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79B1 -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79B1
KR101291279B1 KR1020110067877A KR20110067877A KR101291279B1 KR 101291279 B1 KR101291279 B1 KR 101291279B1 KR 1020110067877 A KR1020110067877 A KR 1020110067877A KR 20110067877 A KR20110067877 A KR 20110067877A KR 101291279 B1 KR101291279 B1 KR 10129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beep
casing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061A (en
Inventor
송수연
이근형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79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2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hollow pipes, e.g. speaking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한다.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An output unit disposed in the casing and outputting a beep ton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beep path for guiding the beep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art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casing spaced from the output part, wherein the beep path has a passage cross-sectional area along a traveling path of the beep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art. Gradually decreasing passage reduction portion; And a beep inducing unit for inducing a beep sou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reduction part to the predetermined point.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ppliance for outputting a beep sound containing product information.

가전기기의 작동 중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서비스센터에 문의를 하여 이상 증상을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위한 서비스 인원을 파견시켜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If an error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appliance, the user will be asked to contact the service center to handle the symptom itself or to dispatch a service person to take appropriate action.

그러나, 가전기기의 이상 작동에 대한 상기와 같은 방식의 대응은,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이상 증상을 서비스센터 측에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고, 서비스센터 측의 대응 역시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sponse to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ha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a limitation in accurately conveying the abnormal symptom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service center, and the service center can not respond properly .

최근에는 사용자측에서 서비스센터 측으로 보다 정확하게 가전기기의 이상 증상을 전달하기 위해, 가전기기의 증상을 소정 패턴의 신호음으로 출력하고, 이를 통해 가전기기의 진단을 실시하는 진단시스템이 개발된바 있다.Recentl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transmit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home appliance from the user side to the service center, a diagnosis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outputting the symptoms of the home appliance as a predetermined pattern of beeps and thereby diagnosing the home appliance.

그러나, 이러한 진단시스템은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는 신호음 특성상, 신호음의 감쇄 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단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진단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diagnosis system may cause attenuation or distortion of the sound signal due to the nature of the signal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and may cause a decrease in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result and, in severe cases, may lead to a diagnosis failure. .

본 발명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can accurately output a beep sound containing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한다.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An output unit disposed in the casing and outputting a beep ton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beep path for guiding the beep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art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casing spaced from the output part, wherein the beep path has a passage cross-sectional area along a traveling path of the beep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art. Gradually decreasing passage reduction portion; And a beep inducing unit for inducing a beep sou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reduction part to the predetermined point.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할 시, 상기 신호음의 감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attenuation of the signal sound when outputting a signal soun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이 신호음 통로를 따라 진행할 시 일정구간에서 신호음의 강도가 세진 다음 소정의 위치까지 유도되기 때문에, 신호음 감쇄를 줄일 수 있고, 음원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까지 신호음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ttenuation of the tones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tones is guid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fter a certain period when the tones containing information proceed along the beep passages, thus reducing the attenuation of the tones and to a farther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ransmit a beep.

도 1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 부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A-A 및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1 illustrates a home appliance for outputting a beep soun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home applianc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3.
FIG. 5 illustrates that a buzz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3.
6 illustrates a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4.
FIG. 7 compares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AA and BB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ep passa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ep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home appliance for outputting a beep soun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진단시스템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1)와, 통신망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음을 분석하여 가전기기를 진단하는 진단장치(SVC)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agnosis system receives a home appliance 1 that outputs a beep soun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receives a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agnoses the home appliance by analyzing the received signal sound. Device (SVC).

도 1에는 가전기기의 일례로 세탁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품정보를 음의 형태로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것이면, 냉장고, 에어컨, 식기세척기, TV 등의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1 illustrates a washing machine 1 as an example of a home applianc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if the product information is output in the form of a negative signal,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dishwashers, TVs, and the like.

제품정보는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사용정보 및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ratio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and failur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운전정보는 사용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customer setting information), 가전기기의 운전상태에 관한 정보(operation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를 예로 들면, 상기 운전정보는 세탁 또는 헹굼시의 냉/온수 급수설정,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대한 설정값, 모터 등의 구동부의 설정값 등을 들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customer setting information set by use, and operation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s an example of the washing machine,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cold / hot water supply setting during washing or rinsing, a setting value fo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laundry, and a setting value of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사용정보는 가전기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가전기기의 운전이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이력에 관한 정보로는, 가전기기가 최근 몇 시간 동안 어떠한 패턴으로 운전을 하였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최근 몇 사이클(cycle) 동안의 운전 패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age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home appliance, information on a driving history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on the driving history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attern in which the home appliance has operated in the last few hours or information on a driving pattern in the last few cycles.

고장정보는 가전기기의 이상작동 또는 오작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정보는 에러코드(error code)를 예로들 수 있으며, 이러한 에러코드는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거나, 가전기기의 이상작동이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것임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The faul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bnormal operation or malfunction of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the error information may include an error code, and the error code may indicate whether the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are in normal operation, or indicate that a malfunc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caused by a user's misoperation. .

상기와 같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 출력을 위해 가전기기는 출력부(57, 도 2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speaker) 또는 부저(buzzer) 등의 음향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n output unit 57 (refer to FIG. 2) for outputting a ton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the output unit may include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or a buzzer. have.

도 1을 참조하여, 가전기기(1)의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process of performing the diagnosis of the home appliance 1 will be described.

가전기기(1)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가전기기(1)가 설치된 환경적인 원인 또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가전기기(1)가 정상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가전기기(1)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출력된다(P1).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필요 시 서비스센터(SCV)에 연락하여 조치를 문의하게 된다(P2). 사용자는 가전기기(1)의 이상증상을 서비스센터의 상담원에게 설명하고, 상담원은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P3). 사용자는 상담원이 알려준 처리방법에 따라 가전기기(1)를 조작하여 조치를 시도할 수 있으나, 상담원이 알려준 처리방법 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이상 증상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가전기기(1)의 상태를 정확하게 상담원에게 알려주지 못하였거나, 사용자가 알려준 이상 증상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오작동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When a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 1 occurs, or when the home appliance 1 does not operate normally due to an environmental cause in which the home appliance 1 is installed or an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user,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from the home appliance 1 Is output (P1). The user is aware of this and takes appropriate action. If necessary, the user will contact the service center (SCV) to inquire about the action (P2). The user explains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home appliance 1 to the counselor of the service center, and the counselor informs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measures (P3). The user may attempt to take action by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 advised by the counselor, but the abnormality of the home appliance 1 may not be resolved by the treatment method indicated by the counselor alone. This may be because the user has not accurately informed th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1 or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of the home appliance 1 can not be accurately diagnosed based on the abnormal condition informed by the user.

상담원과의 상담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이상 증상을 적절하게 조치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출력부(57) 근처로 단말기(81)를 가져다 대고, 가전기기(1)가 진단모드를 수행하도록 조작한다. 단말기(81)는 공기를 매개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음을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 측으로 전송하면 족한 것으로, 유/무선 전화기, 휴대폰(mobile phone)/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이동통신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If the consultation with the counselor alone does not adequately address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home appliance 1,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81 near the output unit 57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counselor and the home appliance 1 is Operate to perform diagnostic mode. The terminal 81 is sufficient to receive the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intermediate output unit 57, and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sound to the service cen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ired / wireless telephone, mobile phone / PDA (personal). Examples thereof includ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digital assistants / smart phones.

가전기기(1)에는 사용자가 진단모드 실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부는 버튼(button), 다이얼(dial),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터치패드(touch pa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1 may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unit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diagnostic mode. The selection unit may be a button, a dial, a tact switch, a touch pad, or the like Lt; / RTI >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를 조작함으로써 진단모드로 진입되면, 가전기기(1)는 제품정보를 소정의 신호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57)를 통해 출력되고, 단말기(81)와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로 전송된다. 서비스센터에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가전기기(1)가 출력한 제품정보가 포함됨 신호음을 수신하고(P4), 수신된 음을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신호음으로부터 역으로 제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1)를 진단한다.When the user enters the diagnostic mode by operating the selection unit, the household appliance (1) converts the product in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signal tone and outputs it. The signal tone including the produc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57 as described above, and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cent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terminal 81. The service center may be provided with a diagnostic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 signal sound including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by the home appliance 1 (P4), and analyze the received sound to diagnose the home appliance. The diagnostic apparatus extracts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ignal sou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alyzes it to diagnose the home appliance 1.

한편, 진단결과는 가전기기(1)의 수리를 위해 사용자의 가정에 파견될 수리자(93)에게 통보될 수 있다(P6). 수리자(93)는 통보된 진단결과를 확인하고, 가전기기(1) 수리를 위해 필요한 부품을 준비한 후 사용자를 방문한다. 필요한 부품을 사전에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는 바, 수리자(93)가 사용자를 재방문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gnosis result can be notified to the repairman 93 to be dispatched to the user's home for repair of the home appliance (1) (P6). The repairman 93 checks the reported diagnosis result, prepares necessary parts for repairing the home appliance 1, and visits the user. Since the necessary parts can be accurately prepared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repairman 93 visiting the user can be greatly reduc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home appliance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는 감지부(51), 구동부(52), 입력부(53), 제어부(54), 인코딩부(55), 변조부(56), 출력부(57), 메모리부(58)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ome appliance 1 includes a sensing unit 51, a driving unit 52, an input unit 53, a control unit 54, an encoding unit 55, a modulator 56, and an output unit 57. , A memory unit 58, and the like.

감지부(51)는 가전기기(1)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감지부(51)는 가전기기(1)를 이루는 구성품들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구성품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들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1 detects a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1. The sensing unit 51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ensors for sens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or sensing variables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구동부(52)는 제어부(54)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를 구동하는 것으로, 이때 제어부(54)는 감지부(51)의 감지값에 따라 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r 52 drives the home appliance 1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5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4 controls the driver 52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or 51. Can be.

입력부(53)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입력부(53)를 통해 가전기기(1)의 진단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단모드가 수행된다.The input unit 53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home appliance 1 from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diagnostic command of the home appliance 1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3, the diagnosis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

메모리부(58)는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구동 알고리즘, 제품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이다. 메모리부(58)는 ROM, EEPROM, DRAM, 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모드가 수행되는 시점까지 메모리부(58)에 저장된 제품정보가 인코딩부(55), 변조부(56) 및 출력부(57)를 통해 소리의 형태로 신호화되어 출력된다.The memory unit 58 stores control data, driving algorithms, produc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The memory unit 58 may include a ROM, an EEPROM, a DRAM, an SRAM, and the like.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58 until the diagnostic mode is performed is signaled and output in the form of sound through the encoding unit 55, the modulator 56, and the output unit 57.

인코딩부(55)는 메모리부(58)에 저장되는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지정된 일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비트를 추가하여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55)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encoding unit 55 generates a data signal by calling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58 and encoding 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nd adds a preamble and an error check bit to the data signal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of a predetermined format. Create The encoding unit 55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ymbols by encoding the product information.

또한, 인코딩부(55)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어신호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프레임화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하고, 프레임 사이 사이에 일정시간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인 IFS(Inter Frame Space)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정보를 제어신호로 변환할 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encoding unit 55 divides the control signal in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packet into a plurality of frames, and divides the frame into a plurality of frames. Inter Frame Space) can be set, and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the data value is changed to remove the reverberation effect that affects the next signal conversion due to the capacitor charging and discharging principle. Dead time can be set for a symbol.

변조부(56)는 제어부(5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부(57)로 일정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출력부(57)를 통해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음은 제품정보를 포함하게 된다.The modulator 56 applies a predetermined driving signal to the output unit 57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54 to output a beep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57. Therefore, the signal sound thus output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변조부(56)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가 심볼타임 동안 출력되도록 출력부(57)로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2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의 조합 중 데이터 “1”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와 데이터 “0”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modulator 56 applies a signal to the output unit 57 so that a frequency signal designated for one symbol is output during symbol time with respect to a symbol constituting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outputting a beep sound using two different frequencies, a frequency specified in correspondence with data “1” and a frequency specified in correspondence with data “0” among the combination of symbols constituting the control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set to have a frequency band.

출력부(57)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부져(buzzer), 스피커(speaker) 등의 음향 출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57 outputs a signal sound, and may be configured as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buzzer, a speaker,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 부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A-A 및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3. FIG. 5 illustrates that a buzz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3. 6 illustrates a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4. FIG. 7 compares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and B-B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ep passa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세탁기(1)를 예로 들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일례로써 든 것뿐이고, 본 발명의 가전기기가 반드시 세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achine 1 shown in FIG. 3 is taken as an example, which is merely an example of a home appliance for outputting a beep sound containing product inform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ashing machines.

통상 가전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53) 또는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의 케이싱은 컨트롤패널(10)과, 포가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비닛(20)과, 캐비닛(20)의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30)가 구비된다.Usually, home appliances include a casing that forms an appearance, and the casing includes an input unit 53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commands from a user or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to provide. For example, the casing of the washing machine 1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0, a cabinet 20 having a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abinet 20. .

출력부(57)는 이러한 가전기기의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고, 가전기기 진단 시 단말기(81)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접근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에는 가전기기 진단 시 사용자가 단말기(81)를 접근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표시가 기호, 문자 및/또는 도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81) 접근 지점이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가전기기의 사용 안내서 또는 서비스센터 측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put unit 57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of the home appliance, and when the home appliance is diagnosed, the terminal 81 is accessed by the us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Accordingly, the casing may be provided with a symbol, a character, a figure, and / or the like to induce a user to approach the terminal 81 when the home appliance is diagnos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erminal 81 access point is not explicitly displayed, but is guid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manual of the home appliance or the counselor of the service center.

어느 경우에나,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단말기(81)의 접근 위치는 케이싱 내에 설치된 출력부(57)의 위치를 고려하여, 즉,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왜곡 또는 감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ny case, the access position of the terminal 81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s may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output unit 57 installed in the casing, that is, minimize distortion or attenuation of the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7. It would be desirable to be set at a lo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출력부(57)와 이격된 소정의 위치, 즉, 가전기기 진단 시의 단말기(81) 접근위치(이하, '단말기 접근위치'라고 한다.)까지 신호음 감쇄를 최소화하며 유도하기 위한 신호음 통로(17)들에 관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7 is a predetermin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put unit 57, that is, the terminal 81 approach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approach position') when the home appliance is diagnosed. To beep passages 17 for minimizing and directing attenuation.

도 3에는 단말기 접근위치(11)가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고려한 일례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서 단말기 접근위치(11)는 세탁기의 전원버튼(19)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었다.Although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is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in FIG. 3, this is only an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part of the casing. In FIG. 3,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ower button 19 of the washing machine.

마찬가지로, 도 4 내지 도 9에서도 신호음 통로(17)들이 컨트롤패널(10)에 위치하나, 이는 상기 도면들에서 출력부(57)가 컨트롤패널(10)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였을 뿐이며, 상기 신호음 통로가 반드시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Similarly, although the beep passages 17 are located in the control panel 10 in FIGS. 4 to 9, this is considered because the output part 57 is located in the control panel 10 as an example.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beep passages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but may be formed in other portions of the cas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0)에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단말기 접근위치(11) 측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17)가 형성될 수 있다. 신호음 통로(17)는 가전기기의 사출성형에 의해 컨트롤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4 to 6, the control panel 10 may be provided with a beep passage 17 for guiding a beep soun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7 to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The beep passage 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rol panel 10 by injection molding of home appliances.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측과 단말기 접근위치(11)측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상의 통로로 형성되고, 출력부(57)측 일단에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 수신을 위한 신호음 입구(13)가 형성되어야 하나, 단말기 접근위치(11)측인 타단에는 반드시 출구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싱에서 단말기 접근위치(11)가 표시된 부분에 신호음 출력을 위한 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단말기 접근위치(11)와 인접한 신호음 통로(17)의 타단에 신호음 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대로 상기 케이싱에 신호음 출력을 위한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단말기 접근위치(11)와 인접한 신호음 통로(17)의 타단이 개방단이 아니어도 무방하다.The beep path 17 is formed as a tubular path connecting between the output part 57 side and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side, and at one end of the output part 57 side, a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art 57 is received. Tone 13 should be formed for, but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sid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For example, when a hole for outputting a beep ton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asing where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beep outlet at the other end of the beep passage 17 adjacent to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On the contrary, when the hole for outputting the beep is not formed in the casing, the other end of the beep passage 17 adjacent to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may not be the open end.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이 입력됨과 아울러, 입력된 신호음이 진행되는 경로를 따라 통로의 단면적이 점점 축소되는 통로 축소부(14)와,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한 신호음을 단말기 접근위치(11) 측으로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15)를 포함한다.The signal path 17 includes a path reduction part 14 in which a signal ton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part 57 is inpu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th is gradually reduced alo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put signal sound is processed, and the path It includes a signal sound induction unit 15 for inducing a signal sound passing through the reduction unit 14 toward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신호음 통로(17)는 컨트롤패널(10)에 길게 형성된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의 배면에 출력부(57)가 배치됨을 고려할 시, 신호음 통로(17)를 이루는 홈은 컨트롤패널(10)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tone path 17 may be formed by a groove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Considering that the output unit 57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0, the groove constituting the beep passage 17 may be recessed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10.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0)의 전면에는 외장부재(18)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신호음 통로(17)는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된 홈과 외장부재(18)로 둘러 쌓인 통로이다.Referring to FIG. 8, the exterior member 18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0. In this case, the beep passage 17 may be surrounded by the groove and the exterior member 18 formed in the control panel 10. It is a stacked passage.

외장부재(18)는 입력부(53)를 구성하는 다이얼(dial), 버튼(button), 스위치(switch) 등의 각종 입력수단을 명칭 또는 기능을 표시하는 필름, 투명부재, 케이싱의 미관 향상을 위한 장식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ior member 18 is us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a film, a transparent member, and a casing that display names or functions of various input means such as dials, buttons, switches, etc. constituting the input unit 53. It may include a decorative member.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은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하면서 점점 강도가 세진다. 따라서,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한 신호음이 신호음 유도부(15)를 따라 단말기 접근위치(11)까지 유도되어도, 단말기(81)로 입력되는 신호음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신호음 유도부(15)에 의해 보다 먼 거리까지 신호음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The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section 57 is gradually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reduction section 14. Therefore, even if the signal sou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reduction part 14 is guided to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along the signal sound induction part 15, the signal sound input to the terminal 81 may have a sufficient intensity, which is a signal sound induction part ( It also means that the beeper can be induced over a longer distance.

출력부(57)와 단말기 접근위치(11)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신호음 유도부(15)를 절곡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절곡이 이루어지는 부위에서 신호음의 감쇄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미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하며 신호음의 강도가 세어진 이후이기 때문에 신호음 유도부(15)의 절곡 구조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접근위치(11)에 이르른 신호음의 세기는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unit 57 and the terminal access position 11, it may be necessary to bend the beep guidance unit 15, but in this case, the attenuation of the beep may occur at the bent portion, but the passage is already Since the intensity of the beeper is passed through the reduction part 14 and the beeping intensity is counted, the strength of the beeper that reaches the terminal approaching position 11 can be maintained at a sufficient level despite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beeper induction part 15.

한편,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를 둘러싸는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은 컨트롤패널(10)의 배면에서 돌출된 리브로 구성될 수 있고, 통로 축소부(14)와의 연결부분에 신호음 입구(13)가 형성된다.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은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분산되는 것을 줄이고, 상기 신호음을 신호음 입구(1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출력부(57)는 부져(buzzer)인 것을 예로 들었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ath 17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distribution barrier 12 surrounding the output unit 57. The beep dispersion prevention wall 12 may be formed of ribs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0, and the beep inlet 13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passage reduction part 14. The beep dispersion prevention wall 12 serves to reduce dispersion of the beep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7 and to guide the beep sound to the beep inlet 13. In the above, the output part 57 has mentioned the example which is a buzz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신호음 통로(17)가 관 형상의 형태로 컨트롤패널(10)에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ep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tone path 17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ntrol panel 10 in the form of a tubular shape. do.

Claims (1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asing;
An output unit disposed in the casing and outputting a beep ton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ignal path for guiding a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casing spaced from the output unit;
The beep passage is
A passage reduction portion in which a passag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a traveling path of the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And
A home appliance including a signal induction unit for inducing a signal sou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reduction unit to the predetermined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을 덮는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eep passage is
A groove formed in the casing;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an exterior member covering the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가전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oove is,
Household appliances formed indented on one side of the ca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erior member,
Home appliance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eep passage is
The home applian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ing in a tubul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를 둘러싸는 신호음 분산 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eep passage is
The home appliance further comprises a signal dispersing prevention wall surrounding the output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분산 방지벽에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상기 통로 축소부로 입력되도록, 상기 통로 축소부와 연통되는 신호음 입구가 형성되는 가전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ignal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reducing portion so that the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portion is input to the passage reduc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유도부는 절곡 형성되는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is bent sound signal in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지점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접근되는 단말기 접근위치인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point is
The home appliance is a terminal access position to which a terminal for receiving a signal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is approach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단말기 접근위치가 표시된 가전기기.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asing,
The home appliance is displayed the access position of the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접근위치에는 상기 신호음 유도부를 따라 유도된 신호음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가전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me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hole in the terminal approaching position so that the signal sound guided along the signal sound induction unit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KR1020110067877A 2011-07-08 2011-07-08 Home appliance KR101291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en) 2011-07-08 2011-07-08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en) 2011-07-08 2011-07-08 Hom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61A KR20130006061A (en) 2013-01-16
KR101291279B1 true KR101291279B1 (en) 2013-07-30

Family

ID=4783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en) 2011-07-08 2011-07-08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60A (en) * 2009-07-09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its oper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160A (en) * 2009-07-09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its oper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61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379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709483B1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432291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403000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signal output of home appliance
US861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US20100259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US8341002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71718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547200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186695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laundry appliance
US2011006055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10054845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0375A (en)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442107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s
KR101708686B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709478B1 (en) Home applianc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054844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3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JP5453520B2 (en) Home appliances and home appliance systems
US2011005484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442115B1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20150339014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1291279B1 (en) Home appliance
KR20110086424A (en) Washing machine
KR101552619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t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