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102B1 -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102B1
KR101288102B1 KR1020100054589A KR20100054589A KR101288102B1 KR 101288102 B1 KR101288102 B1 KR 101288102B1 KR 1020100054589 A KR1020100054589 A KR 1020100054589A KR 20100054589 A KR20100054589 A KR 20100054589A KR 101288102 B1 KR101288102 B1 KR 10128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yment
user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801A (ko
Inventor
변철우
안진만
장세곤
박종서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5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1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6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VoI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결제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통화 연결이 되면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가상 전화, 사용자가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과 가상 전화 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클릭투콜 장치, 통화 연결로서 통화 인증을 수행하는 통화인증 장치 및 통화 인증 및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uthoriz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은 손쉽게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음악, 사진, 동영상, 이모티콘, 아바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매하고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컨텐츠는 상대적으로 소액인 관계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요금과 합산하여 결제하는 소액 결제 방법을 통하여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 결제는 절차가 번거롭고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금 결제는 구매한 컨텐츠의 실시간 결제가 가능하므로 컨텐츠 이용과 같은 소액 결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결제 서비스로 SMS 메시지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가 있다. 이 결제 서비스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SMS 메시지로 인증번호를 수신하고 해당 인증번호를 구매서버의 결제페이지에 입력하여 인증을 받아 결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결제 서비스는 결제 절차가 복잡하여 젊은 계층도 사용하기 번거로우며, 구매자에게 이동통신단말기가 없으면 결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년층은 SMS 메시지를 통해 인증번호를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본 발명은 소액 결제 시 통화 연결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 절차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비롯하여 유선전화와 같은 통화 연결이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증서를 구비할 필요없이 전자상거래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결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매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통화 연결이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가상 전화, 상기 사용자가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전화 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클릭투콜 장치, 상기 통화 연결로서 통화 인증을 수행하는 통화인증 장치 및 상기 통화 인증 및 상기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매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구매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결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구매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상전화 간의 통화 연결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통화 연결로서 통화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인증 및 상기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액 결제 시 통화 연결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 절차가 간편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통화 연결이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를 할 수 있어 결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증서를 구비할 필요없이 전자상거래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결제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수신 후 통화 연결을 통한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b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후 결제 요청 수신을 통한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구매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결제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컨텐츠 제공서버(20), 클릭투콜(click??to??call) 장치(30), 상호접속 장치(40), 통화인증 장치(50), 결제승인 장치(60), 가상전화(70), 지불 게이트웨이(PG: payment gateway)(80) 및 통신사 회수대행 장치(9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통화 연결이 가능한 단말 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집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유선전화, 이동통신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과 같이 통화 기능과 인터넷 접속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단말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사용자 단말(10)이 통화 기능과 인터넷 접속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의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구매하고, 사용자 단말(10)의 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인증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은 컨텐츠 제공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구매 웹페이지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구매 웹페이지에서 컨텐츠를 구매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음악, 사진, 동영상, 이모티콘, 아바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컨텐츠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서버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구매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결제 요청을 받는 경우, 통화 인증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창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전화번호 입력창을 출력하며, 통화 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10)의 전화번호(이하, 사용자 번호)를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매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컨텐츠 제공 서버(20) 대신에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서버라면 무엇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클릭투콜 장치(5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과 가상전화(70)의 통화 연결을 처리한다. 클릭투콜 장치(5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번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클릭투콜 장치(50)는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는 판매자의 전화번호이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클릭투콜 장치(50)는 사용자 번호 및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로 발신호를 발생하고, 두 호가 착신완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와 가상전화(70)의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클릭투콜 장치(50)는 구현하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 판매자의 전화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클릭투콜 장치(50)가 발생한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로의 발신호는 상호접속 장치(40)로 전송된다.
상호접속 장치(40)는 클릭투콜 장치(50)가 발생한 두 개의 호를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호접속 장치(40)는 PSTN, 이동통신망, VoIP 망 등의 다양한 통신망으로 호를 연결하는 일종의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다.
통화인증 장치(50)는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이 수립되면, 상호접속 장치(40)로부터 통화 세션 정보를 전달받아 통화 인증을 수행한다. 통화 세션 정보는 호 연결에 따른 상세 로그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 또는 식별자, 연결 시간(예를 들어, 연결 시작/종료 시간, 연결 지속 시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연결이 수립되어 생성된 통화 세션 정보를 전달받음으로써 통화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화인증 장치(50)는 구매 웹페이지 상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통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승인 장치(60)는 통화인증 장치(50)의 통화 인증 및 가상 전화(70)를 통한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결제를 승인한다.
가상 전화(7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화 연결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가상 전화(70)는 IP 사설 교환기(IP-PBX: 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와 같은 교환기에 구현될 수 있다.
가상 전화(7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화 연결 후, 사용자 단말(10)로 안내 방송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전화(70)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 확인 요청에 대한 안내 방송을 하고, 사용자의 DTMF(Dial Tone Multi Frequency) 시그널 입력을 통한 결제 확인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방송이 "결제하시려면 삐소리 후 #을 누르세요"이고, 사용자가 # 버튼을 누르면, 가상 전화(70)는 결제 확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불 게이트웨이(80)는 결제 승인 장치(60)에 의하여 결제 승인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의 결제 승인을 대행하여 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로 전달한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80)는 결제 결과를 통해 통신사 회수대행 장치(90)로부터의 요금 회수를 대행하여 판매자에게 요금을 지불한다.
통신사 회수대행 장치(90)는 사용자로부터 요금을 청구하여 납부받아 지불 게이트웨이(80)로 요금을 정산한다.
도 2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210에서, 사용자 단말(10)이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에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서버(20)는 컨텐츠 구매를 위한 웹페이지(이하, 구매 웹 페이지라 칭하기로 함)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0)은 구매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받는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구매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 요청을 전달받으면, 사용자가 연락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번호 입력창은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입력되는 전화번호는 클릭투콜 인증에 이용된다. 클릭투콜 인증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과 가상 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S215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클릭투콜 인증을 위한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번호는 사용자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 기능 및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단말이 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통해 컨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유선전화,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이 사용자 소유의 통화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다.
S220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클릭투콜 장치(30)로 사용자 번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입력받은 사용자 번호를 클릭투콜 장치(3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번호는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되므로, 컨텐츠 제공 서버(20)를 경유하여 클릭투콜 장치(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도 함께 클릭투콜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는 구현하기에 따라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클릭투콜 장치(30)는 두 호를 발신하여 연결해야 하므로,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적어도 가상전화(70)에 대한 식별자를 클릭투콜 장치(30)로 전송해야 한다.
S225 에서, 클릭투콜 장치(30)는 사용자 번호 및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로의 통화연결 요청 신호를 상호접속 장치(40)로 전송한다.
S230에서, 상호접속 장치(40)는 통화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 가상전화(70)의 상호접속을 수행한다.
S235에서, 상호접속 장치(40)는 사용자 단말(10)과 가상전화(70)간의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세션 정보를 생성하여 통화인증 장치(50)로 전송한다. 통화 세션 정보는 호 연결에 따른 상세 로그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 및 가상전화(70)의 전화번호 또는 식별자, 연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240에서,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세션 정보의 수신에 따라 통화 인증을 수행한다.
이어, S245에서,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인증의 성공에 대한 인증 결과를 결제 승인 장치(60)로 전송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10)과 가상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이 수립되지 않는 경우, 상호접속 장치(40)는 통화 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통화 세션 정보를 통화인증 장치(50)로 전송할 수 없고,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인증을 수행할 수 없다. 이때,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인증의 실패에 대한 인증 결과를 결제 승인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과 가상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이 실패하면, 상호접속 장치(40)는 통화 연결 실패 신호를 통화인증 장치(50)로 전송하고, 통화인증 장치(50)는 통화 연결 실패에 따라 통화 인증의 실패에 대한 인증 결과를 결제 승인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S250 및 S255 단계에서, 가상 전화(70)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에 대한 사용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확인 응답은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에 대한 수락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전화(70)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 확인 요청에 대한 안내 방송을 하고, 사용자의 DTMF 시그널 입력을 통한 결제 확인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방송은 결제 내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결제를 수락 또는 취소할 수 있다.
S260에서, 가상 전화(70)는 확인 응답을 결제 승인 장치(60)로 전송한다. 여기서, 확인 응답은 사용자가 결제를 수락한 것으로 가정한다. 결제 승인 장치(60)는 S240 단계에서 수신한 통화 인증에 대한 인증 결과 및 S260 단계에서 수신한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 승인을 한다.
S265 단계에서, 결제 승인 장치(60)는 지불 게이트웨이(8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확인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결제 요청 수신 시, 결제 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80)로 전송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결제 승인 장치(60)는 지불 게이트웨이(80)로 결제 승인에 대한 결과를 전송한다.
S270 단계에서, 지불 게이트웨이(80)는 결제 승인 장치(60)의 결제 승인에 따라 결제 승인에 대한 결과를 컨텐츠 제공 서버(20)로 전달한다.
S275 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결제 승인에 대한 결과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10)로 결제 완료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결제 인증 시스템은 컨텐츠 구매에 대한 결제 처리 시, 사용자에게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요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과 가상 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을 통하여 결제에 대하여 클릭투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수신 후 통화 연결을 통한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구매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컨텐츠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구매 웹페이지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컨텐츠 구매를 위하여 구매 웹페이지에서 구매 결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구매 결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S315 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구매 결제 요청의 입력에 따라 클릭투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구매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 사용자가 결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b)와 같은 사용자 번호 입력창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번호 입력창에 통화 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요청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번호를 컨텐츠 제공 서버(20)로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사용자 번호를 클릭투콜 장치(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번호는 사용자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릭투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과 가상 전화(70)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과 가상 전화(70)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고, S325 단계에서, 통화인증 장치(50)가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인증을 수행한다.
S330 단계에서, 가상 전화(70)가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을 수신하여 결제 확인이 이루어진다.
도 3b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통화 연결 후 결제 요청 수신을 통한 결제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35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는다.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10)은 출력된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S35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과 가상 전화(70)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고, S360 단계에서, 통화인증 장치(50)가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인증을 수행한다.
S365 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구매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
S370 단계에서, 가상 전화(70)가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을 수신하여 결제 확인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인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컨텐츠 제공 서버
30: 클릭투콜 장치
40: 상호접속 장치
50: 통화인증 장치
60: 결제승인 장치
70: 가상전화
80: 지불 게이트웨이
90: 통신사 회수대행 장치

Claims (12)

  1. 사용자의 구매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화 연결이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가상 전화;
    상기 사용자가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전화 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클릭투콜 장치;
    상기 통화 연결로서 통화 인증을 수행하는 통화인증 장치; 및
    상기 통화 인증 및 상기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클릭투콜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가상전화의 전화번호를 상기 클릭투콜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통화인증 장치는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세션 정보 및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확인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화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내용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확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결제 확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전화는 IP 사설 교환기(IP-PBX: 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투콜 장치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상호접속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
  8. 구매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구매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 시스템에서 결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구매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상전화 간의 통화 연결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통화 연결로서 통화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인증 및 상기 확인 응답에 따라 결제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상전화 간의 통화 연결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출력된 사용자 번호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번호 및 상기 가상전화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연결이 수행되고,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세션 정보 및 상기 구매 웹페이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인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 내용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확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54589A 2010-06-09 2010-06-09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28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89A KR101288102B1 (ko) 2010-06-09 2010-06-09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89A KR101288102B1 (ko) 2010-06-09 2010-06-09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801A KR20110134801A (ko) 2011-12-15
KR101288102B1 true KR101288102B1 (ko) 2013-07-22

Family

ID=4550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589A KR101288102B1 (ko) 2010-06-09 2010-06-09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54A1 (ko) * 2012-05-04 2013-11-07 Kim Yong Taek 보조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시스템
CN105119933B (zh) * 2015-09-11 2018-12-28 中国农业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多移动终端进行联机交易的处理方法
JP2019500708A (ja) * 2015-10-30 2019-01-10 バロ サービ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ツーチャンネルベースの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979A (ko) * 2003-10-14 2005-04-20 주식회사 퓨쳐위즈 원타임 연결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060008641A (ko) * 2004-07-23 2006-01-27 조배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인증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3057A (ko) * 2006-11-13 2008-05-16 주식회사 아스템즈 음성통화를 이용한 휴대폰 결제 방법
KR20080099840A (ko) * 2008-09-29 2008-11-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979A (ko) * 2003-10-14 2005-04-20 주식회사 퓨쳐위즈 원타임 연결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060008641A (ko) * 2004-07-23 2006-01-27 조배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인증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3057A (ko) * 2006-11-13 2008-05-16 주식회사 아스템즈 음성통화를 이용한 휴대폰 결제 방법
KR20080099840A (ko) * 2008-09-29 2008-11-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801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8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CN111160845B (zh) 一种业务处理方法和装置
KR100787890B1 (ko) 인터넷 아이템의 선물 조르기를 이용한 모바일 환경의 무선결제 시스템 및 그 무선 결제 방법
US20120089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lling purchases from a mobile phone application
US2011021799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e Transactions via Mobile Devices
JP5027386B2 (ja) 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314600A (zh) 交易支付方法和系統
KR101288102B1 (ko)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8260679B2 (en) System and method of event triggered voice call origination
WO2019025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KR20120082644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및 서버
JP2006285444A (ja) 決済・料金回収代行システム
TWI309392B (ko)
TW201935359A (zh) 網路商城之身份驗證方法
KR100440797B1 (ko) 전자상거래의 결제/승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029333B1 (ko) 결제 처리 방법, 결제 대행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40086613A (ko)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080030921A (ko) 상품 대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1162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품권 유통 방법
KR102400065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이체 서비스 방법
CN117062077A (zh) 一种用户信息认证的方法及装置
KR101020576B1 (ko) 카드리더를 구비한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 연결된 서버의 계좌이체 결제 처리 시스템
CN114331705A (zh) 基于区块链的电信服务合约一致性保障方法
KR20110092870A (ko) 전자화폐를 이용한 도서 결제 기반으로 온라인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00136041A (ko) 질문/답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휴대폰 소액결제 처리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