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6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269B1
KR101295269B1 KR1020060078284A KR20060078284A KR101295269B1 KR 101295269 B1 KR101295269 B1 KR 101295269B1 KR 1020060078284 A KR1020060078284 A KR 1020060078284A KR 20060078284 A KR20060078284 A KR 20060078284A KR 101295269 B1 KR101295269 B1 KR 10129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entry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316A (ko
Inventor
류기선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269B1/ko
Priority to PCT/KR2007/002360 priority patent/WO2007133034A2/en
Priority to CN2007800257038A priority patent/CN101543002B/zh
Priority to CA2651868A priority patent/CA2651868C/en
Priority to US12/300,633 priority patent/US8311011B2/en
Priority to US12/446,335 priority patent/US8538432B2/en
Publication of KR2008001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진입에 관한 것으로, 보다 네트워크로의 진입 지연을 개선한 네트워크 진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망 진입(network entry)을 수행하는 방법은 특정한 제1 값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 특정한 제2 값으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78284
BWA, 레인징, 백오프, 백오프 윈도우, 모드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Method for performing a network entr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 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의 초기 레인징 시에 랜덤 백오프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기지국 재시작 시 이동단말이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5는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를 다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진입에 관한 것으로, 보다 네트워크로의 진입 지연을 개선한 네트워크 진입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단말간의 점대다중점(Point-to-Multipoint) 연결을 위한 매체접속제어(MAC)계층과 물리(PHY)계층의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는 도 1과 같으며, MAC계층의 가장 상위부는 서비스 수렴 부계층으로서 상위의 다양한 핵심망의 패킷 데이터를 MAC 규격에 따른 공통의 PDU 형식으로 변환하고 그 해당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이동 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종래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OFDMA 방식에서 이동단말의 초기화 시에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S201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MS)이 최초 전원을 켜면, 하향 채널을 검색하고 상향링크/하향링크 맵 메시지(UL-MAP/DL-MAP)와 상향링크/하향링크 채널 서술자(UCD: Uplink Channel Descriptor/DCD: 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지국(BS)과의 동기(Synchronization)를 획득한다.
이하, S202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이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 구간의 할당 정보가 포함된 상향링크 맵 메시지(UL-MAP)를 수신하면, 초기 레인징 코드(initial ranging code)들 가운데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향링크의 초기 레인징 구간을 사용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다.초기 레인징 코드를 수신한 기지국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시간 오프셋, 주파수 오프셋 및 전력 오프셋 등의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 값을 이동단말에게 알려주고, 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위와 같은 레인징 코드 및 레인징 응답 메시지(RNG-RSP) 교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레인징 응답 메시지(RNG-RSP)에 success 코드를 해당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이때, 기지국은 이동단말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이동단말에게 특정 상향링크 맵 정보요소(즉, CDMA Allocation UL-MAP IE)를 통해 비 경쟁 기반의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이동단말은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자신의 MAC 주소가 포함된 레인징 요청 메시지(RNG-REQ)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Basic 연결 식별자(Basic CID: Connection ID)와 Primary 관리 연결 식별자(Primary CID)를 할당하기 위한 레인징 응답 메시지(RNG-RSP)를 전송한다.
이하, S203 단계를 설명한다.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Basic 연결 식별자와 Primary 연결 식별자를 할당받은 이동단말은 기지국과 기본성능(Basic capability)협상을 위하여 SBC-REQ(SS Basic Cap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SBC-RSP(SS Basic Capabilit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하, S204 단계를 설명한다.
SBC-RSP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인증 및 키 교환 절차 수행을 위한 PKM-REQ(Privacy Key Management Request), PKM-RSP(Privacy Key Management Response) 메시지를 기지국과 교환한다.
이하, S205 단계를 설명한다.
PKM-REQ, PKM-RSP 메시지를 교환하여 이동단말과 기지국의 인증 및 키 교환 절차가 완료되면, 이동단말은 REG-REQ(Registration Request)와 REG-RSP(Registration Response) 메시지를 기지국과 교환함으로써 기지국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 S206 단계를 설명한다.
REG-REQ, REG-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등록 절차를 완료한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망에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 흐름(Provisioned Service Flow)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Provisioned Service Flow는 기지국이 서비스 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SA-REQ(Dynamic Servic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단말이 이에 대한 응답으로 DSA-RSP(Dynamic Service Addition Response)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수행된다. 미리 정의된 Provisioned Service Flow 연결들의 설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초기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완료하고 정상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단말이 망에 최초 접속하기 위한 초기 레인징을 수행할 때, 이동 단말들의 동시 접속으로 인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 시 랜덤 백오프 방식을 사용한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를 통해 하기 표 1과 같은 초기 레인징 백오프 시작 파라미터(Initial_ranging_backoff_start)와 초기 레인징 백오프 종료 파라미터(Initial_ranging_backoff_end)를 이동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초기 레인징 수행 시 적용해야 하는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단말은 초기 레인징 백오프 시작 값 내에서 랜덤하게 백오프 값을 선택하여 최초의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고, 레인징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지수적으로 백오프 윈도우 값을 증가시켜 레인징 코드 재 전송을 시도한다. 이동단말은 이와 같은 과정을 초기 레인징 백오프 종료 값에 이를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레인징 코드 재 전송을 시도한다.
하기 표 1은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시작 파라미터와 초기 레인징 백오프 종료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 시 백오프 윈도우의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사용된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Initial_ranging_backoff_start 198 1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Values of n range 0-15 (the highest order bits shall be unused and set to 0)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Initial_ranging_backoff_end 199 1 Fin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Values of n range 0-15 (the highest order bits shall be unused and set to 0)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도 3은 이동 단말의 초기 레인징 시에 랜덤 백오프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 과정에서 초기 레인징 백오프 값을 13으로 설정했을 때, 이동단말이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단, 이동단말이 초기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 내에서 백오프 값을 임의로 선택하므로 표 1의 초기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는 13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함.)
도 3과 같이 이동단말이 초기 레인징 백오프 값으로 13을 선택한 경우, 14번째 상향링크 레인징 슬롯에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 위와 같이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레인징 슬롯을 이동단말이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내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여러 이동단말들이 동시에 레인징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기지국이 정상동작 중 재시작 되는 경우에 이동단말들이 이를 인식하고 기지국으로 초기 망 진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기지국 재시작 횟수를 하향링크 채널 식별자(DCD)를 통해 이동단말에게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판단하여 초기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하기 표 2는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D) 메시지에 포함되는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파라미터의 일례이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variable length) PHY scope
BS Restart Count 154 1 The value is incremented by one whenever BS restarts (see 6.3.9.11). The value rolls over from 0 to 255. All
기지국은 재시작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표 2와 같은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파라미터 설정 값을 1 씩 증가시키고, 이동단말들은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전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값과 현재 값을 비교하여 기지국이 재시작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지국이 재시작 된 경우 (즉,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값이 이전과 비교하여 증가된 경우) 최초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에 재등록하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초기 망 진입 절차에 관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 이동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 수행은 이동단말이 최초 전원을 켜고 망에 접속하거나 채널환경이 좋은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위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초기 망 진입 절차와 이동단말이 기지국에 등록된 정상 동작 상태에서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해 수행하는 초기 망 진입절차가 있다.
이동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 절차 수행의 경우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의 개수와 망 진입 절차 수행 시점이 랜덤하게 구성되는 특징이 있으나,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이동단말의 망 진입 절차 수행은 그 수와 수행 시점이 예측 가능하며 한 순간에 집중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동단말은 초기 망 진입 절차 수행을 위한 초기 레인징 시에 다른 이동단말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고, 기지국은 이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을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UCD) 메시지를 통해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성능의 망 진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망 진입 방법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망 진입(network entry)을 수행하는 방법은 특정한 제1 값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 특정한 제2 값으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망 진입 제어 정보는 자발적인 접속을 위한 레인징 백 오프 값이고, 상기 제2 망 진입 제어 정보는 기지국의 재시작(restart)에 따른 백오프 값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시작을 위한 백오프 값은 자발적인 접속을 위한 레인징 백오프 값에 비해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망 진입 방법은, 이동 단말들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이동 단말들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의 동작 모드는, 단말과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 또는 단말의 전력 제어 방법 등에 따라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모드는, 정상 모드, 유휴 모드, 수면 모드 등으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망 진입 제어 정보는 자발적인 접속을 위한 레인징 백 오프 값이고, 상기 제2 망 진입 제어 정보는 기지국의 재시작(restart)에 따른 백오프 값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시작을 위한 백오프 값은 자발적인 접속을 위한 레인징 백오프 값에 비해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망 진입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를 특정한 제1 값으로 설정하여 특정한 제1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망 진입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망 진입을 시도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를 특정한 제2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망 진입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망 진입을 시도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에 대한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망 진입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1 망 진입 제어정보를 특정한 제1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망 진입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망 진입을 시도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제2 망 진입 제어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망 진입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망 진입을 시도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에 대한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개선된 성능의 네트워크 진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 구성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망 진입절차는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위와 같은 두 가지 망 진입 절차 수행에 대한 랜덤 백 오프 윈도우에 관한 각종 제어정보의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따라서, 기지국 재시작 시에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들의 초기 망 진입 시에 충돌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들의 망 진입 지연을 통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 및 이동 단말의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 재시작 시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 수행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과 이동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 시 적용되는 초기 레인징 수행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정의함으로써, 기지국 재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동 단말들 간의 망 진입 충돌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 백오프 시 이동 단말들의 동작모드(예를 들어, 정상 모드(normal mode), 수면 모드(sleep mode), 유휴 모드(idle mode)로 구분됨)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다른 값으로 설정한다. 이를 통해,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 설정 값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normal mode)의 이동 단말이 수면 모드(sleep mode) 또는 유휴 모드(idle mode) 단말에 비해 초기 망 진입을 신속하게 하도록 하며, 기지국은 이동 단말들의 초기 레인징 시도를 적절히 분산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의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제어정보 중 백 오프 윈도우에 관한 파라미터의 일례이다.
하기 표 3a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백 오프 파라미터의 일례이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BS restart ranging backoff TBD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하기 표 3b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 오프 파라미터의 일례로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백 오프 파라미터가 제어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BS restart ranging backoff TBD 3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또한, 파라미터의 각 비트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Bit #0 ~ Bit #7 : 정상 모드(normal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normal mode)
Bit #8 ~ Bit #15 :수면 모드(sleep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sleep mode)
Bit #16 ~ Bit #23 : 유휴 모드(idle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idle mode)
하기 표 3c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 오프 파라미터의 또 다른 일례이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BS restart ranging backoff start TBD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BS restart ranging backoff end TBD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종 백오프 윈도우(fin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Fin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하기 표 3d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 오프 파라미터의 일례로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백 오프 파라미터가 제어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BS restart ranging backoff start TBD 3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또한, 파라미터의 각 비트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Bit #0 ~ Bit #7 : 정상 모드(normal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normal mode)
Bit #8 ~ Bit #15 :수면 모드(sleep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sleep mode)
Bit #16 ~ Bit #23 : 유휴 모드(idle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idle mode)
BS restart ranging backoff end TBD 3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종 백오프 윈도우(fin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Fin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due to BS restart, expressed as a power of 2.)
또한, 파라미터의 각 비트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Bit #0 ~ Bit #7 : 정상 모드(normal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normal mode)
Bit #8 ~ Bit #15 :수면 모드(sleep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sleep mode)
Bit #16 ~ Bit #23 : 유휴 모드(idle mode)를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 값(Backoff window size for idle mode)
상기 표 3a는 기지국의 재시작 시 이동단말이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동일한 백오프 윈도우를 사용하여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표 3b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백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적용하여 랜덤 백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상기 표 3b와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기지국 재시작 후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을 통한 망 진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이동 단말의 망 재진입 시에 우선순위를 다르게 부여한다. 이를 통해, 기지국과 서비스 데이터를 주고 받던 정상 동작 상태의 이동 단말이 수면 모드 또는 유휴 모드의 이동 단말보다 신속하게 망에 재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표 3b에서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나, 이동 단말의 활성화된 서비스 타입과 이동단말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따라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파라미터의 일례는 단말이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일정한 백오프 윈도우 크기를 부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은 기지국이 재 시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갖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이동 단말은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상대적으로 실시간 전송이 중요치 않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이 기지국의 재 시작 이전에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었다면, 기지국의 재 시작 이후에 더욱 더 신속하게 망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
즉, 기지국의 재 시작에 따른 백오프 윈도우의 크기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재 시작이전에 이동 단말이 받고 있는 서비스의 종류나 속성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표 3c와 상기 표 3d는, 상기 표 3a, 표 3b의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크기에 대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 사이즈(Initial backoff window size)와 최종 백오프 윈도우 사이즈(Final backoff window size)를 나타낸 일례이다.
상기 표 3a 및 상기 표 3b와 같은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은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 만을 해당 파라미터에 적용하여 랜덤 백오프를 수행한다. 만약 레인징 응답 메시지 수신 실패하는 경우 지수적으로 증가시키는 백오프 윈도우는 종래의 상기 표 1과 같은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이동 단말은 최초 초기 레인징 시도 시에만 상기 표 3a 및 상기 표 3b와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이후에는 상기 표 1과 같은 초기 레인징을 위한 백오프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여 초기 레인징 랜덤 백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상기 표 3c와 상기 표 3d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최초 초기 레인징 랜덤 백오프 값뿐만 아니라 지수적으로 백오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표 3c와 상기 표 3d와 같은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랜덤 백오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 3a 내지 표 3d의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각 파라미터에 사용된 구체적 수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술한 파라미터의 구체적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는 자유롭게 변환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모드의 종류 역시 서비스 제공자 등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이 상술한 동작 모드의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표 3b 및 표 3d의 일례는,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에 특정한 백 오프 윈도우 값을 부여한 일례이다. 그러나, 수면 모드는 수면 모드의 동작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클래스(class)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파라미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면 모드 중에서 어떠한 클래스의 수면 모드인가에 따라 백 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모드, 예를 들어 정상 모드 및 수면 모드 만을 고려하여 백오프 윈도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하기 표 4a 내지 표 4b는 종래의 파라미터를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수정한 일례이다.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Initial_ranging_backoff_start 198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표시된 TLV(Type, Length and Value)는 NBR-ADV (Neighbor Advertisement Message)메시지에서 UCD 메시지 필드에서 표시되는 해당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기지국이 재시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값은 재시작 이전이 이미 등록된 이동 단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In case of BS restart, this value should be changed to accommodate MSs which have been registered before.)
Initial_ranging_backoff_end 199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종 백오프 윈도우(fin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Fin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표시된 TLV(Type, Length and Value)는 NBR-ADV (Neighbor Advertisement Message)메시지에서 UCD 메시지 필드에서 표시되는 해당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기지국이 재시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값은 재시작 이전이 이미 등록된 이동 단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In case of BS restart, this value should be changed to accommodate MSs which have been registered before.)
Name Type
(1 byte)
Length Value
Initial_ranging_backoff_start 198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초 백오프 윈도우(initi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Initi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표시된 TLV(Type, Length and Value)는 NBR-ADV 메시지에서 UCD 메시지 필드에서 표시되는 해당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기지국이 재시작을 수행하는 경우,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3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In case of BS restart, this parameter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Bit #0 ~Bit #3 :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 for normal mode)
Bit #4 ~ Bit #5 : 수면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단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값에 대한 제곱수로서 계산됨(Backoff window for sleep mode, which is calculated as a power of the value from bit #0 to bit #3.)
Bit #6 ~ Bit #7 : 휴무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단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값에 대한 제곱수로서 계산됨(Backoff window for idle mode, which is calculated as a power of the value from bit #0 to bit #3.)
Initial_ranging_backoff_end 199 1 기지국의 재시작으로 인하여 수행되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레인징을 위한 최종 백오프 윈도우(final backoff window)의 크기를 2의 제곱수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다.
(Final backoff window size for initial ranging contention, expressed as a power of 2.)
표시된 TLV(Type, Length and Value)는 NBR-ADV 메시지에서 UCD 메시지 필드에서 표시되는 해당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기지국이 재시작을 수행하는 경우,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3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is TLV shall be used in NBR-ADV message only to represent corresponding values that appear in UCD message fields. In case of BS restart, this parameter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Bit #0 ~Bit #3 :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 for normal mode)
Bit #4 ~ Bit #5 : 수면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단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값에 대한 제곱수로서 계산됨(Backoff window for sleep mode, which is calculated as a power of the value from bit #0 to bit #3.)
Bit #6 ~ Bit #7 : 휴무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단 정상 모드를 위한 백 오프 윈도우 값에 대한 제곱수로서 계산됨(Backoff window for idle mode, which is calculated as a power of the value from bit #0 to bit #3.)
상기 표 4a는 기지국이 재시작된 경우에, 이전에 등록되어 있던 이동단말들의 망 재진입을 위한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값을 정상 상태에서의 값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통해, 이동단말들의 초기 레인징 수행 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 4b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 백오프 시 이동단말들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일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 4a 내지 표 4b의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각 파라미터에 사용된 구체적 수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술한 파라미터의 구체적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는 자유롭게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이 망에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기지국 재시작 시 이동단말이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의 일례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파라미터에 따라 망에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S401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MS)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초기 망 진입 시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UCD) 메시지의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통해 초기 레인징 시 랜덤 백오프를 적용하여 초기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도 4는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8로 결정한 일례를 나타낸다. 기지국에 등록 후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의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BS restart count) 파라미터를 수신함으로써, 망 진입 절차를 재수행할 지를 결정한다.
S402 단계는 정전 또는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기지국이 재시작 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S403 단계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D) 메시지의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파라미터 값(BS restart count)을 이전보다 1 증가시켜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동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 수행 시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도 4에서는 32로 설정)을 상향링크 메시지(UCD)를 통해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이하, S404 단계를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가 증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 파라미터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의 백오프 윈도우 파라미터 값(도 4의 일례에서는 32)을 기반으로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을 위한 랜덤 백오프 값(도 4의 일례에서는 10)을 결정한다.
이하, S405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맵(UL-MAP) 메시지를 통해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랜덤 백오프를 적용하여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랜덤 백오프 값을 10으로 결정한 경우에 상향링크 프레임에 초기 레인징 슬롯이 6개 할당되면, 이동단말은 초기 레인징 코드를 해당 프레임에 전송하지 않는다.
이하, S406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맵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상향링크 프레임에 초기 레인징 슬롯이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하, S407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랜덤 백오프 값을 적용하여 해당 초기 레인징 슬롯에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
이하, S408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로부터 초기 레인징 코드를 수신한 기지국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RNG-RSP)를 통해 시간 오프셋, 주파수 오프셋 및 전력 오프셋 등의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 값을 이동단말에게 알려주고, 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위와 같은 레인징 코드 및 레인징 응답 메시지 교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조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레인징 응답(RNG-RSP) 메시지에 success 코드를 해당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이하, S409 단계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이동단말이 레인징 요청(RNG-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이동단말에게 특정 상향링크 맵 정보요소(예를 들어, CDMA Allocation UL-MAP IE)를 통해 비 경쟁 기반의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이동단말은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자신의 MAC 주소가 포함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S410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단말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Basic 연결 식별자(CID)와 Primary 관리 연결 식별자(CID)를 할당하기 위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S411 단계를 설명한다.
레인징 절차를 완료한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도 2의 S203 내지 S206과 같은 기본 성능 협상, 인증 및 키 교환, 등록 및 서비스 흐름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S412 단계는 다음과 같다.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망 진입 절차를 완료하고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위의 과정에서 기지국 재시작 시 기지국이 이동단말들의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S409 단계와 S410 단계의 레인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S411 단계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정상동작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411 단계에 필요한 메시지 교환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자발적이 망 진입 시 적용되는 백 오프 윈도우 값과 기지국의 재시작시에 적용되는 백 오프 윈도우 값을 구별하는 일례를 설명하였다.
이하, 기지국 재시작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적용하기 위한 동작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는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를 다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동작 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를 다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S501 단계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은 초기 망 진입 시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UCD) 메시지의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통해 초기 레인징 시 랜덤 백오프를 적용하여 초기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기지국에 등록 후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D) 메시지의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파라미터를 수신함으로써, 망 진입 절차를 재 수행할 지를 결정한다. 도 5의 일례에서는 백 오프 값이 8로 설정된다.
정전 또는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기지국이 재시작 된다(S502).
이하, S503 단계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U) 메시지의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파라미터(BS restart count) 값을 이전보다 1 증가시켜 이동 단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동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 수행 시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을 상향링크 메시지를 통해 이동단말에게 전달한다. 단, 이때 기지국은 이동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백오프 윈도우 파라미터 값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일례에서는 정상(normal) 모드 단말의 백오프 윈도우 값을 12로, 수면(sleep) 모드 단말의 백오프 윈도우 값을 24로 설정한다.
이하, S504 단계를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가 증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 파라미터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 메시지의 상기 표 3a 내지 표 3d 또는 상기 표 4a 내지 표 4b와 같은 백 오프 윈도우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초기 레인징 코드 전송을 위한 랜덤 백오프 값을 결정한다. 만약 동작 모드에 따라 백오프 윈도우 값이 다르게 주어지는 경우, 이에 준하여 랜덤 백오프 값을 설정한다. 정상 동작 모드의 이동단말에 대한 백오프 윈도우 파라미터 값이 12로 주어진 경우 정상동작의 이동단말은 12 윈도우 내에서 랜덤하게 백오프 값을 결정하고(본 실시 예에서는 5로 결정), 수면모드의 이동단말에 대한 백오프 윈도우 파라미터 값이 24로 주어진 경우 수면모드의 이동단말은 24 윈도우 내에서 랜덤하게 백오프 값을 결정(본 실시 예에서는 14로 결정)한다.
상향링크 맵 메시지로부터 초기 레인징 슬롯이 8개 할당되는 경우(S505), 이를 수신한 정상동작 모드의 이동단말은 랜덤 백오프 값을 5로 적용하여 해당 상향링크 프레임의 6번째 초기 레인징 슬롯에 랜덤하게 선택한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고, 수면모드 이동단말은 다음 초기 레인징 슬롯 할당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S506).
상향링크 맵 메시지로부터 초기 레인징 슬롯이 8개 할당되는 경우(S507), 수면모드 이동단말은 랜덤 백오프 값을 14로 적용하여 해당 상향링크 프레임의 7번째 초기 레인징 슬롯에 랜덤하게 선택한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S508).
이하, S509 단계를 설명한다.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 정상동작 모드의 이동단말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레인징 파라미터 조정이 끝나면 레인징 요청 메시지 전송 후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초기 레인징 과정을 완료한다.
이하, S510 단계를 설명한다.
초기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 수면모드 이동단말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레인징 파라미터 조정이 끝나면 레인징 요청 메시지 전송 후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초기 레인징 과정을 완료한다.
이하, S511 단계를 설명한다.
레인징 절차를 완료한 정상동작 모드의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도 2의 S203 내지 S206과 같은 기본 성능 협상, 인증 및 키 교환, 등록 및 서비스 흐름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 S512 단계를 설명한다.
레인징 절차를 완료한 정상동작 모드의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도 2의 S203내지 S206과 같은 기본 성능 협상, 인증 및 키 교환, 등록 및 서비스 흐름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 S513 단계를 설명한다.
정상모드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망 재 진입 절차를 완료하고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이하, S514 단계를 설명한다.
수면모드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망 재 진입 절차를 완료하고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단말은 기지국에 수면요청 메시지 또는 수면 제어 헤더 등을 이용하여 수면모드로의 전환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위의 과정에서 기지국 재시작 시 기지국이 이동단말들의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S509 단계 또는 S510 단계의 레인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S511 단계 또는 S512 단계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정상동작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511 단계 또는 S512 단계에 필요한 메시지 교환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의 모드를 제공하고 이러한 모드에 따라 백오프 윈도우 값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일례는 기지국 재 시작 시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 수행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과 이동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 시 적용되는 초기 레인징 수행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정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의 일례는 네트워크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적합하게 백오프 윈도우 값을 결정하여 이동 단말로 제공하고, 이동 단말은 제공된 백오프 윈도우 값에 따라 동작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하는 일례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한 제어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재 시작 시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 수행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모드를 “1”로 결정하여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 시 적용되는 초기 레인징 수행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모드를 “0”로 결정하여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 모드를 통해 스스로 백오프 윈도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드가 “1”로 결정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백오프 윈도우 값을 크게 설정하여 망에 대한 진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드가 “0”으로 결정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백오프 윈도우 값을 작게 설정하여 망에 대한 진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간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기지국 재 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들 간의 망 진입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 모드를 적용하는 일례는,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정상 모드, 수면 모드, 휴지 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모드를 할당한다. 즉,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이 설정해야 하는 백오프 윈도우 값을 상기 제어 모드 값을 통해 알려주고, 휴지 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이 설정해야 하는 백오프 윈도우 값을 상기 제어 모드 값을 통해 알려주고, 수면 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이 설정해야 하는 백오프 윈도우 값을 상기 제어 모드 값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이 제공받는 서비스의 종류 역시 상기 제어 모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모드 값을 통해 특정한 이동 단말이 제공받는 QoS 정보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즉, 실시간 서비스가 필요한 단말에게는 특정한 제1 제어모드 값을 부여하고, 실시간 서비스가 불필요한 단말에게는 특정한 제2 제어모드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부여된 제어모드 값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백오프 윈도 값을 설정하고, 망에 대한 재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모드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는 그 동작 모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클래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기지국 재시작 시 이동단말의 초기 레인징 수행을 위한 백오프 윈도우 값과 이동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 시 적용되는 초기 레인징 백오프 윈도우 값을 다르게 정의함으로써, 기지국 재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들 간의 망 진입 충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초기 레인징 백오프 시 이 동단말들의 동작모드에 따라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를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레인징 백오프 파라미터 설정 값에 따라 정상동작 모드의 이동단말이 수면모드 또는 유휴모드 단말에 비해 초기 망 진입을 신속하게 하도록 하며, 기지국은 이동단말들의 초기 레인징 시도를 적절히 분산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망 진입(network entry)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재 시작(restart)으로 인한 재진입(re-entry)을 위하여 특정한 값으로 설정된, 상기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망 재진입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망 재진입 제어정보에 따라 망에 대한 재 진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백 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을 위해 설정되는 망 진입 제어정보와 상이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가 포함하는 망 진입 시점의 구간은, 상기 이동 단말의 자발적인 망 진입을 위해 설정되는 망 진입 제어정보에 비해 늦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는, 상기 기지국의 재 시작(restart) 이전에 망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을 수용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는,
    정상 모드, 수면 모드 및 유휴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모드는, 복수의 클래스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9. 삭제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network entry)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재 시작(restart)으로 인하여 특정한 제1 이동 단말의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망 진입 시점에 관한 망 재진입 제어정보를 상기 재 시작으로 인한 재등록을 위해 결정되는 특정한 제1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망 진입을 시도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에 대한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망 재진입 제어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백 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060078284A 2006-05-13 2006-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KR10129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284A KR101295269B1 (ko) 2006-08-18 2006-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PCT/KR2007/002360 WO2007133034A2 (en) 2006-05-13 2007-05-14 Method of performing procedures for initial network entry and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2007800257038A CN101543002B (zh) 2006-05-13 2007-05-14 在宽带无线接入系统中执行初始网络进入和切换的流程的方法
CA2651868A CA2651868C (en) 2006-05-13 2007-05-14 Method of performing procedures for initial network entry and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12/300,633 US8311011B2 (en) 2006-05-13 2007-05-14 Method of performing procedures for initial network entry and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12/446,335 US8538432B2 (en) 2006-05-13 2007-10-19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284A KR101295269B1 (ko) 2006-08-18 2006-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16A KR20080016316A (ko) 2008-02-21
KR101295269B1 true KR101295269B1 (ko) 2013-08-08

Family

ID=3938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284A KR101295269B1 (ko) 2006-05-13 2006-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635A2 (ko) 2009-02-27 201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기
EP2405594A4 (en) 2009-03-06 2017-05-17 LG Electronics Inc. Bandwidth request preamble sequence selection method and random access method
KR20140033421A (ko) * 2011-06-19 201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2m 환경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비정상 정전 상황을 보고하기 위한 임의접속과정 수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289A (ko) * 2003-05-0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접속채널에서 다중 레벨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43533A (ko) * 2004-06-07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20060046417A (ko) * 2004-06-11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네트워크 재진입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0553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반복 요구 리셋 정보 송수신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289A (ko) * 2003-05-0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접속채널에서 다중 레벨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43533A (ko) * 2004-06-07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20060046417A (ko) * 2004-06-11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네트워크 재진입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0553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반복 요구 리셋 정보 송수신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16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924B2 (en) Associa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2167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US891769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TWI426802B (zh) 在無線通訊系統中實施隨機存取的方法
JP4938847B2 (ja) 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メッセージ分離を利用する無線アクセス情報送受信方法
US8687565B2 (en) Method of effectively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447306B2 (en)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EP2052471B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KR20060097495A (ko)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과 기지국 및 그 방법
JP2009520435A (ja) E−utraシステムにおける非同期、同期、及び同期待ち通信のための方法、並びに手順
US8493854B2 (en)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using identifier in mobile network
US9071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quiring uplink resources for transmitting ranging request messag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43568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효과적으로 무선자원할당요청을 보내는 방법
KR20060097496A (ko)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과 기지국 및 그 방법
KR10206786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US883735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connection,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KR1012952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수행하는 방법
WO2012089118A1 (zh) 接入网络的方法和设备
KR20080007290A (ko) 이기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 획득 방법
KR20140035798A (ko) 우선권이 높은 단말의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