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886B1 -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 Google Patents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886B1 KR101288886B1 KR1020110124062A KR20110124062A KR101288886B1 KR 101288886 B1 KR101288886 B1 KR 101288886B1 KR 1020110124062 A KR1020110124062 A KR 1020110124062A KR 20110124062 A KR20110124062 A KR 20110124062A KR 101288886 B1 KR101288886 B1 KR 101288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t
- floor
- sound
- buffer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뜬바닥구조 전체에서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발생하는 습기를 자연스럽게 배출하고,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벽에는 하단 일측에 절개구가 형성되고, 이 절개구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습·음을 마감몰탈 위로 배출시키기 위한 습·음용 배출관을 다수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습·음용 배출관 사이의 콘크리트벽에는 벽면완충재를 부착하며,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위에는 저면의 사방 테두리에 단턱 형태의 소통홈이 형성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잇대어 깔면서 그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혼합수가 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마감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벽면완충재가 만나는 구석을 따라 형성되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이동하는 외곽 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슬래브 위에는 서로 잇닿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 형태로 교차하면서 이동하는 교차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바닥 전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원활하고 조속하게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사이의 공기가 외부와 통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discharges the moisture generated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in the whol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to prevent the resonanc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enclosed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specifically, the concrete wall is formed with a cutout on one side of the bottom, and through the cutout, the wet and drinking to discharge the wet and sound on the concrete slab on the finishing mortar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are fixed and installed, and a wall buff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and a floor buffer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e is formed on the concrete slab with a stepped communication groove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bottom. The mixed water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laced on it cannot penetrate the lower part. And the outer groove through which the wet and the sound move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formed along the corner where the concrete slab and the wall buffer material meet, and the wet and the sound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oncrete slab. "To form a crossover passage that moves while crossing in the form, and smoothly and promptly removes moisture generated from the entire floor, and the air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for It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 뜬바닥구조 전체에서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발생하는 습기를 자연스럽게 배출하고,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진 및 공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discharges the moisture generated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aterial in the whol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to prevent resonance and resonance occurring in the enclosed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aterial.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a floor buffer.
일반적인 건물 중 공동주택의 층간 뜬바닥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10')에 부착되는 벽면완충재(20); 콘크리트슬래브(10)에 깔리는 바닥완충재(30); 상기 바닥완충재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40);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위에 깔리는 난방배관을 덮는 마감 몰탈(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구조는 상기 마감 몰탈 위에 깔리는 최종 마감재(60); 및 벽면완충재 위의 벽을 따라 부착되는 걸레받이 판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Looking at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of a common house of a common building wall buffer (20)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10 ') as shown in Figure 1;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laid on the concrete slab (10); Lightweight
그러나 상기 공동주택의 통상적인 층간 뜬바닥구조의 경우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습기가 쉽게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진 및 공명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더구나 최종 마감재와 걸레받이는 층간 뜬바닥구조를 더욱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습기와 공진 및 공명현상에 의한 폐해를 더욱 크게 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of the multi-family house, since a clos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oisture is not easily discharged, and problems such as resonance and resonance are found. In addition,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and the baseboard serve to further seal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damage caused by moisture, resonance, and resonance.
이와 같은 문제점의 원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ause of such a problem in detail as follows.
첫 째, 상기 공동주택의 통상적인 층간 뜬바닥구조를 살펴보면 보통 콘크리트슬래브,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마감몰탈은 습식공법으로 시공되는데, 이들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후 콘크리트슬래브로부터 습기가 올라오거나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마감몰탈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흘러내려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의 들뜬 공간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완충재 하부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수분 즉, 혼합수(1㎥ 당 약 200ℓ 내외)가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하기도 하지만 사실상 거의 모든 혼합수가 바닥완충재 하부로 침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수분이 모이는 다른 원인으로는 장마철이나 태풍에 의한 우수의 침투,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 또는 난방배관의 파손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근래의 공동주택은 발코니 확장으로 외기에 직접 접하는 벽이 많아지면서 동시에 이를 통한 열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재로 기밀하게 시공하는데, 아무리 고성능의 단열재를 두껍게 시공하더라도 외기와의 접경 부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이나 습기를 막을 수 없다. 또한, 바닥 난방시 상하 온도차에 의해서도 수분이나 습기가 발생한다.First, looking at the typical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of the multi-unit house, concrete slab,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finishing mortar is usually constructed by the wet method, because the construction is not completely dried, the moisture from the concrete slab after construction Moisture contained in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finishing mortar flows down and collects in the excited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At this time, although a number of measures are taken to prevent the moisture of the light-bubble concrete, that is, mixed water (about 200 L per 1m3) from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floor buffer, virtually all of the mixed water penetrates the floor of the floor buffer. to be. In addition, other causes of the moisture gathering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aterial is the rainy season or rain storm penetration, rain condensati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damage to the heating pipe. Such an example is as follows. In recent years, apartments have many walls directly contacting the outside ai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alcon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irtightly constructed with insulation to prevent heat loss.However, no matter how thick the high-performance insulation is installed, condensation occurs at the border with the outside Can not prevent moisture or moisture caused. In addition, moisture and moisture are also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t the time of floor heating.
이렇게 스며들거나, 자체적으로 발생한 수분이나 습기는 외부로 쉽게 증발되지 못하고 오랜 시간 잔류하다가 난방과 같은 온도 상승의 원인에 의해 증발 및 팽창하면서 바닥이나 벽의 균열이나 벌어진 틈을 통해 실내로 서서히 빠져나가는데, 이와 같이 습기의 증발을 막는 가장 큰 장애 요소가 바닥완충재이다. 바닥완충재는 수분이나 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과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하 공간을 밀폐하는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수분이나 습기의 배출을 억제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는 바닥완충재를 설치하기 이전의 층간바닥의 경우 수분이나 습기의 억제현상이 현상이 덜했다는 건축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주장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더욱이 범용으로 설치하고 있는 최종 마감재로서 온돌마루와 걸레받이를 시공할 경우 실리콘으로 마감하기 때문에 그 하부에는 완전히 밀폐된 층간 뜬바닥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Moisture or moisture that is permeated or generated by itself is not easily evaporated to the outside and remains for a long time, but gradually escapes into the room through cracks or gaps in the floor or wall while evaporating and expanding due to a temperature rise such as heating. As such, the biggest obstacle to preventing evaporation of moisture is the floor buffer. Floor buffer is not only formed of a material and structure that can not pass moisture or moisture, but also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a sealed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spaces, it is the cause of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moisture or moisture, which is before the installation of floor buffer In the case of interlayer floors,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general arguments of the building officials that the suppression of moisture or moisture is less pronounced. Moreover, as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in general purpose, when the ondol floor and the baseboard are finished with silicon, it forms a completely sealed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under the bottom.
이와 같이 층간 뜬바닥구조 내부의 수분과 습기는 바닥완충재와 최종 마감재 또는 걸레받이에 의해 가둬진 상태로 장시간 머물러 있으면서 바닥 크랙이나 구석진 틈새 등을 통해 서서히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서서히 빠져나가는 습기는 입주 후에도 계속되어 최종 마감재나 벽재를 변색 또는 변형(바닥에서 들뜨게 하고, 틈새가 발생하고 뒤틀리게 하는 등)시킬 뿐만 아니라, 곰팡이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습기는 시멘트의 독성을 포함하고 있어 입주자들에게 소위 새집 증후군이라 불리는 두통, 피로, 호흡곤란, 천식, 비염, 피부염 등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공동주택 신축 현장에서는 통상 최종 마감재를 설치하기 6개월 전에 마감몰탈의 시공을 완료하여 건조시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습식공정에 많은 제약이 있는 겨울과 습도가 높고 강풍과 비를 동반하는 여름이라는 특수한 계절적 상황에 의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상태로 전체 공사가 마무리되고, 거주자가 입주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따라서 상기 최종 마감재로서 온돌마루를 설치할 경우에는 시방서에 바닥 함수율 5% 이하 기준을 반드시 지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바닥구조의 표면 함수율일 뿐 실재 바닥구조의 내부 함수율은 이보다 훨씬 높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As such, the moisture and moisture inside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are gradually discharged through the floor cracks or the cracks in the corners while staying for a long time confined by the floor buffer and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or the baseboard. This slowly escaping moisture continues after occupancy, not only discoloring or deforming the final finish or wall (floating, cracking, twisting, etc.), but also producing mold.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ains the toxicity of the cement may cause tenants to cause headaches, fatigue, shortness of breath, asthma, rhinitis, dermatitis and so on called so-called sick house syndrome. In order to reduce such damage, the construction site of multi-unit houses usually secures drying time by finishing the finishing mortar 6 months before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n a state where high humidity and summer season with strong wind and rain have not completely eliminated moisture, and the occupants live. Therefore, when the ondol floor is installed as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the floor moisture content must be kept below 5% in the specification, but it is well known that the internal moisture content of the actual floor structure is much higher than the surface moisture content of the floor structure.
한편, 최근에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닥구조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치로서 숨구멍을 형성하도록 바닥공사 시방서에 명시하고 있다. 상기 숨구멍의 실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파이프(80)를 심기도 한다. 상기 파이프는 외면에 다수 개의 구멍을 뚫은 것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해 콘크리트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마감몰탈 내에 포함된 습기를 증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된 뚜껑을 결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는 그 효력이 미치는 범위가 그 주변으로 극히 제한적이므로 몇 개의 파이프를 설치해서는 층간 뜬바닥구조 전체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습기의 제거에 한계가 있고, 습기의 배출도 상당시간 이루어져 입주 후에도 계속해서 습기가 배출되어 입주자에게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바닥에 노출되는 점을 감안하여 바닥구조의 중앙 부분에는 설치하지 못하고 대부분 벽에 근접한 구석에만 설치되는데, 이 경우 수분이 특히 많이 모이는 바닥구조의 중앙 부분에서 습기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바닥완충재와 콘크리트슬래브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 공기층에 대한 공기압 상승(충격 에너지가 밀폐된 공기층으로 전달될 때 공기분자의 상호 충돌에 의해 나타나는 물리적 결과)을 낮추는 데는 전혀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specified in the floor construction specification to form pores as a measure for releasing moisture inside the floor structure. As an example of the pores, a
둘 째, 상기 층간 뜬바닥구조의 콘크리트슬래브는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붓고 그 위를 평평하게 마감하는 과정에서 전체 면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을 제거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실제로 현재 시공 중인 대부분의 공동주택에서 목격되고 있는 현상으로서, 예를 들어 공동주택을 시공할 때 통상 콘크리트벽에 '허리먹'이라고 하여 차후 천정과 최종 최종 마감재 사이의 실내 높이를 표시하는 먹선을 긋고, 이 먹선으로부터 마감몰탈의 타설 높이와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먹선을 그은 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위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먹선의 높이를 확인해보면 모든 방 또는 거실의 벽 부분이나 중앙부분을 가릴 것 없이 바닥 전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콘크리트슬래브의 수평도가 낮음을 단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의 수평도가 낮음에 따라 그 위에 표준크기인 3ㅧ6 사이즈의 바닥완충재를 깔더라도 콘크리트슬래브와의 밀착도가 낮아 공간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바닥완충재 위에 무거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바닥완충재와 콘크리트슬래브 사이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들뜬 공간이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의 처짐 현상과 낮은 수평도에 의해 발생하는 들뜬 공간은 스판이 클수록 다시 말해서 평형이 넓은 공동주택일수록 크게 발생하는데, 최근에 시공되고 있는 무량판 구조(내력벽 없이 스판이 넓어짐)에서는 더욱 크게 발생한다.Second, the concrete slab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is difficult to accurately level the entire surface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on the formwork and finishing it flat, and after removing the formwork, as shown in FIG. The part sag occurs. This phenomenon is actually observed in most apartment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For example, when building a multi-unit house, it is usually referred to as a 'waist eat' on the concrete wall to mark the interior height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inal final finish. If you draw an ink line to express the pouring height of the finishing mortar and the pouring height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from the ink line, and then check the height of the mixing line for pouring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from any point on the concrete slab,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of the entire floor is not constant without covering the wall or the center of every room or living room. This in turn proves that the level of concrete slab is low. Thus, as the level of the concrete slab is low, even if the floor cushion material of 3 ㅧ 6 size, which is a standard size, is laid on it, the adhesion with the concrete slab can be seen that the space floats. In this state, even if a heavy lightweight foam concrete is placed on the floor buffer material, the space between the floor buffer material and the concrete slab may not be closely adhered to and the excitement space remains. As such, the excitement space caused by the deflection of the concrete slab and the low level of the concrete slab increases as the span increases, that is, the apartments with wider equilibrium have increased.In the flat plate structure (the span widened without the bearing wall), which is recently constructed, Occurs greatly.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들뜬 공간은 벽면완충재와 함께 밀폐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몰탈 위에 최종 마감재를 깔기 위해서 본드를 바르거나 최종 마감재와 걸레받이 판재 사이에 실리콘을 발라서 더욱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밀폐된 들뜬 공간은 공진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상·하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더 크게 울리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밀폐된 들뜬 공간에 의해 층간 뜬바닥구조는 예를 들어 북과 같은 형태가 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들뜬 공간 내의 공기가 서로 충돌하면서 압력이 상승하는 물리적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마치 북을 가격할 경우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밖으로 크게 울리는 현상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들뜬 공간이 크거나 많을 수 록 더욱 심화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판이 넓은 공동주택이나 무량판 구조에서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The excited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not only forms a sealed space with the wall buffer but also even bonds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on the finishing mortar as shown in FIG. 1 or between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and the baseboard. Silicone is applied to form a more enclosed space. The enclosed excited space plays a greater role in the impact generated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due to resonance and resonance. That is, since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is, for example, a book-like shape due to the enclosed excited space, a physical phenomenon occurs in which pressure in the excited space rises as air collides with each other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outside. This is like a phenomenon that when the drum is hit, the air pressure increases in the enclosed interior space and rings out loud. Such a phenomenon is aggravated by a large or large amount of excited space,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a serious problem in the structure of a wide span apartment or a flat plate structure.
이와 같이 공동주택이건 상업용 건물이건 콘크리트슬래브 위에 바닥완충재를 시공하는 층간 뜬바닥구조에 있어서는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의 습기와 공진 및 공명 현상에 의한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As such, in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in which the floor buffer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whether it is a multi-family house or a commercial building, various problems are caused due to moisture, resonance, and resonan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aterial.
본 발명은 콘크리트슬래브 위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깔아 놓고 콘크리트벽을 따라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와 맞닿는 습·음용 배출관을 다수 개 설치함으로써, 첫 째 콘크리트슬래브 위의 전체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상기 습·음용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둘 째 충격 발생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바닥완충재 사이에 들뜬 공간의 공기가 상기 습·음용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laying a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on the concrete slab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in contact with the wet and sound floor buffering material along the concrete wall, which occurs in the whole above the first concrete slab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moothly through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when the second impact occurs, the air of the excited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smooth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exhaust floor buffer material.
본 발명은 콘크리트슬래브 전체 또는 콘크리트슬래브와 콘크리트벽 사이의 접점 부분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시공하는 것만으로 콘크리트슬래브 전체 또는 습기가 가장 많이 집결하는 콘크리트슬래브와 콘크리트벽 사이의 접점 부위에 습기가 잘 통하는 통로가 구조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사이에 설치 방향이나 오차 등에 제약 없이 항상 습·음이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습·음용 배출관의 설치위치에 제약 없이 어느 위치에서든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와 습·음용 배출관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습·음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struction of the entire floor or the contact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concrete wall, the damping and sound discharge only by installing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the entirety of the concrete slab or the humidity of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concrete wall wher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moisture As the well-formed passages are structurally formed, the damp and sound discharge pipes can be made at any time without restrict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r errors between the floor buffers for the damp and sound discharge, and the wet and sound discharge pipes can be smoothly communicated. The floor-floor structure using the floor buffer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ing so that the damp and sound discharging pipe can be smooth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floor buffer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ing at any position without restric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스판이 넓은 실내 바닥의 중앙이나 귀퉁이 부분에 습기가 잘 모이도록 습·음용 유도광장판을 설치하고, 상기 습·음용 유도광장판에 모인 습기가 습·음용 유도관에 의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za to collect moisture in the center or corners of the indoor floor with a wide span, and the moisture gathered in the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za is quickly moved to the outside by the wet and drinking induction pip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on of an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a floor buffer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e.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에는 하단 일측에 절개구가 형성되고, 이 절개구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습·음을 마감몰탈 위로 배출시키기 위한 습·음용 배출관을 다수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습·음용 배출관 사이의 콘크리트벽에는 벽면완충재를 부착하며,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위에는 저면의 사방 테두리에 단턱 형태의 소통홈이 형성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잇대어 깔면서 그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혼합수가 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마감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벽면완충재가 만나는 구석을 따라 형성되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이동하는 외곽 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슬래브 위에는 서로 잇닿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 형태로 교차하면서 이동하는 교차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tou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wall, and through the cutout, a plurality of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for discharging over the wet and sound finishing mortar on the concrete slab are fixedly installed, and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 wall buff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concrete slabs, and the mixed water of light-bubble foam concrete poured on the concrete slab is placed on top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amp and sound discharge formed with a stepped communication groove formed on the four edges of the bottom surface. By not finishing, it forms an outer passageway where moisture and sound move through a communication groove formed along the corner where the concrete slab and the wall buffer material meet, and on the concrete slab, the moisture and sound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ming a crossover passage that moves while intersecting in a + "shape .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는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소통홈 사이로 습·음이 이동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슬래브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동탄성을 높이기 위해 "+" 형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보조 소통홈이 형성된다.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has a plurality of auxiliary communication grooves intersecting in the form of "+" to increase the dynamic elasticity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slab while allowing the wet and sound to move between the communication grooves formed along the rim. do.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는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외곽에 시공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중앙에는 상하면이 평평한 통상의 바닥완충재를 시공하며,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 하부에는 습·음이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로 이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습·음용 유도관을 깔아서 이루어진다.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the damp and sound discharge is constructed on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ing material is constructed in the center of the concrete slab with a flat upper and lower floors, and the damp and the sound is discharged under the normal floor buffering material. It is made by laying one or more wet and drinking induction tubes to move to the floor buffer.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 하부에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중앙 또는 귀퉁이 부분에 위치하면서 습·음이 모이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습·음용 유도광장판;을 깔고, 상기 습·음용 유도관으로 상기 각 습·음용 유도광장판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One or more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ques are formed at the center or corners of the concrete slab and form spaces for gathering moisture and sound under the normal floor cushioning material. · It is made by connecting the drinking induction square plate and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상기 습·음용 배출관은 하단 일측의 절개구가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의 소통홈을 향하도록 부착하되, 상기 절개구는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의 소통홈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is attached so that the incision opening on the lower side toward the communication groove of the bottom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the incision is form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groove of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It consists of
상기 습·음용 배출관의 상단에는 상기 콘크리트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전면을 통해 습·음이 배출되도록 하는 덕트형 헤드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진다.The upper end of the wet, drinking discharge pip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it is made by coupling the duct-type hea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상기 벽면완충재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 사이의 거리만큼 절단하여 콘크리트벽에 부착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마감몰탈의 혼합수가 습·음용 배출관과 벽면완충재 사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마감처리하여 이루어진다.The wall buffer is formed by cut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attaching it to the concrete wall, and finishing the mixture so that the mixed water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the finishing mortar does not penetrate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the wall buffer.
상기 벽면완충재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을 커버하는 상태로 콘크리트벽에 부착하여 설치하되, 상기 습·음용 배출관을 커버하는 부분의 하부에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가 밀착하도록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틈으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마감처리하여 이루어진다.The wall buffer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in a state of covering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but the bottom of the portion covering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so that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the wet and sound discharge floor buffer closely. It is made by cutting and finishing to prevent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from penetrating into the cut gap.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는 EPS(Expandable Poly-Styrene)재질로 형성된 발포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cushioning material is formed of a foamed plastic formed of EPS (Expandable Poly-Styrene) material.
상기 습·음용 유도관은 외면을 관통하여 내외로 습·음이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된다.The wet / drinking induction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through which the wet and sound flow in and out.
상기 습·음용 유도광장판은 지지판의 하부에 다수개의 방진마운트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된다.
The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dustproof mounts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바닥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콘크리트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 사이에 깔고, 콘크리트벽에는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와 맞닿는 습·음용 배출관을 시공하여 습기와 음압이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첫 째 콘크리트슬래브 전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원활하고 조속하게 제거하여 시공 후 습기가 올라와 최종 마감재나 벽재가 훼손되거나 벽지와 마루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입주 전에 바닥에 있는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어서 새집 증후군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고, 둘 째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통하게 되어 충격 발생시 공진 현상(충격 에너지에 의한 공기분자의 상호 충돌현상 발생으로 나타나는 물리적 결과)에 의한 음 에너지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어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floor buffer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buffer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is laid on the floor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the concrete wall is used for the damp and sound discharge. Moisture and sound pressure are discharged indoors or outdoors by constructing a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floor buffer material. Firstly,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entire concrete slab is removed smoothly and promptly. Not only prevent the occurrence of mold on the walls and floors, but also release moisture on the floor before moving in, which prevents the sick house syndrome, and secondly,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Resonance phenomenon when shock occurs due to external communication (image of air molecules due to impact energ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mplification of the sound energy by the physical result that appears to occur crash event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슬래브 전체 또는 콘크리트슬래브와 콘크리트벽 사이의 접점 부분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시공하는 것만으로 콘크리트슬래브 전체 또는 최소한 습기가 가장 많이 집결하는 콘크리트슬래브와 콘크리트벽 사이의 접점 부위에 습기가 잘 통하는 통로가 구조적으로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사이에 설치 방향이나 오차 등에 제약 없이 항상 습·음이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습·음용 배출관의 설치위치에 제약 없이 어느 위치에서든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와 습·음용 배출관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습·음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cushion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concrete slab is constructed only by constructing the damping and sounding floor buffering material in the entire contact point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concrete wall. Alternatively, at least the moisture-condensing path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concrete wall where moisture is collected most frequently is structurally formed, and there is always no dampness or humidity between 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buffers. In addition to creat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smoothly, the damping and sound discharge floor buffer material and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are naturally connected at any position without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and the reliability of construction is improved. There is a damaging effect.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실내 바닥의 중앙이나 귀퉁이 부분에 시공되는 습·음용 유도광장판과 습·음용 유도관을 통해 스판이 넓은 실내 바닥으로부터 습·음을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cushion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floor has a wide span through a wet / drinking induction plaque and a wet / drinking induction pipe constructed at the center or corner of the indoor floor.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discharge the humidity and sound from the construc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construction.
도 1은 종래 층간 뜬바닥구조를 도시한 절단 사시도.
도 2는 종래 층간 뜬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A"부 확대로.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습·음배출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14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B-B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습·음용 유도광장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C-C선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and 9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to 12 is an enlarged view "A" por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et, sound discharge po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4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floor buffer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t / drink induction square plate of FIG. 16;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은 도 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10')에는 습·음용 배출관(100)을 부착하고, 상기 습·음용 배출관 사이에는 벽면완충재(200)를 부착하며, 콘크리트슬래브(10) 위에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까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cushion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18, a wet and drinking
따라서 본 발명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 위에 통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40)를 타설하고 그 위나 난방배관을 깐 상태에서 마감몰탈(50)을 타설하며 그 위에 최종 마감재(60)와 걸레받이 판재(70)를 댄 일체의 층간 뜬바닥구조를 모두 포함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inary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은 콘크리트벽(10')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슬래브(10) 상의 습·음을 마감몰탈(50) 위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의 하부에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10) 상의 습·음이 후술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의 소통홈(310)을 통해 유입되어 위로 배출되도록 절개구(110)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절개구(110)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 하단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절개구(110)가 후술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의 소통홈(3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절개구(110)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후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40)가 상기 절개구(110)를 통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wet and drinking
이와 같은 습·음용 배출관(100)은 고무 재질의 튜브나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로 형성된 것으로 한다.The wet and drinking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은 실시 예로서 그 상단에 걸레받이 판재(70)와 같이 벽에 밀착 설치될 수 있는 덕트형 헤드(1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덕트형 헤드(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 파이프 형태의 습·음용 배출관(100)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벽(10')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전면을 통해 습·음이 배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덕트형 헤드(120)는 마감몰탈(50) 위로 노출되어 있는 습·음용 배출관(10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또는 엎질러진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덕트형 헤드(120)의 내부에는 시멘트 독성이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The wet and drinking
상기 변면완충재(200)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 사이의 콘크리트벽(10')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벽(10')과 경량기포콘크리트(40) 및 마감몰탈(50) 사이에 뜬 바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격이 콘크리트벽(10')을 통해 상층이나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The
상기 벽면완충재(200)는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10)에 닿은 상태에서 그 위로 콘크리트벽(10')에 밀착하여 부착하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 사이의 거리만큼 절단하여 콘크리트벽(10')에 부착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40)와 마감몰탈(50)의 혼합수가 습·음용 배출관과 벽면완충재 사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완충재(200)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을 커버하는 상태로 콘크리트벽(10')에 부착하여 설치하되,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을 커버하는 부분의 하부에는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가 밀착하도록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틈으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40)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The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10) 위에 깔아서 시공하는 것으로서, 저면의 사방 테두리에 단턱 형태의 소통홈(310)이 형성된 것을 잇대어 깔면서 그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40)의 혼합수가 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마감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10)와 벽면완충재(200)가 만나는 구석을 따라 형성되는 소통홈(310)을 통해 습·음이 이동하는 외곽 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슬래브(10) 위에는 서로 잇닿는 소통홈(310)을 통해 습·음이 "+" 형태로 교차하면서 이동하는 교차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damping and sound-absorbing
따라서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통홈(310)이 형성됨으로써 반드시 한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소통홈(310)을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습·음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홈(310)을 통해 습·음이 이동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 사이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완충재(20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소통홈(310)을 통해 막힘 없이 습·음이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상기 소통홈(310)을 형성함으로써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에 설치되는 습·음용 배출관(1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습·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amping and damping
또한,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소통홈(310) 사이로 습·음이 이동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슬래브(10)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동탄성을 높이기 위해 "+" 형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보조 소통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통홈(310)은 보조 소통홈(320)의 단면 상 절반의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소통홈(3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의 소통홈(310')과 맞닿을 때 하나의 보조 소통홈(320)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 300') 사이에는 습·음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amp and sound
이때, 상기 보조 소통홈(3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고밀도 EPS(Expandable Poly-Styrene)재질로 형성하되, 다른 플라스틱 재질이나 이의 혼합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The
이와 같이 습·음용 배출관(100), 벽면완충재(200) 및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1 및 제2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실 바닥의 전체에 깔아 시공함으로써, 바닥 전체에서 발생하는 습기와 충격에 의한 음압이 상기 소통홈(310)과 보조 소통홈(320)을 통해 외곽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한 습·음은 습·음용 배출관(100)을 통해 실내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wet /
또한,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 벽면완충재(200) 및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3 실시 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는 실내 바닥의 외곽에 시공되고, 실내 바닥의 중앙에는 상하면이 평평한 통상의 바닥완충재(30)가 시공되며,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30)의 하부에는 습·음을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로 흐르게 하는 하나 이상의 습·음용 유도관(400)이 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30) 하부의 습·음은 상기 습·음용 유도관(400)을 통해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로 이동하고, 이어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의 소통홈(310)과 보조 소통홈(320) 및 습·음용 배출관(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wet and drinking
이때, 상기 습·음용 유도관(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을 관통하여 내외로 습·음이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기구멍(410)이 형성된 것으로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wet and drinking
한편,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 벽면완충재(200) 및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제4 실시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30)의 하부에 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10) 상의 중앙 또는 귀퉁이 부분에 위치하여 습·음이 모이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습·음용 유도광장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습·음용 유도관(400)은 상기 각 습·음용 유도광장판(500)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연결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3 실시 예를 개선한 층간 뜬바닥구조로서 특히, 스판이 넓은 층간 뜬바닥구조에서 중앙부분이나 코너부분의 처진 곳에 습기가 모이고, 이런 부분에서 공진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6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terlaye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wet and drinking
상기 습·음용 유도광장판(500)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510)의 하부에 다수개의 방진마운트(520)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형태로서, 상기 지지판(510) 하부에 방진고무마운트(520)의 높이만큼 공간을 형성하여 습기가 잘 모이도록 하면서 습·음용 유도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5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The wet and drink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바닥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콘크리트슬래브(10)와 경량기포콘크리트(40) 사이에 깔고, 콘크리트벽(10')에는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와 맞닿는 습·음용 배출관(100)을 시공하여 습기와 음압이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첫 째 바닥 전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원활하고 조속하게 제거하여 시공 후 습기가 올라와 최종 마감재나 벽재가 훼손되거나 벽지와 마루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입주 전에 바닥에 있는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어서 새집 증후군이 예방되고, 둘 째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통하게 되어 충격 발생시 공진 현상(충격 에너지에 의한 공기분자의 상호 충돌현상 발생으로 나타나는 물리적 결과)에 의한 음 에너지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어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콘크리트슬래브(10) 전체 또는 콘크리트슬래브(10)와 콘크리트벽(10') 사이의 접점 부분에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를 시공하는 것만으로 콘크리트슬래브(10) 전체 또는 최소한 습기가 가장 많이 집결하는 콘크리트슬래브(10)와 콘크리트벽(10') 사이의 접점 부위에 습기가 잘 통하는 통로가 구조적으로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 사이에 설치 방향이나 오차 등에 제약 없이 항상 습·음이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습·음용 배출관(100)의 설치위치에 제약 없이 어느 위치에서든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300)와 습·음용 배출관(100)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습·음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콘크리트슬래브(10) 중앙이나 귀퉁이 부분에 시공되는 습·음용 유도광장판(500)과 습·음용 유도관(400)을 통해 스판이 넓은 실내 바닥으로부터 습·음을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rough the wet and drinking induction
100: 습·음용 배출관 110: 절개구
120: 덕트형 헤드
200: 벽면완충재
300: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 310: 소통홈
320: 보조 소통홈
400: 습·음용 유도관 410: 통기구멍
500: 습·음용 유도광장판 510: 지지판
520: 방지고무마운트100: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110: incision opening
120: ducted head
200: wall buffer
300: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310: communication groove
320: auxiliary communication home
400: wet and drinking induction pipe 410: vent hole
500: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te 510: support plate
520: anti-rubber mount
Claims (11)
상기 습·음용 배출관 사이의 콘크리트벽에는 벽면완충재를 부착하며,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외곽에는 저면의 사방 테두리에 단턱 형태의 소통홈이 형성된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잇대어 깔면서 그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혼합수가 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마감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벽면완충재가 만나는 구석을 따라 형성되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이동하는 외곽 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슬래브 위에는 서로 잇닿는 소통홈을 통해 습·음이 "+" 형태로 교차하면서 이동하는 교차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중앙에는 상하면이 평평한 통상의 바닥완충재를 시공하되, 상기 통상의 바닥완충재 하부에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면서 지지판의 하부에 다수개의 방진마운트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습·음이 모이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습·음용 유도광장판을 깔며,
외면을 관통하여 내외로 습·음이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습·음용 유도관을 상기 각 습·음용 유도광장판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통상의 바닥 완충재 하부에 깔아 상기 각 습·음용 유도광장판과 통상의 바닥완충재 하부의 습·음이 상기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로 이동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A cutou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wall, and through this cutout, a plurality of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s for discharging over the wet and sound finishing mortar on the concrete slab are fixed and installed.
The wall buffer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The concrete slab and the wall surface are finis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by laying a bottom buffer material for wet and sound discharge formed with a stepped communication groove on the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preventing the mixed water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placed thereon from penetrating into the lower part. Intersections where wet and sound move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s formed along the corner where the buffer material meets, and where the moisture and sound intersect in the form of "+"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concrete slab. To form passages,
In the center of the concrete slab to construct a normal floor buffer material having a flat upper and lower surfaces, while the bottom of the normal floor buffer material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n the concrete slab, a plurality of dust-mounted mounts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t regular intervals to wet and sound One or more wet / drinking induction plazas that form a space to collect
The bottom of the normal floor cushioning material connects the wet / drinking induction pipe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wet and sound flows into and out of the outer surface, and connects the wet / drinking induction square plate and the wet and sound discharging floor buffer. The floor between floors using the damp and sound absorbing floor buffers, wherein the damp and sound under each of the wet and drinking induction plaques and the lower floor of the normal floor buffers are moved to the floor buffers for discharging the sound and sound.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mping and damping floor buffer material is a plurality of crosses in the "+" form to increase the dynamic elasticity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slab while moving the wet and sound between the communication groove formed along the rim.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the floor buffer for wet and sound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The wet / drinking discharge pipe of claim 1, wherein the inlet of the lower side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groove of the bottom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the incision is in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groove of the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a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corresponding height.
The wet and sound discharge fl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and a duct-type head is install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surface. Construction method of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buffer material.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buffer is cut by the distance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and the finishing treatment to prevent the mixed water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the finishing mortar to penetrate between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the wall buff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floor floating floor structure using a floor buffer for damp and sound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buffer is attached to the concrete wall in the state covering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but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covering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for the wet and drinking discharge pipe and wet and sound discharg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rfloor floated floor structure using a floor buffer for wet and sound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or buffer is cu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cut gap.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et and sound discharge floor cushioning material is formed of foamed plastic formed of EPS (Expandable Poly-Styrene)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062A KR101288886B1 (en) | 2011-11-25 | 2011-11-25 |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062A KR101288886B1 (en) | 2011-11-25 | 2011-11-25 |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190A KR20130058190A (en) | 2013-06-04 |
KR101288886B1 true KR101288886B1 (en) | 2013-07-23 |
Family
ID=4885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4062A KR101288886B1 (en) | 2011-11-25 | 2011-11-25 |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88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973B1 (en) * | 2014-03-05 | 2015-04-24 | 전영자 | Plastic or FRP panel using for heating and soundproofing |
KR20180119867A (en) * | 2017-04-26 | 2018-11-05 | 박병진 | Bottom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noise redu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119B1 (en) * | 2020-08-12 | 2021-02-26 | 윤이중 |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
KR102420509B1 (en) * | 2021-10-18 | 2022-07-14 | 주식회사 스카이콜렉션 | Stone plastic composite indoor floor covering with sound absorbing layer, interfloor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537Y1 (en) * | 2006-07-27 | 2006-10-16 | 주식회사 대한엠엔알 |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Noise The Anti-Noise Element |
KR20080003310U (en) * | 2007-02-09 | 2008-08-13 | 이병헌 | Structure for preventing an impact noise from a floor of apartment house |
KR20090128498A (en) * | 2007-05-25 | 2009-12-15 | 트루 우드 리미티드 | Floor member and moisture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
KR20110020099A (en) * | 2009-08-21 | 2011-03-02 | 박상민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
2011
- 2011-11-25 KR KR1020110124062A patent/KR1012888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537Y1 (en) * | 2006-07-27 | 2006-10-16 | 주식회사 대한엠엔알 |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Noise The Anti-Noise Element |
KR20080003310U (en) * | 2007-02-09 | 2008-08-13 | 이병헌 | Structure for preventing an impact noise from a floor of apartment house |
KR20090128498A (en) * | 2007-05-25 | 2009-12-15 | 트루 우드 리미티드 | Floor member and moisture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
KR20110020099A (en) * | 2009-08-21 | 2011-03-02 | 박상민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973B1 (en) * | 2014-03-05 | 2015-04-24 | 전영자 | Plastic or FRP panel using for heating and soundproofing |
KR20180119867A (en) * | 2017-04-26 | 2018-11-05 | 박병진 | Bottom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noise reduction |
KR102011436B1 (en) * | 2017-04-26 | 2019-08-16 | 박영준 | Bottom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noise red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190A (en) | 2013-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5259A (en) |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 |
US8347575B2 (en) |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 |
KR101145878B1 (en)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
KR102221119B1 (en) |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 |
KR101288886B1 (en) |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using panel for discharge moisture and air | |
KR100653596B1 (en) |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of apartment | |
KR102220518B1 (en) | Cushioning material for deduction of floor impact noi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330561B1 (en) | Elimination apparatus for Moisture-resonance in floor sturctur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060112873A (en) | Establishment construction and soundproof mat | |
KR200421104Y1 (en) | Noise cut prop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building | |
KR100611184B1 (en) | Separate/dua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of wall-type apart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such floor structure | |
KR101207288B1 (en) |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 |
CN211172802U (en) | Sound-absorbing dehumidifying architectural decoration structure | |
KR20070110630A (en) |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 |
KR20210047101A (en) | Noise Absorption Structure Of Slab Concrete | |
KR20160109653A (en) | Double floor system for redu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 |
CN103510648A (en) | Silicon dioxide nanometer heat preservation felt floor plate bottom heat preserv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silicon dioxide nanometer heat preservation felt floor plate bottom heat preservation structure | |
KR20080083756A (en) | Interlayer thorough dry construction inside the building | |
KR102416871B1 (en) | Gypsum board suppor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38254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interlayer sound insulation Panel | |
KR20080000736U (en) |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of apartment | |
JP5806499B2 (en) | Exterior wall structure | |
CN203795676U (en) | Building ground wood floor heat-preservation structure with silicon dioxide nanometer heat-preservation quilt | |
Lstiburek et al. | Where Do Vapor Barriers Go in Parking Garages? | |
KR200324358Y1 (en) | Synthetic soundproofing mat of concrete slab for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