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402B1 -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 Google Patents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402B1
KR101292402B1 KR1020120119939A KR20120119939A KR101292402B1 KR 101292402 B1 KR101292402 B1 KR 101292402B1 KR 1020120119939 A KR1020120119939 A KR 1020120119939A KR 20120119939 A KR20120119939 A KR 20120119939A KR 101292402 B1 KR101292402 B1 KR 10129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fastener
handle bar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학
Original Assignee
이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학 filed Critical 이승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A barbell for home use by using a beverage bottle is provided to save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st; and recycle resources by making a weight of the barbell with a beverage bottle which is disposed after using. CONSTITUTION: A barbell for home use by using a beverage bottle (1000) comprises: a grip bar (200); a beverage bottle which has symmetry structure (300); a fastening part (400); a circle fixing device (500) which fixes the beverage bottle to the grip bar. The fastening part of the beverage bottle comprises: a connecting part of the grip bar in the middle; a body of the fastening part which has a joint groove in both ends and comprises a flat board which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grip bar; a joint groove adjusting part which fixes the beverage bottle with fastening and adjusts the size of the joint groove as a latching fixing mode with a clip by combining with the outer end of the joint groove.

Description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본 발명은 역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음료수병을 역도기구의 중량체로서 이용하여 운동 중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lif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weight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which can freely adjust the exercise weight by using the beverage bottle discarded after being used at home as the weight of the weight lif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역도기구는 약칭으로 역기 또는 바벨(Barbell)이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운동기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중량원판체가 있고 그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금속재질로 된 것이 전형적이다. In general, the weight lifting device is also abbreviated as a barbell or barbell, an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such an exercise device, there is a weight disc that controls the exercise load and its material is typically made of metal.

이러한 역도기구는 중량원판체의 금속 무게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고 원판의 중량 및 회전이동 등으로 실내벽 또는 바닥에 무리가 가해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반가정 내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uch weight lifting mechanisms are not widely used in general homes due to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pri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metal of the weight disc and a load applied to the interior wall or the floor due to the weight and rotation of the disc.

상기 문제점을 보완한 종래의 기술의 일 예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5189호(1999. 2. 5. 공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 통 바벨은 특정구조의 플라스틱 통으로 성형된 바벨원판 및 쿠션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된 완충덮개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구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게 되고 또한 여전히 바벨원판 구조에 의한 원치 않는 회전이동으로 인해 가정에서 이용하는 경우 주변물품에 부딛칠 수 있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이 기구를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데는 여전히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돌발사고를 야기할 가능성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 there is disclosed a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5189 (published on Feb. 5, 1999). The plastic barrel barbell disclosed in this Utility Model Publication is expensive to manufacture or purchase separately a cushioning cover made of plastic material with a barbell disc and a cushion molded from a plastic barrel of a specific structure, and still have an undesired rotation by the barbell disc structure. When used at home due to the mov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hit the surrounding goods. Therefore, the use of this apparatus for home use is still economically burdensom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n accident.

이를 보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2589호( 2009. 9. 24.출원)로 출원한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가 있다. 이 역도기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긴 파이프 형태의 손잡이 바(bar)(110)와, 역도기구의 중량체로서 이용되는 대표적 음료수병인 생수병(120)과, 상기 음료수병을 체결하는 음료수병 체결용 평판(130)과 그 위에 상기 손잡이 바를 관통시키는 손잡이 바 연결봉(140)이 결합되어진 좌,우 쌍구조의 음료수병 체결구(150)와,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가 손잡이 바에 걸려졌을 때 음료수병 체결구의 측면이동을 억제시키는 원환 고정구(160)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수병 체결용 평판(130)은 생수병을 체결하는 장방형의 금속재질의 평판체로서 긴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내향하여 길게 연장된 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폭은 상기 생수병(120)의 목부분(121)(이 부분의 직경은 일정하게 규격화되어 있음)이 통과할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했다. 그리고 상기 음료수병 체결용 평판(130)의 양 단에는 생수병이 상기 홈(131)에 체결되었을 때 양단 개구측으로의 생수병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리 체결부(13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고리체결부는 볼트형의 "ㄷ"자형 고리(133)와 이것이 관통하는 관통공(134) 및 너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수병 체결용 평판(130)의 중앙부에 상기 손잡이 바 연결봉(140)이 직교하도록 횡방향으로 용접방식으로 결합되어져서 이 손잡이 바 연결봉(140)을 통해 상기 손잡이 바(110)가 관통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Complementing this, there is a home weightlifting device using a beverage bottle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9-0012589 (filed September 24, 2009). This weight lifting devic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 conventional long pipe-shaped handle bar (110), bottled water bottle 120 which is a representative drinking bottle used as the weight of the weight lifting device, Drinking water bottle fasteners 150 having a left and right pair structure in which a drinking water bottle fastening plate 130 for fastening the drinking water bottle and a handle bar connecting rod 140 penetrating the handle bar thereon are coupled with the drinking water bottle fastening It includes an annular fixture 160 to suppress the lateral movement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when the sphere is caught in the handle bar. The beverage bottle fastening plate 130 is a rectangular plate of metal material for fastening the bottled water bottle, grooves 131 extending inwardly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ng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groove is the bottle of water. The neck portion 121 (the diameter of this portion is uniformly standardized) at 120 is designed to have a dimension enough to pass. And both ends of the drinking water bottle fastening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ring fastening portion 132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bottled water bottle to both sides opening when the bottled water bottle is fastened to the groove 131. The ring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bolt-shaped " c " shaped ring 133 and a through hole 134 and nut through which the ring-shaped " c " In addition, the handle bar is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ing plate 130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handle bar connecting rod 140 is orthogonal, so that the handle bar 110 penetrates through the handle bar connecting rod 140. It is supposed to be connected.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상기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역시 음료수병 체결구(150)의 체결 및 해제기능이 다소 복잡하고 사용중량을 크게 할 경우 이를 견디기에는 구조상 취약한 편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를 좀 더 보완개선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However, the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the beverage bottle devi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lso a structural weakness to withstand this when the fastening and releasing function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150 is somewhat complicated and increases the use weight.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come to propose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supplementing and improving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음료수병을 재활용하여 선택적으로 운동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음료수병 체결구의 체결 및 해제기능이 원활하고 구조강도 역시 개선된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ycle the beverage bottle discarded after use in the hom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selectively adjust the exercise weight, smooth and structure the fastening and releasing function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s Strength is also to provide a home weightlifting device using an improved beverage bott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잡이 바와, 좌,우 대칭구조의 음료수병 체결구와, 상기 손잡이 바에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고정시키는 원환 고정구를 포함하는 역도기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중앙의 손잡이 바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체로 구성되고 양단에 음료수병 체결홈을 구비한 체결구 몸체, 그리고 상기 체결홈의 외측 단부에 결합하여 클립에 의한 걸림고정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료수병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홈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ight lifting mechanism including a handle bar,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beverage bottle fasteners, and a toric fastener for fixing the beverage bottle fasteners to the handle bar,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is A fastener body having a beverage bottle coupling groove at both ends and a flat body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and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and engaged with an outer end of the locking groove to be locked by a clip; Adjusting the size of the fastening groov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adjustment uni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beverage bottle.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홈 조절부는, 상기 체결홈에 슬라이딩 결합하며 상기 체결홈의 넓이를 조절하여 음료수병을 고정, 체결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체결구 몸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가이드하고,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절홈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판; 상기 체결구 몸체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판; 절곡부가 완만한 '⊂' 형상의 탄성판으로 구성되고, 하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조절홈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클립의 잠금해제 및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돌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손잡이 바 연결부 방향으로 밀 때 클립의 걸림고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푸시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된 탄성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the sliding plate is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adjusts the width of the fastening groove to fix and fasten the beverage bottle; An upper guide plate formed at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to guide the moving plate, and having an adjustment groove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guide plate form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to guide the movable plate; The bent portion is composed of a smooth '⊂' shaped elastic plate,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projection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adjustment groove to perform the function of unlocking the clip and escape And a resilient clip member having a second protrusion, which performs a locking function of the clip when the moving plate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bar and is unlocked by the push of the first protrusion.

특히, 상기 체결구 몸체는, 상기 체결홈의 내측 양면에 상기 체결홈 조절부의 이동플레이트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asten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plate of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slides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fastening groove.

또한, 상기 체결홈 조절부는, 'L'자 형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의 외측에 형성된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formed of an 'L' shaped plat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play.

한편,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하부와 상기 체결구 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보강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상부와 상기 체결구 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보강부; 상기 체결구 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fastener body by coupl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bar and the fastener body, respectively; A second reinforcing part formed to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art and the fastener body to support the fastener body; It may further comprise a plate-shaped reinforcing rib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astener body.

또한, 상기 손잡이 바 양측에 1쌍 이상의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bar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pairs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s on both sides.

특히 상기 손잡이 바는 양단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원환고정구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띠와 상기 고정홈과 체결되도록 상기 띠의 내측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용 돌기, 그리고 상기 결합홈과 체결되도록 상기 띠의 외측에 돌출된 다수의 체결 돌기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handle ba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 torus fixture includes a b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elt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elt to b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s. It is compos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me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the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역도기구의 중량체를 사용후 폐기되는 음료수병을 이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과 함께 원자재 및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First, by using a beverage bottle that is discarded after use of the weight of the weight lif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sts with the recycling of resources.

둘째, 각종 크기의 음료수병을 체력에 따라 1쌍 이상을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여 남녀노소 모두에 활용가능하다.Second, beverage bottles of various sizes can be selectively used in one or more pairs according to physical fitness, and can be used for both sexes.

세째, 가정에서 소음없이 운동을 즐길 수 있고, 아울러 가정 내부의 주변물품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음료수병에 물을 채워 사용하므로 운동 과정이나 보관, 운반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enjoy the exercise without noise in the home, and almost no damage to the surrounding items in the home, and the use of a water bottle filled with water can reduce the risk of injury in the course of exercise, storage, transport.

네째, 조립해체 및 보관관리가 용이하다.Fourth, assembly disassembly and storage management is easy.

다섯째, 체결구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고중량 이용도 가능하며, 나아가, 사무실내 직장인용으로도 활용가능하다.Fifth,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fasteners can be used for high weight, furthermore, can be utilized for office worker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1에 있어서의 음료수병 체결구 및 음료수병을 분리하여 확대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음료수병 체결구의 상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음료수병 체결구의 하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이동플레이트 및 탄성클립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일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제1보강부 또는 제2보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원환 고정구의 일실시예로서, 손잡이 바에 체결하기 전, 후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0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의 원환 고정구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손잡이 바에 체결하기 전, 후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home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and the beverage bottle in FIG. 1 separated and enlarged.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household weight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of the household weightlifting apparatus using the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bottom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of the household weightlifting apparatus using the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vable plate and the elastic clip member of the household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a drinking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one side cross section of the weightlifting apparatus for home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or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of the home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B) is an embodiment of the toroidal fixture of the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fastening to the handle bar in detail.
Figure 10 (A), (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roidal fixture of the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 view showing in detail before and after the fastening to the handle bar.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 중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구조상 대부분의 구성부분이 좌,우 양측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쌍을 이룬 구조로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ince most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ymmetrical to both side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paire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1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파이프 형태의 손잡이 바(bar)(200), 역도기구의 중량체로 이용되는 음료수병(300), 상기 음료수병(300)을 체결하는 음료수병 체결구(400),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가 상기 손잡이 바(20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의 측면이동을 억제시키도록 고정하는 원환 고정구(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household weightlifting apparatus 1000 using the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bar 200 having a long pipe shape, a beverage bottle 300 used as a weight of the weight lifting apparatus, When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for fastening the beverage bottle 300 and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are fastened to the handle bar 200 to suppress the side movement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And an annular fixture 500 that is secured to.

상기 손잡이 바(200)는 경량의 금속 파이프 또는 아프리카산 부빈가와 같은 단단한 재질의 목재 봉으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 바(200)의 손잡이부에는 땀에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바(200)를 길고 굵게 형성하면 역기로, 짧고 가늘게 형성하면 아령으로 각각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바(200)는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가 상기 손잡이 바(200)의 중심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handle bar 200 is composed of a wooden rod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 lightweight metal pipe or an African vacant house, and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non-slip tape to the handle part of the handle bar 200 so as not to slip on sweat well. Do. Accordingly, when the handle bar 200 is formed long and thick, it can be used as a barbell, and if it is formed short and thin, it can be used as a dumbbell. In addition, the handle bar 200, so that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does not move to the center of the handle bar 200, as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음료수병(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병목부(310)와 병몸체부(320)와 병머리부(330)로 구성되는 0.5L, 1.0L 또는 2.0L 병으로서, 그 안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적절히 채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료수병(300)은 유리병 등으로도 활용가능하나 안전성과 소음 방지 등의 측면에서 페트(PET)병으로 된 음료수병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verage bottle 300, as shown in Figure 3, is usually a 0.5L, 1.0L or 2.0L bottle consisting of a bottle neck 310, a bottle body 320 and a bottle head 330, It can be used by filling in water or sand. In particular, the beverage bottle 300 may be used as a glass bottl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beverage bottle made of PET (PET) in terms of safety and noise prevention.

또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는, 도 4 내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바 연결부(410), 체결구 몸체(420), 체결홈 조절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is, as shown in detail in Figures 4 to 7, including a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fastener body 420, fastening groove adjustment unit 430 do.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는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 바(200)가 관통하여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손잡이 바(200)의 직경과 일치하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구 몸체(42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병(300)이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에 체결될 때,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외경 하부에 상기 음료수병(300)의 병몸체부(320) 상단이 걸리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외경 하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bar connection part 4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bar 200, and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andle bar 200. It is formed of a pipe having or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fastener body 420.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7, when the beverage bottle 300 is fastened to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the bottle body of the beverage bottle 300 in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is preferably inclin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320 is not caught.

상기 체결구 몸체(420)는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체로서,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 측으로 내향하여 길게 연장된 체결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 몸체(420)는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양측에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 외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astener body 420 is a flat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and fastening grooves extending inward toward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body 420. 421 is formed. The fastener body 420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또한, 상기 체결홈 조절부(430)는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양단, 즉 상기 체결홈(421)의 외측 단부에 결합하여 클립에 의한 걸림고정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421)의 크기를 조절하고 음료수병(300)을 체결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421)에 슬라이딩 결합하며 상기 체결홈의 넓이를 조절하여 음료수병을 고정, 체결하는 이동플레이트(431);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가이드하고,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절홈(432)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판(433);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판(434); 절곡부가 완만한 '⊂' 형상의 탄성판(435)으로 구성되고, 하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조절홈(432)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클립의 잠금 해제 및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돌기(436)와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손잡이 바 연결부(410) 방향으로 밀 때 클립의 걸림고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푸시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제2 돌기(437)가 형성된 탄성클립부재(4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4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astener body 420, that is,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421 to adjust the size of the fastening groove 421 in a locking manner by a clip. As to adjust and fasten and fix the beverage bottle 300, as shown in Figures 4 to 5, the sliding coupling to the fastening groove 421 and adjusts the width of the fastening groove to move, fixed, fastening the beverage bottle Plate 431; An upper guide plate 433 formed at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420 to guide the movable plate 431, and having an adjustment groove 432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guide plate 434 form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420 to guide the movable plate 431; The bent portion is composed of a smooth '⊂' shape of the elastic plate 435,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431, the upper surface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adjustment groove 432 and unlock the clip and When the first protrusion 436 and the movable plate 431 which performs the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ar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the locking function of the clip is performed and the first unlocked by the push of the first protrus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clip member 438 is formed with two projections (437).

특히, 상기 체결홈(421)의 내측 양면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431)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422)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홈(42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홈(422)에 보다 원활히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돌기(431A)(도 6 참조)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inner grooves of the fastening grooves 421 are formed with guide grooves 422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plate 431 slides,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plates 431 are guide grooves 422. It is preferable to be fastened to the sliding. 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s 431A (see FIG. 6) which protrude in a direction sliding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plate 431 to be smoothly slid to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422 more smoothly to the guide groove 422. It may be formed.

상기 체결홈(421)으로 상기 음료수병(300)의 병목부(neck)(310)를 삽입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상기 체결홈(4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압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클립부재(438)의 제1 돌기(436)와 제2 돌기(437)가 각각 상기 조절홈(432)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도 함께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음료수병(300)은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에 체결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돌기(436)를 푸시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상기 체결홈(421)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면 고정된 음료수병 체결구(400)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상기 체결홈(421)의 내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내측과 상기 체결홈(421)의 내측 형상이 상기 음료수병(300)의 목(310)의 형상을 따라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면 상기 음료수병(300)을 더욱 효과적으로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다.Inserting a bottle neck 310 of the beverage bottle 300 into the fastening groove 421, and by moving the moving plate 431 by sliding and pressing the inside of the fastening groove 421, the elastic The first protrusion 436 and the second protrusion 437 of the clip member 438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adjustment groove 432 and the moving plate 431 is also fixed together, thereby the beverage bottle 30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In this state, by sliding the moving plate 431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groove 421 while pushing the first projection 436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fixed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Therefore, when the movable plate 431 is moved to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421, the inner shape of the movable plate 431 and the inner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421 are defined by the neck of the beverage bottle 300. If it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along the shape of 310 can be more effectively fastened and released the beverage bottle 300.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431)가 상기 체결홈(421)에서 슬라이딩할 때, 보다 편하게 상기 이동플레이트(431)를 잡을 수 있도록, 'L'자 형상의 판으로 구성된 받침판(439)을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외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받침판(439)의 높이(439A)(도 6 참조)는 상기 상부 가이드판(433), 이동플레이트(431), 하부 가이드판(434)의 적층 두께와 일치하거나 조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o 6, when the movable plate 431 slides in the fastening groove 421, so as to hold the movable plate 431 more comfortable, 'L' shaped Support plate 439 consisting of a plat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ovable plate 431. At this time, the height 439A (see FIG. 6) of the support plate 439 coupled to the side of the movable plate 431 is a stack of the upper guide plate 433, the movable plate 431, and the lower guide plate 434. It is desirable to form a thickness or a little longer.

특히, 상기 이동플레이트(431)와 상기 탄성클립부재(438), 그리고 상기 받침판(439)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movable plate 431, the elastic clip member 438, and the support plate 439 may be formed and coupled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6, to be integrally injected It may be.

또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는 무거운 중량의 음료수병(200)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하부 양측과 상부 양측에서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와 상기 체결구 몸체(420)를 보강하도록 각각 형성된 제1보강부(440)(도 5 참조) 및 제2보강부(450)(도 4참조);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양측면에 형성된 판형상의 보강리브(460)(도 4 내지 도 5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may support the beverage bottle 200 of heavy weight, so that the handle bar connecting portion 410 and the fastener at both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410 A first reinforcing part 440 (see FIG. 5) and a second reinforcing part 450 (see FIG. 4) respectively formed to reinforce the body 420; The fastener body 420 may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reinforcement ribs 460 (see FIGS. 4 to 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er body 420.

즉, 상기 제1보강부(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하부 외경과 상기 체결구 몸체(420)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420)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의 보강부재로서, 고정용 핀이나 고정용 판, 철심, 플라스틱 보강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 하부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보강부(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410)의 상부 외경과 상기 체결구 몸체(420)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42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로서, 고정용 핀이나 고정용 판, 철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부(440) 및 제2보강부(4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리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s shown in Figure 7, the coupling to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410 and the fastener body 420, respectively, the fastener body 420 As a bracket-type reinforcing member to support, it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in, a fixing plate, an iron core, a plastic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the handle bar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41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450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art 410 and the fastener body 420, respectively, to connect the fastener body 420. As a reinforcing member to support, it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in, a fixing plate, an iron cor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as shown in Figure 8,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ibs.

또한 보강리브(460)는 상기 체결구 몸체(420)의 양측면 외에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강부(440)와 제2보강부(450)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46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as shown in FIGS. 4 to 5, in addition to both sides of the fastener body 420. have.

상기 체결홈(421)의 직경은 상기 음료수병(300)의 병목부(310)가 통과할 수 있게 대략 3.5㎝로 형성하고, 상기 양 체결홈(421) 사이의 간격은 대용량의 생수병이 거의 맞닿을 수 있게 대략 7㎝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groove 421 has a diameter of about 3.5 cm so that the bottle neck 310 of the beverage bottle 300 can pass therethrough, and the spacing between the fastening grooves 421 is almost a large bottle of mineral water. It is preferable to form it about 7 cm so that it may contact.

또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400)는 필요한 중량에 따라 양측에 1쌍 이상을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400 may be used by selectively fastening one or more pairs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required weight.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상기 원환 고정구(50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손잡이 바(200)의 양단에 다수의 고정홈(220)을 형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환 고정구(500)는 다수의 결합홈(510)이 형성된 띠(520); 상기 고정홈(220)에 체결되도록 상기 띠의 내측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용 돌기(530); 및 상기 띠(520)의 결합홈(510)과 체결되도록 상기 띠(520)의 외측에 돌출된 다수의 체결 돌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환 고정구(500)를 체결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530)가 상기 고정홈(220)에 삽입고정된 채로, 상기 손잡이 바(200)를 상기 띠(520)가 둘러싸게 되고, 이후 상기 체결 돌기(540)를 상기 결합홈(51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띠(520)를 강하게 고정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in order to implement the toric fastener 500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20 must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bar 200. do. Next, the toric fastener 500 includes a band 520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10 are forme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530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trip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22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540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elt 52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510 of the belt 520. Accordingly, when the toroidal fastener 500 is fastened, the strap bar 520 surrounds the handle bar 200 while the fixing protrusion 5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220. Subsequently, the belt 520 is strongly fix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540 into the coupling groove 510.

한편, 상기 원환 고정구(500)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띠(520)가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며 체결되도록,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520)는 이중의 겹으로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510)과 체결 돌기(540)가 형성된 각 부분의 띠(520)는 한 겹으로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에도, 상기 띠(520)는 이중 이상의 다중 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결합홈(510)과 체결 돌기(540)가 형성된 각 부분의 띠(520)는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하되, 이들이 겹쳐진 두께가 상기 다중 겹의 두께와 같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ric fastener 500 is fastened, the belt 520 is fastened while maintaining a uniform thickness, as shown in Figure 9 (A), the belt 520 is formed in a double fold However, the strip 520 of each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51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40 are forme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in one layer. In addition, the strip 520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of double or more, and in this case, the strips 520 of each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51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40 are formed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It is preferable to form such that the overlapped thickness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ultiple layers.

또한, 상기 원환 고정구(500)의 고정용 돌기(5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바(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환 고정구(500)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결합홈(510)에 결합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rojection 530 of the toric fastener 500, as shown in Figure 1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andle bar 200, when the toric fastener 500 is fastened, the coupling It may be fixed to the groove 5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생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는 가정에서 버려지는 폐자재를 이용하여 남녀노소, 특히 노년층, 가정주부, 어린아이들이 가정에서 손쉽게 근력운동을 즐길 수 있고, 취급상 위험성이 없으며, 아울러 조립해체 및 보관관리가 용이하다.The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the bottled water bottle is composed of waste materials discarded at home, so that young and old, especially the elderly, housewives, and young children can enjoy strength exercise at home easily, and there is no risk of handling. Easy to disassemble and sto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0: 역도기구 110: 손잡이 바
120: 음료수병 121: 목부분
130: 체결용 평판 131: 홈(체결홈)
132: 고리 체결부 133: 볼트형 고리
134: 관통공 140: 손잡이 바 연결봉
150: 음료수병 체결구 160: 원환 고정구
200: 손잡이 바 210: 돌출부
220: 고정홈 300: 음료수병
310: 병목부 320: 병몸체부
330: 병머리부 400 : 음료수병 체결구
410: 손잡이 바 연결부 420: 체결구 몸체
421: 체결홈 430: 체결홈 조절부
431: 이동플레이트 431A: 가이드돌기
432: 조절홈 433: 상부 가이드판
434: 하부 가이드판 435: 탄성판
436: 제 1돌기 437: 제 2돌기
438: 탄성클립부재 439: 받침판
440: 제1보강부 450: 제2보강부
460: 보강리브 500: 원환 고정구
510: 결합홈 520: 띠
530: 고정용 돌기 540: 체결 돌기
100: weight lifting device 110: handle bar
120: drink bottle 121: neck
130: fastening plate 131: groove (fastening groove)
132: ring fastening portion 133: bolt ring
134: through hole 140: handle bar connecting rod
150: beverage bottle fastener 160: torus fastener
200: handle bar 210: protrusion
220: fixed groove 300: beverage bottle
310: bottleneck 320: bottle body
330: bottle head 400: drink bottle fastener
410: handle bar connection 420: fastener body
421: fastening groove 430: fastening groove adjustment unit
431: Moving plate 431A: Guide protrusion
432: adjusting groove 433: upper guide plate
434: lower guide plate 435: elastic plate
436: first projection 437: second projection
438: elastic clip member 439: support plate
440: first reinforcement unit 450: second reinforcement unit
460: reinforcement rib 500: torus fastener
510: coupling groove 520: strip
530: fixing projection 540: fastening projection

Claims (7)

손잡이 바와, 좌,우 대칭구조의 음료수병 체결구와, 상기 손잡이 바에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고정시키는 원환 고정구를 포함하는 역도기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중앙의 손잡이 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체로 구성되고 양단에 음료수병 체결홈을 구비한 체결구 몸체;
상기 체결홈의 외측 단부에 결합하여 클립에 의한 걸림고정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료수병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홈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홈 조절부는,
상기 체결홈에 슬라이딩 결합하며 상기 체결홈의 넓이를 조절하여 음료수병을 고정, 체결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체결구 몸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가이드하고,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절홈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판;
상기 체결구 몸체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판;
절곡부가 완만한 '⊂' 형상의 탄성판으로 구성되고, 하면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조절홈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클립의 잠금해제 및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돌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손잡이 바 연결부 방향으로 밀 때 클립의 걸림고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푸시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된 탄성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A weight lifting mechanism including a handle bar, a beverage bottle fastener having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 and an annular fastener fixing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to the handle bar.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Handle bar connection in the center;
Fastener body consisting of a flat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beverage bottle coupling groove at both ends;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includes a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astening groove in a locking method by a clip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beverage bottle,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A sliding plate slidingly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to fix and fasten the beverage bottle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fastening groove;
An upper guide plate formed at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to guide the moving plate, and having an adjustment groove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guide plate form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body to guide the movable plate;
The bent portion is composed of a smooth '⊂' shaped elastic plate,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projection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adjustment groove to perform the function of unlocking the clip and escape Drinking water bottle comprising 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clip member formed with a second projection to perform the locking function of the clip when the moving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and unlocked by the push of the first projection; Home weightlifting equipment us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몸체는,
상기 체결홈의 내측 양면에 상기 체결홈 조절부의 이동플레이트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er body,
The home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plate of the fastening groove adjustment unit is sli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 조절부는,
'L'자 형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된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The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a beverag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lat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ate formed of 'L' shaped plate.
손잡이 바와, 좌,우 대칭구조의 음료수병 체결구와, 상기 손잡이 바에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고정시키는 원환 고정구를 포함하는 역도기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중앙의 손잡이 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체로 구성되고 양단에 음료수병 체결홈을 구비한 체결구 몸체;
상기 체결홈의 외측 단부에 결합하여 클립에 의한 걸림고정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료수병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홈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하부와 상기 체결구 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보강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상부와 상기 체결구 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결구 몸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보강부;
상기 체결구 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A weight lifting mechanism including a handle bar, a beverage bottle fastener having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 and an annular fastener fixing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to the handle bar.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Handle bar connection in the center;
Fastener body consisting of a flat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beverage bottle coupling groove at both ends;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includes a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astening groove in a locking method by a clip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beverage bottle,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First reinforcing portions formed to support the fastener body by coupl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bar and the fastener body, respectively;
A second reinforcing part formed to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art and the fastener body to support the fastener body;
A household weight lifting apparatus using a beverag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late-shaped reinforcement rib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astene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 양측에 1쌍 이상의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The method of claim 5,
A household weightlifting device using a beverag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ba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f the beverage bottle fasteners on both sides.
손잡이 바와, 좌,우 대칭구조의 음료수병 체결구와, 상기 손잡이 바에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를 고정시키는 원환 고정구를 포함하는 역도기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병 체결구는,
중앙의 손잡이 바 연결부;
상기 손잡이 바 연결부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체로 구성되고 양단에 음료수병 체결홈을 구비한 체결구 몸체;
상기 체결홈의 외측 단부에 결합하여 클립에 의한 걸림고정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료수병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홈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바는 양단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환 고정구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띠와 상기 고정홈과 체결되도록 상기 띠의 내측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용 돌기, 그리고 상기 결합홈과 체결되도록 상기 띠의 외측에 돌출된 다수의 체결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을 이용한 가정용 역도기구.
A weight lifting mechanism including a handle bar, a beverage bottle fastener having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 and an annular fastener fixing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to the handle bar.
The beverage bottle fastener,
Handle bar connection in the center;
Fastener body consisting of a flat plat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beverage bottle coupling groove at both ends;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includes a fastening groov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astening groove in a locking method by a clip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beverage bottle,
The handle ba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 torus fastener,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on the inside of the belt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 of the ban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Home weightlifting equipment using a drinking bottle.
KR1020120119939A 2012-09-28 2012-10-26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KR1012924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22 2012-09-28
KR20120008822 2012-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402B1 true KR101292402B1 (en) 2013-08-01

Family

ID=4921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39A KR101292402B1 (en) 2012-09-28 2012-10-26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4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014U (en) * 1989-09-13 1991-05-13
KR20110006891U (en)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ire fastening apparatus
KR20110010506U (en) * 2010-05-03 2011-11-09 이승학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KR200461707Y1 (en) 2009-09-24 2012-07-31 이승학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014U (en) * 1989-09-13 1991-05-13
KR200461707Y1 (en) 2009-09-24 2012-07-31 이승학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KR20110006891U (en)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ire fastening apparatus
KR20110010506U (en) * 2010-05-03 2011-11-09 이승학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088B2 (en) Barbell assembly having impact absorbing weights and swivel end
US9616294B2 (en) Modular activity board
US8561769B2 (en) Stackable, towable luggage
US9597539B2 (en) Moveable bar catch with support
US9339677B2 (en) Modular exercise board
US20040232016A1 (en) Collapsible golf bag carrying case
JP4829237B2 (en) Anchor anchor cover
US8029006B2 (en) Stackable dolly
CN102357294B (en) Golf bag
US20060022418A1 (en) Golf bag having integrated wheels and an extendable handle
US9610963B2 (en) Vehicle tire cart
KR101292402B1 (en)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AU2021209162A1 (en) Modular activity board
US2397433A (en) Article or luggage carrier
US20120256385A1 (en) Traffic Cone Dolly
KR200463207Y1 (en)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KR20180018224A (en)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pet bottles
WO2021072176A1 (en) Exercise assemblies and methods for utilizing the same
KR200461707Y1 (en) Home weight lifting tool using recycled drink bottles
US10035528B2 (en) Cart system for holding and retaining portable ball hoppers
US20050074317A1 (en) Cart to lift barrels
KR101762656B1 (en) Parallel bars with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N202237114U (en) Golf bag
KR101247192B1 (en) Golf bag case
KR200478505Y1 (en) Synthetic resin carry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