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633B1 -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633B1
KR101293633B1 KR1020130057125A KR20130057125A KR101293633B1 KR 101293633 B1 KR101293633 B1 KR 101293633B1 KR 1020130057125 A KR1020130057125 A KR 1020130057125A KR 20130057125 A KR20130057125 A KR 20130057125A KR 101293633 B1 KR101293633 B1 KR 10129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s
data
tracking service
of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용길
박길종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29Traffic data processing for creating historical data or processing based on historical data

Abstract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단속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회한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TRACKING DETOUR ROUTE FOR ENFORSEMENT AVOIDANCE VEHICLE}
본 발명은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에는 제한차량의 제원을 규정하여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로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하여 축중량, 총중량을 제한하고 낙하물의 사고 위험으로부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 불량 단속까지 실시하고 있다.
이때, 과적 차량의 단속은 축중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적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2-0004492호(2013. 01. 08 공고)에는 축중기를 이용하여 과적차량을 단속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단속된 차량의 운전자는 해당 영업소나 톨게이트에 단속이 실시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단속이 실시되었던 영업소나 톨게이트를 우회하여 다른 영업소나 톨게이트를 이용하여 단속을 피하게 되므로, 과적차량을 단속하는 것만으로는 단속률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단속을 회피하여 경로를 우회하는 차량은 여전히 단속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속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지 않고 있다면 어느 톨게이트를 경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단속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회한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기 설정된 날짜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단속이 실시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우회 경로와 예상 도착 시간을 각 영업소나 톨게이트로 전송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가 추적하는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와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고,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는 고속도로의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을 통과하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정보는 차량이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을 통과하는 날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의 지역, 차량의 속도, 총중량, 차량 번호, 축수, 제한차량, 좌우편차, 전후편차, 축중미달, 축수틀림, 윤중초과, 총중편차, 패드2검측 오류, 랜딩 기어, 상부 높이 초과, 하부 높이 초과, 축중과적, 총중과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단속을 회피하는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단속을 회피하는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고속도로 톨게이트 또는 제한 차량 단속 장소에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한 차량 번호,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에는 제한차량의 제원을 규정하여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로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하여 축중량, 총중량을 제한하고 낙하물의 사고 위험으로부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 불량 단속까지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단속된 차량의 운전자는 해당 영업소나 톨게이트에 단속이 실시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단속이 실시되었던 영업소나 톨게이트를 우회하여 다른 영업소나 톨게이트를 이용하여 단속을 피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단속된 차량의 운전자는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어느 영업소나 톨게이트에서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공유를 함으로써, 단속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속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지 않고 있다면 어느 톨게이트를 경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우회 경로와 예상 도착 시간을 각 영업소나 톨게이트로 전송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가 추적하는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부(320), 필터링부(330), 정렬부(340), 경로 추적부(350)를 포함한다. 이때,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속 정보 전송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구성 프로파일 공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로 전송하면,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는 도로공사 제한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고, 일자별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수신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는 단속 대상이 되는 항목만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는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구동을 위한 항목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실시하는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되는 항목은 날짜, 지역, 속도, 총중량, 차량 번호, 축수, 제한차량, 좌우편차, 전후편차, 축중미달, 축수틀림, 윤중초과, 총중편차, 패드2검측 오류, 랜딩 기어, 상부 높이 초과, 하부 높이 초과, 축중과적, 총중과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서버(100)에서는 제한차량이라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즉, 가공되지 않은 단순 측정 데이터인 로데이터(Raw Data)만을 보유하고 있을 뿐, 단속을 위한 어떠한 정보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로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차량 데이터는 차량이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통과한 날짜, 차량이 통과한 영업소가 위치한 지역, 영업소를 통과할 때의 차량의 속도, 차량의 총중량, 차량 번호, 축수, 좌우편차, 전후편차, 축중미달, 축수틀림, 윤중초과, 총중편차, 패드2검측 오류, 랜딩 기어, 상부 높이 초과, 하부 높이 초과, 축중과적, 총중과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제한차량은 축중오버가 각 축당 11.1톤, 총중량 44.1톤이 초과되는 차량을 의미하고, 축중오버와 총중량이 법에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또한, 좌우편차는 좌우 무게 차이가 몇 퍼센트가 나는지를 의미하는 데이터이고, 축수틀림은 차량마다 고유의 차축이 설정되는데, 그 축수가 틀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윤중초과는 각 축당 11.1톤이 초과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랜딩기어는 차량이 랜딩기어를 내렸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필터링부(33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부(320)에서 각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경우에는 필터링부(330)에서는 필터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화부(320)에서 각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필터링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각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를 시키면서 필터링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필터링부(330)와 하나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날짜, 지역, 속도, 총중량, 차량 번호, 축수, 제한차량, 좌우편차, 전후편차, 축중미달, 축수틀림, 윤중초과, 총중편차, 패드2검측 오류, 랜딩 기어, 상부 높이 초과, 하부 높이 초과, 축중과적, 총중과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정렬부(340)는 필터링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한다. 예를 들어, 위반 횟수가 많은 순으로 또는 적은 순으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정렬할 수도 있고, 일정 기간에 위반 횟수가 많은 순으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정렬할 수도 있다.
경로 추적부(350)는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단속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회한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날짜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단속이 실시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일 수 있고,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한 대의 트럭이 A 영업소를 4월부터 8월까지 하루에 한 번씩 오후 4 시경에 통과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한 대의 트럭이 단속이 실시된 8월 말을 기점으로 A 영업소를 통과한 기록이 전무한 경우, 한 대의 트럭은 단속을 피하여 경로를 우회하고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추적부(350)는 한 대의 트럭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B 영업소를 통과한 기록을 추적할 수 있고, 한 대의 트럭의 사용자가 B 영업소를 통하여 경로를 우회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따라서, 경로 추적부(350)는 이하의 단계를 실시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경로 추적부(350)는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기 설정된 날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경로 추적부(350)는 이전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정보를 추출하고, 이후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의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경로 추적부(350)는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복수의 차량이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통과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하로 감소한 차량을 추출한다. 이로써, 복수의 차량의 우회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적부(350)는 우회 경로를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 이후에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적부(350)는 추적된 경로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추적부(350)는 추정된 시간과 복수의 차량 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은, 복수의 차량 데이터 및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단속 정보부(360)는 추적된 경로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시간과 복수의 차량의 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추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경보 및 복수의 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단속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동작의 단계별 구현 실시예를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a) 초기 화면에서 (b) 오픈 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하고, (c) 폴더를 선택한 위치에서 DB 명을 입력하면, (d) 입력한 DB가 생성된다. 이때, (e) 생성하려고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 4b의 (a)와 같이 구미지사 폴더 하위에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b)와 같이 데이터베이스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때, (c)와 같이 화면에 해당 데이터를 모두 표현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올 수는 있으나 에러 메세지는 아니다. 이 단계 이후의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때,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수동 모드로 진입하면 수동 모드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d)와 같이 일정 날짜와 제한 차량이 자동으로 선택되고, (e)와 같은 데이터가 추출된다. 그리고 나서, 도 4c의 (a)와 같이 총중과적차량이 선택되고, (b)와 같이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하여 재검색이 실시된다. 이때, 총중과적차량 이외에도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다른 필터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재검색이 실시될 수 있다. (b)를 보면 해당 차량은 1월 동안에만 왜관 영업소를 이용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 (c)와 같이 상위 폴더가 자동으로 선택되고, 해당 차량에 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진다.
도 4d의 (a)를 보면, 왜관 영업소에서 남대구 영업소로 경로를 우회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b)를 보면 포항 영업소에서 단속에 걸렸던 차량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e의 (a) 및 (b)를 보면, 건천 영업소를 통과하여 포항으로 진입하다가 4 열 패드가 깔려있어 축조작 등의 회피방법이 없으므로, 단속이 된 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 차량이 그 이후로는 더 이상 포항으로 다니지 않고 경주나 건천으로 국도를 이용하여 진입하고 있음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과 예상 시각, 우회 경로를 추정 및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추정된 시각 및 우회 경로에 단속반을 배치할 수도 있고, 직접 단속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f의 (a)와 (b)도 해당 차량이 포항에서 단속된 후, 건천과 북영천을 통과하고 있는데, 북영천을 이용하여 단속을 회피하는 경로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속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톨게이트를 지나지 않고 있다면 어느 톨게이트를 경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우회 경로와 예상 도착 시간을 각 영업소나 톨게이트로 전송함으로써 단속 회피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면(S5100),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200).
그리고 나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을 실시하고(S5300),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정렬한다(S5400).
또한,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기 설정된 날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로 분리한 후(S5500), 기 설정된 날짜에 기초하여 단속을 회피하는 차량을 검색한다(S5600).
그리고,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우회 경로를 추출하고(S5700), 추적된 경로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을 추정하고(S5800),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로 단속 정보를 전송한다(S5900).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400)은 단속 정보를 출력하여(S5990), 해당 차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5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4를 통해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5100~S5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고(S6200),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한다(S6300).
여기서, 필터링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하고(S6400),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단속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회한 경로를 추적한다(S6500).
이와 같은 도 6의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5를 통해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행하는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도로 차량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별 위반차량이 출력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위반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차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이,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단속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회한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날짜는, 상기 복수의 차량에 대한 단속이 실시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인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이 단속을 회피하는 것은,
    상기 정렬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날짜 이전 데이터와 이후 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이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통과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하로 감소한 차량을 추출하는 단계
    를 실행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는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경로는,
    상기 복수의 차량이 상기 기 설정된 날짜 이후에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된 경로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상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시간과 상기 복수의 차량의 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은, 상기 추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경보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단속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된 경로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를 상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시간과 상기 복수의 차량의 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업소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은, 상기 복수의 차량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날짜, 지역, 속도, 총중량, 차량 번호, 축수, 제한차량, 좌우편차, 전후편차, 축중미달, 축수틀림, 윤중초과, 총중편차, 패드2검측 오류, 랜딩 기어, 상부 높이 초과, 하부 높이 초과, 축중과적, 총중과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8.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30057125A 2013-05-21 2013-05-21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125A KR101293633B1 (ko) 2013-05-21 2013-05-21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125A KR101293633B1 (ko) 2013-05-21 2013-05-21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633B1 true KR101293633B1 (ko) 2013-08-05

Family

ID=4921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125A KR101293633B1 (ko) 2013-05-21 2013-05-21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1248A (zh) * 2014-03-18 2014-06-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轨迹碰撞的嫌疑车尾随车辆分析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12B1 (ko) * 2004-04-14 2004-08-25 이씨엠아시아아이티에스(주)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7693A (ko) * 2003-09-16 2005-03-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과적 차량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890625B1 (ko) * 2007-09-20 2009-03-27 조성윤 고속주행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20110126205A (ko) * 2010-05-16 2011-11-23 이승열 화물자동차의 최대적재량 무게 측정 및 최대적재량 단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93A (ko) * 2003-09-16 2005-03-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과적 차량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445312B1 (ko) * 2004-04-14 2004-08-25 이씨엠아시아아이티에스(주)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0890625B1 (ko) * 2007-09-20 2009-03-27 조성윤 고속주행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20110126205A (ko) * 2010-05-16 2011-11-23 이승열 화물자동차의 최대적재량 무게 측정 및 최대적재량 단속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1248A (zh) * 2014-03-18 2014-06-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轨迹碰撞的嫌疑车尾随车辆分析方法及装置
CN103871248B (zh) * 2014-03-18 2016-04-13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轨迹碰撞的嫌疑车尾随车辆分析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270B2 (en) Adjusting insurance policies based on common driving routes and other risk factors
CN108053673B (zh) 一种路况预报方法、存储介质和服务器
Shladover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systems: Introduction and overview
CN106052702A (zh) 车辆导航方法和装置
CN110718057B (zh) 路网运行状态评价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3390345B (zh) 道路交通事故分析方法
CN104504541A (zh) 方便用户出行的基于大数据分析的云服务互动系统与方法
Saleemi et al. Effectivenes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ase study of Lahore safe city
KR101293633B1 (ko) 단속 회피 차량의 우회 경로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Papadimitriou et al. Analysis of driving behaviour characteristics based on smartphone data
Dowling et al. Incorporating travel-time reliability into the congestion management process: a primer.
US10819608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server
CN109087513B (zh) 一种公交运行管理方法及系统
Fiorillo et al. Minimizing illegal overweight truck frequencies through strategically planned truck inspection operations
Saini et al. Advancement of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Nitsche et al. Pro-active management of traffic incidents using novel technologies
KR20190083269A (ko) 경로 기반 교통 모니터링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과, 경로 기반 교통 모니터링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운영 시스템
CN106355943A (zh) 基于移动通信设备的停车管理系统及停车管理方法
McCormack et al. GPS truck data performance measures program in Washington State
Papantoniou et al.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of mobile phone use with trip characteristics recorded through smartphone sensors
Rindels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TM messages used during incidents
Gan et al. Integrated database and analysis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freeway corridors for potential ramp signaling.
Wang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speed-limit reduction near signalized high-speed intersections equipped with advance-warning flashers
Al-Sabaawi Traffic congestion control based in-memory analytics: Challenges and advantages
WO2017208371A1 (ja) 画像検索プログラム、画像検索方法および画像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