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29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294B1
KR101294294B1 KR1020060112992A KR20060112992A KR101294294B1 KR 101294294 B1 KR101294294 B1 KR 101294294B1 KR 1020060112992 A KR1020060112992 A KR 1020060112992A KR 20060112992 A KR20060112992 A KR 20060112992A KR 101294294 B1 KR101294294 B1 KR 10129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portable terminal
magnetic
members
flow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4115A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294B1/en
Publication of KR2008004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와; 두 바디에 구비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동방지부는 단말기의 개폐시 서로 상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두 바디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 second body; A sliding member coupl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be sliding open and clo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w preve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two bodies, the flow preve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member disposed in each of the two bodies at least one so as to hav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terminal.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휴대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휴대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 간에 보강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고, 또한, 유동 방지구조가 외관에 드러나지 않게 되어 미관이 좋게 되고, 유동 방지구조의 설계와 제조가 용이하며, 지속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마찰 등에 의한 유동 방지구조의 마모가 발생 되지 않는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low between the bodies of the portable terminals in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events damage even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have a reinforcing structure between the terminal body, and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is not exposed to the appearance, so that the aesthetics are good,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is easy, and the wear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due to friction, etc., even in continuous use. Does not occur.

자력부재, 감지부, 가이드바,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Magnetic element, sensing unit, guide bar, guide rail, slide

Description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결합된 상태로 닫힌 상태에서 유동 방지구조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A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a closed state in a coupl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결합된 상태로 열린 상태에서 유동 방지구조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B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the open state in the coupl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유동 방지구조를 이루게 되는 자력부재의 배치상태에 따른 일 적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state of a magnetic member form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a closed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유동 방지구조를 이루게 되는 자력부재의 배치상태에 따른 일 적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B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state of a magnetic member form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자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gnetic member constitut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자력부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gnetic member constituting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휴대 단말기 10 ... 제 1 바디1 ... mobile terminal 10 ... first body

11 ... 내부 입력부 12 ... 슬라이더 장착부11 ... internal input 12 ... slider mounting

13 ... 음향 입력부 14 ... 감지부13 ... sound input 14 ... sensor

20 ... 제 2 바디 21 ... 슬라이더20 ... second body 21 ... slider

22a,22b ... 슬롯 24a,24b ... 가이드 레일22a, 22b ... slot 24a, 24b ... guide rail

25 ... 표시부 26 ... 외부 입력부25 ... indicator 26 ... external input

27 ... 음향 출력부 100,200 ... 자력부재27 ... sound output 100,200 ... magnetic elements

110a,110b,210a,210b ... 제 1 자력부재 110a, 110b, 210a, 210b ... first magnetic member

120a,120b,220a,220b ... 제 2 자력부재120a, 120b, 220a, 220b ... second magnetic member

130a,130b,230a,230b ... 제 3 자력부재130a, 130b, 230a, 230b ... third magnetic member

본 발명은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general term for a next-generation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ombines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and the like.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t basically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personal computer such as input, storage, processing and output of various data, and adds various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nd telephone function, so that it can perform various tasks on the go. It is positioned as one of the biggest technological factors that can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industrial society.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과 메모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 또는 감상하기도 하고, 음악이나 영화 또는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위성통신이나 지상파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예를 들어 DMB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mory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in the stage of producing or transmitting / receiving multimedia directly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it can be used to take, send or watch photos and videos, play multimedia files such as music, movies, and games, and even mak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s (e.g. DMB)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or terrestrial waves. It also has the ability to receive.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바디가 슬라이더 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개방되었을 때, 슬라이더 부재에 의해서만 두 바디가 연결(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일 바디에 대한 다른 일 바디의 유동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사용시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Such a mobi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bodies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lider memb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body is opened, the two bodies are connected (combined) only by the slider member. Since the state is maintained, the flow of the other body relative to the on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generated. When the flow is generated in this way,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stability occurs during use.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고정수단이 슬라이더 부재만 존재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슬라이더 부재(즉, 휴대 단말기의 결합부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only with the slider member in the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roblem occurs that the slider member (that is, the coupling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amaged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시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두 바디의 연결수단에 대한 보강구조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서로 다른 바디에 각각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연구되었다.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s and the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different bodies, respectively, to prevent the flow generat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structurally requir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connecting means of the two bodies. Was studied.

그러나, 이와 같이 기구적인 구조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두 바디 간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강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flow generated between the two bodie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reinforce structural stability by the mechanical structure.

이와 더불어 휴대 단말기가 개폐될 때 작동이 부드럽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계의 공차가 매우 미세하게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설계는 물론 제조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lerance of the design must be made very fin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smooth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in design as well as manufacturing.

또한, 종래에 제안되었던 기구적인 설계에 의한 유동 방지구조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시 기구적인 마찰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부 표면이 벗겨지거나, 마찰로 인하 작동의 부드럽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한편, 구조적인 마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결국 유동 방지구조의 기구적인 편차가 발생되어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유동이 다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by the mechanical desig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external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peeled off due to the mechanical friction during use, 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lowering operation may be caused by the friction. In the case where structural wear continues to occu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echanical deviation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occurs and flow occurs again between the bodie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시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외부의 충격이 휴대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단말기 바디 간에 고정력을 더 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further provide a fixed force between the terminal body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외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w generated betwee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설계와 제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w generated betwee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지속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마찰 등에 의한 유동 방지구조의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brasion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due to friction even in continuous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demands and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와; 두 바디에 구비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동방지부는 단말기의 개폐시 서로 상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두 바디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 second body; A sliding member coupl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be sliding open and clo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w preve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two bodies, the flow preve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member disposed in each of the two bodies at least one so as to hav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terminal.

여기서, 자력부재는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이와는 달리 자력부재는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 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magnetic force member may include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또 다른 자력부재의 구성으로는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nother magnetic force member includes a first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그리고, 또 다른 자력부재의 구성으로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nd,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magnetic force member;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그리고, 또 다른 자력부재의 구성으로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1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 다. And,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magnetic force member;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first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여기서,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는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는 제 1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상응하는 위치로 제 1 바디에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first body. 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이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또는 배치를 가지는 자력부재는 두 바디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member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 or arrangements may be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cases constituting the two bodies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erals.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슬라이더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Incidentally,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scribed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opened and closed by a slider method.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1)가 도시되어 있다. 1, there is shown a portable terminal 1 having a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가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의 슬라이딩 구동은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 사이에 장착되는 슬라이더(21)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driving. The sliding drive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made possible by the slider 21 mount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상기 제 1 바디(10)는 제어회로(미도시)와 내부 입력부(11) 및 음향 입렵구(13)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바디(20)는 표시부(25)와 외부 입력부(26) 및 음향 출력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상에서는 제 1 바디(10)는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되었고, 제 2 바디(20)는 제 1 바디(10)의 전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되었다. The first body 10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not shown), an internal input unit 11, and an acoustic fitting hole 13, and the second body 2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5 and an external input unit 26. ) And a sound output unit 27 may be provid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body 10 is illustrat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is visible, and the second body 20 is illustrated such that the rear surfac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is visible.

상기 슬라이더(21)는 가이드 레일(24a,24b)을 따라 제 2 바디(20)의 길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24a,24b)을 따라 슬라이더(21)의 이동시 제 2 바디(2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4a,24b)의 양쪽 외측에는 슬롯(22a,2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더(21)는 제 1 바디(10)의 슬라이더 장착부(12)에 결합되어 제 2 바디(20)가 제 1 바디(10)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된다. The slider 21 is slidably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along the guide rails 24a and 24b. In this case, slots 22a and 22b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guide rails 24a and 24b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body 20 does not occur when the slider 21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s 24a and 24b. May be The slider 2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slider mounting portion 12 of the first body 10 so that the second body 20 can slide relative to the first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상기와 다른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일반적인 작동의 구성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 설 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는 상기 설명된 슬라이더(21)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ortable terminal 1 has been described for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operation that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by a sliding member different from the above. Therefore,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r 21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슬라이딩 개방시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 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 방지부가 구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시 서로 상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두 바디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ow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when the sliding opening. The flow prevent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member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two bodies so as to hav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이 자력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유동 방지부의 일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제 1 바디(10)에 구성되는 자력부재와 제 2 바디에 구성되는 자력부재의 자력에 의해서 두 바디(10,20) 간의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on portion formed by the magnetic force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two bodies (10,2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formed in the first body 10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formed in the second body On the basis of which a holding force between the

도 1의 도시를 기초로 하면, 제 1 바디(10)에는 상단 부분의 위치에 제 1 자력부재(110a,110b)가 구비되고, 제 2 바디(20)의 상단 부분의 위치에는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1 자력부재(110a,110b)와 상응하는 위치(즉, 겹치는 위치)에 제 1 자력부재(210a,210b)가 구비된다. Based on the illustration of FIG. 1, the first body 10 is provided with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1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210a and 210b are provided at positions (that is, overlapp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of the first body 10 in the closed state.

그리고, 제 1 바디(10)에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의 위치에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구비되고,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의 위치에는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상응하는 위치(즉, 겹치는 위치)에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구비된다. The first body 10 is provided with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t the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1 at the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are provided at positions (that is, overlapp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of the first body 10.

또한, 제 1 바디(10)에는 길이 방향의 하단 부분의 위치에 제 3 자력부재(130a,130b)가 구비되고,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하단 부분의 위치에는 휴 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제 3 자력부재(130a,130b)와 상응하는 위치(즉, 겹치는 위치)에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0 is provided with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in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bile terminal (1)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In the closed stat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are provided at positions (that is, overlapp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of the first body 10.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각의 자력부재의 배치에 대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제 1 바디(10)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구비되고, 하단 부분의 위치에 제 3 자력부재(130a,130b)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바디(10)와 대응하는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하단 부분의 위치에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each magnetic member as shown in FIG. As an example for this,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re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of the lower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0.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여기서,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에 구성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제 3 자력부재(130a,130b) 간의 거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슬라이딩 거리, 즉 슬라이더(21)의 활주 거리와 상응하는 거리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상기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 1 바디(10)의 제 3 자력부재(130a,130b)와 겹쳐지고, 휴대 단말기(1)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1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configured in the first body 10 in the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the portable The sliding distance of the terminal 1, that is,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stance of the slider 21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overlap with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of the first body 1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closed. In the open state, the mobile terminal 1 overlaps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of the first body 10.

따라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면, 제 1 바디(10)에 대하여 제 2 바디(20)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때, 상기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제 1 바디(10)의 제 3 자력부재(130a,130b)와 겹쳐진 위치에서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와 제 1 바디(10) 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 간에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S. 2A and 2B, when the second body 20 is slid and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 the third magnetic member 230a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is opened. 230b is moved to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120b) of the first body 10 in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of the first body (10) In the stat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230a and 23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and 120b of the first body 10 have a fixing force by magnetic force.

이와 같은 고정력에 의하여 상기 두 바디(10,20)는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By the fixing force, the two bodies 10 and 20 do not generate flow.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에 대한 다른 일례로 제 1 바디(10)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구비되고, 하단 부분의 위치에 제 3 자력부재(130a,130b)이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대응하는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구비되고, 하단 부분의 위치에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ng part,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re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ar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 Is provided, and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are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0, an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The three magnetic member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도 상기 첫 번째 적용예와 같이 상기 제 1 바디(10)에 구성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제 3 자력부재(130a,130b) 간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더(21)의 활주 거리와 상응하는 거리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와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상기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는 각각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 및 제 3 자력부재(130a,130b)와 겹쳐지고, 휴대 단말기(1)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Even in this configur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formed in the first body 10 as in the first application example is the sliding of the slider 21. It will have a distance that corresponds to the distance.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are respectively formed of the first body 1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close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overlapping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and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open. )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120b) of the first body (10).

따라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면, 제 1 바디(10)에 대하여 제 2 바디(20)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때, 상기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제 1 바디(10)의 제 3 자력부재(130a,130b)와 겹쳐진 위치에서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와 제 1 바디(10)의 제 2 자력부재(120a,120b) 간에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S. 2A and 2B, when the second body 20 is slid and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 the third magnetic member 230a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is opened. 230b is moved to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120b) of the first body 10 in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of the first body (10) In the stat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230a and 23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and 120b of the first body 10 have a fixing force by magnetic force.

이와 같은 고정력에 의하여 상기 두 바디(10,20)는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By the fixing force, the two bodies 10 and 20 do not generate flow.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 제 1 바디(10)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의 위치에 제 1 자력부재(110a,110b)이 구비되고,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대응하는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구비되고, 하단 부분의 위치에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on part,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are provided at posi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120b) is provided, and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are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0, an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그리고 또한,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 제 1 바디(10)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의 위치에는 제 1 자력부재(110a,110b)가 그리고 중간 부분 위치에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또한 하단 부분 위치에는 제 3 자력부재(130a,130b)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와 대응하는 제 2 바디(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220a,220b)와 하단 부분의 위치에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ng part,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is dispos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position. 120b is also provided with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in the lower portion positio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0)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220a and 220b and the lower portion.

그리고 또한, 상기 유동 방지부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례로 제 1 바디(10)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의 위치에는 제 1 자력부재(110a,110b)가 그리고 중간 부분 위치에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가 또한 하단 부분 위치에는 제 3 자력부재(130a,130b)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10)와 대응하는 제 2 바디(20)의 길 이 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제 1 자력부재(210a,210b)와 중간 부분 위치에 제 2 자력부재(220a,220b) 및 하단 부분의 위치에 제 3 자력부재(230a,230b)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ng part,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is dispos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position. 120b is also provided with a third magnetic force member (130a, 130b)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sition, the first magnetic force in the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0)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of the members 210a and 210b and the middle portion.

이와 같은 적용예들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각 자력부재의 배치 구조에 따라 휴대 단말기(1)의 개폐시 제 1 바디(10)에 구비되는 각 자력부재와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각 자력부재간의 자력에 의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자력에 의해 발생되는 고정력에 의하여 상기 두 바디(10,20)는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Such application examples are magnetic force provided in each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body 20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magnetic member as described above. It has a fixed force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members. Therefore, the two bodies 10 and 20 do not generate flow due to the fixing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여기서, 각 바디(10,20)에 구비되는 자력부재들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 형태의 자력부재(100)와 장방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는 자력부재(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각 바디(10,20)에 구비되는 자력부재들은 이와 같이 설명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magnetic force members provided in the bodies 10 and 20 may be composed of a cylindrical magnetic force member 100 and a magnetic force member 200 having a rectangular rod shape as shown in FIGS. 4A and 4B. . However, the magnetic members provided in the bodies 10 and 20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는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방형의 막대 형상의 자력부재(2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That is, a rectangular rod-shaped magnetic member 200 as shown in Figure 4b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 1 바디(10)에 휴대 단말기(1)의 개폐상태를 인식하여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감지부(14)를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의 일 단부 위치에 상응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14)가 휴대 단말기(1)의 개폐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 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4)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홀-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are long, the first body 10 recognize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control the operation mode. Sensing unit 14 for generating a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one end position of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220a,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eans for the sensing unit 14 to recogniz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4 may be generally configured by using a Hall sensor which detect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한편, 상기 설명된 마지막 적용예에서와 같이 두 바디(10,20)에 제 1 내지 제 3 자력부재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10)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바디(10)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게 될 경우에는 자력에 의한 척력이 휴대 단말기(1)의 중간 위치에서 두 바디(10,20) 간의 부상력을 주게 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작동시 사용자는 부드럽게 개폐를 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to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is provided in the two bodies (10, 20) as in the las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120b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ame polarity. As such, whe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have the same polarity, the repulsive force due to the magnetic force is Since the floating force is given between the two bodies 10 and 20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user can smoothly open and close the slide.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제 1 바디(10)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각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에 구비되는 다른 자력부재들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서로에 대한 인력을 가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second body are the same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closed. It is configured to have a polarity, the other magnetic member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polarity is configured to have a attraction to each other.

이러한 일 예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바디(10)의 상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자력부재(110a,110b)는 마이너스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 1 바디(10)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제 3 자력부재(130a,130b)는 모두 플러스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도록 제 2 바디(20)의 하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는 마이너스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 2 바디(20)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와 제 1 자력부재(210a,210b)는 모두 플러스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110a and 110b dispos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negative polarity, and the first body 10 may have a negative polarity.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130a and 130b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may be configured to have positive polarity. Correspondingly,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230a and 230b dispos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second body 20 are configured to have negative polarity,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disposed at other positions of the second body 20 ( Both the 220a and 220b and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210a and 210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sitive polarity.

휴대 단말기(1)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a의 도시와 같이 제 1 바디(10)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제 2 바디(20)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 간에서만 서로 척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3b의 도시와 같이 제 2 바디(20)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220a,220b)는 제 1 바디(10)의 상단 부분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자력부재(110a,110b)와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인력이 발생된다. 이때, 제 2 바디(20)의 하단 부분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자력부재(230a,230b) 또한 제 1 바디(10)의 중간 부분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자력부재(120a,120b)와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서로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120a and 120b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s shown in FIG. 3A.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only between the two magnetic members 220a and 220b.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open,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220a and 220b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econd body 2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0. The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by moving to the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 (110a, 110b) disposed in the. At this time, the third magnetic force member (230a, 230b)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120a, 120b)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and It is moved to the overlapping position and the attraction is generated.

상기 각 자력부재의 극성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설명을 기초로 하여 적절한 배치의 변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olarity of each magnetic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itable arrangement of deformations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자력부재들은 각각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를 구성하는 케이스(도면부호 미표시)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자력부재들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자력부재들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위치에서 삽입되는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자력부재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코팅 또는 시트 부재 등을 이용하여 자력부재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magnetic member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mounted on a case (not shown) constituting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n which case each of the magnetic members is external to the case. I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magnetic members may be mounted in a state that is inserted from the outer position of the case.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respective magnetic member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magnetic members may be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using a coating or a sheet member.

상기와 같이 설명된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described as above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optionally mixed to be performed to inclu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bodie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바디 간에 보강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reinforcing structure between the terminal bod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외관에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이 가능하여 미관이 좋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w generated betwee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exposed to the appearance is good aesthetics.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면, 휴대 단말기의 바디 간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설계와 제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w generated between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facilitat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마찰 등에 의한 유동 방지구조의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ar of the flow preventing structure due to friction or the like does not occur even in continuous use.

Claims (10)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A sliding member coupl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be sliding open and close;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상단 부분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것끼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자력부재;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force members each provided at posi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closed state, and having mutually different polarities;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의 하단 부분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것끼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같은 바디에 구비되는 제 1 자력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3 자력부재; 및The terminal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closed state, and those facing each other have different polarities and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ose of the first magnetic member provided in the same body. A plurality of third magnetic force members; And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및 2 바디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두 바디에 부상력을 제공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것끼리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두 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력부재와 마주하는 것은 상기 제 1 자력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 3 자력부재와 마주하는 것은 상기 제 3 자력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The terminal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middle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closed state, and the two facing each other have the same polarity so as to provide floating force to the two bodies, and the two in the open state.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 facing the first magnetic member when the terminal is open to prevent the flow of the body has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force facing the third magnetic memb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third magnetic membe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는 제 2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되는 제 2 자력부재와 상응하는 위치로 제 1 바디에는 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body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는 상기 두 바디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member is disposed adjacent to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forming the two bodies and is not exposed.
KR1020060112992A 2006-11-15 2006-1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KR101294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92A KR101294294B1 (en) 2006-11-15 2006-1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92A KR101294294B1 (en) 2006-11-15 2006-1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15A KR20080044115A (en) 2008-05-20
KR101294294B1 true KR101294294B1 (en) 2013-08-08

Family

ID=3966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992A KR101294294B1 (en) 2006-11-15 2006-1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2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649A (en)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87217Y1 (en) * 2005-03-23 2005-06-20 (주)하이텍파츠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having permanent magnets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649A (en)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87217Y1 (en) * 2005-03-23 2005-06-20 (주)하이텍파츠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having permanent magnets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15A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7125A1 (en) Slim profile foldable device
US7417865B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63659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wo keypads
EP1742449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88569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overlapping sledge portion
EP1906631B1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173308B2 (en) Mounting structur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sliding-type electronic device
US7945299B2 (en) Multiple torsion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US7761124B2 (en) Sliding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69167A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29429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KR100834647B1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and semi-automatic sliding unit thereof
US8724299B2 (en)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188866A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JP2006220184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5177888B2 (en) Slide-open electronic device
JP2009105867A (en)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8229526B2 (en) Portable device with sliding housing
KR20080039733A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300104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8004411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oving
KR20120013800A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871931B2 (en) Sliding mobile terminal
JP2010183515A (en) Electronic device
JP2008109368A (en)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quipped with sl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