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194B1 -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 Google Patents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194B1
KR101290194B1 KR1020110043143A KR20110043143A KR101290194B1 KR 101290194 B1 KR101290194 B1 KR 101290194B1 KR 1020110043143 A KR1020110043143 A KR 1020110043143A KR 20110043143 A KR20110043143 A KR 20110043143A KR 101290194 B1 KR101290194 B1 KR 10129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esentative
jamo
stimulus
input
e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072A (ko
Inventor
김성필
이태훈
감태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1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개시된다.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대표 자모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대표 자모들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자모 자극 제공부,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 및 검출된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를 검출하는 의도 자모 검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자모 자극 제공부는 검출된 대표 자모, 및 검출된 대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 자모들을 제공하고,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세부 자모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며, 뇌파 검출부는 제공된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고, 의도 자모 검출부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의도 자모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뇌파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와 키보드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뇌파 검출을 위한 자모의 제공과 자극을 계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System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using brain wave, and a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파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혹은 이동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고전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은 키 패드 또는 키보드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과 같은 자신의 신체를 움직여서 인터페이스상의 문자를 선택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혹은 이동 단말 장치에 선택된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루게릭병 환자와 같이 근육이 마비되어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키패드와 키보드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의 눈의 깜박임을 이용한 입력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성능이 뛰어나지 못하고 제한된 환경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키패드와 키보드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대표 자모(字母)들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자모들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자모 자극 제공부,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 및 검출된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를 검출하는 의도 자모 검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자모 자극 제공부는 검출된 대표 자모, 및 검출된 대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 자모들을 제공하고,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제공된 세부 자모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며, 뇌파 검출부는 제공된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고, 의도 자모 검출부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의도 자모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뇌파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와 키보드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뇌파 검출을 위한 자모의 제공과 자극을 계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자모 자극 제공부는 입력 의도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대응 대표 자모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자모 입력을 위한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경우, 문자 입력의 효율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된 자모가 모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이고,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초성 자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모음이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종성 자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글에 입력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자모 자극 제공부는 대응 대표 자모들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모 입력 규칙에 대한 예외의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뇌파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와 키보드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뇌파 검출을 위한 자모의 제공과 자극을 계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모 입력을 위한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경우, 문자 입력의 효율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한글과 같은 계층적 입력 체계를 가지는 문자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자모 입력 규칙에 대한 예외의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문자 입력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에서의 한글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자극 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뇌파 입력 장치에서의 뇌파 분석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1000)은 미리 설정된 대표 자모들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자모들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자모 자극 제공부(1100),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1200), 및 검출된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를 검출하는 의도 자모 검출부(1300)를 포함한다.
자모 자극 제공부(1100)는 검출된 대표 자모, 및 검출된 대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 자모들을 제공하고,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세부 자모에 대해 자극을 제공한다.
뇌파 검출부(1200)는 제공된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고, 의도 자모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의도 자모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뇌파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와 키보드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뇌파 검출을 위한 자모의 제공과 자극을 계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자모 자극 제공부(1100)는 입력 의도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대응 대표 자모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자모 입력을 위한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경우, 문자 입력의 효율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된 자모가 모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이고,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초성 자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모음이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종성 자음인 경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글에 입력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자모 자극 제공부(1100)는 대응 대표 자모들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모 입력 규칙에 대한 예외의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의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인 예와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문자 입력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1000)이 구현된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100)는 자극 제시부(110), 뇌파 검출부(120), 뇌파 분석부(130), 자극 인식부(140) 및 한글 글자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도 1의 자모 자극 제공부(1000)는 도 2에서 자극 제시부(110)으로 구현되어 있고, 뇌파 검출부(1200)은 뇌파 검출부(120)로, 의도 자모 검출부(1300)는 뇌파 분석부(130)와 자극 인식부(140)로 각각 구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자극 제시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뇌의 자극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한다.
도 3는 도 2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에서의 한글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자극 제시 방법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의 흐름도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의 순서대로 입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한 화면에 자음과 모음에 대한 자극이 함께 제시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는 초성을 위한 자음 자극(210), 중성을 위한 모음 자극(220), 그리고 종성을 위한 자음 자극(230)을 순서대로 제시하게 된다.
또한, 각 자음과 모음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발음끼리 그룹화 될 수 있다. 때문에 초성을 위한 자음 자극 제시(210)시, 그룹화된 각 자음 그룹들의 대표 글자들에 대한 자극을 먼저 제시(211)한 후, 사용자에 의해 해당 그룹이 선택되면, 그 후, 해당 그룹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 글자들에 대한 자극 제시(212)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성을 위한 모음 자극 제시(220) 역시, 그룹 대표 글자 자극 제시(221) 및 그룹 내 세부 글자 자극 제시(222)로 구성된다. 종성을 위한 자음 자극 제시(230)도 같은 과정을 가진다(231, 232).
이때, 인터페이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비교적 자주 사용되지 않는, 초성의 겹닿소리(ㄲ, ㄸ, ㅃ, ㅆ, ㅉ)와 중복되지 않는 종성의 겹받침들(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은 추가적인 입력 단계(240)를 통해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종성 입력은 2번 반복 입력되도록 구성한다. 하지만 한글에서 종성이 없는 경우나, 닿소리 받침을 입력하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2번의 반복 입력 중, 입력을 멈추는 'Null' 명령어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기술한 계층적 입력 구조로 인해, 한 화면에 적은 수의 글자만을 제시하게 된다.
이는 아래와 같은 세가지 장점을 지닌다. (a)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보다 쉽게 찾고 입력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는 인터페이스의 화면 전환을 보다 빠르게 해주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속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낸다.
(b)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형태로 주어지는 글자 자극의 경우, 각 글자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본 발명이 컴퓨터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 장치 등의 보다 작은 화면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 자극에 사용되는 글자 크기를 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극의 크기가 클 경우, 사용자의 뇌는 보다 뚜렷한 반응을 보인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해당 인터페이스의 정확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4는 각 단계별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자음 그룹 글자 자극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310), 각 자음 그룹의 세부 글자 자극 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320), 모음 그룹 글자 자극 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330), 및 각 모음 그룹의 세부 글자 자극 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340)을 포함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검은색 바탕에 회색 글자를 가진다. 또한, 인터페이스 내의 각 글자는 임의적으로 75ms 간격으로 100ms 동안 흰색으로 변하게 되며, 사용자는 해당 깜박임으로 인해 자극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각 단계에서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지움)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명령어가 수행될 경우, 인터페이스는 전 단계에서 입력한 글자를 삭제하고, 전 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수행된다.
도 5는 뇌파 기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를 통해 한글의 'ㅆ'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는 먼저 자음의 대표 글자 자극을 수행하는 화면(410)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사용자는 먼저 'ㅆ'이 포함된 그룹의 대표 글자인 'ㅅ'을 응시하여 선택한다. 'ㅅ' 그룹이 선택이 되면, 인터페이스는 'ㅅ' 그룹 내 글자 자극을 수행하는 화면(420)으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ㅆ' 글자를 응시하여 선택함으로써, 입력을 마친다.
제시된 자극은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다양한 뇌파의 변화를 유발한다. 원활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뇌파의 변화 중 가장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P300 신호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신호의 종류에 대하여 본 실시예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한글을 입력 받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신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P300 신호란, 뇌의 자극 후, 약 300ms 이후에 양의 파형을 가지는 뇌파가 발생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뇌파 검출부(120)는 상기 제시된 자극에 따른 P300 신호와 자극이 제시되지 않을 때의 신호(이하 비 P300 신호라 칭함)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극이 제시된 시점에서 600ms까지 습득한 신호를 검출한다.
뇌파 검출부(120)는 전극, 신호 증폭기,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 및 데스크 탑 컴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피에 부착하는 전극의 배치는 통상적으로 10-20 국제 전극 배치법을 따르나, 그 배치 형태에 본 실시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뇌파 분석부(130)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상기 검출한 P300 신호와 비 P300 신호를 분석한다. 신호 전처리(510)에서는 검출한 신호의 잡음 제거를 위하여 대역폭 필터를 적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역폭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대역폭 내의 신호들만을 분석에 사용한다.
신호 특징 추출(520)에서는 상기 전처리된 신호들의 특징을 추출한다. 각 신호를 블록 단위로 나눈 후, 각 블록 내 샘플들의 평균값을 특징으로 한다. 패턴인식(530)에서는 P300 신호와 비 P300 신호에 대해 상기 추출한 특징들에 대해, 선형판별분석법 등의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P300 신호와 비 P300 신호를 구분한다.
선형판별분석법은 두 데이터 사이에 분류가 쉽게 되도록, 각 클래스 내 분산은 줄이고 클래스 간 분산은 크게 되도록 데이터들을 새로운 축으로 사영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에 가우시안 확률분포 등의 확률기반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류기를 구성한다. 이 후, 새로 들어오는 테스트 데이터는 학습된 분류기를 통하여, P300 신호와 비 P300 신호 중 하나로 분류된다.
자극 인식부(140)에서는 상기 분석한 뇌파가 어떠한 자극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인식한다. 즉, 사용자에게 어떠한 글자 자극이 주어졌을 때, 상기 분석된 P300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글자 입력부(150)에서는 상기 인식된 자극에 해당하는 글자를 인터페이스 화면 상단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의도된 글자가 입력되었음을 알린다(피드백 제공).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입력 구조를 이용한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뇌에 자극을 제시하는 자극 제시부(110), 두피에 부착한 전극 및 증폭기 등의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120), 검출한 뇌파를 분석하는 뇌파 분석부(130), 분석 결과를 통해 제공된 자극을 인식하는 자극 인식부(140), 인식된 자극에 대응하는 한글 글자를 입력하는 한글 글자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자극 제시부(110)는 한글 고유의 계층적 특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한글 글자 자극을 제시한다. 먼저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의 순서대로 입력을 받기 때문에, 한 화면에 자음과 모음에 대한 자극이 함께 제시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한글 입력 방법은 초성을 위한 자음 자극, 중성을 위한 모음 자극 그리고 종성을 위한 자음 자극을 순서대로 제시하게 된다. 또한, 'ㄱ, ㄲ, ㅋ' 또는 'ㅏ, ㅑ, ㅐ, ㅒ'와 같이 각 자음과 모음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발음끼리 그룹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한글 입력 방법은 초성을 위한 자음 자극을 제시할 때, 그룹화된 각 자음 그룹들의 대표 글자들에 대한 자극을 먼저 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해당 그룹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 글자들에 대한 자극 제시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성을 위한 모음 자극 제시는 그룹 대표 글자 자극 제시 및 그룹 내 세부 글자 자극 제시로 구성된다. 종성을 위한 자음 자극 제시도 같은 과정을 가진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계층적 입력 구조는 한글 글자 입력의 정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입력 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창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컴퓨터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 장치 등의 보다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어 효율적인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에 의하면, 한글의 구조를 반영한 계층적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 영어 입력 등의 타 언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보다 한글 입력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한글의 입력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고, 다시 각 자음과 모음은 그룹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계층적 입력 구조를 이용할 경우, 한 번의 입력 시, 적은 수의 글자만 요구된다. 즉, 본 발명은 한 화면에 입력에 필요한 글자 자극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글자를 찾고 입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 화면에 적은 수의 글자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창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본 발명이 이동 단말 장치 등의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 화면에 적은 수의 글자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극에 사용되는 글자 크기를 늘림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뚜렷한 자극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더 뚜렷한 자극에 대한 신호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한글 입력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100: 자모 자극 제공부
1200: 뇌파 검출부
1300: 의도 자모 검출부
100: 뇌파 기반 한글 입력 장치
110: 자극 제시부
120: 뇌파 검출부
130: 뇌파 분석부
140: 자극 인식부
150: 글자 입력부

Claims (13)

  1. 삭제
  2. 미리 설정된 대표 자모들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자모들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자모 자극 제공부;
    상기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를 검출하는 의도 자모 검출부를 포함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모 자극 제공부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가 검출된 이후, 검출되지 않은 대표 자모들을 제외한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 자모들을 제공하고,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세부 자모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며,
    상기 뇌파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세부 자모에 대한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고,
    상기 의도 자모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의도 자모를 검출하며,
    상기 자모 자극 제공부는 상기 입력 의도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대응 대표 자모들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모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초성 자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종성 자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자극 제공부는 상기 대응 대표 자모들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7. 삭제
  8. 미리 설정된 대표 자모들, 및 상기 대표 자모들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표 자모가 검출된 이후, 검출되지 않은 대표 자모들을 제외한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세부 자모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세부 자모에 대해 자극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대표 자모, 및 상기 세부 자모에 대한 자극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의도 자모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의도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자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대응 대표 자모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모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초성 자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자모가 한글의 종성 자음인 경우, 상기 대응 대표 자모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자모 제공과 함께 상기 대응 대표 자모들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3. 제 8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20110043143A 2011-05-06 2011-05-06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29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43A KR101290194B1 (ko) 2011-05-06 2011-05-06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43A KR101290194B1 (ko) 2011-05-06 2011-05-06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72A KR20120125072A (ko) 2012-11-14
KR101290194B1 true KR101290194B1 (ko) 2013-07-30

Family

ID=4751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143A KR101290194B1 (ko) 2011-05-06 2011-05-06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78B1 (ko) * 2013-05-20 2014-06-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1895B1 (ko) * 2014-05-20 2016-0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300 뇌-유발전위를 이용한 단어 입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p300 뇌-유발전위를 이용한 단어 입력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25B1 (ko) * 2004-12-13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00028081A (ko) * 2010-02-20 2010-03-11 백승철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25B1 (ko) * 2004-12-13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00028081A (ko) * 2010-02-20 2010-03-11 백승철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72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ólak et al. Eye-blink detection system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Kristensson et al. The potential of dwell-free eye-typing for fast assistive gaze communication
CN104503593A (zh) 控制信息确定方法和装置
Orhan et al. Offline analysis of context contribution to ERP-based typing BCI performance
CN104503592A (zh) 头部动作确定方法和装置
Orhan et al. Fusion with language models improves spelling accuracy for ERP-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spellers
US20160282939A1 (en) Brain-Computer Interface
EP3396495A1 (en) Neurocomputer system for selecting commands on the basis of recording brain activity
WO2016140628A1 (en) Sketch misrecognition correction based on eye gaze monitoring
Orhan et al. Improved accuracy using recursive Bayesian estimation based language model fusion in ERP-based BCI typing systems
Mock et al. Using touchscreen interaction data to predict cognitive workload
Liu et al. Improving the cross-subject performance of the ERP-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using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rank
KR20190091755A (ko)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한 입력 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290194B1 (ko) 뇌파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Putze et al.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uto-correction errors in predictive text entry based on EEG and context information
KR101768106B1 (ko)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ygün et al. An innovative P300 speller brain–computer interface design: Easy screen
Yu et al. A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Chinese character input
Stawicki et al. A user-friendly dictionary-supported SSVEP-based BCI application
CN117608402A (zh) 一种基于汉字书写想象的隐蔽汉语言处理系统和方法
Hild et al. An ERP-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text entry using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and language modeling
Gupta et 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handwritten Devanagari character recognition
Trewin et al. Age-specific predictive models of human performance
Modanwal et al. Utilizing gestures to enable visually impaired for computer interaction
Lara-Garduno et al. Detec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digitized trail-making test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