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00B1 -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00B1
KR101294600B1 KR1020120145349A KR20120145349A KR101294600B1 KR 101294600 B1 KR101294600 B1 KR 101294600B1 KR 1020120145349 A KR1020120145349 A KR 1020120145349A KR 20120145349 A KR20120145349 A KR 20120145349A KR 101294600 B1 KR101294600 B1 KR 10129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tem
game
compartm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정선
유희주
Original Assignee
배정선
(주) 한이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선, (주) 한이재미 filed Critical 배정선
Priority to KR102012014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6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41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a written message or sentence, e.g. chance or instruction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75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pictures or fig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Board game teaching tools are provided to enable students to easily learn contents of difficult curriculums using cards. CONSTITUTION: Board game teaching tools (10) comprise a game board (100), game pieces (200), a question card tool (500), an item card (300), and a social development card (400). The game board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110) in which drawing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re painted and a track unit (120) consisting of compartments in which characteristic color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unit are painted on an edge part thereof. The multiple game pieces display the location of a gamer on the track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Yut rods (600). The question card tool comprises questions and answers. The item card comprises items which can be bought. The social development card comprises commands for commanding designated behaviors.

Description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본 발명은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과 내용을 문제화한 카드(예를 들어, 사회과목의 경우 각 시대별 상황에 맞는 사건 등을 기록한 각종 카드) 및 게임판과, 각 교과내용의 상황에 맞는 여러 가지 문제와 답 등을 표시한 문제카드 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렵고 딱딱한 교과 내용을 학년별, 과목별로 구성한 재미있는 보드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game teaching ai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develop a card with a problem in the subject mat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ocial subject, various cards that record events for each period), a game board, and various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matter. It relates to a board game teaching ai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that allows students to learn naturally through a fun board game composed of grades and subjects for difficult and hard subjec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problem cards displaying answers.

일반적으로 보드게임(Board Game)은 놀이판과 간단한 물리적인 도구로 진행되는 놀이를 말하며, 바둑, 장기, 고스톱, 포커, 브루마블(Blue Marble)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보드게임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진행되는 컴퓨터 게임에 비교되어 오프라인 게임이라 불리기도 한다.In general, a board game refers to a game played with a play board and a simple physical tool. The game includes Go, Shogi, Go-Stop, Poker, and Blue Marble. These board games are also referred to as offline games, compared to computer games played by accessing the Internet.

그리고, 이러한 보드게임은 단순한 놀이 차원에서 진일보하여 두뇌 발달이나 상식 계발 등의 용도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In addition, such a board game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the development of common sense, and the like in the simple play.

한편, 초등학교 때부터 많은 학습량, 각종 시험과 성적으로 학업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과 자녀의 성적 때문에 고민이 많은 부모님들 간의 갈등이 깊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mentary school,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conflicts between parents who have a lot of trouble due to the large amount of learning, various tests, and sexually stressed students and their children's grades have occurred.

특히 암기과목을 점점 힘들어하는 최근 학생들의 성향을 고려할 때, 보드게임을 통해 교과 공부를 재미있게 하는 동시에 머리속에 오랫동안 교과 내용이 기억될 수 있는 보드게임교구의 개발 및 그 사용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tendency of recent students who are increasingly difficult to memorize the subject, the development of a board game teaching tool that can keep the subject contents in the head for a long time while having fun with the board game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과 내용을 문제화한 카드(예를 들어, 사회과목의 경우 각 시대별 상황에 맞는 사건 등을 기록한 각종 카드) 및 게임판과, 각 교과내용의 상황에 맞는 여러 가지 문제와 답 등을 표시한 문제카드 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렵고 딱딱한 교과 내용을 학년별, 과목별로 구성한 재미있는 보드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rd that the problem of the content of the subject mat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social subjects, various cards that record the even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era) and the game board, and the content of each subject A boar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learn naturally through a fun board game composed of difficult and hard subjects by grade and subjec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using problem cards that display various questions and answer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ame parish.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부에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이미지 표시부와, 테두리부에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해당하는 고유한 색깔이 교대로 칠해져 있는 다수의 구획칸으로 이루어진 트랙부를 포함하는 게임판; 윷가락을 던져 나타나는 윷가락의 모양에 따라 상기 트랙부 위로 이동하여 게임자의 위치를 상기 트랙부에 나타내는 복수의 게임말; 상기 게임말이 상기 트랙부의 해당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상기 해당 구획칸의 시대별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을 포함하는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에 해당하는 색깔에 대한 문제를 내고,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힐 수 있는 문제와 정답이 적혀 있는 문제카드교구; 상기 트랙부 중 게임자가 선택한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아이템이 적혀 있는 아이템카드; 및 상기 트랙부에는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이 하나 이상 존재하며, 상기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일정한 지령대로 행해야 하는 일정한 지령이 적혀 있는 사회발전카드;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카드교구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문제카드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교구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복수 개가 수납되어 사용자에 의해 하나씩 선택되는 문제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카드는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트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문제카드의 문제 및 정답이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ck portion comprising an image display portion in which a pict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o be assigned by each team is drawn at the cent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lternately painted with unique color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portions at the edge portion. A game board comprising; A plurality of game words that are moved over the track por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rpedo appearing by throwing an ear to indicate a player's position; When the end of the game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track unit, the team has a problem about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fig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to be in charge of each team including a fig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rtment of the compartment. Question card parishes with questions and correct answers for correct answers; An item card in which the item for buying the item is written when the player arrives at the compartment of the color selected by the player in the track unit; And a social development card having one or more compartments in which the social development card is written in the track unit, and the social development card in which a certain instruction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pecific command is written when the social development card arrives in the compartment. The card precinct includes a case body in which an upper surface and one sid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a problem car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slid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body and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a parish case, and a plurality of problem cards housed in the case body and selected by the user one by one, wherein the problem card comprises at least two sets of questions and answers. By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problem card are revealed to the user. It provides board games parish to provide a lear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상기 아이템카드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아이템그림부와, 각 아이템의 이름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이름부와, 상기 아이템의 가격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가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tem c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tem picture portion is drawn, the item name portion is written the name of each item, and the item price portion is written the price of the item.

삭제delete

본 발명은 교과 내용을 문제화한 카드(예를 들어, 사회과목의 경우 각 시대별 상황에 맞는 사건 등을 기록한 각종 카드) 및 게임판과, 각 교과내용의 상황에 맞는 여러 가지 문제와 답 등을 표시한 문제카드 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렵고 딱딱한 교과 내용을 학년별, 과목별로 구성한 재미있는 보드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숙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 (eg, various types of cards in which social events are recorded for events of each period), a game board, and various questions and answers for each situation. By using the displayed problem cards, it is effective to familiarize the difficult and hard subjec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rough a fun board game organized by grade and subject.

또한 본 발명은 각 교과 내용의 상황에 맞는 내용 중에 서로 연관성이 있는 내용을 난이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것까지 하나의 문제카드에 제시하고 케이스본체 및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한 교구케이스를 이용하여 난이도 상, 중, 하의 문제를 순환적으로 보면서 다른 사람에게 문제를 출제하고 또 다른 사람이 문제를 맞히는 과정에서 스스로 완결된 지식을 완성해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in the context of each subject in a single problem card from the difficulty level to the high difficulty, using the teaching aid case including the case body and the slide member on the difficulty level, medium, Looking at the problem repeatedly, it is effective to ask questions to other people and complete the completed knowledge on their own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이템카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회발전카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문제카드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문제카드교구 중 문제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 game teaching aid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tem card of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ocial development card of FIG.
FIG. 4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blem card precinct of FIG.
FIG. 4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lem card in the problem card precinct of FIG. 4A.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board game teaching ai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nstituent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이템카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사회발전카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문제카드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문제카드교구 중 문제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 game precinct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tem card of Figure 1, Figure 3 is a society of Figure 1 4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card, FIG. 4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blem card precinct of FIG. 1, FIG. 4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oblem card among the problem card precincts of FIG. 4A, and FIG.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board game teaching ai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10)는 게임판(100), 복수의 게임말(200), 아이템카드(300), 사회발전카드(400) 및 문제카드교구(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board game teaching aid 10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board 100, a plurality of game end 200, item card 300, social development card 400 and problems Card precinct 500 is included.

상기 게임판(100)은 중앙부에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이미지 표시부(110)와, 테두리부에 상기 이미지 표시부(110)에 해당하는 고유한 색깔이 교대로 칠해져 있는 다수의 구획칸으로 이루어진 트랙부(120)를 포함한다.The game board 100 is alternately painted with a unique color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d the image display unit 110 is drawn with a pict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o be assigned to each team in the center. It includes a track portion 12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상기 이미지 표시부(1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임판(100)의 중앙부에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110)에는 시대별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 예를 들어 선사시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및 고려시대의 시대상황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이때, 각 시대에 대응하는 색깔은 미리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사시대는 노랑, 삼국시대는 빨강, 남북국시대는 파랑, 고려시대는 초록의 색깔로 지정될 수 있고, 이러한 색깔에 의해 각 시대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게임자들은 어느 한 시대를 정해서 각 시대가 게임자 각각의 시대가 되어 게임이 진행되는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image display unit 110 may draw a pict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o be assigned to each team in the center of the game board 100. Therefore, the image display unit 110 may be a pictur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for example, prehistoric, Three Kingdoms, South and North Koreas, and Goryeo periods can be drawn to the times of the times. At this time, the color corresponding to each era is predetermined. For example, the prehistoric age can be designated as yellow, the three kingdoms as red, the north and south Koreas as blue, and the Goryeo era as green. Therefore, the gamers select a certain period and each era becomes the age of each player.

상기 트랙부(120)에는 다수의 구획칸에 상기 이미지 표시부(110)에 해당하는 고유한 색깔이 교대로 칠해져 있으며,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이 하나 이상 존재한다. 또한, 상기 트랙부(12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쟁승리, 역병발생 등의 구획칸 등도 정해져 있어 해당되는 구획칸에서는 그에 따른 지령을 따르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랙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구획칸이 정해질 수 있다. 도면부호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트랙부(120)의 각 구획칸의 상부에는 비닐막을 형성시켜 아이템카드(300)를 꽂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The track unit 120 is alternately painted with a unique color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unit 110 in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there is at least one compartment with a social development car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track unit 120 also includes compartments such as war wins and plagues, and the corresponding compartments may follow the instructions accordingly. In this way, the compartment 120 of various forms may be determined in the track part 120. Although no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a vinyl film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each compartment of the track part 120 so that the item card 300 may be inserted.

상기 복수의 게임말(200)은 윷가락(600) 등을 이용하여 게임자의 위치를 상기 트랙부(120)에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게임자는 가위바위보 등을 이용하여 차례를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례가 정해지면, 게임자는 윷가락(600) 등을 이용하여 게임말(200)을 트랙부(120)의 어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윷가락(600)을 이용하여 게임말(200)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윷가락이 한 개 뒤집어지면 "도"로서 한 칸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윷가락이 두 개 뒤집어지면 "개"로서 두 칸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윷가락이 세 개 뒤집어지면 "걸"로서 세 칸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윷가락이 네 개 모두 뒤집어지면, "윷"으로서 네 칸 앞으로 진행하고, 한번 더 던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만약 윷가락이 모두 바로 되면, "모"로서 다섯 칸 앞으로 진행하고, 한번 더 던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만약, "뒤"라는 표시가 있는 윷가락이 한 개 뒤집어지면 "뒷도"로서 한 칸 뒤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윷가락을 이용하여 게임말(200)을 이동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사위를 이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원래의 윷놀이는 다른 친구의 게임말이 있는 자리에 가게 되면 친구의 게임말을 잡아야 하지만, 여기서는 사이좋게 친구와 같이 앞으로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lurality of game end 200 serves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game player to the track unit 120 using the chopsticks 600 and the like. The player can set the turn using rock, paper, scissors. When the turn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game player may move the game end 200 to any position of the track unit 120 using the toe 600 or the like. At this time, a brief description of how to move the game end 200 using the tong 600. If one ear is overturned, you can advance one space as "degree". If two toes are flipped over, you can advance two spaces as "dogs." If the toes are turned upside down, you can move forward three spaces as a "girl." If all four toes are upside down, you may be given the opportunity to advance four spaces as "윷" and to throw one more time. If the toes are all right, you may be given the opportunity to go five spaces as a "parent" and throw one more time. If an ear with a sign of "back" is flipped over, you can go back one space as "back". In this way, the end of the game 200 can be moved using the ear, and in some cases, the dic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original game play should catch the game end of the friend when you go to the place where the other friend's game end, but here you can go forward with your friend.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임화폐(700)는 게임판(100) 옆에 준비되어 게임자에게 처음에 일정한 금액이 균등하게 배분시킨 뒤, 게임을 하는 중에 상기 게임화폐(700)는 게임자들이 문제를 맞히는 경우에 마치 은행에서 돈이 인출되는 것처럼 지급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game money 700 is prepared next to the game board 10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money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gamers at first, and the game money 700 is played by the gamers during the game. If the problem is corrected, it can be paid as if the money was withdrawn from the bank.

상기 아이템카드(300)는 상기 트랙부(120) 중 게임자가 선택한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아이템이 적혀 있는 카드이다. 따라서 게임자는 상기 아이템카드(300)를 게임자가 선택한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에만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여 살 수 있고, 그 이외의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에는 아이템카드(300)를 살 수 없고, 문제를 맞히는 방식을 통해 게임화폐(700)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item card 300 arrives at the compartment of the color selected by the game player of the track unit 120, an item for purchasing the item is written. Accordingly, the player can buy the item card 300 by paying a certain amount only when the item card 300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color selected by the player, and when the item card 300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other color, the player cannot buy the item card 300. In this way, the game money 700 may be collected by correcting the problem.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템카드(300)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아이템그림부(310)와, 각 아이템의 이름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이름부(320)와, 상기 아이템의 가격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가격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미지 표시부(110)에 시대별 특징을 그린 경우에, 상기 아이템카드(300)는 각 해당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나 유적에 대한 그림, 이름 또는 가격이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표시부(110)에 농촌, 어촌, 산촌, 도시와 같이 해당지역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경우에, 상기 아이템카드(300)는 각 해당지역의 주요 공공시설의 그림, 이름, 가격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item card 300 includes an item picture part 310 in which a picture is drawn, an item name part 320 in which the name of each item is written, and an item price part in which the price of the item is written. At least one of the 330. When the feature of each era is drawn on the image display unit 110, the item card 300 may describe a picture, a name, or a price of representative artifacts or monuments of each corresponding perio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picture of a corresponding area such as a rural, a fishing village, a mountain village, or a city is drawn on the image display unit 110, the item card 300 may include a picture, a name, and a price of a main public facility of each corresponding area. There will be.

상기 사회발전카드(400)는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일정한 지령대로 행해야 하는 일정한 지령이 적혀 있는 카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회발전카드(400)는 예를 들어, "과거시험에 합격했어요. 지금 자리에서 앞으로 2칸 전진하세요." 또는 "산삼을 발견했어요. 은행에서 산삼가격 10만원을 받으세요" 등 일정한 지령이 적혀 있는 대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지령은 게임자에게 유리한 형태일 수도 있는 반면에, "나라에 폐를 끼치는 행동을 하여 유배지로 귀향을 가게 되었어요. 뒤로 다섯칸 돌아가세요"라는 불리한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ocial development card 400 is a card in which a certain command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and is written when the social development card arrives in a compartment filled with a card. Referring to Figure 3, the social development card 400, for example, "I passed the past test. Now move forward two spaces from the seat." Or, "I found a wild ginseng. Get a wild ginseng price of 100,000 won from the bank." Such a command may be in the form of an advantage for the player, while it may be in the form of an adverse behavior such as "acting to the country and returning to exile. Go back five spaces."

상기 문제카드교구(500)는 게임말(200)이 상기 트랙부(120)의 해당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상기 해당 구획칸의 시대별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을 포함하는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에 해당하는 색깔에 대한 문제를 내고,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힐 수 있는 문제와 정답이 적혀 있는 교구이다. The problem card precinct 500 is characterized by the contents of each team, including a pict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zone of the compartment when the game end 200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track unit 120 It is a parish that presents a question about the color that corresponds to the picture that represents the question and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문제카드교구(500)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문제카드(520)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본체(511)와, 상기 케이스본체(51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부재(512)를 포함하는 교구케이스(510) 및 상기 케이스본체(511) 내부에 복수 개가 수납되어 사용자에 의해 하나씩 선택되는 문제카드(5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A, the problem card precinct 500 has a case body 511 having an upper surface and one side open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problem card 520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roblem card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511, including a slide member 512 tha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ases are stored in the case body 511 is selected by the user one by one 520; includes.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512)는 일측에 걸림수단(512a)이 구비되어 있어 케이스본체(5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511b)에 체결된다. 따라서 걸림수단(512a)이 걸림홈(511b)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부재(512) 자체가 고정되어 문제카드(520)의 내용 중 일부 문제 및 정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드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lide member 512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512a) on one side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511b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511. Therefore, the locking means 512a is fixed to the locking groove 511b so that the slide member 512 is fixed so that some problems and correct answers of the contents of the problem card 520 can be seen. Although no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user may easily move the slide membe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and.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문제카드(520)는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트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2)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문제카드(520)의 문제 및 정답이 사용자에게 공개된다. 상기 문제카드(520)의 문제 및 정답은 이미지 표시부(110)에 해당하는 그림들에 대한 내용에 관한 문제와 정답들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problem card 52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ets consisting of a problem and a correct answer. The problem card 52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slide member 512.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are disclosed to the user.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problem card 520 are composed of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pictur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unit 110.

상기 문제카드(520)는 상기 케이스본체(511) 내부에 복수 개가 수납되어 사용자에 의해 하나씩 선택된다. 특히 도 4b를 참조하면, 문제카드(520)는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 1순환문제 세트부(521), 제 2순환문제 세트부(522) 및 제 3순환문제 세트부(5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순환문제 세트부(521), 상기 제 2순환문제 세트부(522) 및 상기 제 3순환문제 세트부(523)의 문제 및 정답은 서로 연관성이 있는 단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난이도가 하, 중, 상 이런 순서대로 문제 및 정답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oblem card 520 is housed in a plurality of case body 511 is selected by the user one by one.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4B, the problem card 520 is composed of a first cycle problem set unit 521, a second cycle problem set unit 522, and a third cycle problem set unit 523 that are composed of a problem and a correct answer. It may be configured. The problems and the correct answers of the first cycle problem set unit 521, the second cycle problem set unit 522, and the third cycle problem set unit 523 may be composed of words that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difficulty level can be configured by arranging problems and answers in this order.

상기 제 1순환문제 세트부(521)는 문제 중 가장 쉬운 난이도를 표시하는 제 1난이도 표시부(521a)와, 가장 쉬운 문제를 표시하는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521b)와, 상기 가장 쉬운 문제에 대한 정답을 표시하는 제 1난이도 정답표시부(5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난이도 표시부(521a)는 난이도 "하"에 해당하는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별 하나를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난이도 표시부(521a)를 통해 문제 및 정답의 난이도를 알 수 있다. 상기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521b)는 난이도 "하"에 해당하는 문제를 표시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521b)에 해당하는 정답은 제 1난이도 정답표시부(521c)를 통해 표현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521b) 및 제 1난이도 정답표시부(521c)를 통해 난이도 "하"에 해당하는 문제 및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circulation problem set unit 521 includes a first difficulty display unit 521a for displaying the easiest difficulty among the problems, a fir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1b for displaying the easiest problems, and the easiest problem. The first difficulty display unit 521c displays a correct answer. The first difficulty level display unit 521a may display a grade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lower". For example, one star may be indicated as shown in FIG. 4B. Accordingly, the user may know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through the first difficulty level display unit 521a. The fir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1b represents an area displaying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lower",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1b is expressed through the first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1c. Becomes Therefore, the user may check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ower" through the fir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1b and the first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1c.

상기 제 2순환문제 세트부(522)는 상기 제 1난이도 표시부(521a)에 의해 표시된 난이도보다 어려운 난이도를 표시하는 제 2난이도 표시부(522a)와, 상기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521b)에 의한 문제보다 어려운 문제를 표시하는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와, 상기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에 의한 문제에 대한 정답을 표시하는 제 2난이도 정답표시부(522c)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난이도 표시부(522a)는 난이도 "중"에 해당하는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별 두개를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난이도 표시부(522a)를 통해 문제 및 정답의 난이도를 알 수 있다. 상기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는 난이도 "중"에 해당하는 문제를 표시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에 해당하는 정답은 제 2난이도 정답표시부(522c)를 통해 표현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 및 제 2난이도 정답표시부(522c)를 통해 난이도 "중"에 해당하는 문제 및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econd circulation problem set unit 522 includes a second difficulty display unit 522a for displaying a difficulty that is more difficult than the difficulty displayed by the first difficulty display unit 521a, and a problem caused by the fir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1b. A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for displaying a more difficult problem and a second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2c for displaying a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by the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The second difficulty level display unit 522a may display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For example, two stars may be indicated as shown in FIG. 4B. Therefore, the user may know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through the second difficulty level display unit 522a. The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represents an area displaying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of "medium",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is expressed through the second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2c. Becomes Therefore, the user may check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medium" through the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and the second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2c.

상기 제 3순환문제 표시부(523)는 상기 제 2난이도 표시부(522a)에 의해 표시된 난이도보다 어려운 난이도를 표시하는 제 3난이도 표시부(523a)와, 상기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522b)에 의한 문제보다 어려운 문제를 표시하는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523b)와, 상기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523b)에 의한 문제에 대한 정답을 표시하는 제 3난이도 정답표시부(523c)를 포함한다. 상기 제 3난이도 표시부(523a)는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별 세개를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난이도 표시부(523a)를 통해 문제 및 정답의 난이도를 알 수 있다. 상기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523b)는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문제를 표시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523b)에 해당하는 정답은 제 3난이도 정답표시부(523c)를 통해 표현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523b) 및 제 3난이도 정답표시부(523c)를 통해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문제 및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third circulation problem display unit 523 has a third difficulty display unit 523a for displaying a difficulty level that is more difficult than the difficulty displayed by the second difficulty display unit 522a, and a problem of the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b. A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b for displaying a difficult problem, and a third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3c for displaying a correct answer to a problem by the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b. The third difficulty display unit 523a may display a grade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up". For example, three stars may be indicated as shown in FIG. 4B. Therefore, the user can know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through the third difficulty level display unit 523a. The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b represents an area displaying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above”,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b is expressed through the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c. Becomes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evel "above" through the thir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3b and the third difficulty correct answer display unit 523c.

도 5를 참조하여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5 describes how to use the board game teaching aid that provides a learning function.

제 1단계는 일정금액의 게임화폐를 균등하게 게임자들에게 분배하거나 또는 게임판을 준비시키는 단계이다(S110). 상기 제 1단계는 게임판(100) 이외에 게임말(200), 아이템카드(300), 사회발전카드(400), 문제카드교구(500), 윷가락(600) 및 게임화폐(700)를 모두 준비시킨 뒤, 게임화폐(700)를 일정금액 게임자들에게 배분하고, 나머지는 보관한다. The first step is to distribute the game money of a certain amount to the players evenly or to prepare the game board (S110). In the first step, in addition to the game board 100, the game end 200, the item card 300, the social development card 400, the problem card precinct 500, the tong 600 and the game money 700 are prepared. After the game money 700 is distributed to a certain amount of gamers, and the rest is kept.

제 2단계는 일정한 룰에 의해 게임자들의 차례를 정하는 동시에 상기 게임자들의 각 구역을 정하는 단계이다(S120). 상기 일정한 룰이라 함은 가위바위보로 정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윷가락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게임자들의 차례가 정해지면 각 게임자들이 각 구역을 정하게 되는데, 이는 윷가락 등을 이용하여 최초 게임말(200)이 이동되는 위치의 트랙부(120)의 구획칸의 색깔에 따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the turn of the playe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 each zone of the gamers (S120). The predetermined rule may be defined as rock-paper-scissors, or it may use an ear. And when the turn of the gamers are determined, each gamers determine each zone, which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ompartment of the track unit 120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game end 200 is moved using the tongs and the like. will be.

제 3단계는 윷가락 등을 이용해 게임말을 게임판의 트랙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S130). 이때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것을 보고 게임말(200)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사위를 던져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hird step is to move the end of the game along the track portion of the game board using the tong (S130). At this time, seeing the tossing out of the chopsticks will be able to move the game end 200. In some cases, the game may be played by throwing a dice.

제 4단계는 상기 트랙부(120) 중 게임자의 구역에 해당하는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사거나 상기 트랙부(120) 중 게임자의 구역에 해당하는 색깔이 아닌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해당 구획칸의 색깔에 따른 교과 내용에 관한 문제의 정답을 맞히거나 상기 트랙부(120) 중 게임자가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일정한 지령대로 행해야 하는 단계이다(S140).In the fourth step, when a user arrives at a compartmen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a player's area of the track part 120, he / she buys an item or arrives at a compartment that is not a color corresponding to a player's area of the track part 120. If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ompartment or if the player in the track unit 120 arrives in the compartment with the social development card is a step that must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and (S140).

따라서 상기 트랙부(120) 중 게임자가 선택한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에 예를 들어, 해당시대의 유물이나 유적이 적힌 아이템 중 원하는 아이템을 은행에 돈을 지불하여 산 다음, 이를 구획칸의 상부에 있는 비닐막에 꽂을 수 있다. 이때, 아이템을 사지 않은 경우에는 은행에 사용료를 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만약, 게임자 본인이 산 아이템이 있는 구획칸에 다른 게임자가 도착한 경우에는 게임자에게 일정금액의 사용료를 내든지 아니면 문제를 출제하고 정답을 맞히지 못하면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해당 문제는 난이도를 달리하여 문제카드를 통해 출제될 수 있고, 난이도에 따라 돈이 달리 지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행함으로써 각 시대별 발생 사건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된다. 게임의 재미를 위해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일정한 지령이 적힌 사회발전카드를 골라 그대로 실행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player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color selected by the game player of the track unit 120, for example, the desired item among the items of the artifacts or ruins of the era is written and paid to the bank, and then the upper part of the compartment. Can be plugged into the vinyl curtain on In this case, if the item is not bought, the bank may proceed by paying a fee. If another player arrives in the compartment where the player himself bought the item, he or she may pay a certain amount of fee to the player or pay the money if the question is not answered correctly. The problem may be questioned through a problem card at different difficulty levels, and money may be pai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fficulty level. By proceeding in this way, the occurrence events of each period are naturally acquired. When you arrive at the compartment with the social development card for the fun of the game, the social development card with a certain instruction is selected and executed.

이와 같이 계속적으로 게임을 진행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제를 많이 맞힌 게임자는 게임화폐를 가장 많이 얻게 될 것이고, 게임화폐를 가장 많이 얻은 게임자가 최종 승자가 되는 것이다. After continuing the game like this, after a certain time, the player who gets the most problems will get the most game money, and the player who gets the most money will be the final winner.

따라서 이와 같이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할 경우 이미 사용한 문제카드가 나올 경우 다른 난이도별 문제를 출제해서 상대방이 이에 대한 정답을 맞히도록 유도하여 순환적으로 문제 및 정답을 반복하다 보면 단기기억이 아닌 장기기억의 형태로 뇌속에 자리잡게 되어 자연스럽게 암기를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f you continue to play games like this, if you have a problem card that you have already used, you can try different questions of different difficulty to induce the opponents to answer the answer and repeat the problem and the answer repeatedly. It is in the form of the brain is naturally memorized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교과 내용을 문제화한 카드(예를 들어, 사회과목의 경우 각 시대별 상황에 맞는 사건 등을 기록한 각종 카드) 및 게임판과, 각 교과내용의 상황에 맞는 여러 가지 문제와 답 등을 표시한 문제카드 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렵고 딱딱한 교과 내용을 학년별, 과목별로 구성한 재미있는 보드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숙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d that the problem of the subject mat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social subjects, various cards that record the even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period) and the game board, and various questions and answers that fit the situation of each subject Using a problem card that displays the problem, it is effective to familiarize students through the fun board game composed of difficult and hard subjects by grade and subjec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보드게임교구
100: 게임판
110: 이미지 표시부
120: 트랙부
200: 복수의 게임말
300: 아이템카드
310: 아이템그림부
320: 아이템이름부
330: 아이템가격부
400: 사회발전카드
500: 문제카드교구
510: 교구케이스
511: 케이스본체 511a: 문제카드 삽입홈 511b: 걸림홈
512: 슬라이드부재 512a: 걸림수단
520: 문제카드
521: 제 1순환문제 세트부 521a: 제 1난이도 표시부 521b: 제 1난이도 문제표시부 521c: 제 1난이도 정답표시부
522: 제 2순환문제 세트부 522a: 제 2난이도 표시부 522b: 제 2난이도 문제표시부 522c: 제 2난이도 정답표시부
523: 제 3순환문제 세트부 523a: 제 3난이도 표시부 523b: 제 3난이도 문제표시부 524c: 제 3난이도 정답표시부
600: 윷가락
700: 게임화폐
10: Board Game Parish
100: game board
110: image display unit
120: track part
200: game of revenge
300: item card
310: item picture
320: item name part
330: price of items
400: social development card
500: trouble card parish
510: parish case
511: case body 511a: problem card insertion groove 511b: locking groove
512: slide member 512a: locking means
520: problem card
521: 1st cycle problem set part 521a: 1st difficulty display part 521b: 1st difficulty problem display part 521c: 1st difficulty correct display part
522: second cycle problem set unit 522a: second difficulty display unit 522b: second difficulty problem display unit 522c: second difficulty correct display unit
523: Third cycle problem set part 523a: Third degree difficulty display part 523b: Third degree difficulty problem display part 524c: Third degree of difficulty correct answer part
600: finger toe
700: Game Currency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앙부에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이미지 표시부와, 테두리부에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해당하는 고유한 색깔이 교대로 칠해져 있는 다수의 구획칸으로 이루어진 트랙부를 포함하는 게임판;
윷가락을 던져 나타나는 윷가락의 모양에 따라 상기 트랙부 위로 이동하여 게임자의 위치를 상기 트랙부에 나타내는 복수의 게임말;
상기 게임말이 상기 트랙부의 해당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상기 해당 구획칸의 시대별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을 포함하는 각 팀이 맡게 될 내용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림에 해당하는 색깔에 대한 문제를 내고,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힐 수 있는 문제와 정답이 적혀 있는 문제카드교구;
상기 트랙부 중 게임자가 선택한 색깔의 구획칸에 도착한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아이템이 적혀 있는 아이템카드; 및
상기 트랙부에는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이 하나 이상 존재하며, 상기 사회발전카드가 적힌 구획칸에 도착할 경우, 일정한 지령대로 행해야 하는 일정한 지령이 적혀 있는 사회발전카드;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카드교구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문제카드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교구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복수 개가 수납되어 사용자에 의해 하나씩 선택되는 문제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카드는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트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문제카드의 문제 및 정답이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
A game board including an image display unit on which a picture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o be assigned by each team is drawn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lternately painted with unique color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on an edge portion;
A plurality of game words that are moved over the track por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rpedo appearing by throwing an ear to indicate a player's position;
When the end of the game arrives in the compartment of the track unit, the team has a problem about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fig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to be in charge of each team including a figur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rtment of the compartment. Question card parishes with questions and correct answers for correct answers;
An item card in which the item for buying the item is written when the player arrives at the compartment of the color selected by the player in the track unit; And
One or more compartments in which the social development card is written is present in the track part, and when the social development card arrives in the compartment in which the social development card is written, a social development card is written.
The problem card precinct has an upper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case body in which the problem card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slide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and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a parish case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blem cards housed inside the case body and selected one by the user, wherein the problem card comprises at least two sets of questions and answers. Board game teaching aid providing a lear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problem card is revealed to the user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de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카드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아이템그림부와, 각 아이템의 이름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이름부와, 상기 아이템의 가격이 적혀져 있는 아이템가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item card has a lear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tem picture portion on which the picture is drawn, the item name portion on which the name of each item is written, and the item price portion on which the price of the item is written. Providing board game parish.
삭제delete
KR1020120145349A 2012-12-13 2012-12-13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KR101294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49A KR101294600B1 (en) 2012-12-13 2012-12-13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49A KR101294600B1 (en) 2012-12-13 2012-12-13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600B1 true KR101294600B1 (en) 2013-08-08

Family

ID=4922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349A KR101294600B1 (en) 2012-12-13 2012-12-13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0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66B1 (en) 2020-09-18 2021-04-06 통합놀이학교다동사회적협동조합 Board game of curriculum linkage, local exploration and cultural experience, system for providing board game, and method thereof
KR20210065578A (en) 2019-11-27 2021-06-04 (주)가치교육컨설팅 Inter-korean harmony-related training board games set
KR20220149168A (en)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크레몽 Method for playing board game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i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912B1 (en) * 2011-04-08 2011-12-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Respects the energy independence of the village the board game which introduces the concept which constructs a remaking energy development fac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912B1 (en) * 2011-04-08 2011-12-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Respects the energy independence of the village the board game which introduces the concept which constructs a remaking energy development facil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78A (en) 2019-11-27 2021-06-04 (주)가치교육컨설팅 Inter-korean harmony-related training board games set
KR102236566B1 (en) 2020-09-18 2021-04-06 통합놀이학교다동사회적협동조합 Board game of curriculum linkage, local exploration and cultural experience, system for providing board game, and method thereof
KR20220149168A (en)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크레몽 Method for playing board game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i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2560501B1 (en) * 2021-04-30 2023-07-27 주식회사 크레몽 Method for playing board game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i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ller et al. Play to lear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designing effective learning games
Mayer et al. Libraries got game: Aligned learning through modern board games
Moursund Introduction to using games in education: A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US8556264B2 (en) Closable-type game board for basic symbol recognition
US20060043680A1 (en) Poker flash cards
KR101294600B1 (en) Board game assembly providing learning function
US4883277A (en) Educational board gam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logic
Cliburn The effectiveness of games as assignments in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US20060043675A1 (en) Board game designed to entertain and teach principles of law and legal reasoning
Posamentier et al. Strategy games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US20150076767A1 (en) Simplified closable type game board device for basic symbol and alphanumeric recognition
Schiro Mega-Fun Math Games and Puzzles for the Elementary Grades: Over 125 Activities that Teach Math Facts, Concepts, and Thinking Skills
McCoy et al. Probability games from diverse cultures
US4953874A (en) Educational marble board game
Palmer Red versus blue: Cold War games
KR102567114B1 (en) Board game set for learning persona and method thereof
Gavin et al. Recognizing and nurturing math talent in children
US20190096282A1 (en) Math-wars card game
Anderson et al. Around the world with accessible mathematics games: Twelve accessible Mathematics Gam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Turner The Gamification of EAP
Thwaites 100 ideas for teaching primary mathematics
Smith et al. Calculating Probability: Building a Funfair
KR100692929B1 (en) Language training card having function of amusement
TR2022002650Y (en) CUBE GAME
Howells 14 Physical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