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748B1 -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748B1
KR101293748B1 KR1020110142520A KR20110142520A KR101293748B1 KR 101293748 B1 KR101293748 B1 KR 101293748B1 KR 1020110142520 A KR1020110142520 A KR 1020110142520A KR 20110142520 A KR20110142520 A KR 20110142520A KR 101293748 B1 KR101293748 B1 KR 10129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ice
servers
time zon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453A (ko
Inventor
안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박스
Priority to KR102011014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7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이, 현재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 경우,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을 토대로 서버를 구동시킨다. 이때 적어도 하나를 항상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적 서비스 서버로 선택하여 동작시키고, 측정되는 서버의 부하량을 토대로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Description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based on load}
본 발명은 서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서버 부하에 따라 서버의 구동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접속하는 사용자도 증가함에 따라 서버에 가해지는 처리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서버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동시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를 고려하여 충분한 물리 서버를 확보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시간대별로 처리량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특성에 따라 포털 서비스의 경우, 일반적인 직장인이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는 시간과 종료 시간, 그리고 점심 시간대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몰리는 BH(busy hour)가 발생한다. 게임 서비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오후 8시 이후부터 BH가 발생된다.
이러한 BH 시간대에서는 서비스 이용량이 급증하여 확보된 물리 서버 이외에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반하여, BH를 제외한 특정 시간대에서는 서비스 이용량이 감소하여 일부 서버로도 서비스 처리가 가능한 상황이 발생하여 다량의 유휴 서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별로 BH를 고려하여 서버를 포함하는 자원을 구성하여야 함으로, 자원 구축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유휴 시간대에는 자원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고, 서버와 같은 장비의 구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및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BH 시간대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비가 추가 투입될 때마다 자원 활용도는 더 떨어지며, 비용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간대별 서버의 부하를 고려하여 최적으로 서버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서버들을 제어하는 방법이며, 현재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 경우, 해당 시간대에 대하여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항상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적 서비스 서버로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서버들을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로 설정하여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적 서비스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재시작 모드로 구동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시작 모드로 구동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적 서비스 서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재시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보다 작은 경우,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가 경과할 때까지, 상기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이 다른 서비스의 제어 대상 목록에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동되고 있는 서버들의 부하량을 토대로 각 서비스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각 서비스별 부하량을 비교하여 보다 높은 부하량을 가지는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나머지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이며, 서비스마다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대 및 제2 시간대별로,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 및 각 서버별 우선 순위 및 동작 모드가 설정되는 구동 정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정책 등록 처리부; 현재 시간대가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상기 제2 시간대인 경우, 해당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항상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적 서비스 서버로 선택하여 동작시키고, 나머지 서버들을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로 설정하여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동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부하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동작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동적 서비스제공 서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상기 제2 시간대는 서비스 종류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시간대는 아이들(idle)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BH(busy hour)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제공시, 서비스마다 아이들 시간대나 BH(busy hour) 시간대에 부하량에 따라 서버의 동적 구성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서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구축되는 서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부하가 적어 서버들이 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하여 자원 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로 구입되는 서버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아이들 시간대에 서버의 상태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켜, 서버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서버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과 서버간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서버 목록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1)은 복수의 서버(2)를 제어하여, 복수의 서버(2)는 네트워크(예: 인터넷)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3)들과 연결된다.
제어 대상인 복수의 서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1)의 제어에 따라 동적으로 동작하여 사용자 단말(3)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사용자 단말(3)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서버(2)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서비스 이미지 관리부(11), 서버 이미지 등록부(12), 서버 이미지 제공부(13), 서버 제어 설정부(14), 서버 동작 제어부(15), 정책 등록 처리부(16), 정책 관리 스케줄링부(17), 그리고 부하 수집부(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버 제어 시스템(1)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첨부한 도 3을 토대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과 서버간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1)은 복수의 서버들(2)의 동작을 제어하며, 서비스마다 시간대별로 설정된 부하량에 따라 복수의 서버들을 설정된 정책에 따라 동작시킨다.
서비스마다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시간대가 있고 서비스 이용이 감소하는 시간대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이용이 설정량보다 작은 시간대를 아이들(idle) 시간대(제1 시간대)로 하고, 서비스 이용이 설정량보다 큰 시간대를 BH(busy hour) 시간대(제2 시간대)로 한다.
시간대별로 서로 다른 정책에 따라 서버(2)를 제어하기 위하여, 서버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복수의 서버(2)는 도 3에서와 같이, 정적 서비스 서버(21,22)와 동적 서비스 서버(23)로 분류될 수 있다. 정적 서비스 서버(21,22)는 초기에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는 서버 부하에 따라 동적으로 동작하는 서버이다. 제1 시간대 및 제2 시간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정적 서비스 서버(21, 22)와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정적 서비스 서버(21, 22)가 초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작하고, 나머지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서버의 부하 증가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각 시간대별로 정적 서비스 서버(21, 22)가 동작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집되는 서버의 부하값과 설정된 부하값을 비교하여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를 투입 즉,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구동시키질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2)는 온(ON) 모드, 오프(OFF) 모드, 재시작 모드(Restart) 모드, 그리고 슬립(Sleep)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온 모드는 서버가 구동되어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그룹(이하, 서비스 그룹이라고 명명함)에 투입되는 것을 나타내며, 오프 모드는 서버(2)의 구동이 정지되어 서비스 그룹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슬립 모드는 서버(2)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을 유휴하는 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며, 재시작 모드는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던 서버(2)가 다시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되어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정적 서비스 서버(21,22)는 온 모드로 동작하여 초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가 서버들의 부하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시작 모드로 동작하여 서비스 그룹에 투입되어 해당 서비스를 단말(3)로 제공한다.
여기서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된 부하값은 복수일 수 있으며, 각 설정된 부하값에 따라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할 서버의 개수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간대에서 수집된 서버의 부하값이 제1 설정 부하값 보다 큰 경우에는 제1 개수의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를 구동시키고, 수집된 서버의 부하값이 제2 설정 부하값 보다 큰 경우에는 제2 개수의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수는 제1 개수보다 크며, 이러한 개수들은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에 의하여 해당 시간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기본 개수 및 최대 개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본 개수와 최대 개수 사이에서 서버의 기본 최대 개수를 설정하고, 수집되는 서버의 부하량에 따라 적정 개수의 서버를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3)들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시간대에 접속하는 단말을 "제1 그룹 단말(31)이라고 명명하고, 제2 시간대에 접속하는 단말을 "제2 그룹 단말(32)"이라고 명명한다.
한편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서버 구동에 관련된 정책들을 설정하는 관리자 단말(4)과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서버 구동 정책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동 정책을 토대로 서버들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은 제공하는 서비스별로 서비스 이미지를 서버 제어 시스템(1)에 등록하고, 제어 대상이 되는 서버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대상이 되는 서버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정책을 서버 제어 시스템(1)으로 제공한다.
한편 서버 제어 시스템(1)에서, 서비스 이미지 관리부(11)는 서비스별 운영체제(OS)와 서비스 프로그램 이미지를 관리한다. 서버(2)가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마다 요구되는 운영 체제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 이미지를 관리한다.
서버 이미지 제공부(13)는 서비스 이미지 제공부(11)에서 관리하고 있는 운용 체제와 서비스 프로그램 이미지를 서버(2)로 제공한다. 특히 서버 이미지 제공부(13)는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 부팅을 통한 구동 이미지와 서비스 프로그램 이미지를 서버(2)로 전송하여, 서버(2)가 PXE를 통한 부팅을 하도록 한다. 각 서버별로 제공되는 이미지는 해당 서버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서버의 MAC 어드레스를 토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서버(2)로부터의 구동 이미지 요청시마다 서버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구동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이미지 등록부(12)는 서비스가 가능한 서비스 이미지를 등록 및 관리한다. 서버 이미지 등록부(12)는 도 3에서와 같이 관리자 단말(4)로부터 서비스별 서비스 이미지를 제공받아 등록할 수 있다.
서버 제어 설정부(14)는 서비스마다 부하별로 구동시킬 서버를 설정하고 설정된 서버에 대한 동작 방법을 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 제어 설정부(14)는 서비스마다 부하별로 제어 대상 서버에 대한 설정 정보를 관리자 단말(4)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는 서비스마다 구동시킬 서버들에 대한 서버 리스트와 각 서버들의 우선 순위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동작 제어부(15)는 서버(2)의 동작을 제어하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소정 서버를 온 모드, 오프 모드, 슬립 모드, 재시작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서버 동작 제어부(15)는 예를 들어,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를 통하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비스 변경을 적용하기 위한 서버의 재부팅은 IMPI를 통해 수행한다. 그리고 아이들 시간대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 투입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ACPI를 통해 서버를 슬립 모드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서버 동작 제어부(15)는 부하 수집부(18)에 의하여 측정되는 서버의 자원 사용량을 토대로 서버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책 등록 처리부(16)은 서비스마다 시간대별로 부하에 따른 서비스 구성을 설정한다. 정책 등록 처리부(16)는 관리자 단말(4)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정책을 등록하며, 구동 정책은 서비스마다 시간대별로 부하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정책 관리 스케줄링부(17)는 서비스마다 시간대와 서버의 부하에 따라 해당하는 정책을 실행시킬지의 여부를 스케줄링한다. 예를 들어 정책 관리 스케줄링부(17)는 정책 등록 처리부(16)에서 관리되는 구동 정책을 토대로, 현재 서비스에서 시간대와 부하에 따라 관련 구동 정책을 실행시킬지의 여부를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된 정책에 따라 서버 동작 제어부(15)를 제어한다.
부하 수집부(18)는 각 서버 단위로 자원 사용량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부하 수집부(18)는 각 서버가 사용하고 있는 CPU, MEM, 트래픽(traffic), 커넥션(connection) 수를 포함하는 자원 사용량을 수집하며, 수집된 자원 사용량을 토대로 현재의 서버 부하값을 산출한다. 이때, 현재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투입된 총 서버들의 자원 사용량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를 정책 적용을 위한 부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제어 시스템(1)은 관리자 단말(4)로부터 각 서비스별 이미지를 제공받아 등록하고 서비스별로 구동 정책을 제공받아 등록한 상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를 토대로 설정된 정책의 반영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서버 구동 정책으로 서비스마다 설정된 제1 시간대와 제2 시간대별로, 구동시킬 서버의 기본 개수와 최대 개수가 설정되고, 각 서버별로 우선 순위 및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 제어 시스템(1)은 현재 시간대가 설정된 정책을 반영하는 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대가 아이들 시간대인 제1 시간대 또는 BH 시간대인 제2 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S100).
현재 시간대가 제1 시간대이거나 제2 시간대인 경우, 서버 제어 시스템(1)은 해당 시간대에 제어 대상이 되는 서비스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서비스 목록들을 확인한다(S120). 그리고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대상이 되는 서비스별로 서버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설정된 부하값을 확인한다(S130).
이와 같이 구동 정책에 따른 서버 제어를 위한 시간대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서비스 목록과 서비스별 부하값을 확인한 다음에, 서버 제어 시스템(1)은 현재 제어 대상이 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140). 그리고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인 경우,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대상이 되는 서버들의 목록을 확인한다(S150).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대상 서버들의 PXE 부팅 요청이 들어오는 MAC 주소와 수행될 서비스 이미지 테이블을 재 구성한다(S160).
이후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대상 서버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들을 IPMI/ACPI 명령을 통해 제어하며, 각 서버들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킨다(S170). 특히 IPMI를 온/재시작(ON/RESTART) 명령을 통해 제어되는 각 서버들은 수행할 서비스 이미지를 PXE 부팅 과정을 통해 서버 제어 시스템(1)에서 재구성된 서비스 이미지 테이블로부터 동적으로 다운받아 구성된 정책에 맞는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서버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첨부한 도 5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버 제어 시스템(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들을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시킨다(S300). 이때,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가 있는 경우(S310), 서버 제어 시스템(1)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들 중에서 더 많은 자원을 가지는 서버에게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S32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적으로 정렬시킨 후(S330), 정렬된 서버들을 해당 시간대에 대하여 설정된 기본 개수만큼의 서버들만 우선 동작시키고, 나머지 서버들은 슬립 모드 상태로 제어한다(S340).
그리고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의 부하량을 측정하고(S350), 측정된 부하량을 토대로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들 중에서 현재 동작하는 서버들을 제외한 서버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투입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즉,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서버를 재시작 모드로 동작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S360).
이와 같이 서버들의 부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량을 토대로 서버를 추가적으로 구동시키는 과정을 해당 시간대(즉,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가 경과 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며, 투입가능한 최대 개수 이내에서 측정되는 부하량에 따라 우선 순위별로 서버를 추가적으로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다음 표 1과 같이 서비스 A, B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동작 가능한 기본 개수와 최대 개수가 다음 표1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구분 제1 시간대(아이들) 설정 제2 시간대(BH) 설정
시간대 기본
개수
최대
개수
시간대 기본
개수
최대
개수
서비스A 12~24시 2 4 0~12시 3 4
서비스B 0~12시 1 3 12~24시 2 4
이와 같이 시간대별로 동작 가능한 서버의 기본 개수와 최대 개수가 설정되고, 사용 가능한 서버들이 a, b, c, d, e, f개 있다고 가정할 경우, 각 서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표 2는 각 서버별 우선 순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서비스 A 서비스 B
서버 a 상(항상 동작) 하(동작 하지 않음)
서버 b 상(항상 동작) 하(동작 하지 않음)
서버 c 중(선택 동작-우선) 중(선택 동작)
서버 d 중(선택 동작) 중(선택 동작-우선)
서버 e 중(선택 동작) 중(선택 동작)
서버 f 하(동작 하지 않음) 항상 동작(상)
이와 같이 서비스 A, B마다 각 서버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다르게 부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선택동작-우선)은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투입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대가 제1 시간대에 해당하는데 제공되는 서비스가 서비스 A로 제어 대상인 경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되는 서버들이 "서버a, 서버b, 서버c, 서버d, 서버e, 서버f"일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서버들을 정렬하고, 서버 a와 서버b는 항상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3에서와 같이, 서버a와 서버b는 온 모드로 동작시키면서 정적 서비스 서버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서버 동작 제어부(15)에서는 ACPI 슬립 명령을 지시하여 나머지 서버들 서버c, 서버d, 서버e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서버f는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서버 동작 제어부(15)에서 IPMI 오프(OFF) 명령을 지시하며, 서버f는 오프 모드로 동작된다. 이에 따라 서버a와 서버b에 의하여 서비스 A에 대한 서비스가 도 3에서와 같이 제1 그룹 단말(31)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하는 서버들 즉, 서버a와 서버b의 부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량에 따른 서버 부하값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예를 들어, 제1 부하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 즉, 서버 c를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킨다. 슬립 모드에 있는 서버 c를 서버 동작 제어부(15)에서 IPMI 재시작 명령을 통해 재시작 모드로 동작시켜 서비스 A를 제1 그룹 단말(31)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후 제1 시간대가 경과할 때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의 부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에 따른 서버 부하값이 설정된 부하값(예를 들어, 제2 부하값)을 초과하면 슬립 모드에 있는 다음 우선 순위의 서버 예를 들어, 서버 d를 서버 동작 제어부(15)에서 IPMI 재시작 명령을 통해 재시작 모드로 동작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물론 측정되는 부하값이 설정된 부하값보다 작아지면, 서비스 그룹에 투입되었던 서버를 서버 동작 제어부(15)에서 IPMI 오프 명령을 통해 중지 시킨 후 서비스 그룹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서버 부하값이 설정된 부하값 즉, 제1 부하값보다 작아지면 구동하는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 즉, 서버c를 다시 슬립 모드로 동작시켜 서비스 그룹으로부터 해제시킨다. 이 경우 구동하는 서버들이 서버a, 서버b, 서버 c, 서버d인 경우에는 항상 구동하는 것으로 설정된 정적 서비스 서버인 서버a, 서버b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d가 선택되어 슬립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를 투입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측정된 서버 부하값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들의 각각의 부하값을 토대로 해당 서비스에 대하여 산출되는 부하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투입된 총 서버들의 자원 사용량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특정 시간대에 서비스 부하량에 따라 서버가 동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서버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 따라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가 변경되는 서비스에 대해서 제어 대상 서버 목록을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0시”인 경우, 위의 표 1을 토대로 하여 “0시”가 BH 시간대인 제2 시간대로 설정된 서비스 즉, 서비스 A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제어 대상 서버 목록을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A는 제2 시간대에 기본 개수 3대의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고 최대 4개까지의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위의 표 2와 같이 항상 동작하는 서버a와 서버b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1대를 서버c, 서버d, 서버e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버c를 선택하여 동작시킨다. 그리고 예비 투입을 위해 서버d와 서버e를 대기 목록에 포함시킨다.
한편 현재 시간대 “0시”에서 서비스 B는 BH가 아니라 제1 시간대(아이들 시간대)이고, 제1 시간대에서 서비스 B에 대해서는 기본 개수 1개의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최대 3개까지의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위의 표 2에 따라 항상 동작하는 서버f를 구동시키고, 예비 투입을 위하여 서버c, 서버d, 서버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서버c는 이미 서비스 A를 위하여 구동되는 상태이므로, 예비 투입을 위하여 서버d와 서버e만을 대기 목록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 대상 목록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비스 A와 서비스 B 각각에 대한 대기 목록에 서버d와 서버e가 중복된다. 서로 다른 시간대이지만 구동 정책이 적용되는 시간대에서 각 서비스별로 부하량이 증가하여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들 중에서 추가로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기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 각 서비스의 부하량을 토대로 보다 많은 부하량을 가지는 서비스로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를 투입한다. 이를 위하여 각 서비스별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의 부하량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서버들의 부하량을 토대로 해당 서비스의 부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하량이 보다 높은 서비스에 대하여,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를 투입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A를 제공하는 서버a, 서버b, 서버c 각각의 부하량을 측정하여 산출되는 서비스 A에 대한 부하량(예를 들어, 서비스 A의 자원(CPU) 사용량)이 “30%”이고, 서비스 B를 제공하는 서버f의 부하량을 측정하여 산출되는 서비스 B에 대한 부하량(예를 들어, 서비스 B의 자원(CPU) 사용량)이 “60%”인 경우, 서비스 B는 현재 제1 시간대이지만 실질적으로 부하가 많은 비지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 d와 서버e 중에서 하나를 서비스 B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킨다. 여기서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들 중에서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가 먼저 선택되며, 예를 들어, 보다 자원 사용량이 많은 순으로 서버를 정렬하고 높은 순위의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부하량에 따라 서비스 A에 대해서도 서버 투입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보다 많은 서비스 부하량을 가지는 서비스 B에 대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들 중에서 하나를 서비스 B에 대한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또는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 중에서 먼저 선택된 서버는 서비스 B의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서버를 서비스 A를 위한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6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서버 목록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서버 제어 시스템(1)은 현재 시간대를 확인하여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 경우(S700, S710), 서비스마다 각 시간대에 미리 설정된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을 확인한다(S720).
그리고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서버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의 부하를 각각 측정하고(S730), 측정된 서버들 부하량을 토대로 해당 서비스의 부하량을 산출한다(S740). 산출된 서비스 부하량을 토대로 추가적인 서버 투입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의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대기 목록의 서버가 다른 서비스의 대기 목록의 서버가 동일하여 서로 중복되는 서버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750, S760).
확인 결과 중복 서버가 있는 경우, 중복된 서버를 대기 목록으로 가지는 서비스들의 부하량을 서로 비교한다(S770). 비교 결과, 보다 높은 부하량을 가지는 서비스의 대기 목록으로 중복 서버를 투입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S780), 이 결과를 토대로 각 서비스의 제어 대상 목록을 재구성한다(S790).
한편 단계(S760)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의 제어 대상 서버 목록에 중복되는 서버가 없는 경우에는, 현재 서버 투입이 요구되는 서비스의 대기 목록에 있는 서버 중에서 하나를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그룹으로 투입시킨다(S800).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이 상기 서버들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현재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인 경우, 해당 시간대에 대하여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항상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적 서비스 서버로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서버들을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로 설정하여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적 서비스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재시작 모드로 구동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작 모드로 구동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적 서비스 서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재시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보다 작은 경우,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서버들이 다른 서비스의 제어 대상 목록에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동되고 있는 서버들의 부하량을 토대로 각 서비스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각 서비스별 부하량을 비교하여 보다 높은 부하량을 가지는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나머지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제2 시간대가 경과할 때까지, 상기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서버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상기 제2 시간대는 서비스 종류마다 다르게 설정되는 서버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아이들(idle)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BH(busy hour) 시간대인, 서버 제어 방법.
  10.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들을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에서,
    서비스마다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대 및 제2 시간대별로, 제어 대상 서버들의 목록 및 각 서버별 우선 순위 및 동작 모드가 설정되는 구동 정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정책 등록 처리부;
    현재 시간대가 상기 제1 시간대 또는 상기 제2 시간대인 경우, 해당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목록에 포함된 서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항상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적 서비스 서버로 선택하여 동작시키고, 나머지 서버들을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로 설정하여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동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부하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동작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동적 서비스제공 서버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동작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재시작 모드로 구동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동작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부하값보다 작은 경우,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동작 제어부는 구동 중인 서버들 중에서 상기 정적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동적 서비스 제공 서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버를 슬립 모드로 동작시키는, 서버 제어 시스템.









KR1020110142520A 2011-12-26 2011-12-26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20A KR101293748B1 (ko) 2011-12-26 2011-12-26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20A KR101293748B1 (ko) 2011-12-26 2011-12-26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53A KR20130074453A (ko) 2013-07-04
KR101293748B1 true KR101293748B1 (ko) 2013-08-06

Family

ID=4898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20A KR101293748B1 (ko) 2011-12-26 2011-12-26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7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668A (ja) 2002-02-26 2003-09-05 Hitachi Ltd データセンタ資源管理方法及び運用方法
KR20080050323A (ko) * 2006-12-02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임 시리즈 기법을 이용한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016339A1 (en) 2009-07-15 2011-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Server States
KR20110026303A (ko) * 2009-09-07 2011-03-15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668A (ja) 2002-02-26 2003-09-05 Hitachi Ltd データセンタ資源管理方法及び運用方法
KR20080050323A (ko) * 2006-12-02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임 시리즈 기법을 이용한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016339A1 (en) 2009-07-15 2011-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Server States
KR20110026303A (ko) * 2009-09-07 2011-03-15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53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hybrid compute environment
US9405563B2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machine system, and virtual machine system
JP5496518B2 (ja) 集中電力管理方法、装置側エージェント、集中電力管理コントローラ及び集中電源管理システム
US9396026B2 (en) Allocating a task to a computer based on determined resources
US8448006B2 (en) Performing virtual and/or physical resource management for power management
US8433931B2 (en) Integrating energy budgets for power management
US9857858B2 (en) Managing power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computing systems
US8566834B2 (en) Mechanism for application management during server power changes
EP2725862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esource management platform
CN102473131A (zh) 组件功率监测和工作负荷优化
CN107209697B (zh) 动态控制的工作负载执行
JP5355592B2 (ja) ハイブリッド型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254194A1 (en) Dynamically controlled workload execution by an application
US8209413B1 (en) Emergency power settings for data-center facilities infrastructure event
JP5961402B2 (ja) 計算機システム
US74216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performance of a data processing system
US11334436B2 (en) GPU-based advanced memory diagnostics over dynamic memory regions for faster and efficient diagnostics
KR101293748B1 (ko) 부하에 따른 서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318370A1 (en) Middleware power management
US9625967B1 (en) Managing power reduction in data center components
Lefurgy et al. Energy-efficient data centers and systems
Jiang et al. Dynamic voltage/frequency scaling for power reduction in data centers: Enough or not?
Alspaugh Reducing Cluster Energy Consumption through Workloa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