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172B1 -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172B1
KR101290172B1 KR1020110110192A KR20110110192A KR101290172B1 KR 101290172 B1 KR101290172 B1 KR 101290172B1 KR 1020110110192 A KR1020110110192 A KR 1020110110192A KR 20110110192 A KR20110110192 A KR 20110110192A KR 101290172 B1 KR101290172 B1 KR 10129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uscle
wearer
inelast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775A (ko
Inventor
한창수
김완수
김흥기
이병규
이희돈
임동환
한정수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1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3Measuring volume, e.g. of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Abstract

착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는 착용자의 신체 소정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고,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비탄성 스트랩부 및 비탄성 스트랩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스트랩부를 구비하는 스트랩부;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풀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를 감지하는 엔코더부; 및 일단이 비탄성 스트랩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회전 풀리에 고정되고,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감소하는 경우 회전 풀리에 감기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는 경우 회전 풀리에서 풀리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Muscle activation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착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 역학과 의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재활 보철 장치나 근력 보조 장치 등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가 상황에 맞는 적절한 동력을 인간에게 제공하며, 보조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의 동작과 힘에 관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동작과 힘에 관한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근육의 활성화도를 측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육의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근육 활성도 측정 센서는 일반적으로 근전도 신호(EMG, Electromyogram data)를 검출할 수 있는 근전위 센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근전위 센서는 사람의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고, 근육의 수축 정도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이 때, 근전도 신호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근육 표면으로부터 근섬유를 따라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로서, 뇌전도나 안전도 등의 다른 생체신호들보다 상대적으로 검출이 용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전위 센서는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가 미약하여 각종 노이즈에 매우 민감하므로, 노이즈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실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미약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별도의 증폭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의 특성상 장시간 운동 시에는 근전도 신호의 발생이 저하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신호값을 얻기 힘들며, 피부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검출이므로 피부 상태에 따라 신호값이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전위 센서를 이용한 근육 활성도 측정 센서는 상기와 같은 근전위 센서의 문제점에 의하여 정확한 근육 활성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근전위 센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도 측정 센서는 그 구조상 연질 재료의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신체부위에 부착하기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도 측정센서는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돌출부가 존재해 신체에 부착 시 피부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필요 없이 의복 위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에 따라 센서 팁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근육 경도 센서에 비하여, 착용자의 착용 이질감이 적은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근육 활성화도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동작 의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악된 착용자의 동작 의지에 기초하여 근력 보조 로봇과 같은 착용형 로봇의 움직임 각도 및 토크를 보다 정밀히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는 착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고,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비탄성 스트랩부 및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스트랩부를 구비하는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풀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를 감지하는 엔코더부; 및 일단이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 풀리에 고정되고,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 감기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서 풀리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엔코더부는 상기 회전 풀리에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의 일단부가 상기 엔코더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부는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엔코더부의 타측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는 일단부가 상기 엔코더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비탄성 스트랩부; 및 상기 제 1 비탄성 스트랩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탄성 스트랩부의 소정 일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비탄성 스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비탄성 스트랩부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링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 풀리에 감겨 있으며, 타측이 상기 엔코더부의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코더부에서 감지된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코더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휴대용 배터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필요 없이 의복 위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근육의 부피 변화에 따라 센서 팁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근육 경도 센서에 비하여, 착용자의 착용 이질감이 적은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근육 활성화도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동작 의지를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악된 착용자의 동작 의지에 기초하여 근력 보조 로봇과 같은 착용형 로봇의 움직임 각도 및 토크를 보다 정밀히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저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외측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는 착용자의 신체 소정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스트랩부(110), 스트랩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와이어부(130) 및 하우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랩부(110)는 비탄성 스트랩부(111) 및 탄성 스트랩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비탄성 스트랩부(111)는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 및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의 일단에 상기 와이어부(13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 스트랩부(112)는 하우징부(1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 1 스트랩 고정부(140a)를 통하여, 하우징부(14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는 하우징부(14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제 2 스트랩 고정부(140b)를 통하여, 하우징부(140)에 고정 결합된다. 하우징부(140)의 외측에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버튼 및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배터리부(미도시)의 잔량 전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40)의 내측에는 엔코더부(미도시) 및 스프링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를 생략 도시한 저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하우징부(140)가 생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는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랩부(110)가 도시 생략된 하우징부(140)에 고정 결합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는 스트랩부(110), 엔코더부(120) 및 와이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는 스프링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부(110)는 착용자의 신체 소정 부분을 감싸며 고정된다. 이 때, 신체 소정 부분은 상지의 상완 또는 전완, 하지의 허벅지 또는 정강이일 수 있으며, 이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스트랩부(110)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스트랩부(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자에게 착용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주면서,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부(110)는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비탄성 스트랩부(111) 및 비탄성 스트랩부(111)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스트랩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탄성 스트랩부(111)의 일단부는 하우징부(미도시)의 일측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 스트랩부(112)는 비탄성 스트랩부(11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미도시)의 타측에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비탄성 스트랩부(111)는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 및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는 일단부가 엔코더부(120)에 결합 고정된다. 이 때,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는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탄성 스트랩부(112)의 소정 일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접합부(110a)를 기준으로 제 1 비탄성 스트랩부(111a),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 및 탄성 스트랩부(112)가 결합된다.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에는 후술하는 와이어부(130)의 일단이 고정된다.
엔코더부(120)는 스트랩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로 기판(120a)에 구비되는 회전 풀리(12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엔코더부(120)는 회전 풀리(12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를 감지한다. 회전 풀리(121)에는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줄어들거나 부푸는 것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와이어부(13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엔코더부(120)는 회전 풀리(121)에 와이어부(130)의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산부는 회전 풀리(121)의 회전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 변화를 통해 착용자의 근육 활성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엔코더부(120)는 회전 풀리(121)의 회전축인 샤프트 일단에 베어링(122)을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130)는 일단이 비탄성 스트랩부(111) 특히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에 고정되며, 타단이 엔코더부(120)의 회전 풀리(121)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와이어부(130)는 비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부(130)는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감소하는 경우 회전 풀리(121)에 감기도록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부(130)는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는 경우, 회전 풀리(121)에서 풀리도록 형성된다.
스프링부(150)는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우, 회전 풀리(121)에 와이어부(130)가 감기도록 복원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링부(150)는 일측이 회전 풀리(122)의 회전축인 샤프트에 감겨 있으며, 타측이 회로 기판(120a) 또는 하우징부(미도시)의 돌출부(150a)에 고정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 및 휴대용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엔코더부(120)에서 감지된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 배터리부는 엔코더부(120)에 전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감싸며 고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도 6은 도 5 보다 착용자의 해당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였을 때의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함에 의하여, 탄성 재질로 형성된 탄성 스트랩부(112)의 길이가 늘어난다. 이에 따라, 제 2 비탄성 스트랩부(111b)가 와이어부(130)를 잡아 당기게 되고, 엔코더부(120)의 회전 풀리에 감겨있던 와이어부(130)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와이어부(l1)의 길이에 비하여 도 6의 와이어부(l2)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엔코더부(120)는 와이어부(130)에 의하여 회전한 회전 풀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근육의 활성화도를 감지 및 측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110; 스트랩부
111; 비탄성 스트랩부
111a; 제 1 비탄성 스트랩부
111b; 제 2 비탄성 스트랩부
112; 탄성 스트랩부
120; 엔코더부
121; 회전 풀리
130; 와이어부
140; 하우징부
140a; 제 1 스트랩 고정부
140b; 제 2 스트랩 고정부
150; 스프링부

Claims (11)

  1. 일측에 형성된 제 1 스트랩 고정부 및 타측에 형성된 제 2 스트랩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착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고,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비탄성 스트랩부 및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에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스트랩부를 구비하는 스트랩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풀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를 감지하는 엔코더부; 및
    일단이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 풀리에 고정되고,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 감기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서 풀리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스트랩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와이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부는 일단부가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 1 스트랩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회전 풀리에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부는
    상기 회전 풀리에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의 일단부가 상기 엔코더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부는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엔코더부의 타측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스트랩 고정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비탄성 스트랩부; 및
    상기 제 1 비탄성 스트랩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탄성 스트랩부의 소정 일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비탄성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탄성 스트랩부는 상기 제 2 스트랩 고정부에 고리 결합되어 있으며, 고리 결합 시 결합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 풀리에 감겨 있으며, 타측이 상기 엔코더부의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부에서 감지된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의 근육의 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스트랩부는 상기 제 2 스트랩 고정부에 고리 결합되어 있으며, 고리 결합 시 결합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휴대용 배터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KR1020110110192A 2011-10-26 2011-10-26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KR10129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192A KR101290172B1 (ko) 2011-10-26 2011-10-26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192A KR101290172B1 (ko) 2011-10-26 2011-10-26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775A KR20130045775A (ko) 2013-05-06
KR101290172B1 true KR101290172B1 (ko) 2013-07-30

Family

ID=4865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192A KR101290172B1 (ko) 2011-10-26 2011-10-26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1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990B1 (ko) 2014-10-07 2015-10-12 국방과학연구소 신장반사를 위한 근 활성도 해석방법
WO2019004676A1 (ko) * 2017-06-29 2019-01-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움직임보조장치
KR2019000226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움직임보조장치
KR102171149B1 (ko) * 2019-04-23 2020-10-28 권준모 길이 변환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97B1 (ko) * 2013-11-19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력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4769B1 (ko) * 2021-10-21 2023-03-29 김기준 스마트 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755U (ko) * 1997-12-24 1999-07-15 정몽규 구동비가 자동조절되는 팬벨트 풀리
KR200386931Y1 (ko) 2005-03-31 2005-06-1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060067242A (ko) * 2004-12-14 2006-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부 데이터를 이용한 얼굴 애니메이션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75269A (ko) * 2008-12-24 2010-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하지용 근력 보조 로봇과 이의 보행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755U (ko) * 1997-12-24 1999-07-15 정몽규 구동비가 자동조절되는 팬벨트 풀리
KR20060067242A (ko) * 2004-12-14 2006-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부 데이터를 이용한 얼굴 애니메이션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86931Y1 (ko) 2005-03-31 2005-06-1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100075269A (ko) * 2008-12-24 2010-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하지용 근력 보조 로봇과 이의 보행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990B1 (ko) 2014-10-07 2015-10-12 국방과학연구소 신장반사를 위한 근 활성도 해석방법
WO2019004676A1 (ko) * 2017-06-29 2019-01-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움직임보조장치
KR2019000226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움직임보조장치
KR102021744B1 (ko) 2017-06-29 2019-11-04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체움직임보조장치
KR102171149B1 (ko) * 2019-04-23 2020-10-28 권준모 길이 변환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775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172B1 (ko) 근육 활성화도 측정 장치
KR102120960B1 (ko)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452632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40064B1 (en) Joint movement assistance device
KR101501661B1 (ko) 착용형 근전도 센서 시스템
US20200170547A1 (en) A human intention detection system for motion assistance
US10322043B2 (en) Assistive driving system for a wheelchair
Carrozza et al. A wearable biomechatronic interface for controlling robots with voluntary foot movements
KR101383421B1 (ko) 식사보조를 위한 상지 재활 로봇
KR20190070051A (ko)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296741A1 (en) Ankle-foot orthotic devices with integrated vibrotactile biofeedback and related methods
CN112654339A (zh) 可穿戴主动辅助装置
WO2019118449A1 (en) Assistive driving system for a wheelchai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ssistive driving system
KR20180031610A (ko) 밴드형 운동 및 생체정보 측정 장치
WO2012086202A1 (ja) 関節支持装具およびリハビリ装置
KR102081981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KR102238692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KR20100134983A (ko) 장애인의 손 부위의 동작을 위한 입는 로봇
KR102238722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용 착용유닛
JP6024955B2 (ja) 生体情報検出装置
KR20130027679A (ko) 맥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박 정보 획득 방법
KR20200071708A (ko)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2009112448A (ja) 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2008086399A (ja) 検出装置固定用バンド及び生体情報検出装置
KR102316536B1 (ko) 로봇 의수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