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518B1 -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518B1
KR101288518B1 KR1020110082274A KR20110082274A KR101288518B1 KR 101288518 B1 KR101288518 B1 KR 101288518B1 KR 1020110082274 A KR1020110082274 A KR 1020110082274A KR 20110082274 A KR20110082274 A KR 20110082274A KR 101288518 B1 KR101288518 B1 KR 10128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sensor
he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9959A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518B1/en
Publication of KR2013001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용수의 온도를 최적의 온도로 컨트롤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위생용품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주위 환경에 대응한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은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의 하부 위치에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서는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좌대에 앉은 사람의 항문으로 분사하며,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상기 물탱크에 내장된 히터를 구동시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위생용품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상기 위생용품 주위의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상기 히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물탱크 내부의 용수의 온도를 설정된 적정 온도에서 가감시켜 선택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퍼지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ware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nd supplying the temperature of water to an optimum temperature in response to the ambient temperature, and has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of sanitary ware, a nozzle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a sea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nd the nozzle sprays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anus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seat, and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nozzle. A temperature of the hygiene product having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built in the water tank; A sensor connected to the heater in the water tank and sensing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article; And a purge control driv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and the heater and selecting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operating the heater. It features.

Description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System of sanitary products with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용품이 설치된 장소의 주위 환경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용수의 온도를 사용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로 항시 조절하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수행하는 위생용품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of sanitary products having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optimally use the temperature of water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place where sanitary products are installed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that perform a purge control function which is always regulated by temperature.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관공서 등의 건물에는 세면을 하거나 목욕을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일을 하기 위한 부대시설이 구비되고, 이러한 부대시설에는 용변을 편안하게 보기 위한 위생용품이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위생용품으로는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와, 상기 좌변기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 물탱크와, 이러한 물탱크에 연결됨과 동시에 좌대에 앉은 사람의 항문으로 용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용수의 온도 선택 모드와 각종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위생용품에 의하면, 좌대에 앉아서 용변을 보고 나서 컨트롤 박스에 구비된 선택 버튼을 누름에 따라 노즐을 통해 물이 토출되면서 세정을 하거나 기타 다른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온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일반 모드와 관장을 위하여 세정용 온수를 분사하는 쾌변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 위생용품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building such as a home or a public office is provided with additional facilities for various tasks such as washing the face or taking a bath, and most of the additional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sanitary items for comfortable viewing of the toilet. In this case, the sanitary ware includes a sea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 water tank disposed at a rear position of the toilet seat, a nozzl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simultaneously spraying water into the anus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seat, and discharged to the nozzle. It includes a control box with a control panel for selecting the temperature selection mode and various operating modes of water, according to the sanitary goods, by sitting on the seat and looking at the toilet and pressing the select button provided in the control box As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it can be cleaned or used for other functions. A hygienic product having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general mode for spraying hot water and a pleasant mode for spraying hot water for cleaning is also on the market.

한편, 용변을 보고 나서 항문으로 세정수가 분사될 때에 세정수의 온도가 너무 차갑거나 너무 더우면 안되므로, 노즐을 통해서 항문 부분으로 세정수가 분사될 때에는 용변자가 거부감 등을 느끼지 않도록 세정수의 온도를 항상 적정 온도로 맞추어주고, 이러한 세정수의 적정 온도를 항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는 항문 부분에 분사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를 대략 38° 정도로 맞추어 주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내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이러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히터를 가동하거나 중지시키는 과정을 단속적으로 수행하여 용수의 온도를 적정 온도 범위에서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should not be too cold or too hot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anus after looking at the toilet,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s always kept so that the toilet does not feel rejec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anal part through the nozz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emperatur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o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at all times. Currently, it is common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about 38 ° so that a comfortable clea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feeling rejection when spraying the anal part. At this time, in order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y installing a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water tank to store the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y intermittently performing the process of starting or stopping the he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ften adop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with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그런데, 종래에는 세정수를 적정 온도로 맞춰주는 것에만 초점을 두고, 주위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세정수의 온도를 최적 온도로 맞추어준다는 개념에 대해서는 소홀한 측면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변시 최적의 온도로 최적의 편안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focus is only on adjusting the washing water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re is a neglected aspect of adjusting the washing water temperature to an optimum temperature in real tim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making the optimum comfortable cleaning at a temperature of.

다시 말해,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기온이 내려가서 부대시설(화장실 등)에 설치된 용변용 위생용품의 주위 환경 온도도 매우 낮은 경우(예를 들어, 4℃ 이하인 경우)가 보통이어서, 용변자의 항문 부분에 배치된 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나올 때에는 주위 낮은 온도 환경으로부터 열을 뺏겨서 세정수가 적정 온도보다 상당히 더 낮은 온도를 가지고 나오고, 이처럼 적정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세정수가 토출됨에 따라 용변자의 항문에 직접 세정수가 닿을 때에는 매우 차가운 느낌이 들어서 거부감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In other words,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generally lowered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oilet sanitary products installed in the auxiliary facilities (toilet, etc.) is also very low (for example, 4 ° C or less), it is usually placed in the anal part of the toilet. When the wash water comes out from the low temperature environment, the water is taken away from the surrounding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wash water comes out at a temperatur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optimum temperature. When you feel very cold, you have a problem such as feeling rejected.

구체적으로, 겨울철에는 물탱크에서 실제 용변자의 항문 부분으로 세정수가 토출되는 과정, 다시 말해, 세정수가 노즐을 따라 나오는 과정이나 용수 공급관(즉, 물탱크와 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용수 공급관 등)을 따라 나오는 과정 등에서 주위의 낮아져 있는 환경 온도에 의해 세정수의 열이 뺏기면서 적절한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의 세정수가 토출되고, 이처럼 주위의 낮은 온도로 인해 급격히 낮아진 온도의 세정수가 용변자의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세정수시 용변자가 매우 차가운 느낌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쾌적한 세정감을 얻지 못하고 거부감만 갖게 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in winter,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anal part of the actual toilet, that is, along the process of washing water coming out of the nozzle or the water supply pipe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tank and the nozzle). Since the washing water is dissipated by the lower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t a temperature much lower than the proper temperature, and the washing water at a temperature lowered abruptly due to the surrounding temperature reaches the anal part of the toilet. , When washing water, the toilet member feels very cold, and thus, it does not obtain a comfortable cleaning feeling but only a rejection feeling.

한편, 여름철에는 전체적으로 기온이 많이 상승하는데, 상기 부대시설(화장실 등)에서는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구를 가동시키지는 않으므로, 부대시설에 설치된 위생용품 주위의 온도 역시 높아지는 상황이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면 주위의 높은 환경 온도에 의해 세정수 자체의 열이 상대적으로 덜 뺏기게 되고, 이처럼 세정수가 주위의 높은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이 덜 뺏긴 상태로 토출되면서 용변자의 항문 부분에 직접 닿게 되면, 오히려 세정시 더운 느낌 혹은 뜨거운 느낌을 받게 되므로, 역시 사용시 거부감을 느끼는 문제점을 초래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ummer, the temperature rises a lot, but the above facilities (toilet, etc.) do not operate the cooling equipment such as air conditioning, so the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products installed in the auxiliary facilities also becomes a situation, in this situation through the nozzle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e heat of the washing water itself is dissipated relatively less by the high ambient temperature. Thus, whe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with less heat being sucked by the high ambient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anal part of the toilet. , Rather, because when you receive a hot feeling or a hot feeling, it also causes a problem of feeling rejected when using.

이를테면, 종래에는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많이 내려가는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낮아진 온도를 보상하고,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많이 상승하는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높아진 온도를 보상함으로써 세정수를 주위 환경 온도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항시 적정 세정 온도로 공급한다는 개념이 부족하여, 용변시 체온과 유사한 최적의 온도로 최적의 편안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For example, conventionally, the washing water is compensated fo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decreases as much as in winter, and compensating for the rising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is rising as in the summer. The lack of the concept of supplying at an appropriate cleaning temperature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etc., had a problem that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o achieve the optimal comfortable cleaning at the optimum temperature similar to the body temperature at the time of toile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문으로 토출되는 세정수를 적정 온도로 맞춰주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것보다는 주위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세정수의 온도를 최적 온도로 맞추어서 항시 이러한 최적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용변시 최적으로 편안하고 쾌적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는 주위 환경 대응성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real tim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adjust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anus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maintaining the optimum temperature at all times to ensure optimal and comfortable cleaning during toileting,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environmental environment responsiveness to obtain various desirable results such as satisfying the customer's satisfaction It is to provide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provided with.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의 하부 위치에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서는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좌대에 앉은 사람의 항문으로 분사하며,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상기 물탱크에 내장된 히터를 구동시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위생용품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상기 위생용품 주위의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상기 히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물탱크 내부의 용수의 온도를 설정된 적정 온도에서 가감시켜 선택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퍼지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nozzle is dispos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seat is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nd through the nozzle to spray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anus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seat, A sanitary article having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nozzle by driving a heater built in the water tank; A sensor connected to the heater in the water tank and sensing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article; And a purge control driv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and the heater and selecting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operating the heater. There is provided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having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상기 퍼지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 상기 물탱크의 내부의 용수 온도를 정해진 온도 범위에서 가감시켜 선택하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rge control driving unit may receive a data of the ambi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and purge control function of selecting and subtracting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water tank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ccording to the received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퍼지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환경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히팅 온도가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퍼지 컨트롤 모듈과,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과 상기 센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대응 히팅 온도를 서치하는 환경 온도 수신부와, 상기 환경 온도 수신부에서 서치한 히팅 온도를 송신하는 히팅 온도 출력부와, 상기 히팅 온도 출력부와 상기 히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선택된 히팅 온도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히터를 가동시키는 히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rge control driver may include a purge control module in which a heating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ambient temperatur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is programmed, and an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purge control module and the sensor.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ing unit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n the purge control module, a heating temperature output unit transmitting a heating temperature searched by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ing unit, and connected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output unit and the heater; And a heater driver for operating the heater to reach a selected heating temperature in the purge control module.

상기 위생용품의 주위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위생용품의 상기 좌대에 인접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sanitary war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or adjacent to the seat of the sanitary war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용품의 시스템에 의하면, 항문으로 토출되는 세정수를 적정 온도로 맞춰주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것보다는 주위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세정수의 온도를 최적 온도로 맞추어서 항시 이러한 최적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용변시 최적으로 편안하고 쾌적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위생용품의 주위 환경 온도가 4℃라고 가정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퍼지 컨트롤 구동부의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38℃ + 5℃라는 히팅 온도를 채택하고, 이러한 채택된 온도에 따라 물탱크내에서 38℃에 5℃가 더해진 온도로 용수가 가열되고, 이처럼 43℃로 가열된 세정수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과정에서 주위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을 빼앗기면서 자연스럽게 체온과 가까운 38℃로 맞춰진 상태에서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좌변기 착석자가 너무 차가운 느낌을 받음이 없이 최적의 편안한 온도로 세정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름철에 위생용품의 주위 환경 온도가 38℃라고 가정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퍼지 컨트롤 구동부를 구성하는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38℃ - 4℃라는 히팅 온도를 채택하고, 이러한 채택된 온도에 따라 물탱크내에서 38℃에 4℃가 감해진 온도까지만 용수가 데워지고, 이처럼 34℃로 데워진 세정수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과정에서 주위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을 상대적으로 덜 빼앗기더라도 자연스럽게 체온과 가까운 38℃로 맞춰진 상태에서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좌변기 착석자가 역시 최적의 편안한 온도로 세정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sanitary 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adjust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anus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to the optimum temperature in real tim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maintaining such an optimum temperature at all times to ensure the most comfortable and comfortable cleaning at the time of toilet,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desirable results, such as satisfying the consumer's satisfac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ygiene product is 4 ° C in winter, the sensor detects this and adopts a heating temperature of 38 ° C + 5 ° C in the purge control module of the purge control drive, and according to this adopted temperature The water is heated to 38 ° C. plus 5 ° C. in the water tank, and the cleaning water heated to 43 ° C. is naturally set to 38 ° C. close to the body temperature while being dissipated by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spraying through the nozzle. Because it touches the anus part in a state, the toilet seat occupant can receive benefits such as cleaning at an optimal comfort temperature without feeling too cold.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ygiene products in the summer is 38 ℃, the sensor detects this and adopts a heating temperature of 38 ℃-4 ℃ in the purge control module constituting the purge control drive, according to the adopted temperature In the water tank, the water is heated only up to the temperature of 38 ° C and 4 ° C. The cleaning water warmed to 34 ° C is spontaneously close to the body temperature even though relatively less heat is lost by the ambient temperature during the spraying through the nozzle. Since it touches the anus part in the state set at 0 ° C, the toilet seat occupant can also benefit from washing at the optimum comfort temperatur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처럼 주위 환경 온도를 감안하여 히팅 온도를 더하거나 빼주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적의 편안하고 거부감 없는 쾌적한 세정 등을 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useful invention that can greatly help to perform an optimal comfortabl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cleaning by performing a purge control function that adds or subtracts heating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퍼지 컨트롤 구동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지 컨트롤 모듈과 다른 주요부의 작동 관계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1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uzzy control driver as a main part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uzzy control module and other main parts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ystem of the sanitary wa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은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의 하부 위치에 배치된 노즐을 통해 좌대 착석자의 항문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물탱크(12)에 내장된 히터(14)를 구동시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위생용품(10)과, 상기 물탱크(12) 내부의 히터(14)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생용품(10) 주위의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20)와, 이러한 센서(20)와 히터(14)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히터(14)를 작동시킴으로써 물탱크(12) 내부의 용수의 온도를 설정된 적정 온도에서 가감시켜 조절하는 퍼지 컨트롤 구동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생용품(10)의 히터(14)를 내장한 물탱크(12) 내부의 용수의 온도만을 조절하는 것보다는 위생용품(10)의 노즐을 통해 토출될 세정수가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 히터(14)에 의한 세정수의 온도를 적정 온도에서 가감시키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행함으로써 쾌적하고 편안한 세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위생용품(10)이라 함은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항문 세정 모드, 건조 모드 등의 기능을 갖는 통상적인 용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ystem of the sanitary 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the washing water into the anus of the seated seated seater through a nozzl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seated sea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ing discharged to the nozzle is a water tank. The sanitary article 10 having a control box for driving and adjusting the heater 14 embedded in the 12 and the sanitary article 10 connected in circuit with the heater 14 inside the water tank 12. A sensor 20 for sensing an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a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20 and the heater 14 and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0. It includes a purge control drive unit 3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operating a), the water tank (incorporating a heater 14 of the sanitary article 10) 12) controlling only the temperature of internal water The purge control which,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washing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of the sanitary article 10 depends on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heater 14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 main feature of the system is that the system can perform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cleaning by performing a function. At this time, the sanitary articl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conventional article having a function such as anal cleaning mode, drying mode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nozzle.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부의 하나인 센서(20)는 물탱크(12) 내부의 용수 온도만을 감지하는 기능보다는 위생용품(10)의 외부 주위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생용품(10)의 물탱크(12) 내부에 저장된 용수(노즐을 통해 세정수로 토출될 물)의 히팅 온도를 적정 온도(통상 대략 38℃ 정도)에서 더하거나 빼줄 수 있도록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위생용품(10) 주위의 환경 온도가 몇 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위생용품(10) 주위 환경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0)는 물탱크(12) 내부의 센서(2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후술할 퍼지 컨트롤 구동부(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된다.The sensor 20, which is one of the main parts constitu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ensing function of sensing an external ambient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rather than a function of sensing only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water tank 12. For example, in winter or in order to add or subtrac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 of the sanitary article 10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nozzl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usually about 38 ℃) It is to detect whether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ware 10 in the summer. As such, the sensor 20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connected to the sensor 20 inside the water tank 12 and is connected to the purge control driver 30 to be described later. do.

본 발명에서 퍼지 컨트롤(fuzzy control) 구동부(30)는 상기 센서(20)에 의해 위생용품(10) 주위 환경 온도가 감지되면, 이러한 센서(20)의 감지된 환경 온도를 입력받아 퍼지 컨트롤 모듈(32)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해당 히팅 값(heating value)을 선택한 다음, 물탱크(12) 내부의 용수의 히팅 온도를 주위 환경 온도를 감안하여 히터(14)의 히팅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센서(20)에 의해 위생용품(10) 주위 환경 온도가 4℃로 감지되면, 용수의 가열 온도를 38℃ + 5℃가 되도록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선택하여 히터(14)를 구동시키고 여름철에는 센서(20)에 의해 위생용품(10) 주위 환경 온도가 38℃로 감지되면, 용수의 가열 온도를 38℃ - 4℃가 되도록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선택하여 히터(14)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zzy control driving unit 30 receives a sensed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sensor 20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article 10 is detected by the sensor 20. After selecting a corresponding heating value programmed in 32,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article 10 is detected at 4 ° C. by the sensor 20 in winter, the heater temperature may be selected by the purge control module 32 such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is 38 ° C. + 5 ° C. 14) I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detected at 38 ℃ by the sensor 20 in the summer, the purge control module 32 to selec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to 38 ℃-4 ℃ heater (14) to drive the function.

이때, 상기 퍼지 컨트롤 구동부(30)는 센서(20)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환경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히팅 온도가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퍼지 컨트롤 모듈(32)과, 이러한 퍼지 컨트롤 모듈(32)과 센서(20) 사이에 연결되어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를 입력받아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대응 히팅 온도를 서치하는 환경 온도 수신부(34)와, 이 환경 온도 수신부(34)에서 서치한 히팅 온도를 출력하는 히팅 온도 출력부(36)와, 이 히팅 온도 출력부(36)와 히터(14) 사이에 연결되어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선택된 히팅 온도까지 도달하도록 히터(14)를 작동시키는 히터(14) 구동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참조.In this case, the purge control driver 30 includes a purge control module 32 in which a heating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ambient temperatur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20 is programmed, and the purge control module 32 and the sensor 20. And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er 34 which receives the ambi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0 and searches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n the purge control module 32,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er 34. A heating temperature output section 36 for outputting a heating temperature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output section 36 and the heater 14 to operate the heater 14 to reach a heating temperature selected by the purge control module 32. The heater 14 may include a driver 38. See FIG.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32)은 도표로 기록된 것과 같은 수치 테이블이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부분이다. 수치 테이블에 기록된 히팅 온도의 증감분은 1℃씩 설정할 수도 있고, 기타 적절한 증감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32)은 겨울철이나 여름철 등의 주위 환경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해당 대응 온도가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구조인데, 예를 들어, 겨울철에 주위 환경 온도가 10℃인 경우, 대응 히팅 온도는 38℃ + 3℃가 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주위 환경 온도가 20℃ 인 경우, 대응 히팅 온도는 38℃ + 1℃가 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그리고, 여름철에 주위 환경 온도가 30℃인 경우, 대응 히팅 온도는 38℃ - 1℃가 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주위 환경 온도가 33℃ 인 경우, 대응 히팅 온도는 38℃ - 2℃가 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주위 환경 온도가 10℃인 경우 해당 대응 온도는 38℃ + 3℃, 20℃인 경우 38℃ + 1℃, 4℃인 경우 38℃ + 5℃로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주위 환경 온도가 30℃인 경우 해당 대응 온도가 38℃ - 1℃, 33℃인 경우 38℃ - 2℃, 38℃인 경우 38℃ - 4℃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퍼지 컨트롤 모듈(32)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32)에 프로그래밍된 대응 히팅 온도 값은 설정될 수 있는 온도의 일례라 할 수 있고, 이러한 주위 환경 온도에 따른 퍼지 컨트롤 모듈(32)의 대응 히팅 온도는 위생용품(10)의 설치 장소의 조건 등에 따라 다르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상기 대응 히팅 온도는 위생용품(10)의 주위 환경 온도와 같은 제반 조건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The fuzzy control module 32 is the portion in which the numerical table as programmed in the table is programmed. The increment of the heating temperature recorded in the numerical table may be set by 1 ° C., or other appropriate increment may be set. That is, the fuzzy control module 3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ambient temperature in winter or summer, for exampl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10 ° C. in winter,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to be 38 ° C. + 3 ° C., and when the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is 20 ° C.,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to be 38 ° C. + 1 ° C. And, when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is 30 ° C. in summer,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to be 38 ° C.-1 ° C., and when the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is 33 ° C.,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to be 38 ° C.-2 ° C. have. In FIG. 3,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10 ° C.,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is programmed to 38 ° C. + 3 ° C., 20 ° C., 38 ° C. + 1 ° C., and 4 ° C., 38 ° C. + 5 ° C.,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 C. The purge control module 32 is shown programmed with a corresponding temperature of 38 ° C.-1 ° C. for 33 ° C., 38 ° C.-2 ° C. for 38 ° C. and 38 ° C.-4 ° C. for 38 ° C. FIG.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value programmed in the purge control module 32 may be an example of a temperature that may be set, and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of the purge control module 32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may be a sanitary article 1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ogramming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site. That is,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센서(20)에 의해 위생용품(10)의 주위 환경 온도를 감지하면, 이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 퍼지 컨트롤 구동부(30)에서 대응 히팅 온도를 채택하고, 이러한 채택된 히팅 온도에 맞추어서 히터(14)의 구동 정도를 컨트롤함으로써, 좌변기에 착석한 사람의 항문 부분에 세정수를 분사할 때에는 세정수가 너무 차갑거나 너무 덥지 않고 체온과 거의 일치하는 최적의 편안한 세정 온도를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용변후에 최적의 쾌적한 세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낳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sensed by the sensor 20, the purge control driver 30 responds to the ambi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0. By adopt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degree of the heater 14 in accordance with the adopted heating temperature, the washing water is not too cold or too hot when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anal part of the person seated on the toilet bowl and is almost free of body temperature. Since it comes out with a matching comfortable cleaning temperature, it produces an effect that an optimal comfortable cleaning etc. can be made after a toilet.

상기와 같이, 겨울철에 위생용품(10)의 주위 환경 온도가 4℃라고 가정하면, 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퍼지 컨트롤 구동부(30)의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38℃ + 5℃라는 히팅 온도를 채택하고, 이러한 채택된 온도에 따라 물탱크(12)내에서 38℃에 5℃가 더해진 온도로 용수가 가열되고, 이처럼 43℃로 가열된 세정수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과정에서 주위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을 빼앗기면서 자연스럽게 체온과 가까운 38℃로 맞춰진 상태에서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좌변기 착석자가 너무 차가운 느낌을 받음이 없이 최적의 편안한 온도로 세정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은 것이다. 한편, 여름철에 위생용품(10)의 주위 환경 온도가 38℃라고 가정하면, 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퍼지 컨트롤 구동부(30)의 퍼지 컨트롤 모듈(32)에서 38℃ - 4℃라는 히팅 온도를 채택하고, 이러한 채택된 온도에 따라 물탱크(12)내에서 38℃에 4℃가 감해진 온도로 용수가 가열되고, 이처럼 34℃로 가열된 세정수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과정에서 주위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을 상대적으로 덜 빼앗기더라도 자연스럽게 체온과 가까운 38℃로 맞춰진 상태에서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좌변기 착석자가 역시 최적의 편안한 온도로 세정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4 ° C. in winter, the sensor 20 detects this and 38 ° C. + 5 ° C. in the purge control module 32 of the purge control driver 30. The heating temperature is adopted, and according to the adopted temperature, the water is heated to 38 ° C. plus 5 ° C. in the water tank 12, and thus, the cleaning water heated to 43 ° C.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Because the heat is taken away by the temperature and reaches the anus part while being naturally set at 38 ° C. close to the body temperature, the toilet seat occupant can receive the benefits such as washing at an optimal comfortable temperature without feeling too cold.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hygiene article 10 in the summer season is 38 ℃, the sensor 20 detects this, the heating temperature of 38 ℃-4 ℃ in the purge control module 32 of the purge control drive unit 30 The water is heated to a temperature subtracted from 38 ° C. to 4 ° C. in the water tank 12 according to the adopted temperature, and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washing water heated to 34 ° C. through the nozzle. Even though less heat is taken away, it naturally touches the anal part while being set at 38 ° C. close to the body temperature, so that the toilet seat occupant can also benefit from washing at an optimal comfort temperature.

즉, 본 발명은 이처럼 주위 환경 온도를 감안한 히팅 온도의 퍼지 컨트롤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적의 편안하고 거부감 없는 쾌적한 세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aning to perform a purge control function of the heating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so that ultimately, comfortable comfort without rejection and comfortable cleaning can be achieved.

겨울철에는 물탱크(12)에서 실제 용변자의 항문 부분으로 세정수가 토출되는 과정, 다시 말해, 세정수가 노즐을 따라 나오는 과정이나 용수 공급관(즉, 물탱크(12)와 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용수 공급관 등)을 따라 나오는 과정 등에서 주위의 낮아져 있는 환경 온도에 의해 세정수의 열이 뺏기면서 적절한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의 세정수가 토출되고, 이처럼 주위의 낮은 온도로 인해 급격히 낮아진 온도의 세정수가 용변자의 항문 부분에 닿기 때문에, 세정수시 용변자가 매우 차가운 느낌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쾌적한 세정감을 얻지 못하고 거부감만 갖게 되고, 여름철에는 전체적으로 기온이 많이 상승하는데, 상기 부대시설(화장실 등)에서는 에어컨을 돌리거나 하지 않아서 부대시설에 설치된 위생용품(10) 주위의 온도 역시 높아지는 상황이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면 주위의 높은 환경 온도에 의해 세정수 자체의 열이 상대적으로 덜 뺏기게 되고, 이처럼 세정수가 주위의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 온도에 의해 열이 덜 뺏긴 상태로 토출되면서 용변자의 항문 부분에 직접 닿게 되면, 오히려 세정시 더운 느낌 혹은 뜨거운 느낌을 받게 되므로, 역시 사용시 거부감을 느끼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In winter,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12 to the anal part of the actual toilet, that is, the process of washing water coming out along the nozzle or the water supply pipe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tank 12 and the nozzle) ) In the process of coming out), the heat of washing water is dissipated by the lower ambient temperature, and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much lower than the proper temperature. Due to the stool, the toilet has a very cold feeling when it is washed, and thus, it does not get a comfortable cleaning feeling but only a sense of rejection, and the temperature rises a lot in the summer, but in the above facilities (toilet, etc.) Because the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goods (10) installed in the auxiliary facilities also becomes a situation In this situa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the heat of the washing water itself is dissipated relatively less by the high ambient temperature. Thus, the washing water is dissipated less heat by the relatively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al part of the stool, rather the hot feeling or hot feeling when washing, also caused a problem of feeling rejection when using.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주위 환경 온도에 의해 세정수의 열이 뺏긴다는 점을 감안하여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세정수가 토출되기 이전에 미리 적정 온도(예를 들어 38℃)에서 가감하여 물탱크(12) 내부의 물을 더 가열하거나 덜 가열하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미리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좌변기 착석자가 세정시 너무 차가운 느낌을 받거나 너무 더운 느낌을 받지 않고 가장 편안한 온도에서 세정 혜택을 받게 한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에 전혀 개념이 없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진 발명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heat of the washing water is taken away by the ambient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adds or subtracts the water tank (for example, 38 ° C.) befor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respons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emperature. 12) By pre-applying a purge control function that heats or heats up the water inside, consequently, the toilet seat occupant receives a cleaning benefit at the most comfortable temperature without feeling too cold or too hot during clea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fea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by having a function that had no concept in the prior art.

이를테면, 종래에는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많이 내려가는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낮아진 온도를 보상하고,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많이 상승하는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높아진 온도를 보상함으로써 세정수를 주위 환경 온도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항시 적정 세정 온도로 공급한다는 개념이 부족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온이 많이 내려가는 계절에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낮아진 온도를 보상하고, 기온이 많이 상승하는 계절에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세정수의 높아진 온도를 보상함으로써 세정수를 주위 환경 온도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항시 적정 세정 온도로 공급한다는 개념을 충실히 구현한 것이라 하겠다.For example, conventionally, the washing water is compensated for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decreases as much as in winter, and compensating for the rising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is rising as in the summer. Although the concept of supplying at an appropriate washing temperature at all times is not limited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for the lowered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season of low temperatur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season of high temperature increase. By taking into account the increased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the concept of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t a proper washing temperature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is faithfully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품의 시스템은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의 하부 위치에 배치된 노즐을 통해 좌대 착석자의 항문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물탱크(12)에 내장된 히터(14)를 구동시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위생용품(10)과, 이러한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정해진 시간 동안 인가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되어 대기 전력의 소모를 차단하는 대기 전원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정해진 시간 동안(예를 들어, 취침 시간인 밤 12시에서 새벽 6시 정도의 시간 동안) 위생용품(10)의 사용이 중지되어 있으면, 이를 감지하여 위생용품(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진정한 의미의 완전한 절전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 the sanitary 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the washing water into the anal of the seat seat occupant through a nozzle dispos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seat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nozzle is the water tank 12 The sanitary article 10 having a control box for driving and adjusting the heater 14 embedded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circuit to supply power to the portion that requires the power supply of the sanitary article 10 external power sour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ndby power intermittent that is operated to apply or cut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lock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during the time of bedtime 12 am to 6 am ) If the us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stopped, by detecting this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sanitary article 10 can reduc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thereby real The main feature may be to faithfully perform the full power saving function of beauty.

상기 위생용품(10)의 히터(14)와 같이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원 소요부에는 대기 전원 단속부가 연결되고, 이러한 대기 전원 단속부는 컨트롤 동작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정해진 시간 동안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 대기 전원 단속부는 위생용품(10)의 전원 소요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 전원 차단 구간이 셋팅되어 있어서 셧다운 시작 시점에서 전원을 차단하고 셧다운 종료 시점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타이머 작동하는 셧다운 시간 셋팅부와, 이러한 셧다운 시간 셋팅부와 연결되어 셧다운 시작 시점과 셧다운 종료 시점을 체크하여 상기 대기 전원 단속부를 통해 전원이 차단 또는 공급되도록 하는 셧다운 시간 체크부와, 이 셧다운 시간 체크부에 의해 셧다운 시작 지점과 셧다운 종료 시점이 체크되는 시점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차단하는 메인 파워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standby power intermitten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hat requires power, such as the heater 14 of the sanitary article 10, and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applies or blocks external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control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anitary articl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standby power cutoff period is set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hut off the power at the start of shutdown and to supply power at the end of the shutdown A shutdown time setting section for operating a timer, a shutdown time check section connected to the shutdown time setting section for checking the shutdown start point and the shutdown end point so that power is cut off or supplied through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and the shutdown time check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ain power control unit for applying and disconnecting the power at the time when the shutdown start point and the shutdown end time is checked by the negative.

또한, 상기 대기 전원 단속부에는 취침 시간 동안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취짐 모드 구동부가 설정될 수 있다. 취침 모드 구동부는 셧다운 시간 셋팅부에서 정해진 취침 시간 동안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이다. 취침 시간은 어떤 가정에서는 밤 12시부터 새벽 6시가 될 수도 있고 어떤 가정에서는 밤 11시부터 새벽 5시까지가 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셧다운 시간 셋팅부 자체에 취침 모드 가변 설정부를 프로그래밍시켜서, 이러한 취침 모드 가변 설정부에 의해 취침 모드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취침 모드 가변 설정부는 위생용품(10)에 구비된 컨트롤 박스의 컨트롤 패널(조작 버튼 등이 구비된 패널)에 별도로 선택 버튼(또는 스위치)와 같은 선택 수단을 구비하여, 위생용품(10)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도록 할 수 있다. 즉, 취침 모드 가변 설정부를 구성하는 상기 선택 버튼과 같은 선택 수단에 의해 취침 모드 시간 셋팅부를 유기적으로 작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취침 모드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취침 시간대가 밤 12시에서 새벽 6시까지이면 이 시간대로 취침 모드를 셋팅하고 취침 시간대가 밤 11시에서 새벽 5시까지이면 역시 이 시간대로 취침 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것이다. 타이머식으로 취침 모드 시간을 셋팅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may be set in the mode driving unit to operate to cut off the power to the part that requires the power of the sanitary article 10 during bedtime. The sleep mode drive is programmed to shut down the power for the sleep time specified in the shutdown time setting. Sleep time is variable, such as 12 pm to 6 am in some homes and 11 pm to 5 am in some homes, so you can program the sleep mode variable setting in the shutdown time setting itself, The sleep mode variable setting unit may change the sleep mode time zone. Of course, the sleep mode variable set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means such as a selection button (or switch) separately in the control panel (panel with an operation button, etc.) of the control box provided in the sanitary product 10, the sanitary article 10 It can be set by the user in advance. That is, the user can set the sleep mode time zone as desired by the user by organically operating the sleep mode time setting unit by selection means such as the selection button constituting the variable sleep mode setting unit. If the sleep time is from 12 pm to 6 am, the sleep mode can be set to this time zone. If the sleep time is from 11 pm to 5 am, the sleep mode can also be set to this time zone. It can be seen as a concept of setting the sleep mode time by a timer type.

상기 셧다운 시간 셋팅부에는 셧다운 시간 체크부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셧다운 시간 체크부는 셧다운 시작 시점과 셧다운 종료 시점을 체크하고, 이러한 체크 신호에 따라 대기 전원 단속부를 동작시켜 전원이 위생용품(10)의 전원 소요부(16)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취침 모드에서 취침 시간대가 밤 12시에서 새벽 6시로 설정된 상태라면, 상기 셧다운 시간 셋팅부에서는 셧다운 시작 시점을 밤 12시로 체크하여 이 시간에 대기 전원 단속부로 하여금 전원을 차단되도록 하고, 셧다운 종료 시점은 새벽 6시로 체크하여 이 시간에 대기 전원 단속부로 하여금 다시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재개하도록 한다. 이때, 셧다운 시간 체크부에 의해 셧다운 시작 지점과 셧다운 종료 시점이 체크되는 시점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차단하는 것은 메인 파워 제어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A shutdown time check unit is connected to the shutdown time setting unit. The shutdown time check unit checks a shutdown start time and a shutdown end time point, and operates a standby power interrupter according to the check signal to supply power to the sanitary article 10. To be supplied to or disconnected from section 16. In the sleep mode, when the sleep time is set to 12 am to 6 am, the shutdown time setting unit checks the start time of the shutdown at 12 o'clock so that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is cut off at this time, and the shutdown end point Checks at 6 am and causes the standby power control to automatically resume power again at this time. In this case, the main power control unit may apply the power and cut off the power when the shutdown start point and the shutdown end point are checked by the shutdown time check unit.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생용품(10)의 사용 중지시에는 대기 전원 단속부의 작동에 의해 대기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절전 기능에서 있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정해진 시간 동안 인가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되는 대기 전원 단속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취침 모드에서 셧다운 시작 시점이 되면 대기 전원 단속부의 구동에 의해 전원이 위생용품(10)으로 아예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이러한 취침 모드가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대기 전원 단속부에 의해 다시 위생용품(10)으로 전원이 다시 인가되어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위생용품(10)을 사용하지 않는 상당한 시간 동안 대기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처럼 대기 전력을 상당 시간 동안 절약함으로 인하여 절전 기능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침 중인 때에는 지속적으로 위생용품(10)에 대기 전력 인가를 차단하게 되므로, 대기 전력이 쓸데없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진정한 의미의 절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취침 시간을 평균적으로 6시간 정도 잡으면 취침 중인 6시간 동안 계속해서 대기 전력을 소모를 차단하게 되므로, 상당한 전력 낭비 요인을 해소하였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진정한 의미의 절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satisfactory result in the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obtained by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supply by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when the sanitary article 10 is stopp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andby power intermittent circui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to supply power to the part requiring the power of the sanitary article 10 to operate or to apply the external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leep mode At the start of the shutdown, the power is cut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is not applied to the sanitary product 10 at all by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and when the sleep mode ends,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sanitary product 10 again by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Since it is applied again to supply standby pow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for a considerable time without using the sanitary article 10. Thus, by saving the standby power for a considerable time, it is very efficient in terms of power saving function. It will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p the application of standby power to the sanitary article 10 when going to b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andby power is wasted unnecessarily to exhibit a power saving function of the true meaning. Taking an average of six hours of bedtime cuts off standby power for six hours of bedtime, eliminating significant power wastage, and in this respect, it is a true power-saving function.

한편, 본 발명에서는 취침 모드에서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절전 기능 이외에 취침 시간이 아닌 주간에도 때때로 위생용품(10)의 사용이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1시간이나 3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중지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위생용품(10) 휴지기에도 실시간으로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즉, 대기 전원 단속부에 연결되어 정해진 시간 동안 위생용품(10)의 사용이 없을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고 위생용품(10)의 사용 재개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트리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ower saving function that cuts off the standby power in the sleep mode, the use of the hygiene article 10 is sometimes stopped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for about 1 hour or 30 minutes) even during the day when not in bedtime. Considering that a situation may occur, the sanitary product 10 may further have a function of blocking standby power in real time.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igger unit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and operating to cut off the power when the sanitary product 1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supply power when the sanitary product 10 is restarted. .

본 발명에서는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는 센서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이러한 센서가 위생용품(10)의 사용이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에서 알 수 있듯이, 센서에 의해 위생용품(10)의 사용이 비교적 장시간(예를 들어, 1시간 또는 30분 정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위생용품(10)의 휴지 상태)으로 감지되면,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트리거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대기 전원 단속부를 구동시켜 위생용품(10)으로의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진정한 절전 기능을 달성하는데 보다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즉, 실시간으로 위생용품(10)의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일정 시간 위생용품(10)의 휴지 시간이 있으면, 대기 전력을 적시에서 차단함으로써 진정한 절전 기능을 달성하는데 보다 많은 보탬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위생용품(10)의 사용이 없을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고 위생용품(10)의 사용 재개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트리거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is connected to a circuit that requires a power source of the sanitary article 10, such a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se of the sanitary article 10 is made for a certain time. In this case, as can be seen in the flow chart shown in Fig. 5, the use of the hygiene article 10 by the sensor is not made for a relatively long time (for example, about 1 hour or 30 minutes) (sanitary article 10 When the sensor is detected to be in the idle state, the standby power to the sanitary article 10 can be cut off by automatically driving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by the trigger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hereby achieving a true power sav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help you more. That is, if there is a pause time of the sanitary article 10 by checking whether the sanitary article 10 is used in real time, it can be more helpful to achieve a true power saving function by blocking standby power at a timely time. Such a sensor may be said to be a trigger that operates to cut off the power when the use of the sanitary article 1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supply power when the sanitary article 10 is resumed.

또한, 본 발명은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위생용품(10) 설치 장소의 조명등의 점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빛에 의해 위생용품(10)의 전원 사용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광센서를 갖는 트리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센서는 위생용품(10)의 전원 소요부(상기한 히터(14) 등을 의미함)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위생용품(10)이 설치된 부대시설(예를 들어, 욕실)에 노출되도록 위생용품(10)의 적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센서는 위생용품(1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대기 전원 단속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ircuit-connected to the portion that requires the power supply of the sanitary article 10, the power supply of the sanitary article 10 by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sanitary article 1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igger having an optical sensor operative to supply power to the apparatus. At this time, the optical senso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meaning the heater 14, etc.) of the sanitary article 10 and at the same time (eg, bathroom) in which the sanitary article 10 is installed. It may be placed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sanitary article 10 to be exposed. In addition, the optical sensor take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circuit that applies or cuts power to the sanitary article 10.

또한,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이용한 트리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욕실 등에 사람이 진입하여 조명을 키는 경우, 광센서는 조명의 빛을 감지하여 위생용품(10)을 사용하려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광감지 신호를 대기 전원 단속부에 전송하여 대기 전원 단속부에 의해 대기 전원이 위생용품(10)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욕실 등에 사람이 진입하여 조명을 키는 경우 광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위생용품(10)에 대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광센서는 조명이 꺼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대기 전원 단속부에 의해 대기 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비교적 장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나 30분 정도) 지속되면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광센서를 이용한 트리거부 역시 진정한 절전 기능을 달성하는데 더 보탬이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igger unit using an optical sensor. Referring to this, when a person enters a bathroom or the like and lights the light, the light sensor detects the light of the light and recognizes that the sanitary product 10 is to be used, and transmits the light detection signal to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The standby power intermittent may allow standby power to be applied to the sanitary article 10. That is, when a person enters a bathroom or the like to turn on the lighting, standby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anitary article 10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sensor. Of course, the light sensor may detect when the light is turned off, so that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by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and this state lasts for a relatively long time (for example, about 1 hour or 30 minutes) while consuming standby power. Since it can be reduced, the trigger unit using the optical sensor may also be more helpful in achieving a true power sav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회로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 전기 사용품에 연결되어, 이러한 전기 사용품의 소비 전원이 정해진 볼륨을 초과하면 위생용품(10)의 전원 사용부에 대기 전력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홈네트워크를 갖는 트리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로 이루어진 트리거부에 의하면, 냉장고, 온수 배관에서의 모터, 난방용품 등의 히터(14), 컴퓨터, 텔레비젼 등의 가전제품에 통합된 모듈 구조의 전력 사용량 감지부를 연결하여, 각 가전 제품의 사용 전력량이 일정 용량을 초과한 상태가 되면, 이를 전력 사용량 감지부에서 인식하여 가정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처럼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위생용품(10)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 켜지면 꺼진 상태보다는 전력 사용량이 올라갈 것이고, 상기 전력 사용량 감지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가정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대기 전원 단속부에 의해 위생용품에 대기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홈네트워크 역시 가정의 모든 가전제품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대기 전원 단속부에 의해 대기 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비교적 장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나 30분 정도) 지속되면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트리거부 역시 상기와 같은 진정한 절전 기능을 달성하는데 더 보탬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ircuit requiring a power source of the sanitary article 10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products,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exceeds a predetermined volume of the sanitary article 1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igger unit having a home network that operates to supply standby power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trigger unit made of such a home network, by 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detection unit of the modular structure integrated into a refrigerator 14, a motor in a hot water pipe, a heater 14 such as a heating product, a computer, a TV, and the like, each home appliance When the amount of power used exceeds a predetermined capacity, the power usage detection unit recognizes this as a person in the home, and as such a person is detected as a function to apply the standby power to the sanitary article 10 Will be For example, when the television is turned on, the power usage will be increased rather than turned off, and the power usage detection unit detects this and assume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home, so that the standby power control unit can supply the standby power to the sanitary ware. It can be. Of course, the home network also detects when the use of all home appliances in the home is not possible, so that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by the standby power interrupter, this state is relatively long (for example, 1 hour or 30 minutes Degree) and thus standb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 trigger unit using a home network can also be more helpful in achieving the true power saving function.

이를테면, 본 발명은 위생용품(10)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는 항시 대기 전력의 소모를 차단하기 때문에, 절전 기능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점에 있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위생용품(10)을 사용하는 가정이나 사용처에서 항시 사용하는 대기 전력을 계산하면 생각보다 절전량에 있어서 엄청난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국의 위생용품(10) 사용 가정과 다른 사용처에서 항시 사용하는 대기 전력량을 합산한다면, 엄청난 대기 전력 절감이라는 바람직한 결과가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엄청난 대기 전력 절감은 궁극적으로 상당한 자원 절감 효과를 가져와서 국가 경제적인 측면 등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uts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at all times while the sanitary article 10 is not in use, a satisfactory result can be obtained in terms of maximizing a power saving function. Calculating the standby power used all the time in the home or place of use (10) can lead to enormous savings in power savings than expected. In other words, if the total amount of standby power used at home and other households using sanitary products (10) nationwide, the desirable result of the huge standby power savings will necessarily follow, and this huge standby power savings will ultimately be a significant resource savings. It will have a very good result in terms of national and economic aspect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위생용품 12. 물탱크
14. 히터 20. 센서
30. 퍼지 컨트롤 구동부 32. 퍼지 컨트롤 모듈
34. 환경 온도 수신부 36. 히팅 온도 출력부
38. 히터 구동부
10. Sanitary ware 12. Water tank
14. Heater 20. Sensor
30. Purge Control Drive 32. Purge Control Module
34.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er 36. Heating temperature output
38. Heater drive part

Claims (4)

좌변기에 설치된 좌대의 하부 위치에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서는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좌대에 앉은 사람의 항문으로 분사하며,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상기 물탱크에 내장된 히터를 구동시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 위생용품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상기 위생용품 주위의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상기 히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물탱크 내부의 용수의 온도를 설정된 적정 온도에서 가감시켜 선택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퍼지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환경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히팅 온도가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퍼지 컨트롤 모듈과,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과 상기 센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대응 히팅 온도를 서치하는 환경 온도 수신부와, 상기 환경 온도 수신부에서 서치한 히팅 온도를 출력하는 히팅 온도 출력부와, 상기 히팅 온도 출력부와 상기 히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에서 선택된 히팅 온도로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히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 컨트롤 모듈은 수치 테이블이 프로그래밍되도록 구성되며,
위생용품(10)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정해진 시간 동안 인가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되어 대기 전력의 소모를 차단하는 대기 전원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
A nozzle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seat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and through the nozzl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is injected into the anus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seat,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nozzle is equal to the water tank. A hygiene product having a control box for driving and controlling a heater embedded therein;
A sensor connected to the heater in the water tank and sensing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around the sanitary article;
And a purge control driv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and the heater and selecting and subtrac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operating the heater. ,
The purge control driver may include a purge control module in which a heating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ambient temperatur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is programmed, and an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purge control module and the sensor. An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er configured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in the purge control module, a heating temperatur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heating temperature searched by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receiver, and connected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output unit and the heater; A heater driver configured to drive the heater at a heating temperature selected by a purge control module,
The fuzzy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program a numerical t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ndby power intermittent tha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to supply power to the part requiring the power of the sanitary article 10 to operate or apply external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lock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having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위 환경 온도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 상기 물탱크의 내부의 용수 온도를 정해진 온도 범위에서 가감시켜 선택하는 퍼지 컨트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urge control driving unit may receive a data of the ambi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and purge control function of selecting and subtracting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water tank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ccording to the received ambient environment temperature. A system of hygiene products having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용품의 주위 환경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위생용품의 상기 좌대에 인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hygiene article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r the hygiene article system having a water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adjacent to the base of the hygiene article.
KR1020110082274A 2011-08-18 2011-08-18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KR101288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274A KR101288518B1 (en) 2011-08-18 2011-08-18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274A KR101288518B1 (en) 2011-08-18 2011-08-18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959A KR20130019959A (en) 2013-02-27
KR101288518B1 true KR101288518B1 (en) 2013-07-26

Family

ID=4789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274A KR101288518B1 (en) 2011-08-18 2011-08-18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51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732A (en) * 1994-01-14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unting structure for thermister
KR960018090A (en) * 1994-11-28 1996-06-17 김광호 Water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of hot water wash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090085393A (en) * 2008-02-04 2009-08-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Bidet for toilet pan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related temperature thereof
KR100962679B1 (en) 2009-09-14 2010-06-11 주식회사 삼홍테크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water heating in bide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732A (en) * 1994-01-14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unting structure for thermister
KR960018090A (en) * 1994-11-28 1996-06-17 김광호 Water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of hot water wash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090085393A (en) * 2008-02-04 2009-08-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Bidet for toilet pan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related temperature thereof
KR100962679B1 (en) 2009-09-14 2010-06-11 주식회사 삼홍테크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water heating in bide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959A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654A (en) Portable air comfort system thermostat enabling personal localized control of room temperature
US8117683B2 (en)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sea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3748754B (en) Power control device and instrument comprising same
KR1009349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products
JPH0252780B2 (en)
KR101288518B1 (en) Sanitazation implement with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adjustment function
JP2000104315A (en) Toilet device
KR101266809B1 (en) Sanitazation implement with improved electricity saving function
JP2010255270A (en) Toilet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002146878A (en) Toilet device
TW201339516A (en) Energy saving control method of electric water heater
KR20120076825A (en) Controll method for bidet and bidet
JP4546585B2 (en) Control device for toilet seat
KR101181550B1 (en) Bidet with intellectual power-saving function
JP2010185214A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2001348936A (en) Toilet equipment
JP4219517B2 (en) Human body local cleaning equipment
JP3842242B2 (en) Bidet power saving control method
JP2010084486A (en) Toilet seat device
JP3021237B2 (en) A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a dishwasher using a single water heater
JP2005009078A (en) Private part washing device
JPH11172742A (en) Private part washing device
US20080017631A1 (en) Hot-Air Blower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210562440U (en) Induction type washing basin cabinet
JP2003222402A (en) Electr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