image variable display function
JP6110731B2 (en) Command input recognition system by gesture
JP5772124B2 (en) Karaoke equipment
CN113259778A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using virtual character for automatic video production
JP2011053345A (en) Karaoke system including stereoscopic display function of lyric character
JP6121139B2 (en) Singing voice selection system for karaoke singing video
JP6544147B2 (en) Singing animation creation device and singing animation creation system
JP2014186155A (en) Portable terminal,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server, and image brow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