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710B1 - Apparatus for transf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710B1
KR101290710B1 KR1020110080079A KR20110080079A KR101290710B1 KR 101290710 B1 KR101290710 B1 KR 101290710B1 KR 1020110080079 A KR1020110080079 A KR 1020110080079A KR 20110080079 A KR20110080079 A KR 20110080079A KR 101290710 B1 KR101290710 B1 KR 10129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necting member
long hole
frame
upp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7574A (en
Inventor
강석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to KR102011008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7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1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이송 대상물의 길이에 따라 연결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송 대상물과 연결된 연결부재가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프가 마모되는 것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ix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nd can prevent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bject to be slid arbitrarily, eliminating or reducing the wear of the rope. Has

Description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Apparatus for transfer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길이에 따라 연결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적층코아 제조장치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프레임의 장공 내에서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at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is arbitrarily slid in the long hole of th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that can prevent and reduce or reduce wear of a rope.

일반적으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적층 코아는 발전기나 모터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사용되며,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In general, laminated cores produced by laminating lamina members are used as rotors and stators of generators or moto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are well known in the art.

상기 적층 코아는 적층 코아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7804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62744호 등에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The laminated core is manufactured by a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7804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744, and the like.

적층 코아 제조 장치는 슬롯 형성부, 카운터홀 형성부, 샤프트홀 형성부, 인터록 탭 형성부 및, 블랭킹부 등을 구비한다. 상기 슬롯 형성부, 카운터홀 형성부, 샤프트홀 형성부, 인터록 탭 형성부 및, 블랭킹부는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길다란 형상의 금속 스트립이 슬롯 형성부, 카운터홀 형성부, 샤프트홀 형성부, 인터록 탭 형성부 및, 블랭킹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라미나 부재로 만들어진 후 상호 적층되어 적층코아가 된다.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slot forming portion, a counterhole forming portion, a shaft hole forming portion, an interlock tab forming portion, a blanking portion, and the like. The slot forming portion, the counter hole forming portion, the shaft hole forming portion, the interlock tab forming portion, and the blanking por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ice. The elongated metal strip includes the slot forming portion, the counter hole forming portion, The shaft hole forming portion, the interlock tab forming portion, and the blanking portion are sequentially made of a lamina member and subsequently laminated to form a laminated core.

이러한 적층 코아 제조 장치는 그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비교적 큰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적층 코아 제조 장치를 운반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옮기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relatively large weigh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injury to the worker is great when the worker directly moves the hand to carry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 코아 제조 장치(1)와 크레인(9)을 연결하여 적층 코아 제조 장치(1)를 이동시킨다. 적층 코아 제조 장치(1)의 양쪽 끝단에는 돌출봉(3)이 설치되어 있고, 로프(5)는 돌출봉(3)과 크레인(9)의 고리(7)를 서로 연결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s shown in FIG. 1,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the crane 9 are connected, and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moved. Protruding bars 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the rope 5 connects the protruding rods 3 and the ring 7 of the crane 9 to each other.

그런데, 적층 코아 제조 장치(1)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로프(5)와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θ)가 작게 되고, 이에 따라 로프(5)가 적층 코아 제조 장치(1)의 상단 끝부분(4)에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에 의해 로프(5)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since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has the structu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gle (theta) which the rope 5 and a horizontal line make | forms becomes small, and the rope 5 becomes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by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iction is genera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portion 4 of the rope 5 is shortened or easily broken by the friction.

본 발명은 적층 코아 제조 장치의 이송시에 로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rope from being worn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길이에 따라 연결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fix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코아 제조장치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프레임의 장공 내에서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from sliding arbitrarily within the hole of the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 및, 프레임과 이송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해서 장공에 설치된 연결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공의 아랫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과 돌출부;를 포함한다. 요홈에는 연결부재가 안착되고, 돌출부는 요홈에 안착된 연결부재가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rooves and protrusions repeate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to prevent the connecting member installed in the long hole to arbitrarily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 connecting member is seated in the recess, and the protrusion prevents the connecting member seated in the recess from sliding arbitrarily.

상기 장공은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상기 양측의 장공에 각각 설치된다.The long holes may be form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ame. Connection memb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ng holes on both sides.

상기 돌출부는 프레임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의 구조는 연결부재가 돌출부를 타고 프레임의 양쪽 끝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otrusion may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The structure of this protrusion prevents the connecting member from moving to both ends of the frame on the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는 장공의 내부에서 요홈과 돌출부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부 바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장공의 윗면에는 돌기와 형합하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다.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가 연결부재의 직경 보다 크게 되어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가 연결부재의 직경 보다 작게 되어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없다.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comprise an upper bar. The upper ba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in the long hol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r, and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 hole to engage with the projections. In the case where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lower end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may move to the neighboring recess, and when the protrusion is no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lower end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cannot move to the neighbor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부 바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공의 상측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상부 바를 당긴다.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상부 바를 당기는 것에 의해서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로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hole to connect the upper bar and the frame.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pulls the upper bar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pulls the upper bar whil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hav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장공의 일부를 덮어서 상부 바가 장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to cover a part of the long hole to prevent the upper 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ng hole.

상기 연결부재는,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이송할 수 있도록,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양쪽 끝단에 로프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through a rope so as to transfer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적층 코아 제조 장치의 이송시에 로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pe from being worn during the transfer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둘째,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길이에 따라 연결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Secon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fixed simp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셋째, 적층코아 제조장치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프레임의 장공 내에서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r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arbitrarily in the long hole of the fr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상부 바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상부 바가 위로 올라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이송장치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ar is lowered.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transfer apparatus of FIG. 2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pper bar is lifted up.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of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이송(운반)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이송(운반)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이송 대상물을 이송(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운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onveying (transporting) a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However,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conveying (conveying) other conveying objects as well as conveying (conveying)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However,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carrying a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상부 바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ate where the upper bar is lowered,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장치(100)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형성된 장공(20)과, 장공(20)의 아랫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30)과 돌출부(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nsfer apparatus 100 includes a frame 10, a long hole 20 formed in the frame 10, a recess 30 and a protrusion 33 repeatedly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Include.

프레임(10)은 길이방향(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서, 소정의 두께(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소정의 두께는 이송 대상물 예를 들어 적층코아 제조장치(1)를 이송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인장강도, 휨강도 등 포함) 및 강성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이다. The frame 10 is a member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The predetermined thickness is such that the strength (including tensile strength, bending strength, etc.) and rigidity sufficient to transfer the transfer object, for example,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be provided.

프레임(10)의 중앙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된다. 관통공(16)에는 크레인(9)의 고리(8)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크레인(9)은 이송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공장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당업자가 그 구성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through hole 1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10. The ring 8 of the crane 9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6.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rane 9 is a conventional on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factory for transporting an object to be convey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장공(20)은 프레임(10)을 관통하도록 길이방향(x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홀이다. 즉, 장공(20)은 y 방향 보다는 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long hole 20 is a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to penetrate the frame 10. That is, the long hole 20 is formed longer in the x direction than the y direction.

장공(20)은 프레임(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장공(20)에는 연결부재(70)가 각각 설치된다.Long hole 20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member 7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ong holes 20 on both sides.

요홈(30)과 돌출부(33)는 장공(20)의 아랫면에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요홈(30)에는 연결부재(70)의 연결봉(도 6의 72)이 안착되고 돌출부(33)는 연결봉(72)이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적층코아 제조장치(1)를 운반하는 도중에 ±x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연결봉(72)이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하는 것을 돌출부(33)가 방지한다. The recess 30 and the protrusion 33 are alternately repeate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The connecting rod (72 of FIG. 6) of the connecting member 70 is seated in the recess 30, and the protrusion 33 prevents the connecting rod 72 from moving to the neighboring recess 30.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33 prevents the connecting rod 72 from moving to the neighboring groove 30 by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 x while carrying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장공(20)의 아랫면에는 요홈(30)과 돌출부(3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적층코아 제조장치(1)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돌출봉(도 1의 3)과 대응하는 지점의 요홈(30)에 연결부재(7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코아 제조장치(1)의 상단 끝부분(도 1의 4)과 로프(5)가 마찰되는 것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로프(5)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The groove 30 and the protrusion 33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and the groove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rods (3 in FIG. 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provided. The connection member 70 may be installed at the 30. Accordingly, rubbing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4 of FIG. 1) and the rope 5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be eliminated or reduced,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rope 5.

본 발명에 따르면, 요홈(30)과 돌출부(33)의 상측에는 상부 바(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부 바(40)는 그 상면에 형성된 돌기(42)를 구비한다. 돌기(4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r 4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30 and the protrusion 33, and the upper bar 40 includes a protrusion 42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One or more protrusions 42 may be formed.

상부 바(40)는 장공(2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부 바(40)는 길이방향(x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재이다. 한편, 장공(20)의 윗면에는 상기 돌기(42)와 형합하는 고정용 홈(18)이 형성된다.The upper bar 40 is installed inside the long hole 20, the upper bar 40 is a member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groove 1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to form the protrusion 42.

고정용 홈(18)은 돌기(42)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데, 돌기(4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The fixing groove 18 has a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42 can be inserted, and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42.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기(42)가 고정용 홈(18)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 바(40)의 하면과 돌출부(33)의 상단(34) 사이가 연결봉(72)의 직경 보다 작게 되어 연결부재(70)가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될 수 없다. 2 and 3, when the protrusion 42 is no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8, the connecting rod 72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r 40 and the upper end 34 of the protrusion 33. It become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70 can not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30).

이에 비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기(42)가 고정용 홈(18)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부 바(40)의 하면과 돌출부(33)의 상단(34) 사이가 연결봉(72)의 직경 보다 크게 되어 연결부재(70)가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70)가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은 돌기(42)가 고정용 홈(18)에 삽입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연결부재(70)를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In contrast,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protrusion 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8,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r 40 and the upper end 34 of the protrusion 33) is connected. It beco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72, the connecting member 70 can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30).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the connecting member 70 can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30 is to allow the projection 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8, the operator to the neighboring groove 30, Means move to).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상부 바(40)와 프레임(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5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그 한쪽 끝단이 장공(20) 상측의 프레임(10)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이 상부 바(40)에 연결되어 상부 바(40)를 위쪽(+y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이 때, 탄성부재(50)는 +y 방향과 +x 방향의 사이로 상부 바(40)를 당기거나 +y 방향과 -x 방향의 사이로 상부 바(40)를 당기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성부재(50)의 이러한 당기는 힘에 의해서 돌기(42)가 고정용 홈(18)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42)가 고정용 홈(1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50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bar 40 and the frame 10. The elastic member 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rame 10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hole 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bar 40 to pull the upper bar 40 upward (+ y direction). To provide.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50 is preferably pull the upper bar 40 between the + y direction and + x direction or pull the upper bar 40 between the + y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50 By the pulling force of),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8 while the protrusion 4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8.

한편, 작업자가 상부 바(40)를 아래로 당겨서 돌기(42)를 고정용 홈(18)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탄성부재(50)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돌기(42)가 장공(20)의 윗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pulls the upper bar 40 downward to release the projection 42 from the fixing groove 18, the projection 4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by the pull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Will remain intac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장공(20)의 일부를 덮어서 상부 바(40)가 장공(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60)를 구비한다. 도면은 덮개(60)가 장공(20)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부 바(40)가 장공(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덮개(6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60 to cover a part of the long hole 20 to prevent the upper bar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ng hole 20. 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 cover 60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ng hole 20,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ver 60 within the limit that can prevent the upper bar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ng hole 20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한편, 도 6은 전술한 연결부재(70)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70 described above for reference.

연결부재(70)는 연결봉(72)과, 연결봉(72)의 양쪽 끝단에 연결된 고리부(74)를 구비한다. 연결봉(72)은 고리부(74)의 체결공(75)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봉(72)은 요홈(30)에 안착될 수 있는 직경과 곡률 등을 가지고, 고리부(74)에는 로프(5)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70)는 크레인(9)을 이용하여 이송 대상물을 운반할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부재이다. The connecting member 70 has a connecting rod 72 and a ring portion 74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72. Connecting rod 72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75 of the ring portion 74 is installed. Connecting rod 72 has a diameter and curvature that can be seated in the groove 30, the loop portion 74 is connected to the rope (5). The connection member 70 is a member widely used when transporting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using the crane (9).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7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6 denote the same elements.

상기 이송장치(200)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형성된 장공(20)과, 장공(20)의 아랫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30)과 돌출부(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는, 전술한 이송장치(100)에 비해, 돌출부(35)가 프레임(1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특징을 가진다.The transfer device 200 includes a frame 10, a long hole 20 formed in the frame 10, a recess 30 and a protrusion 35 repeatedly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20. The transfer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eature that the protrusion 35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10 as compared with the transfer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 대상물을 운반하면 연결부재(70)는 수평방향(±x 방향)의 힘을 받게 되는데, 돌출부(35)는 상기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연결부재(7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좌측 장공(20)에 설치된 연결부재(70)에는 주로 -x 방향의 수평방향 힘이 작용하고 우측 장공(20)에 설치된 연결부재(70)에는 주로 +x 방향의 수평방향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좌측 장공(20)의 돌출부(35)는 +x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우측 장공(20)의 돌출부(35)는 -x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돌출부(35)의 이러한 구조는 연결부재(70)가 돌출부(35)를 타고 넘어 이웃하는 요홈(3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the conveying object is transported by using the conveying device, the connecting member 70 receives a force in a horizontal direction (± x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35 prevents the connecting member 70 from moving by the horizontal force. prevent. Meanwhile, the horizontal force in the -x direction mainly acts on the connecting member 70 installed in the left long hole 20, and the horizontal force in the + x direction mainly acts on the connecting member 70 installed in the right long hole 20. . Therefore, the protrusion 35 of the left long hole 20 is inclined toward the + x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35 of the right long hole 20 is inclined toward the -x direction. This structure of the protrusion 35 prevents the connecting member 70 from moving over the protrusion 35 to the neighboring recess 30.

1 : 적층코아 제조장치 5 : 로프
10 : 프레임 20 : 장공
30 : 요홈 33, 35 : 돌출부
40 : 상부 바 42 : 돌기
50 : 탄성부재 60 : 덮개
70 : 연결부재 100, 200 : 이송장치
1: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5: Rope
10 frame 20 long hole
30: groove 33, 35: protrusion
40: upper bar 42: projection
50: elastic member 60: cover
70: connection member 100, 200: transfer device

Claims (7)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윗면에 마련된 고정용 홈을 가진 장공; 및
프레임과 이송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해서 장공에 설치된 연결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공의 아랫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과 돌출부; 및
장공의 내부에서 요홈과 돌출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고정용 홈과 형합하는 돌기가 형성된 상부 바를 포함하고;
요홈에는 연결부재가 안착되고, 돌출부는 요홈에 안착된 연결부재가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며,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가 연결부재의 직경 보다 크게 되어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가 연결부재의 직경 보다 작게 되어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A fram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fixing groo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Grooves and protrusions repeate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 hole to prevent the connecting member installed in the long hole to arbitrarily sl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transfer object; And
An upper bar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concave groove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long hole, 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engage with the fixing groove;
The connecting member is seated i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prevents the sliding of the connecting member seated in the groove arbitrarily,
When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lower end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If the projec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is smaller than the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can not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상기 양측의 장공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ame,
Conn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ong holes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프레임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돌출부를 타고 프레임의 양쪽 끝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prevented from moving to both ends of the frame riding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바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공의 상측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탄성부재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상부 바를 당기며,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상부 바를 당기는 것에 의해서 돌기가 고정용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 바의 하면과 돌출부의 상단 사이로 연결부재가 이웃하는 요홈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hole to connect the upper bar and the frame,
The elastic member pulls the upper bar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pulls the upper bar whil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neighboring groov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장공의 일부를 덮어서 상부 바가 장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ver covering a part of the long hole to prevent the upper 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ng hole.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그리고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이송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양쪽 끝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and 6,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so as to transfer the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0110080079A 2011-08-11 2011-08-11 Apparatus for transfer KR101290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079A KR101290710B1 (en) 2011-08-11 2011-08-11 Apparatus for trans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079A KR101290710B1 (en) 2011-08-11 2011-08-11 Apparatus for trans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574A KR20130017574A (en) 2013-02-20
KR101290710B1 true KR101290710B1 (en) 2013-07-29

Family

ID=4789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079A KR101290710B1 (en) 2011-08-11 2011-08-11 Apparatus for trans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7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1092B1 (en) * 2020-09-16 2022-03-08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Suspended cr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67U (en) * 1991-09-26 1993-04-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wing and hook span shift type ladle hanger
US5562394A (en) 1995-04-26 1996-10-08 Brown Paper Converting Machine 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taining core plugs in paper rolls
JP2000053367A (en) * 1998-08-04 2000-02-22 Misawa Homes Co Ltd Panel lifting device
JP2009113879A (en) 2007-11-01 2009-05-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Hoisting tool of pipe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67U (en) * 1991-09-26 1993-04-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wing and hook span shift type ladle hanger
US5562394A (en) 1995-04-26 1996-10-08 Brown Paper Converting Machine 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taining core plugs in paper rolls
JP2000053367A (en) * 1998-08-04 2000-02-22 Misawa Homes Co Ltd Panel lifting device
JP2009113879A (en) 2007-11-01 2009-05-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Hoisting tool of pip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574A (en)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904B2 (en) Hook block and rope hoist
EP2940201B1 (en) Method of making a woven fabric having a desired spacing between tension members
CN104781174A (en) Elevator brake
KR101290710B1 (en) Apparatus for transfer
JP2009051650A (en) Main rope terminal unit of elevator
JP5277723B2 (en) Elevator control cable vibration control device
US11046555B2 (en) Frame for an elevator system
EP3263507B1 (en) Wire locking structure for boom extension
JP2019167243A (en) Transport system for wave winding mat
KR101919525B1 (en) Deivce for preventing sheave wire derailment
KR102076420B1 (en) Linear Motor for Elevator
JP6608326B2 (en) Passenger conveyor and passenger conveyor drop-off prevention device
JP6568031B2 (en) Passenger conveyor
KR20180033199A (en) Magnetic system of electromagnetic repeater
JP6765334B2 (en) Passenger conveyor
KR101634114B1 (en) Stator for motor
JP6196942B2 (en) Escalator renewal method
JP6072664B2 (en) Elevator handrail and its mounting method
JP2017065814A (en) Passenger conveyor
CN111263716B (en) Housing for a device for a rail vehicle
JP6118658B2 (en) Passenger conveyor
KR20130112589A (en) A cable chain
JP4313692B2 (en) Passenger conveyor installation method
EP2690988B1 (en) Unitary t-shaped bed frame member
JP6366390B2 (en) Moving cable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