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119B1 -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119B1
KR101288119B1 KR1020120114198A KR20120114198A KR101288119B1 KR 101288119 B1 KR101288119 B1 KR 101288119B1 KR 1020120114198 A KR1020120114198 A KR 1020120114198A KR 20120114198 A KR20120114198 A KR 20120114198A KR 101288119 B1 KR101288119 B1 KR 10128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identification code
app
template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앱필로그
손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앱필로그, 손병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앱필로그
Priority to KR102012011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앱 제작을 원하는 소비자가 앱 디자인을 판매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앱 디자인, 즉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구매한 후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면,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소비자가 구매한 구매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제공받아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앱 디자인에 대한 선택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LINKED WITH ON-LINE SHOPPING MALL FOR SELLING APPLICATION DESIGN AND DEVELOP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앱 제작을 원하는 소비자가 앱 디자인을 판매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앱 디자인, 즉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구매한 후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면,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소비자가 구매한 구매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제공받아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앱 디자인에 대한 선택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인터넷 검색, 온라인 쇼핑 및 소셜 네트워킹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 및 컨텐츠 개발과 맞물려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3G 휴대폰으로 알려져 있는 지능형 단말기, 일명 스마트폰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기존의 2G 휴대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중앙 처리 장치가 탑재되고, 다양한 앱(application)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한편,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및 PC(Personal Computer)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 체제가 탑재되어 있다.
스마트폰이 기존 휴대폰과 근본적으로 다른 부분은 바로, 용도에 따라 앱을 추가 설치해 활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 스마트폰 앱은 상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 개가 제공되고 있으며, 하루에도 수백 개의 앱이 쏟아지고 있다. 해당 앱만 설치하면 간편하게 인터넷 뱅킹도 이용하고, 버스나 지하철 노선이나 차량 이동 지점도 확인도 가능하며, 영화나 연극도 예약할 수 있다. GPS 수신기를 통해 네비게이션에도 활용할 수 있고, 각 언론사의 최신 뉴스도 일목요연하게 열람할 수 있다. 영화나 음악, 사진을 감상하는 건 기본이고, 이외에도 기상천외한 앱을 통해 지금까지 일반 휴대폰으로는 경험할 수 없었던 독특한 기능을 만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많은 스마트폰 앱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지만, 앱은 대부분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인 경우 앱의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최근 들어, 미국 애플사와 구글사에서 내놓은 스마트폰 플랫폼은 기존의 스마트폰 플랫폼과 달리 앱의 설치와 배포가 용이하고,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앱의 개발은 여전히 기존의 PC 환경이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CE, 윈도우 모바일 환경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개발사에 제작을 의뢰하여 진행하여야 함으로 막대한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제작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 경험이 없는 일반인도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는 기술들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1946호(등록일 : 2012. 06. 2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76479호(공개일 : 2012. 07. 0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4296호(등록일 : 2003. 02. 18)에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 기술들은 개발 경험이 없는 일반인도 스마트폰 앱을 제작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소비자 단말기로 앱을 제작할 수 있는 툴(tool)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입력에 따라 앱을 생성하여 소비자의 이메일로 전송하는 앱 제작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폰 앱의 규격화를 통해 웹 상에서 몇 가지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맞춤형 스마트폰 앱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들에서 제공하는 앱 제작 시스템은 앱 제작 제공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는 앱 제작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앱을 제작하도록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특히, 소비자가 원하는 종류의 템플릿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앱 제작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앱 제작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다량의 템플릿을 등록하여 저장해야 하는데, 이 경우 앱 제작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막대한 초기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1161946 B1, 2012. 06. 26. KR 10-2012-0076479 A, 2012. 07. 09 KR 10-0374196 B1, 2003. 02. 1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앱 제작을 원하는 소비자가 앱 디자인을 판매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구매한 후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면,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소비자가 구매한 구매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제공받아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앱 디자인에 대한 선택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판매자가 등록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와,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구매한 템플릿을 토대로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한 후 소비자가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앱 제작 제공 서버와,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키지 형태로 구매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쇼핑몰 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구매한 템플릿과 함께 저장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폰 앱 제작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토대로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식별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를 각각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제공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앱 제작 에디터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한 후 제작된 스마트폰 앱을 테스트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의 접속을 허락하는 제1 회원 등록 및 인증부와, 상기 제1 회원 등록 및 인증부를 통해 인증된 판매자가 제공하는 템플릿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템플릿을 판매자 정보와 함께 판매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템플릿 등록부와, 상기 판매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을 플랫폼별로 분류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템플릿 선택부와, 상기 템플릿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에 대한 소비자의 최종 구매가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구매 대금 결제를 요청하고,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템플릿을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와, 상기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를 통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해당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를 할당하는 동시에, 해당 템플릿을 구매한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해당 템플릿과 함께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할당부와,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소비자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들을 각각 상호 비교하여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의 판단 결과,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들 중 해당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는 템플릿 인출부와, 상기 템플릿 인출부로부터 인출된 템플릿을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의 접속을 허락하는 제2 회원 등록 및 인증부와, 상기 제2 회원 등록 및 인증부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템플릿 구매시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로 제공하는 템플릿 요청부와, 상기 템플릿 요청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의 템플릿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을 수신받는 템플릿 수신부와, 상기 템플릿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을 토대로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템플릿 이외에 앱 제작에 필요한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입력받아 앱을 제작하는 앱 제작 편집부와, 상기 앱 제작 편집부를 통해 제작된 앱을 에뮬레이터(emulator)를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앱 테스트부와, 상기 앱 테스트부를 통한 테스트 결과 상기 앱 제작 편집부를 통해 제작된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앱 제작을 최종 승인받아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받아 결제하는 앱 승인 및 결제부와, 상기 앱 승인 및 결제부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앱을 소비자에게 전송하거나 앱 등록 서버에 등록하는 앱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앱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와, (d)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e)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추출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g) 상기 쇼핑몰 서버는 비교 결과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와, (h)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앱 제작 에디터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i)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는 단계와, (j)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제작된 스마트폰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테스트하는 동시에 테스트 과정 및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k)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테스트 결과 제작된 스마트폰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스마트폰 앱 제작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l)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스마트폰 앱 제작에 대한 최종 승인이 전송되면 최종 승인된 앱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앱 제작을 원하는 소비자가 앱 디자인을 판매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구매한 후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면,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소비자가 구매한 구매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제공받아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앱 디자인에 대한 선택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서버와 앱 제작 제공 서버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한 상태에서 앱 제작 제공 서버가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쇼핑몰 서버로부터 해당 템플릿을 제공받도록 시스템이 구성됨에 따라 소비자는 별도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 구매한 템플릿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앱 제작을 요청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자신이 구매한 템플릿을 이용한 스마트폰 앱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앱 제작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의 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의 매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기(10),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 서버(20)(이하, 쇼핑몰 서버라 함) 및 앱 제작 제공 서버(30)를 포함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20) 또는 앱 제작 제공 서버(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된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대금 또는 앱 제작대금을 결제하는 은행 서버 또는 이동 통신사의 과금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인터넷 통신 포함)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 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통신망(1),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해 쇼핑몰 서버(20) 또는 앱 제작 제공 서버(30)에 접속한다. 이때, 접속 방법은 쇼핑몰 서버(20) 또는 앱 제작 제공 서버(30)에서 각각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인터넷 주소(URL)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웹 브라우저(포털 사이트)를 통한 검색을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통신망(1)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에 접속한 후 쇼핑몰 서버(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웹 디자인, 즉 플랫폼에 대응하는 템플릿 중 자신이 원하는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구매한다. 이때, 템플릿을 포함하는 패키지는 아이콘 이미지, 초기 화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앱 제작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하고,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앱 제작 에디터(3)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이 원하는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제작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0)는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판매하기 위해 특화된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판매자가 자신이 개발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등록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오픈마켓(open market) 형태의 서버일 수 있다. 쇼핑몰 서버(30)는 다수의 판매자가 등록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판매자별로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 도 2 참조)에 등록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쇼핑몰 서버(20)는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특정 플랫폼에 대응하는 템플릿에 대한 구매 요청시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따라 은행 서버 또는 이동 통신사의 과금 서버(40)와 연동하여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결제를 중재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소비자 식별 코드와 구매한 템플릿을 상품 식별 코드와 함께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 도 2참조)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템플릿은 앱 제작 제공 서버(30)의 요청시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 제공된다.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접속한 후 앱 제작 요청시, 소비자로부터 템플릿(2)을 구매한 쇼핑몰 서버(20)의 서버 정보(IP 주소 포함), 소비자 식별 코드 및 구매한 상품의 상품 식별 코드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쇼핑몰 서버(20)의 서버 정보, 예를 들면 서버의 IP 주소를 토대로 해당 쇼핑몰 서버(20)에 접속한 후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20)로부터 소비자가 구매하여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을 통신망(1)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후 이를 토대로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3)를 제공한다.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쇼핑몰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이 등록된 앱 제작 에디터(3)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앱 제작 에디터(3)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제작 방식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소비자가 앱 제작 에디터(3)를 통해 입력하는 컨텐츠와 부가 정보를 토대로 소비자 맞춤형 앱을 제작하여 제공한다. 이때, 컨텐츠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 그리고 그래픽 이미지를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앱 명칭, 앱 소개, 카테고리, 저작자, 버전 정보, 검색 키워드, 제작일, 판매 가격, 사용 등급, 배포 국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앱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앱 제작 에디터(3)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방식으로 앱을 제작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0)와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0)와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또는 외부에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1, DB2, DB3)가 구축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DB1, DB2, DB3)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 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제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통신망(1)은 소비자 단말기(10)와 쇼핑몰 서버(20) 또는 앱 제작 제공 서버(30)를 각각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통신사에서 설치 운영하는 이동 통신망(3G망, 4G망, WiBro망, LTE망 포함), 인터넷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서버(20)는 회원 등록 및 인증부(21), 템플릿 등록부(22), 템플릿 선택부(23),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24),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할당부(25),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 템플릿 인출부(28), 템플릿 제공부(29),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 및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를 포함한다.
회원 등록 및 인증부(21)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쇼핑몰 서버(20)에 접속 후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쇼핑몰 서버(20)의 접속을 허락한다. 물론, 판매자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 및 인증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템플릿 등록부(22)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판매자가 개발한 템플릿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받고, 제공받은 템플릿을 판매자 정보와 함께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에 등록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에는 플랫폼에 속하는 템플릿이 저장된다. 여기서, 플랫폼은 노키아의 심비안, 애플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모바일,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템플릿 선택부(23)는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플랫폼별로 분류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는 템플릿 선택부(23)를 통해 제공되는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소비자 페이지(장바구니)에 임시로 저장한다.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24)는 소비자 페이지(장바구니)에 저장된 템플릿에 대한 최종 구매가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구매 대금 결제를 요청하고,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템플릿을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로 저장한다. 이때,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24)는 은행 서버 또는 과금 서버(40)와 연동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할당부(25)는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24)를 통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해당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를 할당하는 동시에, 해당 템플릿을 구매한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해당 템플릿과 함께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등록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한편,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는 통신망(1)을 통해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소비자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로 제공한다.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소비자의 앱 제작 요청시 소비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입력받은 후, 통신망(1)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에 접속하여 소비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로 제공한다.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들을 각각 상호 비교하여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해당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템플릿 인출부(28)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의 판단 결과,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템플릿들 중 해당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인출하여 템플릿 제공부(29)로 제공한다.
템플릿 제공부(29)는 템플릿 인출부(28)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을 통신망을 통해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앱 제작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회원 등록 및 인증부(31),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32), 템플릿 요청부(33), 템플릿 수신부(34), 앱 제작 편집부(35), 앱 테스트부(36), 앱 승인 및 결제부(37) 및 앱 제공부(38)를 포함한다.
회원 등록 및 인증부(31)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앱 제작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앱 제작 제공 서버(30)의 접속을 허락한다.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32)는 소비자가 회원 등록 및 인증부(31)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소비자가 쇼핑몰 서버(20)에서 템플릿 구매시 쇼핑몰 서버(20)로부터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이때,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는 소비자 인증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템플릿 요청부(33)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32)를 통해 추출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통신망(1)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의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로 제공한다.
템플릿 수신부(34)는 템플릿 요청부(33)의 요청에 응답하여 쇼핑몰 서버(20)의 템플릿 제공부(29)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2)을 수신받아 앱 제작 편집부(35)로 제공한다.
앱 제작 편집부(35)는 템플릿 수신부(34)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2)을 토대로 앱 제작 에디터(3)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앱 제작 편집부(35)는 GUI 기반의 제작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앱 제작 편집부(35)는 패키지 형태의 템플릿(2) 이외에 앱 제작에 필요한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입력받아 앱을 제작한다.
스마트폰의 플랫폼은 노키아의 심비안, 애플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모바일,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플랫폼마다 특성이나 개발 환경은 각각 상이하지만 모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앱 개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가 "아이폰" 플랫폼을 선택하면, "아이폰" 플랫폼에 해당하는 템플릿들 중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이 웹 페이지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앱 제작 편집부(35)는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토대로 컨텐츠, 기능, 그리고 부가 정보들을 앱 제작 에디터(3)를 통해 입력받고,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제작한다. 상기한 컨텐츠와 부가 정보들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입력될 수 있는데, 소비자는 앱 제작 에디터(3)를 통해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 작성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 앱은 다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페이지마다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앱 테스트부(36)는 앱 제작 편집부(35)를 통해 제작된 앱을 에뮬레이터(emulator)를 이용하여 테스트한다. 즉, 제작된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테스트한다. 소비자는 에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앱 테스트부(36)를 통해 테스트되는 앱의 테스트 과정을 촬영한 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거나, 소비자가 직접 앱 테스트부(36)에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앱을 직접 테스트할 수도 있다.
앱 승인 및 결제부(37)는 앱 테스트부(36)를 통한 테스트 결과, 앱 제작 편집부(35)를 통해 제작된 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앱 제작을 최종 승인받아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받은 후 최종 승인된 앱을 앱 제공부(38)로 제공한다. 이때, 최종 승인된 앱은 소비자별로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3)에 저장된다.
앱 제공부(38)은 앱 승인 및 결제부(37)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앱을 통신망(1)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된 앱은 소비자에 의해 앱 등록 서버, 예를 들면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에 등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회원 등록 및 인증부(21)를 통해 회원을 등록한다. 이때, 회원 등록은 소비자와 판매자 회원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S41).
이후, 쇼핑몰 서버(20)는 판매자에게 일정한 용량의 판매 게시판을 제공하고, 판매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템플릿을 제작하여 등록한다(S42). 이때, 판매자가 등록한 템플릿은 판매자 정보와 함께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B1)에 저장되며, 소비자가 구매 요청시 웹 페이지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20)에 접속한 후 인증을 수행한 다음, 템플릿 구매를 요청하면, 쇼핑몰 서버(20)는 판매자가 등록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플랫폼별로 분류하여 소비자에게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한다(S43).
그런 다음, 소비자가 쇼핑몰 서버(20)로부터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를 결정하고 구매 대금에 상응하는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소비자에게 할당하여 제공한다(S44~S46).
이후, 쇼핑몰 서버(20)로부터 소비자별로 할당된 상품 식별 코드, 소비자 식별 코드 및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은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되어 관리된다(S4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의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앱 제작 제공 서버(30)는 소비자의 앱 제작 요청에 따라 소비자 인증 단계에서 소비자로부터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제공받은 후 통신망(1)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의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로 전송하고,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는 이를 수신한다(S51).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를 통해 수신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로 제공되고,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는 수신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가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각각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52).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27)의 판단 결과,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에 저장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들 중 앱 제작 제공 서버(30)에서 제공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식별 코드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템플릿 인출부(28)를 통해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2)로부터 인출한 후 템플릿 제공부(29)를 통해 앱 제작 제공 서버(30)로 제공한다(S53~S5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회원 등록 및 인증부(31)를 통해 회원을 등록한다(S61).
소비자가 회원 등록 및 인증부(31)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32)를 통해 소비자가 쇼핑몰 서버(20)에서 템플릿 구매시 쇼핑몰 서버(20)로부터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추출한다(S62). 이때,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는 소비자 인증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인증 과정에서,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의 추출이 완료되면, 템플릿 요청부(33)를 통해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통신망(1)을 통해 쇼핑몰 서버(20)의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26)로 제공한다(S63).
이후, 도 5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쇼핑몰 서버(20)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템플릿 수신부(34)를 통해 수신한 후 이를 앱 제작 편집부(35)로 전송한다(S64).
이후, 앱 제작 편집부(35)는 템플릿 수신부(34)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2)을 토대로 앱 제작 에디터(3)를 소비자에게 제공한 후 앱 제작 에디터(3)를 통해 앱 제작에 필요한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입력받아 스마트폰 앱을 제작한다(S65). 이때, 앱 제작 편집부(35)는 GUI 기반의 제작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간편하게 자신이 구매한 템플릿을 토대로 컨텐츠, 기능, 그리고 부가 정보들을 앱 제작 에디터(3)를 통해 입력하거나, 기 작성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제작한다.
이후, 앱 제작 편집부(35)를 통해 제작된 앱은 앱 테스트부(36)로 전송되고, 앱 테스트부(36)는 제작된 앱을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테스트한다(S66).
이후, 앱 테스트부(36)를 통해 앱이 테스트되는 과정 및 결과, 즉 앱이 실행되는 과정 및 결과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제공한다(S67). 이때, 앱이 실행되는 과정은 영상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미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후 소비자 단말기(10)가 판독할 수 있는 문서, 예를 들면 PDF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직접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앱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앱 테스트부(36)를 통한 테스트 결과 앱 제작 편집부(35)를 통해 제작된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앱 승인 및 결제부(37)를 통해 앱 제작을 최종 승인받아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받은 후 최종 승인된 앱을 앱 제공부(38)로 제공한다(S69). 이때, 최종 승인된 앱은 소비자별로 소비자 데이터베이스(DB3)에 저장된다.
이후, 앱 제공부(38)은 앱 승인 및 결제부(37)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앱을 통신망(1)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된 앱은 소비자에 의해 앱 등록 서버, 예를 들면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에 등록될 수 있다(S7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통신망 2 : 템플릿
3 : 앱 제작 에디터 10 : 소비자 단말기
20 : 쇼핑몰 서버 30 : 앱 제작 제공 서버
40 : 은행 서버/과금 서버 21, 31 : 회원 등록 및 인증부
22 : 템플릿 등록부 23 : 템플릿 선택부
24 :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
25 :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할당부
26 :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
27 :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
28 : 템플릿 인출부 29 : 템플릿 제공부
32 :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 33 : 템플릿 요청부
34 : 템플릿 수신부 35 : 앱 제작 편집부
36 : 앱 테스트부 37 : 앱 승인 및 결제부
38 : 앱 제공부 DB1 : 판매자 데이터베이스
DB2, DB3 : 소비자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판매자가 등록한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구매한 템플릿을 토대로 소비자에게 앱 제작 에디터를 제공한 후 소비자가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앱 제작 제공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패키지 형태로 구매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쇼핑몰 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구매한 템플릿과 함께 저장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폰 앱 제작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토대로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식별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를 각각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제공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앱 제작 에디터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한 후 제작된 스마트폰 앱을 테스트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의 접속을 허락하는 제1 회원 등록 및 인증부;
    상기 제1 회원 등록 및 인증부를 통해 인증된 판매자가 제공하는 템플릿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템플릿을 판매자 정보와 함께 판매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템플릿 등록부;
    상기 판매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을 플랫폼별로 분류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템플릿 선택부;
    상기 템플릿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템플릿에 대한 소비자의 최종 구매가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구매 대금 결제를 요청하고,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템플릿을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
    상기 템플릿 구매 및 결제부를 통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된 해당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를 할당하는 동시에, 해당 템플릿을 구매한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해당 템플릿과 함께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할당부;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소비자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들을 각각 상호 비교하여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매칭부의 판단 결과,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들 중 해당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소비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는 템플릿 인출부; 및
    상기 템플릿 인출부로부터 인출된 템플릿을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요청하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검증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아이디(ID)와 비밀 번호를 제공하고, 등록된 회원이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인증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의 접속을 허락하는 제2 회원 등록 및 인증부;
    상기 제2 회원 등록 및 인증부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템플릿 구매시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
    상기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 및 소비자 식별 코드 수신부로 제공하는 템플릿 요청부;
    상기 템플릿 요청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의 템플릿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을 수신받는 템플릿 수신부;
    상기 템플릿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템플릿을 토대로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템플릿 이외에 앱 제작에 필요한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입력받아 앱을 제작하는 앱 제작 편집부;
    상기 앱 제작 편집부를 통해 제작된 앱을 에뮬레이터(emulator)를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앱 테스트부;
    상기 앱 테스트부를 통한 테스트 결과 상기 앱 제작 편집부를 통해 제작된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앱 제작을 최종 승인받아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받아 결제하는 앱 승인 및 결제부; 및
    상기 앱 승인 및 결제부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앱을 소비자에게 전송하거나 앱 등록 서버에 등록하는 앱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앱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템플릿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구매한 템플릿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앱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소비자 정보로부터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추출된 템플릿의 상품 식별 코드와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전송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를 상기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와 각각 비교하는 단계;
    (g) 상기 쇼핑몰 서버는 비교 결과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상품 식별 코드 및 소비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상기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h)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로 제공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앱 제작 에디터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i)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앱 제작 에디터를 통해 컨텐츠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는 단계;
    (j)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제작된 스마트폰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테스트하는 동시에 테스트 과정 및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k)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테스트 결과 제작된 스마트폰 앱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스마트폰 앱 제작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l) 상기 앱 제작 제공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스마트폰 앱 제작에 대한 최종 승인이 전송되면 최종 승인된 앱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 제작 방법.
KR1020120114198A 2012-10-15 2012-10-15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98A KR101288119B1 (ko) 2012-10-15 2012-10-15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98A KR101288119B1 (ko) 2012-10-15 2012-10-15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119B1 true KR101288119B1 (ko) 2013-07-19

Family

ID=4899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198A KR101288119B1 (ko) 2012-10-15 2012-10-15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1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60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한 병원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20040009534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857858B1 (ko) * 2007-04-24 2008-09-17 (주)로코모 개인마켓구축 대행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03460A (ko) * 2007-06-12 2009-01-12 복성배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60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한 병원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20040009534A (ko) * 2002-07-24 2004-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857858B1 (ko) * 2007-04-24 2008-09-17 (주)로코모 개인마켓구축 대행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03460A (ko) * 2007-06-12 2009-01-12 복성배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020B2 (en) Computing device facilitating end user access to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not yet installed
US10163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tribution-type app store service
US10861000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loading
KR102402026B1 (ko)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138705A1 (en) Search Engine with Automated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CN112352444A (zh) 用于管理并提供用户体验的位置平台
WO2019179379A1 (zh) 用户权益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435936B (zh) 云主机创建方法、装置、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296154A (zh) 事务处理方法和系统
KR20220108914A (ko)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90311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KR101288119B1 (ko) 앱 디자인 판매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된 스마트폰 앱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3048A (ko) 자동번역을 이용한 소스 쇼핑몰로부터 타겟 쇼핑몰로의 상품 간편등록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333927B (zh) 界面跳转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082949B1 (ko) 선택적 결제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선택적 결제 요청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26350A (ko)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건강식품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6302367A (zh) 事务处理方法和系统
KR102502718B1 (ko)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거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002665B1 (en) Communication device crawler
JP7444935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506743B1 (ko) 인플루언서에 관한 복수의 항목 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요기업과 인플루언서를 매칭하는 시스템
KR102578774B1 (ko) 상품 등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대행을 위한 상품 등록 방법
KR102622354B1 (ko)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07609871A (zh) 支付轨迹重现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