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522B1 -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522B1
KR101286522B1 KR1020060136871A KR20060136871A KR101286522B1 KR 101286522 B1 KR101286522 B1 KR 101286522B1 KR 1020060136871 A KR1020060136871 A KR 1020060136871A KR 20060136871 A KR20060136871 A KR 20060136871A KR 101286522 B1 KR101286522 B1 KR 10128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exible cabl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780A (ko
Inventor
김동일
민웅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5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렉서블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고 서로 간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구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플렉서블 케이블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Flexible Cab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평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제1커넥터의 사시도.
도2b는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제2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도2b에서 Ⅰ∼Ⅰ´부의 단면도.
본 발명은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 커넥터 유닛(connector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형 플렉서블 케이블이나,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형 플렉서블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간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케이블이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TV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장치와, 상기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구성이 된다.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기존의 대체하는 여러 가지 평판표시장치들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들은 다수의 픽셀(pixel)들로 구성되는 평판표시패널과,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들을 전달하는 신호배선 및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들이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여 합착된 제2기판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회로부는 일반적으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system)과,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은 신호를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러 등을 실장한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변환한 신호를 처리하여 평판표시패널에 전달하는 구동IC로 구성이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PC의 CPU와 같은,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은 신호를 콘트롤러 등을 통해 평판표시패널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신호들을 구동IC를 통해 처리하여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구동IC는 일반적으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통해 전 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 상에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이 부착되고, 구동IC의 접속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를 얼라인 한 후 가열압착하여, 구동IC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한다.
최근에는, 평판표시장치가 대형 TV등에 사용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을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2인쇄회로기판으로 분리하여 적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12)은 시스템에서 공급받은 신호를 변환시켜 평판표시패널(40)로 공급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14)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12)에서 공급된 신호를 평판표시패널의 신호배선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회로기판이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4)은 구동IC(22)를 통해 평판표시패널(40)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12)과 제2인쇄회로기판(14)은 서로 플렉서블 케이블(16)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6)은 케이블 끝단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18a, 18b)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플렉서블 케이블에 연결된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또는 제2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제2커넥터부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커넥터부가 상기 제2커넥터부에 삽입되어 접속되며, 이 때, 상기 제2커넥터부는 개폐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폐쇄위치 에 있을 때 상기 제1커넥터부가 액츄에이터와 제2커넥터 사이에 끼워져서 고졍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에서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연결된 제1커넥터부가,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제2커넥터부에서 쉽게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해상도를 가지는 대형 TV 에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중에 의하여 더욱 쉽게 탈거되는 현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렉서블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않고, 서로 간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징을 가지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구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다수의 픽셀로 구성된 평판표시패널과,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구동IC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전환시키는 콘트롤러 등이 실장된 제1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환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 IC로 공급하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삭제
삭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돌출부가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hole)이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플렉서블 케이블(50) 끝단에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상기 제1커넥터(100)이 삽입되는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50)로는 FPC(Flexible Plastic Cable)형이나 FFC(Flexible Flat Cable)형 모두 가능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폴리이미 드(polyimide)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필름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지는 필름 상에 박형의 구리로 이루어진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내에 형성된 배선과 연결되어 노출된 영역을 가지는 배선(102)이 형성된 접속부(110)와, 상기 접속부(100)와 연결되며 홀(hole)(107)이 형성된 제1결합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상기 제1커넥터(100)가 삽입되는 하우징(202)과, 상기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202) 내로 삽입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204)과, 상기 하우징(204)에 삽입된 제1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206)와, 상기 제1커넥터(100)가 쉽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205)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형성된 제2결합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2)은 상기 제1 또는 제2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숄더링등의 방식으로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202)의 전단부를 통해 제1커넥터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204)은 상기 하우징(202)의 후방에서 하우징(202) 내로 삽입된다.
도3은 도2b에서 Ⅰ∼Ⅰ´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204)은 하우징(202)에 삽입된 제1커넥터(100)를 지지하는 지지바(203)와, 제1커넥터(100)의 접속부에 노출된 배선과 컨택하는 컨택부(208)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상기 터미널(204)을 인쇄회로기판에 고 정시키기 위하여 접합하는 접합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택부(208)에는 접합부(210)로 연결되는 도선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커넥터(100)에서 전달되는 신호들을 접합부(21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06)는, 도2b에서와 같이, 개방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200)에 삽입되고, 도3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206)가 폐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저부(206a)가 삽입된 제1커넥터(100)를 눌러서 상기 하우징(202)에 고정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츄에이터(206)가 폐쇄위치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06)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하우징(2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록킹부(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06)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도2a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가 돌출부로 형성된 제2결합부(212)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결합부(105)에 형성된 홀(107)에 상기 제2결합부(212)가 삽입되어 제1커넥터(100)를 하우징(20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206)가 제2커넥터(200)에 삽입된 제1커넥터(100)를 눌러서 고정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로 형성된 제2결합부(212)가 제1결합부(105)에 형성된 홀(107)에 삽입되어 제1커넥터(100)를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다수의 픽셀로 구성되는 평판표시패널과,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양 끝단에 구비된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연결되며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상기 다수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배선이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여 합착된 제2기판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2인쇄회로기판은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평판표시패널에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신호로 전환하여 평판표시패널에 전달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FPC형 플렉서블 케이블 또는 FFC형의 플렉서블 케이블 중 어느 유형이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폴리이미드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필름에 박형의 배선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박형의 배선들은 구리나 금과 같은 저저항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FFC형 플렉서블 케이블은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상에 실장된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플렉서블 케이블의 끝단에 구비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접합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제1커넥터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보다 견고하게 제2커넥터에 결합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플렉시블 케이블에 연결되며 홀이 형성된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되 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형성된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구비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적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이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케이블이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시스템으로부터 제1인쇄회로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플렉서블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판표시장치가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공급받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만을 구비한 경우에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시스템을 연결하는 케이블로 플렉서블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종래에 플렉서블 케이블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커넥터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TV와 같은 대형표시장치에 플렉서블 케이블을 적용한 평판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무게에 의해 플렉서블 케이블이 분리되어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두 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된 평판표시패널;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부착된 구동 IC;
    상기 구동 IC와 연결된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2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2커넥터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들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제1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 제1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제1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제1커넥터의 접속부에 노출된 배선과 컨택하는 컨택부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상기 터미널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일부가 상기 컨택부를 향해 볼록하게 솟아오른 형태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접합부의 면이 요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두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FFC형 플렉서블 케이블이거나 또는 FPC형 플렉서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유닛의 제1결합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회전하여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 중 하나의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폐쇄위치에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플렉서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060136871A 2006-12-28 2006-12-28 평판표시장치 KR10128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871A KR101286522B1 (ko) 2006-12-28 2006-12-28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871A KR101286522B1 (ko) 2006-12-28 2006-12-28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780A KR20080061780A (ko) 2008-07-03
KR101286522B1 true KR101286522B1 (ko) 2013-07-16

Family

ID=3981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871A KR101286522B1 (ko) 2006-12-28 2006-12-28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20B2 (en) 2014-07-2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PCB cabl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36B1 (ko) * 2008-04-16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엠하우스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구분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638179B1 (ko) 2014-11-11 2016-07-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KR102152101B1 (ko) 2018-11-02 2020-09-07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차량 전장용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634A (ja) * 1993-12-24 1995-07-21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並びにフレキシブル配線板並びに駆動ic交換方法
JP2005056618A (ja) * 2003-08-08 2005-03-03 Funa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06147294A (ja) * 2004-11-18 2006-06-08 Fujikura Ltd コネクタ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634A (ja) * 1993-12-24 1995-07-21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並びにフレキシブル配線板並びに駆動ic交換方法
JP2005056618A (ja) * 2003-08-08 2005-03-03 Funa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06147294A (ja) * 2004-11-18 2006-06-08 Fujikura Ltd コネクタの接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20B2 (en) 2014-07-2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PCB cabl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780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8860B2 (ja) 電子機器
EP139177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070422B1 (en) Flexible circuit board
US20100187005A1 (en) Flat cable fixing structure
KR101286522B1 (ko) 평판표시장치
US6265986B1 (en) Display system
KR20080070420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
US2004018376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19530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71331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9173335B2 (en) Complex circuit board fabrication method
US6769922B1 (en) Auxillary connectors for connector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9980058484A (ko) 액정표시모듈
JP2009081010A (ja) 極細同軸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H11305250A (ja) 画像表示装置
KR20220000456A (ko) 플렉시블한 투명 led 필름의 커넥터 연결구조
TWM601950U (zh) 光源連接模組及其連接器
KR20070072660A (ko)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50047708A (ko)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JP3653981B2 (ja) 液晶装置の実装構造及び電子機器
TWI734290B (zh) 光源連接模組及其連接器
KR20040072768A (ko) 구동모듈 접속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908612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インターフェース基板
JP4823746B2 (ja) 電子機器
JP2001125127A (ja) 液晶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