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736B1 -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736B1
KR101295736B1 KR1020120008694A KR20120008694A KR101295736B1 KR 101295736 B1 KR101295736 B1 KR 101295736B1 KR 1020120008694 A KR1020120008694 A KR 1020120008694A KR 20120008694 A KR20120008694 A KR 20120008694A KR 101295736 B1 KR101295736 B1 KR 10129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management
evaluation
area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묵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 경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혁신활동의 주체로서의 디자인의 역할을 위주로 평가 요소를 구성하고, 특히 각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그 평가항목 간에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둠으로써, 객관적인 디자인 경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소기업의 기업환경에서 디자인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소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중소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아가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확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DESIGN MANAGEMENT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자인 경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각 요인 간의 가중치를 설정한 다음 그 결과를 요인별 연산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객관화된 디자인 경영평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경영"이란 디자인 문제를 정의하고, 가장 적합한 디자이너를 찾아내어 주어진 시간과 예산의 범위 내에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디자인 경영의 개념변화는, 1960년대에 들어 산업 디자인 실무를 관리하는 활동을 시작으로 하여 1970년대에는 제품의 포장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기업 디자인의 조직적인 경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최고 경영자의 사상 기업의 경영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디자인 경영에 대하여 수치화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그 일예로서 디자인 경영 진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진단 시스템은, 디자인 경영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외생 변수수단을 통해 외생 변수 정보를 생성하고, 디자인 전략수단을 통해 디자인 전략 정보를 생성하며, 디자인 관련체계수단을 통해 디자인 관련체계 정보를 생성하고, 디자인 개발과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개발 과정 정보를 생성하며, 디자인 통제수단을 통해 디자인 통제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수단을 통해 상기 외생 변수 정보, 디자인 전략 정보, 디자인 관련체계 정보, 디자인 개발 과정 정보, 및 디자인 통제 정보들을 취합하여 사용자서버로 전송하는 디자인 진단 서버; 및 점수화 수단이 상기 외생 변수 정보, 디자인 전략 정보, 디자인 관련체계 정보, 디자인 개발 과정 정보, 및 디자인 통제 정보들을 전송받아, 디자인전략DB로부터 색인한 점수 정보와 각각 매칭시켜 외생변수 점수 정보, 디자인 전략 점수 정보, 디자인 관련체계점수 정보, 디자인 개발 과정 점수 정보, 및 디자인 통제 점수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생 변수수단은, 고객들이 선호하는 아이템(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변화여부, 고객들이 선호하는 요소(스타일, 색상 등)의 변화 여부, 신규 업체 및 신규 브랜드 등장여부, 제품의 수명주기, 유행 또는 트렌드 변화여부, 경쟁사의 신제품 출시 빈도수, 정부 정책, 및 상급기관 정책 변동여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외부변화 예측정보를 수집하고, 생상단가를 위한 공장 해외이전, 저임금화 전략, 대량생산을 통한 원가절감 전략, 저렴한 원부자재 확보전략, 신제품의 개발 및 출시전략, TV, 라디오, 신문, 잡지를 포함하는 광고 마케팅전략, 및 제품 판촉 전략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기업전략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외부변화 인식정보 및 기업전략정보 각각의 정보들을 기 설정된 순위화 변수에 부합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외생 변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디자인경영은 디자인을 활용하여 기업의 경영목표를 이루려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과정에서 디자인 경영의 평가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기준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진단시스템은 일반적인 디자인경영의 평가지표로 디자인 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수익이 얼마나 창출되었는가를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디자인 활동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 즉, 기존의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은 디자인 진단을 위한 모든 진단요소들을 동일한 중요도(가중치가 없음)로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실질적인 디자인 평가에 대한 정량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3941호(등록일자 2011년06월17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자인 경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혁신활동의 주체로서의 디자인의 역할을 위주로 평가 요소를 구성하고, 특히 각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그 평가항목 간에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둠으로써, 객관적인 디자인 경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소기업의 기업환경에서 디자인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소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중소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아가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확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은, 서버와 복수의 평가자가 각각 이용하는 개인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에 있어서, 각 개인 단말기로 1)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요소와 디자인 경영의 활용 요소 그리고 디자인 인프라 요소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영역, 2)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연구/개발 요소 및 생산/제조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영역, 3)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브랜드 관리 요소와 광고/홍보 및 유통 체계요소를 포함하는 마케팅영역, 그리고 4)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디자인 프로세스 요소 그리고 디자인 혁신 요소를 평가하는 디자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입력받는 제1단계; 개인 단말기로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된 상기 기술영역과 마케팅 영역 그리고 디자인 영역 및 각 요소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업환경영역 및 상기 연산된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면서 각 개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기업환경영역에서, 상기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는 경영진의 디자인 이해 항목과 디자인 활동에 대한 지원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자인 경영의 활용은, 지적재산권의 활용항목, 구성원들의 디자인경영 비전 항목 그리고 경영진의 디자인 관리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자인 인프라는, 디자인 조직 항목과 디자인 인프라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영역에서, 연구/개발요소는 R&D 항목과 기술적 인프라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생산/제조요소는 생산/제조 능력 항목과 생산/제조 관리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영역에서, 상기 브랜드 관리 요소는, 기업 브랜드에 대한 평가 항목, 브랜드관리의 효율성 항목 그리고 시장에서 제품의 차별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 광고/홍보 및 유통 체계요소는, 개발제품의 판매, 광고, 유통 항목과 제품의 시장진출 적극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자인 영역에서, 상기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는, 디자인 개발자원 관리 항목과 디자인 진행관리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자인 프로세스 요소는, 디자인 일정 관리 항목, 디자인 진행의 유연성 항목과 디자인의 변수요인 분석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자인 혁신 요소는, 디자인 적절성 및 시장 경쟁력 항목과 디자인의 지속가능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요소 및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아래의 [표 1]와 같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가요소 가중치 평가항목 가중치
연구개발 0.8285 R&D 0.6984
기술적 인프라 0.3016
생산/제조 0.1715 생산/제조능력 0.2976
생산/제조관리 0.7024
브랜드관리
0.5831
기업 브랜드에 대한 평가 0.1276
브랜드관리의 효율성 0.3208
시장에서 제품의 차별성 0.5516
광고/홍보 및 유통체계 0.4169
개발제품의 판매, 광고, 유통력 0.6224
제품의 시장진출에 대한 적극성 0.3776
디자인조직 및 환경 0.3806
디자인 개발지원 관리 0.6645
디자인 진행관리 0.3355

디자인 프로세스
0.1827
디자인 일정관리 0.1489
디자인 진행의 유연성 0.4944
디자인의 변수요인에 대한 분석 0.3567
디자인의 혁신성
0.4367
디자인의 적절성 및 시장에서의 경쟁력 0.5462
디자인의 지속가능성 0.4538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은, 1)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요소와 디자인 경영의 활용 요소 그리고 디자인 인프라 요소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영역, 2)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연구/개발 요소 및 생산/제조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영역, 3)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브랜드 관리 요소와 광고/홍보 및 유통 체계요소를 포함하는 마케팅영역, 그리고 4)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디자인 프로세스 요소 그리고 디자인 혁신 요소를 평가하는 디자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개인 단말기; 및 개인 단말기로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된 상기 기술영역과 마케팅 영역 그리고 디자인 영역 및 각 요소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하고, 기업환경영역 및 상기 연산된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면서 상기 각 개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그래프로 보여주도록 전송시켜 주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디자인경영을 기업의 혁신활동의 가치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경영을 기업환경·디자인·기술 그리고 마케팅의 영역으로 구분한 다음, 이에 따르는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여 평가함에 있어서 가중치를 두어 조사에 따른 편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경영 평가에 따른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특히, 가중치는 사전평가를 통해 얻어진 것을 평가결과에 반영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에 따른 평과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3) 평가결과는 평가대상기업의 디자인경영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뿐만 아니라 각 평가요인들 간의 균형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하여 향후 조사 대상 업체의 디자인경영의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4) 평가대상기업에서는 필요한 항목에 대한 입력만을 통하여 디자인 경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경영의 효율성 제고의 측면과 아울러 실질적인 디자인 경영 컨설팅이나 평가대상기업의 자가진단의 일환으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영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항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영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평가항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은 서버와 평가자들이 이용하는 개인 단말기 사이에서 다음과 같이 3단계에 따라 수행된다. 여기서, 개인단말기란 개인용 컴퓨터라든가 스마트폰, 노트북, PDA와 같은 개인단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버는 이러한 복수의 개인단말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디자인 경영을 평가하기 위한 중앙서버를 의미한다.
제1단계는 디자인 경영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자들이 필요한 평가영역에 따른 평가요소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평가영역은 크게 1) 기업환경 영역, 2)기술영역, 3)마케팅영역, 그리고 4)디자인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평가영역의 구분은, 기업의 전략적으로 널리 행하여지는 변화(Change)와 혁신(Innovation) 중에서, 단순하게 새로운 것으로 바꾸는 활동인 변화와 다른 새로운 가치(Value)를 창출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가치 창출 활동'인 혁신에 촛점을 맞춰서 분류한 것이다.
이러한 각 평가영역은 다시 세분화하여 각각의 평가요소로 구분되며, 각각의 평가요소별로 각각 2~3개의 평가항목으로 나뉜다. 아래의 [표 2]는 이러한 평가영역에 따른 평가요소와 그 평가항목으로 분리하여 구분한 표이다.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항목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경영진의 디자인 이해
디자인 활동에 대한 지원
디자인경영 활용 지적재산권의 활용
구성원들의 디자인경영 비전
경영진의 디자인 관리
디자인 인프라 디자인 조직
디자인 인프라



연구/개발 R&D
기술적 인프라
생산/제조 생산/제조능력
생산/제조 관리





브랜드관리
기업 브랜드에 대한 평가
브랜드관리의 효율성
시장에서 제품의 차별성
광고 /홍보 및 유통체계 개발제품의 판매, 광고, 유통
제품의 시장진출 적극성




디자인조직 및 환경 디자인 개발자원 관리
디자인 진행관리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일정관리
디자인 진행의 유연성
디자인의 변수요인 분석
디자인 혁신성 디자인 적절성 및 시장 경쟁력
디자인의 지속가능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평가자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입력시켜 주는 항목은 상기 각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요소만 입력하여도 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 평가요소별로 구획된 평가항목을 모두 입력하게 하여 디자인 경영에 따른 평가 오차를 줄이면서도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좋다.
제2단계는 상기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에 각각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술한 4개의 평가요소 중에서 기업환경에 대한 평가요소에는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는다. 이는 기업환경의 경우 기술이나 마케팅 그리고 디자인과 같이 주관적으로 판단할 우려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가중치의 적용은 연산이 이루어지는 평가요소 및 해당 평가항목별로 미리 서버에 설정값을 저장시켜 놓고 사칙연산 등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서, 각각의 평가영역과 각각의 평가항목의 설정값을 미리 "1"의 값으로 두고, 해당 평가영역이나 평가항목에서 질의한 내용에 답하거나 체크 등을 하게 되면 이 설정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각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평가항목별로 연산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개 중에서 골라야 하는 경우 각각의 선택지에 서로 다른 설정값을 미리 서버에 입력시켜 놓고, 선택한 선택지의 설정값과 가중치를 곱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중치는 4개 평가영역(기업환경 영역, 기술영역, 마케팅영역, 디자인영역)과 이에 따르는 10개의 평가요소(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디자인경영의 활용, 디자인 인프라, 연구/개발, 생산/제조, 브랜드 관리, 광고, 홍보 및 유통체계, 디자인 조직 및 환경, 디자인프로세스, 디자인의 혁신성)과 평가항목간의 요소들을 비교하여 가중치 추출하기 위한 선행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 계층분석 방법 중의 하나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선행 평가 시 항목간의 비교에 사용된 9점 척도 상대비교의 기준은 다음의 [표 3]와 같다.
중요도 정 의 설 명
1 동등함(Equal importance) 어떤 기준에 대하여 두 활동이 비슷한 공헌도를 가진다고 판단됨
3 약간 중요함(Moderate Importance)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약간 선호됨
5 중요함(Strong Importance)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강하게 선호됨
7 매우 중요함(Very Importance)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매우 강하게 선호
9 극히 중요함(Extreme Importance)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극히 선호됨
2,4,6,8 위 값들의 중간 값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비교 값이 위 값들의 중간 값에 해당한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함
이와 같이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평가항목 및 이에 따르는 평가내용에 대한 조사의 결과를 AHP기법을 통하여 각각의 중요도와 상관관계에 따르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얻어진 가중치는 다음의 [표 4]과 같다.
평가요소 가중치 평가항목 가중치
연구개발 0.8285 R&D 0.6984
기술적 인프라 0.3016
생산/제조 0.1715 생산/제조능력 0.2976
생산/제조관리 0.7024

브랜드관리

0.5831
기업 브랜드에 대한 평가 0.1276
브랜드관리의 효율성 0.3208
시장에서 제품의 차별성 0.5516
광고/홍보 및 유통체계 0.4169
개발제품의 판매, 광고, 유통력 0.6224
제품의 시장진출에 대한 적극성 0.3776
디자인조직 및 환경 0.3806 디자인 개발지원 관리 0.6645
디자인 진행관리 0.3355

디자인 프로세스

0.1827
디자인 일정관리 0.1489
디자인 진행의 유연성 0.4944
디자인의 변수요인에 대한 분석 0.3567
디자인의 혁신성 0.4367 디자인의 적절성 및 시장에서의 경쟁력 0.5462
디자인의 지속가능성 0.4538
이와 같이 각 평가요소와 평가항목별로 얻어진 가중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경영을 평가시 그 해당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에 각각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연산하여 그 연산결과를 얻게 된다.
제3단계는 제1단계에서 얻은 기업환경영역의 입력값과 제2단계에서 연산된 결과를 개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출력은 표라든가 그래프 또는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평가항목별로 구분하여 각 분류대로 하나의 그래프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각 그래프만을 보면서 시각적으로도 쉽게 비교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에 따라 얻어진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평가영역에 따른 결과 분석으로 기업환경과 마케팅 영역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나 디자인에 대한 부분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세부요인에 대한 사항은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의 분석에서 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도 2는 평가요소의 분석결과로서, 평가요소에 가중치와 연산된 결과를 분석하면 경영진의 높은 디자인마인드와 광고/홍보 및 유통체계로 나타나고 있으며 약점으로는 디자인에 대한 인프라와 브랜드관리 그리고 디자인 조직 및 환경에 대한 부분과 디자인의 혁신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 3은 평가항목의 분석결과로서, 경영진과 구성원들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디자인 조직은 갖추어져 있으나 시장에서의 제품차별성이 없고 브랜드에 대한 평가도가 낮고 디자인의 적절성 및 시장경쟁력의 요인이 낮게 나타나며, 그 원인으로 디자인 개발 자원관리나 진행 및 일정관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기업이 중점적으로 디자인경영과 관련하여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으로는 디자인조직에 대한 투자와 병행하여 시장경쟁력과 적절성을 갖춘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 가능성이 높은 디자인을 제품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디자인 경영 평가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경영평가방법이 탑재된 서버 및 평가자가 각각 이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평가항목과 평가요소 그리고 평가영역을 입력하기 위한 개인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자인 경영 평가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개인 단말기는 평가자가 디자인 경영에 필요한 사항, 즉 대분류로서 4개의 평가영역, 각 평가영역별로 2~3개의 평가요소 그리고 각 평가요소별로 2~3개의 평가항목을 입력받아 서버로 출력한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가중치를 연산한 다음 그 결과를 저장하면서 개인단말기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헌 연산 및 출력 과정은 상기 디자인 경영 평가 시스템에서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디자인 경영의 혁신에 필요한 평가영역을 대분류로 분류하고, 각 평가영역마다 적절한 평가요소로 분류한 다음 각 평가요소마다 다시 평가항목으로 구분하고, 디자인 경영 평가시 이들 평가영역과 평가요소 그리고 평가항목마다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평가결과에 대하여 편차를 줄이면서도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평가방법을 중소기업 등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환경에서 디자인경영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확산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서버와 복수의 평가자가 각각 이용하는 개인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에 있어서,
    각 개인 단말기로 1)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요소와 디자인 경영의 활용 요소 그리고 디자인 인프라 요소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영역, 2)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연구/개발 요소 및 생산/제조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영역, 3)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브랜드 관리 요소와 광고/홍보 및 유통 체계요소를 포함하는 마케팅영역, 그리고 4)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디자인 프로세스 요소 그리고 디자인 혁신 요소를 평가하는 디자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입력받는 제1단계;
    개인 단말기로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된 상기 기술영역과 마케팅 영역 그리고 디자인 영역 및 각 요소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업환경영역 및 상기 연산된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면서 각 개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영역에서,
    상기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는, 디자인 개발자원 관리 항목과 디자인 진행관리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자인 프로세스 요소는, 디자인 일정 관리 항목, 디자인 진행의 유연성 항목과 디자인의 변수요인 분석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자인 혁신 요소는, 디자인 적절성 및 시장 경쟁력 항목과 디자인의 지속가능성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
  6. 서버와 복수의 평가자가 각각 이용하는 개인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에 있어서,
    각 개인 단말기로 1)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경영진의 디자인 마인드 요소와 디자인 경영의 활용 요소 그리고 디자인 인프라 요소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영역, 2)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연구/개발 요소 및 생산/제조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영역, 3)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브랜드 관리 요소와 광고/홍보 및 유통 체계요소를 포함하는 마케팅영역, 그리고 4)각각의 평가항목들을 갖는 디자인 조직 및 환경 요소·디자인 프로세스 요소 그리고 디자인 혁신 요소를 평가하는 디자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입력받는 제1단계;
    개인 단말기로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된 상기 기술영역과 마케팅 영역 그리고 디자인 영역 및 각 요소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업환경영역 및 상기 연산된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면서 각 개인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소 및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아래의 표
    Figure 112013042292209-pat00001

    와 같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경영 평가방법.

  7. 삭제
KR1020120008694A 2012-01-30 2012-01-30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KR10129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94A KR101295736B1 (ko) 2012-01-30 2012-01-30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94A KR101295736B1 (ko) 2012-01-30 2012-01-30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736B1 true KR101295736B1 (ko) 2013-08-12

Family

ID=4922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94A KR101295736B1 (ko) 2012-01-30 2012-01-30 디자인 경영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7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521A (ja) * 2003-06-12 2005-01-06 Hitachi Ltd 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00122342A (ko) * 2009-05-12 2010-11-22 김호곤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521A (ja) * 2003-06-12 2005-01-06 Hitachi Ltd 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00122342A (ko) * 2009-05-12 2010-11-22 김호곤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디자인 경영 KSF 성과측정 연구(부경대학교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 최우석, 2007.8월 발행) *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디자인 경영 KSF 성과측정 연구(부경대학교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 최우석, 2007.8월 발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zad et al. COVID-19 impact on e-commerce usage: An empirical evidence from Malaysian healthcare industry
Huang et al. Reverse logistics innovation, institutional pressures and performance
Brandon-Jones et al. The impact of supply base complexity on disruptions and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s of slack and visibility
Aguezzoul et al. 3PL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lection: a MCDM method
Rodríguez-Domínguez et al. Explanatory fac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vers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Czekster et al. Selec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oftwar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Reichstein et al. Last among equals: a comparison of innovation in construction, services and manufacturing in the UK
Battistoni et al.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operations management practices on performance
Bolton Commentary: future directions of the service discipline
Pandey et al. Supply chain risks in Industry 4.0 environment: review and analysis framework
Cao et al. Customer demand prediction of service-oriented manufacturing incorporating customer satisfaction
Chin et al. Does gender divers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 and performance in the 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s industry?
Jeon et al. Measuring efficiency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PM): A three-stag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pproach
Shafiei-Monfared et al. A novel approach for complexity measure analysis in design projects
Ramanathan et al. How selection of collaborating partners impact on the green performance of global businesses? An empirical study of green sustainability
Zhao et al. Modelling enablers for building agri-food supply chain resilience: insights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f Argentina and France
Mehralian et al. Investigat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Marketing and Marketing Intelligence and Their Effect on Business Strategy
Agyemang et al. Determining and evaluating socially sustainable supply chain criteria in agri-sector of developing countries: insights from West Africa cashew industry
Paulino Amplify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om business intelligence: Business analytics implementation in the retail industry
Lee et al. Moder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respon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leadership and green competitiveness
Simsek et al. An application of network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fuzzy data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cargo sector
Hatta et al. Business Intelligence System Adoption Model for SMEs.
Perera et al.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in supply chain
Dror Linking operation plans to business objectives using QFD
Bhalaji et al.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evaluating risks in a collaborative supply chain of the medical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