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994B1 - 보는 이어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는 이어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994B1
KR101290994B1 KR1020100038141A KR20100038141A KR101290994B1 KR 101290994 B1 KR101290994 B1 KR 101290994B1 KR 1020100038141 A KR1020100038141 A KR 1020100038141A KR 20100038141 A KR20100038141 A KR 20100038141A KR 101290994 B1 KR101290994 B1 KR 10129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amera
microphone
embedde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505A (ko
Inventor
이연정
이민호
김민영
손형민
김기선
원웅재
정성문
양승호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9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대상의 입력신호로부터 기입력된 DB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기입력된 관심대상의 정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수단과, 임베디드 제어기 및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심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고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정보입력수단;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은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임베디드 제어기; 및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는 이어폰 시스템{Visual earphone system}
본 발명은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대상의 입력신호로부터 기입력된 DB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기입력된 관심대상의 정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은 매일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접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모두 기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람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있으며, 다양한 사람들의 특징을 인지하고 기억하는 것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이미 접한 정보나 사람들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접하거나 만나게 되는 경우 사람들은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고 어렴풋한 기억으로 실수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매일매일 접하는 방대한 정보와 사람들을 정확하게 기억하여 필요한 때에 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관심대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심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기입력된 DB로부터 관심대상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받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추적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을 파악할 수 있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수단과, 임베디드 제어기 및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심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고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정보입력수단;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은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임베디드 제어기; 및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입력수단은 안경테와 한 쌍의 안경다리부를 포함하는 안경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가 안경테에 내장설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안경다리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스에 내장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는 조절판을 매개로 상기 안경테에 내장설치되고, 상기 조절판은 일단이 상기 안경테의 전방 또는 후방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조절나사를 매개로 상기 안경테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조절나사는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4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테는 그 후면에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이 반사되는 반사경이 구비되고,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추적용 카메라가 상기 안경다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경테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착홈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는 2채널 타입의 마이크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입력된 정보는 인적사항, 각 국의 언어, 특징적인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는 구동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추출된 정보의 저장을 실행하거나 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조작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관심대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방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저장하여 사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심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기입력된 DB로부터 관심대상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받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추적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을 파악하여 관심을 갖는 대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는 이어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수단이 안경에 적용된 구성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는 이어폰 시스템의 대략적인 음성신호 변환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는 이어폰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정보를 저장하거나 추출된 정보를 기 입력된 DB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기 입력된 정보를 음성신호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입력수단(110)과 임베디드 제어기(130) 및 이어폰(140)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은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나 음성정보를 스캐닝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 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카메라(111), 마이크(112) 및 인터페이스부(11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은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의 영상정보가 카메라(111)를 통해 입력됨과 동시에 관심대상과의 대화 내용 등과 같은 음성정보가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13)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13)는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가 작동되도록 구동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나 음성정보를 임베디드 제어기(130)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111)와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는 후술할 임베디드 제어기(130)에서 가공된 후 기입력된 DB와 비교하여 저장되거나 사용자에게 음성신호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입력수단(110)은 지팡이나 모자, 목걸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안경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이 안경테(121)와 안경다리부(126)로 구성되는 통상의 안경에 적용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가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입력수단(110)은 사용자가 전방의 관심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111)와 마이크(112)가 안경테(121)에 내장설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13)는 안경다리부(126)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27)에 내장설치된다.
상기 안경테(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21a) 및 후방프레임(121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프레임(121a)과 후방프레임(121b) 사이에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가 내장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경테(121)에 내장설치되는 마이크(112)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각각의 마이크에서 감지되는 음성정보를 종합하여 음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메라(111)는 안경테(121)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프레임(121b)에 안착홈(122)이 구비되어 마이크(112)가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111)의 좌,우 양측에 마이크(112)가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21a)에는 상기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가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관통공(123)이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11)는 전방프레임(121a)과 후방프레임(121b)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판(124)에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절판(124)은 대략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조절나사(125)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125)를 매개로 안경테(121)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111)가 조절나사(125)를 매개로 안경테(121)에 결합되는 조절판(124)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조절나사(125)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사용자에 맞게 카메라(111)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판(124)을 고정시키는 조절나사(125)는 상기 카메라(11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4방향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4개의 조절나사(125)를 각각 조절하여 용이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3)는 안경다리부(126)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27)에 내장설치된 후 덮개판(128)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127)에 내장설치된 인터페이스부(113)는 케이블(미도시)을 매개로 상기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안경다리부(126)는 상기 케이스(127)가 구비되는 외부프레임(126a)과 상기 외부프레임(126a)의 안쪽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126b)으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프레임(126a) 및 내부프레임(126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케이블(미도시)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부(113)와 카메라(111) 및 마이크(1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수단(110)은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반사경(114)과 추적용 카메라(115)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안경테(121)의 후면-상세하게는 후방프레임(121b)의 후면에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반사키는 반사경(114)을 설치하고, 상기 안경다리부(126)의 일측에 추적용 카메라(115)를 설치하여 상기 추적용 카메라(115)를 통해 상기 반사경(114)으로부터 반사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추적용 카메라(115)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3)에 전달되어 임베디드 제어기(130)로 전달되어 분석됨으로써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해 현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으로부터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필요한 정보로 분석, 가공하여 기 입력된 DB와 비교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가 상기 이어폰(14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정보입력수단(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실장되고, 상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3)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인적사항이나 각 국의 언어 또는 특징적인 형상이나 음성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된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D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으로부터 전달된 음성 및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DB와 비교한 후 상기 DB에 일치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로서 저장하게 되며, 상기 DB에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기 입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14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예로써, 사용자가 상기 DB에 업무 관계로 만난 특정인에 대한 정보-나이, 이름, 특징, 얼굴 형상 등을 미리 입력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특정인을 다시 만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기 특정인을 다시 만나는 경우 본 발명의 보는 이어폰 시스템(100)을 작동시켜 정보입력수단(110)으로부터 상기 특정인의 정보를 입력받아 임베디드 제어기(13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전달된 입력정보를 가공한 후 상기 DB에서 검색하여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어폰(140) 측으로 송신하여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를 상기 DB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DB로부터 특정인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인에 대한 기억을 용이하게 떠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는 이어폰 시스템(100)의 구동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110)으로부터 전달받아 추출된 정보의 저장을 실행하거나 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조작패널(132)이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32)을 통해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현재의 관심대상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조작패널(132)을 작동시켜 관심대상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 저장된 DB로부터 정보를 검색하여 이어폰(140)으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등 조작패널(132)을 작동시켜 여러가지 상황에 맞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정보입력수단(110)을 통해 전달된 영상정보가 기 입력된 DB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용자가 직접 조작패널(132)을 조작하여 새로운 정보를 DB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일치하는 정보가 없을 경우 결과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DB에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상기 정보입력수단(110)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 및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한다.
일예로써,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130)는 사용자의 벨트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는 이어폰 시스템(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대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카메라(111)를 통해 입력 받으면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해 임베디드 제어기(130)로 전달되고, 임베디드 제어기(130)로 전달된 영상정보는 내장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특징 추출, 특징 선택, 정보통합, 인식, 음성신호 변환의 과정을 거친 후 이어폰(140) 측으로 음성신호를 출력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는 대상의 영상인식 결과를 이어폰(14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재생출력해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배선이나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배선의 형태 및 배치, 인터페이스의 구조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는 이어폰 시스템
110 : 정보입력수단 111 : 카메라
112 : 마이크 113 : 인터페이스부
114 : 반사경 115 : 추적용 카메라
121 : 안경테
121a : 전방프레임 121b : 후방프레임
122 : 안착홈 123 : 관통공
124 : 조절판 125 : 조절나사
126 : 안경다리부 126a : 외부프레임
126b: 내부프레임 127 : 케이스
128 : 덮개판 130 : 임베디드 제어기
132 : 조작패널 140 : 이어폰

Claims (10)

  1. 사용자의 관심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며,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임베디드 제어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정보입력수단;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은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기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임베디드 제어기; 및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가 안경테에 내장설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안경다리부에 내장설치되는 안경에 적용되고,
    상기 카메라는 조절판을 매개로 상기 안경테에 내장설치되고, 상기 조절판은 일단이 상기 안경테의 전방 또는 후방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조절나사를 매개로 상기 안경테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절나사는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4방향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안경테는 그 후면에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이 반사되는 반사경이 구비되고,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추적용 카메라가 상기 안경다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경테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착홈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2채널 타입의 마이크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에 기 입력된 정보는 인적사항, 각 국의 언어, 특징적인 형상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제어기는 구동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추출된 정보의 저장을 실행하거나 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는 이어폰 시스템.
KR1020100038141A 2010-04-23 2010-04-23 보는 이어폰 시스템 KR10129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41A KR101290994B1 (ko) 2010-04-23 2010-04-23 보는 이어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41A KR101290994B1 (ko) 2010-04-23 2010-04-23 보는 이어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05A KR20110118505A (ko) 2011-10-31
KR101290994B1 true KR101290994B1 (ko) 2013-07-30

Family

ID=4503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41A KR101290994B1 (ko) 2010-04-23 2010-04-23 보는 이어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9754A (zh) * 2014-02-18 2014-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20B1 (ko) 2011-11-14 2013-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압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063A (ja) * 1997-10-30 2001-11-13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1319288A (ja) 2000-05-10 2001-11-16 Isamu Miya 視覚障害者援助システム
KR100405636B1 (ko) 2000-05-23 2003-11-15 이성환 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060109350A1 (en) * 2004-11-24 2006-05-25 Ming-Hsiang Yeh Glasses type audio-visual recor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063A (ja) * 1997-10-30 2001-11-13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1319288A (ja) 2000-05-10 2001-11-16 Isamu Miya 視覚障害者援助システム
KR100405636B1 (ko) 2000-05-23 2003-11-15 이성환 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060109350A1 (en) * 2004-11-24 2006-05-25 Ming-Hsiang Yeh Glasses type audio-visual record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9754A (zh) * 2014-02-18 2014-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05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7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ackground change to determine context
US20170303052A1 (en) Wearable auditory feedback device
US20140129207A1 (en) Augmented Reality Language Translation
WO2015081694A1 (zh) 智能眼镜及其控制方法
KR101290994B1 (ko) 보는 이어폰 시스템
JP2020113981A (ja) 補聴器システム
CN210606226U (zh) 一种双模式聋哑人交流设备
US20200265839A1 (en) Glasses with subtitles
KR102570418B1 (ko)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대상인식방법
US20140272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captured image data
KR20130103001A (ko) 감정표현이 가능한 영상/음성 기반 로봇용 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