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458B1 -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458B1
KR101294458B1 KR1020120030491A KR20120030491A KR101294458B1 KR 101294458 B1 KR101294458 B1 KR 101294458B1 KR 1020120030491 A KR1020120030491 A KR 1020120030491A KR 20120030491 A KR20120030491 A KR 20120030491A KR 101294458 B1 KR101294458 B1 KR 10129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keyboard
mobile device
text input
inpu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봉진
김태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to KR102012003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4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4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text input device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llow a user to check out the texts he/she typed in even when a keyboard partially covers a text input window. CONSTITUTION: A browsing unit (110) is launched on an operating system (OS) and displays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data or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data on a touch screen. A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displays a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and generates keyboard input signals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es. When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displays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with a text input window selected over the HTML or XML data, a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overlapped with the displayed keyboard.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Text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n a mobile device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최근 스마트폰, 타블렛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컴퓨팅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Recently,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are rapidly spreading, the computing environment is changing drastically.

사용자들은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항상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에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Users can carry these mobile devices with them at all times and access the Internet anytime, anywhere.

이에 따라 기존에 컴퓨터에서 실행되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스마트폰 플랫폼으로 포팅되고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하던 다양한 작업 가운데 상당부분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행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various programs previously executed on computers have been ported to the smartphone platform, and many of the various tasks performed using computers have been performed using smartphones.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통상 입력 장치이자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다. 대부분의 경우 터치스크린이 유일한 입력장치인 까닭에 사용자들은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팝업 형태로 표시한 다음 자판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상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텍스트를 입력하게 된다.Such mobile devices typically have a touch screen that is both an in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 most cases, since the touch screen is the only input device, when a user wants to input text, the user inputs the text by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in a pop-up form and then touching a location on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도 1은 이와 같은 공지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형적인 형태를 예시한다.1 illustrates a typical form of such a known mobile device.

모바일 디바이스(10)들은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략 9인치 또는 그 미만의 제한적인 크기를 갖는 터치스크린(12)을 구비하며 해상도 또한 제한적이다.The mobile devices 10 have a touch screen 12 with a limited size of approximately 9 inches or less in order to ensure portability, and the resolution is also limited.

따라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데스크탑 컴퓨터 환경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인데, 텍스트의 입력을 위해 가상 키보드(13)를 화면에 표시하기라도 할라치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극도로 줄어든다.Therefor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desktop computer environment. If the virtual keyboard 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ext input,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extremely reduced. .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텍스트를 입력해야하는 경우라면 좁은 화면에 소정의 정보는 물론, 텍스트 입력을 위한 텍스트 입력창과 키보드(13)까지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작은 화면의 크기와 낮은 해상도 때문에 때로 키보드(13)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it is necessary to visuall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0 while simultaneously inputting text,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narrow screen, as well as a text input window for text input and a keyboard 13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screen. Should b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xt input window is sometimes hidden by the keyboard 13 because of the small screen size and the low resolution.

즉,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확하게 입력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지 못한 채 팝업 키보드(13)를 화면에서 제거한 다음에야 입력된 내용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may not know the input contents after removing the pop-up keyboard 13 from the screen without confirming that the contents to be input are input correctly.

키보드(13) 키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오탈자가 빈번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특성상 이러한 문제점은 예상외의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Due to the small size of the keyboard 13 key, this problem is unexpectedly great inconvenience due to the nature of the mobile device 10 that is frequently misspelled.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좁은 터치스크린(12) 화면에 키보드를 표시하여 텍스트 입력을 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키보드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Accordingly, in displaying a keyboard on a narrow touch screen 12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0 and inputting tex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for solving the inconvenience in case the text input window is obscured by the keyboard. .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01993호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Pat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1993 "Hangul input method in the front touch portable terminal"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19112호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 시스템"[Pat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9112 "Clear text input method and reduced keyboard system for touch scr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좁은 터치스크린 화면에 키보드를 표시하여 텍스트 입력을 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키보드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입력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inevitable text input by displaying the keyboard on the narrow touch screen screen of the mobile device users inevitably even if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keyboard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check this input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계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xt input device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device having an operating system and a touch screen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n application can be executed,

상기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며 HTML 또는 XML 데이타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브라우징 수단;Browsing mea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nd displaying HTML or XML data on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를 표시하되,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좌표값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A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for displaying a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and generating a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coordinate value by a user manipulation;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HTML 또는 XML 데이타상에서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를 표시하면,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되,When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displays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as the text input window is selected on the HTML or XML dat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a user's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Further comprising a text input processing means,

상기 텍스트 입력창은 HTML 또는 XML 태그에 의하여 정의되며,The text input window is defined by an HTML or XML tag,

상기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은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과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을 비교하되,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하며,The text input processing means compares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with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and determines that the text input window is hidde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상기 운영체계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으로 전달되는 키보드 입력값을 인터셉트하여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window is hidden, the text input processing means overlays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screen, and then intercepts a keyboard input value transmitted to the text input window by the operating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n a text box.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performed o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터치스크린 화면상의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표시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0 단계;Step 110, when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20 단계;Step 120, when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displaying a text box by overlaying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를 인터셉트하는 제 130 단계;Step 130, wherein the mobile device intercepts the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as the keyboard is touched by the user;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제 140 단계; 및Step 140, a mobile device displaying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n the text box; And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 입력이 종료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으로 전달하고, 상기 텍스트 박스를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제거하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tep 150 of transmitting, by the mobile device,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to the text input window and removing the text box from the touch screen screen as the keyboard input by the user is terminated.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터치스크린 화면상의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표시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10 단계;In step 210, when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220 단계;Step 220 for displaying a text box by overlaying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screen when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를 인터셉트하는 제 230 단계; 및Step 230, when the keyboard is touched by the user and a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ouch point is generated, the mobile device intercepts the touch input; And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제 240 단계;를 포함하되,And displaying, in a text box,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by a mobile device in the text box.

상기 제 2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키보드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되,In step 220, the mobile device displays the keyboard translucently,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peration 240,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text input window.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는 키보드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이 불가피하게 가려지는 경우에도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내용이 정확한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ext input window is inevitably obscured by the keyboard, the user can know whether the contents input by the user are correct.

특히, 키보드를 통한 터치입력을 인터셉트하여 화면의 별도 공간에 표시한 다음 키보드가 제거됨에 따라 비로소 텍스트 입력창으로 기 입력된 내용을 전달하는 구조인 까닭에 본 발명은 어떤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도중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를 가리지 아니하고 스마트폰 플랫폼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delivers the previously input content to the text input window only when the keyboard is removed and then displayed on a separate space of the screen by intercepting the touch input through the keyboard. It can be applied universally to the smartphone platform regardless of whether the window is hidden.

도 1은 공지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화면에 표시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known mobile devic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xt input device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text using a keyboard displayed on a scree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Also,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laims, the components named as "means", "parts", "modules", "blocks" refer to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Each of which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공지의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일반적인 형태를 예시한다.1 illustrates a general form of a known mobile device 1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운영체계(Operation System : 11)이 구비되며, 상기 운영체계상에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1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while being carried, and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system (Operation System) 11 and is designed to install and us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operating system.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타블렛(Tablet)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하드웨어 형태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Preferably, a smart phone or a tablet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ype of hardware.

한편,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입력장치이자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인 터치스크린(12)을 구비한다. 터치스크린(12)이 유일한 입력장치인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들은 터치스크린 화면에 키보드(13)를 팝업 형태로 표시한 다음 터치함으로써 키보드 입력을 하곤 한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10 includes a touch screen 12 that is an in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 many cases, the touch screen 12 is the only input device, and users often input the keyboard by displaying the keyboard 13 on the touch screen in a pop-up form and then touching it.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충분한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와 부피를 가지는데, 따라서 터치스크린(12)의 크기 또한 제한적이다.The mobile device 10 has a relatively small size and volume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portability, and therefore,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2 is also limited.

통상 스마트폰의 경우 3 내지 4인치, 타블렛의 경우 5 내지 9인치 정도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smartphone has a touch screen of about 3 to 4 inches, and about 5 to 9 inches for a table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xt input device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공지의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ext input device 100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above-known mobile device 10.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100)는 브라우징 수단(110),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 및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을 구비한다.The text input device 100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wsing means 110, a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120, and a text input processing means 130.

브라우징 수단(110)은 상기 운영체계(11)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HTML 또는 XML 데이타를 읽어 상기 터치스크린(12)에 표시한다.The browsing means 1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11, and reads HTML or XML data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touch screen 12.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은 키보드 호출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터치스크린(12)에 키보드(13)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키보드(13)의 키를 누르면 터치 좌표값에 해당하는 키 값을 키보드 입력신호로 생성한다. 즉, 실제 키보드를 누른 것과 동일한 입력처리가 가능해진다.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displays the keyboard 13 on the touch screen 12 when a keyboard call event occurs, and when a user presses a key of the keyboard 13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a key corresponding to a touch coordinate value Generates a value as a keyboard input signal. In other words, the same input processing as pressing an actual keyboard is possible.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키보드(13)를 통해 키 입력을 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자면 우선 사용자는 브라우징 수단(110)을 이용하여 HTML 또는 XML 데이타를 브라우징 할 수 있다. 이때, HTML 또는 XML 데이타란 반드시 확장자가 .htm 이나 .xml로 끝나는 파일을 의미하지 아니하며, HTML 또는 XML 규격에 의하여 작성된 데이터를 포괄한다. 즉, 브라우징 수단(110)을 이용하여 브라우징 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HTML 도큐먼트나 XML 도큐먼트는 물론 다양한 포맷의 컨텐츠나 문서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the user inputting a key through the keyboard 13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first, the user may browse the HTML or XML data using the browsing means 110. In this case, the HTML or XML data does not necessarily mean a file ending with .htm or .xml, and encompasses data created by the HTML or XML standard. That is, data that can be browsed using the browsing means 110 may include an HTML document or an XML document as well as contents or documents in various formats.

이와 같이 브라우징 수단(110)을 이용하여 HTML 또는 XML 문서를 브라우징 하던 도중 해당 문서의 텍스트 입력창(1)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입력창(1)은 HTML 또는 XML 태그에 의해 정의되되 HTML 또는 XML 문서 상에서 텍스트 입력을 받는 구성요소를 총칭한다.As such, while browsing an HTML or XML document using the browsing means 110, a user may touch the text input window 1 through a touch screen to input text into the text input window 1 of the document. have. At this time, the text input window 1 is defined by the HTML or XML tag, but generically refers to the component that receives the text input on the HTML or XML document.

이에 따라 운영체계(11)에 의하여 키보드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은 터치스크린(12)에 키보드(13)를 표시한다.Accordingly, when a keyboard call event is generated by the operating system 11,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displays the keyboard 13 on the touch screen 12.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12)은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대략 9인치 또는 그 미만의 제한적인 크기를 가지며, 해상도 또한 제한적이다. Meanwhile, the touch screen 12 of the mobile device 10 has a limited size of about 9 inches or less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olution is also limited.

따라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데스크탑 컴퓨터 환경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인데, 때로는 키보드(13)가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Therefor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desktop computer environment, and sometimes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keyboard 13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이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2)에 표시된 HTML 또는 XML 문서상에서 텍스트 입력창(1)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이 상기 터치스크린(12)에 키보드(13)를 표시하면, 상기 표시된 키보드(13)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s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selects the text input window 1 on the HTML or XML docum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 by the user operation,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the touch screen ( When the keyboard 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13.

이때,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키보드(13)의 좌표영역과 텍스트 입력창(1)의 좌표영역을 비교하되, 텍스트 입력창(1)의 좌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키보드(13)의 좌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한다.In this case,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compares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13 with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1 is determined by the keyboard 13. When included in the coordinate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window 1 is hidden.

일반적인 경우, 키보드(13)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13)를 터치하면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이 키보드 입력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1)으로 전송함으로써 HTML 또는 XML 문서상에서의 텍스트 입력이 이루어지는데, 키보드(13)에 의해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보드(13)를 화면에서 제거하기 전까지 자신이 입력한 텍스트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board 13 while the keyboard 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transmits text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input value to the text input window 1 so that the HTML or When text input is performed on an XML document, and the text input window 1 is hidden by the keyboard 13, the user can check what type of text he or she has input until the keyboard 13 is removed from the screen. There will be no.

이에 따라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경우, 터치스크린(12) 화면상에 별도의 텍스트 박스(2)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Accordingly, when the text input window 1 is hidden,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overlays and displays a separate text box 2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2.

도 3의 (a)는 화면에 표시된 HTML 또는 XML 문서에 텍스트 입력창(1)이 표시된 모습을, 도 3의 (b)는 키보드(13)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진 상태에서 별도의 텍스트 박스(2)가 오버레이된 모습을 도시한다.FIG. 3A illustrates a text input window 1 displayed on an HTML or XML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FIG. 3B separately illustrates a text input window 1 hidden by the keyboard 13. Shows how the text box 2 is overlaid.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박스(2)가 오버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13) 터치 입력이 있으면,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상기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1)으로 전송되는 키보드 입력값을 인터셉트한다.As shown in (b) of FIG. 3, if there i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with the keyboard 13 in the state where the text box 2 is overlaid,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is executed by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The keyboard input value transmitted to the text input window 1 is intercepted.

예컨대, 키보드(13) 터치 입력에 따라 텍스트 입력창(1)으로 키보드 입력값을 전송하는 것은 운영체계(11)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운영체계(11)로부터 텍스트 입력창(1)으로 키보드 입력값이 전송되기에 앞서 이를 가로채는 것이다.For example, transmitting the keyboard input value to the text input window 1 according to the keyboard 13 touch input may correspond to a function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11, in which case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The keyboard input value is intercepted before the keyboard input value is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system 11 to the text input window 1.

한편,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이와 같이 인터셉트된 키보드 입력값을 상기 텍스트 박스(2)에 표시한다.Meanwhile,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displays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value in the text box 2.

즉, 키보드(13)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텍스트 박스(2)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키보드 입력값을 인터셉트하여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text box 2 is overlaid and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covered by the keyboard 13, and then the keyboard input value is intercepted and displayed.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키보드(13)의 엔터키를 터치함으로써 입력과정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130)은 상기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1)으로 전달하고, 상기 텍스트 박스(2)를 화면에서 제거한다.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user can terminate the input process by touching the enter key of the keyboard 13, so that the text input processing unit 130 displays the text displayed on the text box 2 in the text input window 1 ), And removes the text box 2 from the screen.

입력과정이 종료됨에 따라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120)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3)를 화면에서 제거한다.As the input process ends,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unit 120 removes the keyboard 13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는 우선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되었다가,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텍스트 입력창(1)으로 옮겨지게 된다.The tex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first displayed in the text box 2, and then moved to the text input window 1 as the input is completed.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키보드(13)에 의해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진 경우에도 자신이 입력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탈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상 키보드(13)의 특성상 자칫 오탈자 입력으로 인해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기도 하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때 오탈자 없는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keyboard 13, the user can continue inputting while checking the contents input by the user. In particular, although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due to the typo input due to the nature of the virtual keyboard 13 in which the typo is frequently generated, accurate input without typo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ime series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2)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shown in FIG. 4 can be implemented in a mobile device 10 having a touch screen 12.

우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 화면상에 표시된 텍스트 입력창(1)을 선택함에 따라 터치스크린(12)에 키보드(13)가 표시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보드(13)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First, when the keyboard 13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 as the user selects the text input window 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2, the mobile device 10 is connected to (b) of FIG. As illust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keyboard 13 (S110).

이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상기 키보드(13)의 좌표영역과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의 좌표영역을 비교하되,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의 좌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키보드(13)의 좌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한다.To this end, the mobile device 10 compares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13 with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1 is the keyboard 13. If it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area o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window 1 is hidden.

키보드(13)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2)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20).When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keyboard 13, the mobile device 10 overlays the text box 2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2 as shown in FIG. It is displayed (S120).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13)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이를 인터셉트(S130)하여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박스(2)에 표시한다(S140). 즉, 키보드(13)에 의해 가려진 텍스트 입력창(1)에는 아무런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Subsequently, when the keyboard 13 is touched by the user to generate a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ouch point, the mobile device 10 intercepts the text and corresponds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Displayed in the text box 2 (S140). That is, no input is made to the text input window 1 covered by the keyboard 13.

한편, 사용자가 키보드의 엔터 키를 터치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텍스트 입력을 종료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1)으로 전달하고, 상기 텍스트 박스(2)를 터치스크린(13) 화면에서 제거한다(S150).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ends the text input by an operation such as touching the enter key of the keyboard, the mobile device 10 reads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2 as shown in (c) of FIG. Transfer to the text input window (1), and removes the text box (2) from the touch screen 13 screen (S150).

한편, 텍스트 박스(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디폴트 크기값을 가진다. 그런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분량이 디폴트 크기로 표시된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되기에 다소 많은 경우의 처리가 문제된다.Meanwhile, the text box 2 has a preset default size value as shown in (b) of FIG. 3. By the way, since the amount of text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text box 2 displayed at the default size, the processing in a somewhat large number of cases is problematic.

이 경우 상기 S1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박스(2)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된 텍스트의 분량이 상기 텍스트 박스(2)의 디폴트 크기 값에 비해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박스(2)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확대한 다음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2)에 재차 표시한다.In this case, in the step S140, the mobile device 10 displays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n the text box 2, so that the amount of the displayed text is compared with the default size value of the text box 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many, the size of the text box 2 is enlarged in real time and the text is displayed again in the text box 2.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표시할 때 화면에 한번에 보여줄 수 없는 분량인 경우 스크롤 바를 생성하여 스크롤 하면서 볼 수 있도록 처리하나,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제한된 화면 크기를 감안하여 텍스트 박스(2)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처리한다.When a general web browser displays an HTML document and displays a scroll bar when the HTML document cannot be displayed at a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text to be displayed while scrolling in view of the limited screen size of the mobile device 10. By dynamically expanding the size of), we process the text entered by the user at a glance.

이와 같이 텍스트의 분량에 따라 동적으로 텍스트 박스(2)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텍스트 박스(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dynamically adjusting the size of the text box 2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xt, the text box 2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즉, 사용자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텍스트 박스(2)의 외곽선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함으로써 텍스트 박스(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드래그가 완료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텍스트 박스(2)의 외곽선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 크기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박스(2)의 크기가 실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상기 텍스트를 텍스트 박스(2)에 재차 표시하는 것은 물론이다.That is, the user may adjust the size of the text box 2 by dragging while touching the outline of the text box 2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10 may change the size of the text box 2 in real time by passing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the drag is completed. When the size of the text box 2 is changed in real time, of course, the mobile device 10 displays the text in the text box 2 again.

이외에도 텍스트의 분량 증가시 필요에 따라서는 텍스트 박스(2)의 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 바를 실시간으로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롤 바를 조작하여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하로 스크롤 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ext is increased, a scroll bar is vertically added to the right side of the text box 2 in real time as needed so that the user can scroll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2 up and down by manipulating the scroll bar. You could do it.

한편,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ime series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13) 상의 텍스트 입력창(1)이 선택되어 키보드(13)가 표시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키보드(13)에 의하여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만일, 텍스트 입력창(1)이 가려지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2)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220).First, when the text input window 1 on the touch screen 13 is selected by the user to display the keyboard 13, the mobile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1 is covered by the keyboard 13. Determine (S210). If the text input window 1 is hidden, the mobile device 10 overlays and displays the text box 2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2 as shown in (b) of FIG. 3 (S220). .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13)가 터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를 인터셉트 하여(S230) 이를 텍스트 박스(2)에 표시한다(S240).Thereafter, when the keyboard 13 is touched by the user, the mobile device 10 intercepts the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ouch point (S230) and displays it in the text box 2 (S240).

이때, 상기 살펴본 일 실시예와는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상기 키보드(13)를 반투명하게 표시함으로써 키보드(13)에 의해 가려진 텍스트 입력창(1)이 흐릿하게 보이도록 처리한다.In this case,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10 displays the keyboard 13 in a translucent manner so that the text input window 1 covered by the keyboard 13 is blurred.

그리고, 상기 S240 단계에서는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 박스(2)에 표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흐릿하게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창(1)에도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In operation S240,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s displayed on the text box 2 and is processed in real time on the blurred text input window 1.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을 모두 마치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화면에서 키보드(13)와 텍스트 박스(2)를 모두 제거하며, 입력된 내용이 흐릿하게 보이던 텍스트 입력창(1)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렷하게 보여지게 된다.When the user completes all text input, the mobile device 10 removes both the keyboard 13 and the text box 2 from the screen, and the text input window 1 in which the input contents are blurred appears in FIG. It is clearly seen as shown in c).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xt input method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medium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DVD-ROM, a CD-ROM, a hard disk, a USB memory, a flash memory And the like.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encompasses both the case of being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 large quantities and distributed in a package form as well as being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in the form of data packets and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타블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tablets.

1 : 텍스트 입력창
2 : 텍스트 박스
10 : 스마트폰
11 : 운영체계
12 : 터치스크린
13 : 가상 키보드
100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
110 : 브라우징 수단
120 :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
130 :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
1: Text input window
2: text box
10: Smartphone
11: operating system
12: touch screen
13: virtual keyboard
100: text input device on a mobile device
110: browsing means
120: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130: text input processing means

Claims (8)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계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며 HTML 또는 XML 데이타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브라우징 수단;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를 표시하되,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좌표값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HTML 또는 XML 데이타상에서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처리수단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를 표시하면,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텍스트 입력창은 HTML 또는 XML 태그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은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과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을 비교하되,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 처리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상기 운영체계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으로 전달되는 키보드 입력값을 인터셉트하여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
A mobile device having an operating system and a touch screen that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n application can be executed,
Browsing mea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nd displaying HTML or XML data on the touch screen;
A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for displaying a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and generating a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coordinate value by a user manipulation;
When the virtual keyboard processing means displays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as the text input window is selected on the HTML or XML dat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a user's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Further comprising a text input processing means,
The text input window is defined by an HTML or XML tag,
The text input processing means compares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with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and determines that the text input window is hidde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window is hidden, the text input processing means overlays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screen, and then intercepts a keyboard input value transmitted to the text input window by the operating system. A text input device in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in a text box.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화면상의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표시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0 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20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를 인터셉트하는 제 130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제 140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 입력이 종료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으로 전달하고, 상기 텍스트 박스를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제거하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In a method executed i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tep 110, when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Step 120, when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displaying a text box by overlaying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Step 130, wherein the mobile device intercepts the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as the keyboard is touched by the user;
Step 140, a mobile device displaying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n the text box; And
And a step 150 of transmitting, by the mobile device,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to the text input window and removing the text box from the touch screen screen when the keyboard input by the user is terminated. How to enter text 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창은 HTML 또는 XML 데이타에 포함되되, HTML 또는 XML 태그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제 1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계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으로 전달되는 키보드 입력값을 인터셉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110, the text input window is included in HTML or XML data and defined by HTML or XML tags.
In step 130, the mobile device intercepts a keyboard input value transmitted to the text input window by an operating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과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을 비교하되, 상기 텍스트 입력창의 좌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키보드의 좌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110, the mobile device compares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with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but if at least a part of the coordinate area of the text input window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area of the keyboard, the text input window is blocked.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lo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된 텍스트의 분량이 일정분량 이상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박스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확대한 다음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재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140, as the amount of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e mobile device enlarges the size of the text box in real time, and then displays the text in the text box again. How to enter text on the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된 텍스트의 분량이 일정분량 이상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박스에 실시간으로 스크롤 바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바 조작시 텍스트 박스에 표시된 텍스트가 스크롤 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140, as the amount of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 scroll bar in real time in the text box, so that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box is scrolled and displayed when the user scrolls the scroll bar. And a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박스의 외곽선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박스의 외곽선이 드래그가 완료된 좌표를 통과하도록 실시간으로 변경한 다음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재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140, as the user drags the touch box while the outline of the text box is touched by the user, the mobile device changes the text box in real time so that the outline of the text box passes through the dragged coordinates, and then changes the text.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gain in the box.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화면상의 텍스트 입력창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표시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표시된 키보드에 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10 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창이 가려지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일측에 텍스트 박스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220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키보드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를 인터셉트하는 제 230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박스에 표시하는 제 24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키보드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되,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상기 인터셉트한 키보드 입력신호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방법.
In a method executed i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 step 210, when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by the displayed keyboard;
Step 220 for displaying a text box by overlaying a text box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screen when the text input window is covered;
Step 230, when the keyboard is touched by the user and a keyboa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ouch point is generated, the mobile device intercepts the touch input; And
And displaying, in a text box,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by a mobile device in the text box.
In step 220, the mobile device displays the keyboard translucently,
And a text corresponding to the intercepted keyboard input signal value in step 240 to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text input window.
KR1020120030491A 2012-03-26 2012-03-26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KR1012944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91A KR101294458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91A KR101294458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458B1 true KR101294458B1 (en) 2013-08-07

Family

ID=4922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91A KR101294458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4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066A (en)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paratus thereof
KR20150114695A (en) * 2014-04-02 2015-10-13 김호성 Terminal having transparency adjustable input means and input method thereof
CN112034993A (en) * 2020-08-20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nput method, input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26A (en) * 2008-08-04 201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eb browsing
KR100963594B1 (en) 2009-10-16 2010-06-15 (주)휴먼웍스 Text input system and text input method at the webpage by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26A (en) * 2008-08-04 201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eb browsing
KR100963594B1 (en) 2009-10-16 2010-06-15 (주)휴먼웍스 Text input system and text input method at the webpage by touch scre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066A (en)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paratus thereof
US10402065B2 (en) * 2013-09-30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KR102187255B1 (en) * 2013-09-30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paratus thereof
KR20150114695A (en) * 2014-04-02 2015-10-13 김호성 Terminal having transparency adjustable input means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653171B1 (en) * 2014-04-02 2016-09-02 김호성 Terminal having transparency adjustable input means and input method thereof
CN112034993A (en) * 2020-08-20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nput method, input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961B2 (en) Hover-based interaction with rendered content
US96329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rizontally paginating HTML content
US9262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p-up
CN107608668B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nd compatibly displaying H5 pag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30080910A1 (en) Dynamic visualization of page element access rates in a web application
US20140365954A1 (en) Electronic device,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50253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rtual keyboard to avoid obscuring data entry fields
CN113536173B (en) P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41613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locating input box to target position in mobile terminal browser, and storage medium
US20140123036A1 (en) Touch screen display process
AU2014308633A1 (en) Swipe toolbar to switch tabs
WO2014067442A1 (en) Page browsing method and browser
KR10129445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ext in mobile device
KR101231513B1 (en) Content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CN110909274A (en) Page brow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40129927A1 (en) Page browsing method and browser
CN111522610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8520030B2 (en) On-screen marker to assist usability while scrolling
US20100131924A1 (en) Method of building virtual keyboard
CN112667931B (en) Webpage collect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506185B (e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operating document
CN109901766B (en) Method and device for moving document viewpor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448478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croll bar,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KR101280738B1 (en) Method for displaying touchscreen with color chang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JP6721049B2 (en) Page display program, page display device, and page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