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523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523B1
KR101285523B1 KR1020110067808A KR20110067808A KR101285523B1 KR 101285523 B1 KR101285523 B1 KR 101285523B1 KR 1020110067808 A KR1020110067808 A KR 1020110067808A KR 20110067808 A KR20110067808 A KR 20110067808A KR 101285523 B1 KR101285523 B1 KR 10128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t water
water tank
b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024A (en
Inventor
하영훈
최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5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가 안착되기 위한 온수조 안착부와, 상기 온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을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홀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상기 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온수조가 상기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A hot water tank in which hot water is stored; A hot water tank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hot water tank, a base having a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and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to cover the hole, wherein the hot water tank vertically upwards the hole. And the cap is removed from the base, the hot water bat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connects water pipes and supplies purified water.

상기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수기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 또는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 또는 온수조 및 냉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온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냉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includes one or more filters and a water purification tank in which purified water is stored.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hot water or a cold water tank or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cold water and a cold water tank. When the hot water tank i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 heater f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may be provided. When the cold water tank i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 cooler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may be provided.

상기 온수조는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 내부에는 상기 온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이 구비되고, 상기 열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등과 연결되는 구조는 상기 온수조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2010년 08월 18일에 공개된 공개번호 10-2010-0090828호(발명의 명칭 : 정수기)에 공개된 내용에는, 정수기의 부품 또는 센서의 고장시 상기 부품 또는 센서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The hot water tank may be located at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A hot wire for heating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t water tan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ire may be connected.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No. 10-2010-0090828 published on August 18, 2010 (name of the water purifier) disclose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parts or sensors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parts or sensors of the water purifier. It is.

즉, 종래의 정수기는 상기 온수조의 제어부 등이 고장이 나면 상기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을 분리하고, 상기 온수조를 정수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온수조와 관련된 간단한 기기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패널 및 온수조를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when a control unit or the like of the hot water tank fails, it is common to separate the panel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and to separate and repair the hot water tank from the water purifier body. In this case, even when a simple device abnormality related to the hot water tank has to be separated, the panel and the hot water tank have to be separated.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온수조를 간편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ith improved workability by allowing the hot water tank to be easily repaired.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가 안착되기 위한 온수조 안착부와, 상기 온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을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홀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상기 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온수조가 상기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lt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A hot water tank in which hot water is stored; A hot water tank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hot water tank, a base having a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and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to cover the hole, wherein the hot water tank vertically upwards the hole. And the cap is removed from the base, the hot water bat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온수조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에 분리가능한 캡을 장착하여, 상기 온수조의 수리가 필요할 경우에 간편한 방법으로 상기 캡을 분리하여 상기 온수조를 수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by attaching a detachable cap to the base located below the hot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repair the hot water tank by detaching the cap in a convenient way when the hot water tank needs repair. have.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이 장착된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over removed from FIG. 1. FIG.
3 is a water pipe diagram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anel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mov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base from the t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ase equipped with a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over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one or more filters are mounted therein, a filter cover 13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covering the filter.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includes a drip tray 70 for storing the water falling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취출 레버(12)가 구비된다.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1. The control panel 1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10 for selecting a function.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take-out lever 12 for operating to take out the water.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lter cover 1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필터 커버(13)의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11)의 배면에 구비된 돌출부에 걸리고, 상기 필터 커버(13)의 하부에는 금속부가 구비되어 상기 금속부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자석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13)의 결합 방식은 상기 방식에 한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filter cover 1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e filter cover 13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bove filter can be easily mounted or detached. In one example, the filter cover 13 has a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cover 13, and the protrusion is caught by a protrusion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1. The metal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etal part may be coupled to the magnet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coupling scheme of the filter cover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cheme.

본 실시 예에서는 일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includes three filters. The water purifier 10 includes a first filter 21, a second filter 22, and a third filter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lear that the type and number of filters employed in the water purifier 10 are not limited.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0 includes a first filter holder 24 on which the first filter 21 is mounted, a second filter holder 25 on which the second filter 22 is mounted, and the third filter. And a third filter holder 26 on which the filter 23 is mounted. With each filter 21, 22, 23 mounted to each filter holder 24, 25, 26, the filters 21, 22, 23 are together with the respective filter holders 24, 25, 26. Can be rotated.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배수구(29)가 구비된다.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rain port (29).

상기 필터(21, 22, 23)를 교체하거나,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정수조, 냉수조 및 온수조 내에 저수된 물은 상기 배수구(29)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구(29)를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When the filters 21, 22 and 23 are replaced or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for a long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29. A structure and a method for draining water through the drain port 29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a hot water button 112 for selecting a hot water discharge function, a purified water button 113 for selecting a purified water discharge function, and a cold water button 114 for selecting a cold water discharge function. hav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후술할 가열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미도시)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t water mode 112 may be selected or released by pressing the hot water button 112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hot water mode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ea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hot water mode is selected, the heater (not shown) is operated, and when the hot water mode is released, the heater (not shown) is stopped. The hot water discharging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discharging hot water stored in a hot water tank.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후술할 냉각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ld water mode may be selected or released by pressing the cold water button 11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ld water mode i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hi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old water mode is selected, the cooler is operated, and when the cold water mode is released, the cooler is stopped. The cold water discharge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hot water button is selected and the hot water button 112 is pressed and the draw lever 12 is pressed, hot water may be discharged.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by pressing the cold water button 114 and pressing the draw lever 12 while the cold water mode is selected. Alternatively, when the draw lever 12 is pressed in the cold water mode selected,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In this case, only the cold water discharge function should be set as the default discharge function. When the water purifying button 113 is pressed and the draw lever 12 is pressed, the purified water may be discharged.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further include a lock button 111 for locking the hot water discharge function, and a continuous button 115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amount. The lock button 111 may not release the hot water mode and may lock the hot water discharge function. Therefore, even when the hot water button 112 is pressed and the draw lever 12 is pres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function is selected using the lock button 111, hot water cannot be discharged. When the lock function is released by using the lock button 111, hot water may be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3 is a water pipe diagram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와, 상기 냉수조(32)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 온도 센서(63)와,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 온도 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ater purifier 1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42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plurality of filters 21, 22, 23 flows, and the purified water pipe 42 to store the purified water. Cold water tank 31, cold water tank 32 for storing cold water, hot water tank 33 for storing hot water, and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3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2 And, it may include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64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33).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lves 27 and 28 provided in the pipe 41 connecting the first filter 21 and the second filter 22. The plurality of valves 27 and 28 may be operated based on the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4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pipe 4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The purified water pipe 42 may be provided with a non-return valve 43 for preventing the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31 to flow to the third filter (23) side.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62)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62)는 냉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and the cold water tank 32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cold water tank 32 may be located below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Therefore,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31 may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2.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2 may be cooled by the cooler 62. The cooler 62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ipe 51 through which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flows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The first connecting pipe 51 is connected to the drain connector 52. The first connection pipe 51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54 for allow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to flow only to the drain connector 52 side.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29)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9)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29)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29)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미도시)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미도시)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in connector 52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33 by a second connecting pipe 53. Although not shown, the drain connector 29 is formed in the drain connector 52, and the drain port 29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check valve (not shown). The check valve opens the drain port 29 when a drain hos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drain connector 52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 port 29 is closed, the purified wa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51, the drain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 33).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33 may be heated by the heater (not shown). The heater (not shown)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hot water temperature.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29)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29)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in hose is connected to the drain connector 52, the drain port 29 is opened so that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53 to the drain hose through the drain port 29. Can be drained.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 배출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7)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 includes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3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31 is discharged, a cold water discharge pipe 44 through which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32 is discharged, and the hot water tank 33. Hot water discharge pipe 45 for discharging hot water, a purified water valve 46 provided in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3, a cold water valve 47 provided in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44,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45 It may include a hot water valve 48 provided in.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The purified water valve 46 regulates the purified water flow in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3, the cold water valve 47 regulates the cold water flow in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44, the hot water valve 48 is The hot water flow in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45 is adjusted.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전면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rified water tank 31, for example.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44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ld water tank 32, for example.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45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tank (33).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3,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44,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45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discharge pipe 49. In addition, the outlet 50 is connected to the common discharge pipe 49. That i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may be selectively taken out from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 using the single operation lever 12 and the air outlet 5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is simplified and the appearance is neat.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홀더(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ving water pipe 53 through which the living water is discharge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holder 25 to which the second filter 22 is connected.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anel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mov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14), 미들 베이스(15) 및 베이스(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water purifier 1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frames 14, a middle base 15, and a base 16.

상기 베이스(16)에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14)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6)가 사각형 형상일 경우, 상기 측면 프레임(14)은 상기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측면 프레임(14) 사이에 패널이 놓임으로써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16)와 평행하게 미들 베이스(15)가 놓인다. 예컨대, 상기 측면 프레임(14)에는 상기 베이스(16)와 평행하게 미들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 상에는 압축기(61), 응축기(미도시)와 같은 냉각기, 온수조(3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전방에는 복수 개의 필터(21, 22, 23)가 위치한다.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에는 상기 정수조(31) 및 냉수조(3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의 외주면은 냉매관(63)이 접촉하여 상기 냉수조(32) 내의 물과 상기 냉매관(63)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냉수조(32)의 물이 냉각된다.A plurality of side frames 14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16. When the base 16 has a quadrangular shape, the side frames 14 may be coupled to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n inner sp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 may be formed by placing the panel between the side frames 14 adjacent to each other. On top of the base 16 is placed a middle base 15 in parallel with the base 16. For example, a middle base 15 may be coupled to the side frame 14 in parallel with the base 16. The base 16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or 61, a cooler such as a condenser (not shown), a hot water tank 33, and the like. A plurality of filters 21, 22, 23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se 16.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and the cold water tank 32 may be positioned on the middle base 1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32 is in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pipe 63, the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32 is cooled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32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63 do.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6)에는 누수 방지부 및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누수 방지부에는 전방 누수 방지부(161) 및 후방 누수 방지부(162)가 포함된다. 상기 슬릿은 형성 위치에 따라 바닥 슬릿(163) 및 측면 슬릿(164)로 구분된다. 상기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16) 부분을 슬릿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ase 16 is provided with a leakage preventing part and a slit. The leakage preventing part includes a front leakage preventing part 161 and a rear leakage preventing part 162. The slit is divided into a bottom slit 163 and a side slit 164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The portion of the base 16 on which the slit is formed may be referred to as a slit portion.

상기 전방 누수 방지부 (161)는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 누수 방지부(162)는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전방 누수 방지부(161) 및 상기 후방 누수 방지부(162)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전방 누수 방지부(161) 및 후방 누수 방지부(162)는,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에 위치한 상기 정수조(31) 및 냉수조(32)의 외주면 또는 미들 베이스(15)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부에는 냉수조(32), 냉매관(63) 등이 위치하므로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부의 온도는 비교적 낮게 유지되고, 상기 미들 베이스(15)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61), 온수조(33) 등과 같은 냉각기가 위치하므로 상기 미들 베이스(15) 하부의 온도는 비교적 높게 유지된다. 상기 온도차에 의해 상기 정수조(31), 냉수조(32) 또는 미들 베이스(15)의 외주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등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부에 위치한 구성의 외주면에는 상기 미들 베이스(15)의 하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결로에 의해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부에 위치한 구성의 외주면에 맺힌 물이 상기 패널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누수될 수 있다. 상기 결로에 의해 누수되는 물의 양은 많지 않으나, 상기 정수기(1) 사용시 소비자 불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는 상기와 같은 결로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과 가까운 베이스(16)에 형성된다. 상기 누수 방지부는, 상기 슬릿부와 분리될 수 있도록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누수된 물이 상기 슬릿부로 흘러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16)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와 상기 누수 방지부를 구획한다. 상기 누수 방지부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기재에 한하지 않는다.The front leakage preventing unit 161 is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 and the rear leakage preventing unit 162 is located behind the water purifier body 10. Slits are not formed in the front leakage preventing part 161 and the rear leakage preventing part 162. The front leakage preventing unit 161 and the rear leakage preventing unit 16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and the cold water tank 32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base 15 located on the middle base 15. Condensation occurs to prevent leakage. That is, since the cold water tank 32, the coolant pipe 63, and the like are positioned above the middle base 15, the temperature of the middle base 15 is kept relatively low, and the compressor is located below the middle base 15. Since a cooler such as 61 and a hot water tank 33 is positioned,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base 15 is maintained relatively high.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31, a cold water tank 32, or a middle base 15, a panel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1, and the like Condensation may occur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base 15. Water conden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cture located above the middle base 15 by the condensation may flow along the panel and leak out of the water purifier 1 through the slit. The amount of water leaked by the condensation is not large, but may cause consumer dissatisfaction when using the water purifier 1.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base 16 close to the panel to prevent leakage due to the condens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preventing part may be formed with a rib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lit part. The rib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base 16 so that the leak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lit portion, and partitions the slit portion and the leak prevention portion. The position where the said leak prevention part is provided is not limited to the said description.

상기 베이스(16)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바닥부에는 다수의 바닥 슬릿(16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6)의 측면부에는 측면 슬릿(1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슬릿(163) 또는 측면 슬릿(164)을 통해, 상기 압축기(61) 등에서 누수될 수 있는 냉매 또는 상기 압축기(61)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in the base 16. A plurality of bottom slits 163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16, and side slits 164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base 16. Through the bottom slit 163 or the side slit 164, the refrigerant that may leak from the compressor 61 or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61 may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베이스(16)의 전방에는 물받이(70)가 결합할 수 있는 물받이 삽입구(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70)에는 상기 물받이 삽입구(165)에 대응되는 물받이 삽입부(71)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삽입부(71)가 상기 물받이 삽입구(16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받이(70)가 상기 베이스(16)에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받이(70)가 상기 베이스(16)에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70)를 잡아당겨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물받이(70)에 고인 물을 버리기 위해 상기 물받이(70)를 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the front of the base 16, a drip tray insertion hole 165 to which the drip tray 70 may be coupled may be formed. The drip tray 70 is formed with a drip insert 71 corresponding to the drip insert 165, and the drip insert 70 is inserted into the drip insert 165 so that the drip 70 is inserted into the base. 16 can be mounted. This allows the drip tray 70 to be coupled to the base 16 in a simple manner. In addition, since it can be easily removed by pulling the drip tray 70,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drip tray 70 to discard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70 is convenient.

상기 베이스(16)에는 캡장착홀(1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장착홀(166)에는 캡(미도시)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캡장착홀(166) 주변의 베이스(16) 상에는 온수조 안착부(168)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상기 온수조 안착부(168)에 안착된다. 정수기 사용 중 상기 온수조(33)에 장착된 열선(미도시)과 같은 구성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의 패널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캡(미도시)만을 분리하여 상기 온수조(33)에 발생한 장애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33)가 상기 온수조 안착부(168)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온수조(33)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이 슬릿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상기 캡장착홀(166)로부터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A cap mounting hole 166 may be formed in the base 16. A cap (not shown)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p mounting hole 166. The hot water tank seating portion 168 may protrude from the base 16 around the cap mounting hole 166. The hot water tank 33 is seated on the hot water tank seating portion 168. If a failure occurs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hot wire (not shown) mounted on the hot water tank 33 while using a water purifier, the user may remove the cap (not shown) without removing the panel of the water purifier 1 to remove the hot water tank. Disability caused in (33) can be solved. In addition, since the hot water tank 33 is seated on the hot water tank seating part 168, sufficient space for the heat generated in the hot water tank 33 to escape through the slit may be secured. The hot water tank 33 may be locat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cap mounting hole 166.

상기 베이스(16)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61)가 안착될 수 있는 압축기 안착부(167)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가 상기 압축기 안착부(167)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압축기(61)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16)의 상면 간에 공간이 생겨, 상기 압축기(61)에서 누수될 수 있는 냉매 또는 상기 압축기(61)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6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compressor seat 167 in which the compressor 61 may be seated. The compressor 61 is seated on the compressor seating part 167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ressor 61 and the top surface of the base 16, so that the refrigerant may leak from the compressor 61 or the compressor.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for the heat generated at 61 to escape to the outside.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이 장착된 베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top,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equipped with a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6)에 형성된 캡 장착홀(166)에 캡(17)이 삽입된다.6 and 7, the cap 17 is inserted into the cap mounting hole 166 formed in the base 16.

상기 캡(17)은 상기 온수조(33)의 저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수조(33)의 저면이 원형이면, 상기 캡(17)도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17)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 상기 캡(17)이 원형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캡(17)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72)가 형성된다. 상기 캡(17)에는 다수의 슬릿(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7)이 상기 캡 장착홀(166)에 장착되면, 상기 베이스(16)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과 같이 상기 캡(17)에 형성된 슬릿(171)을 통해 상기 냉각기 등에서 누설될 수 있는 냉매 가스 또는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캡(17)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 관통홀(173)이 형성된다.The cap 17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33. For example,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33 is circular, the cap 17 may also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lthough the shape of the cap 17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the case where the cap 17 is circular will be described below. One or more protrusions 17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7. A plurality of slits 171 may be formed in the cap 17. When the cap 17 is mounted in the cap mounting hole 166, the refrigerant may leak from the cooler through the slits 171 formed in the cap 17, such as a plurality of slits formed in the base 16. Gas or heat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7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17.

상기 캡 장착홀(166)은 상기 캡(17)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캡 장착홀(166)은 상기 캡(17)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17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홀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6)의 저면에서 상기 캡(17)이 상기 캡 장착홀(16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캡(17)이 상기 캡 장착홀(166)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캡(17)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72)가 상기 캡 장착홀(166)과 가까운 베이스(16)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캡(17)이 상기 캡 장착홀(166)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캡(17)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17)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캡(17)의 형상을 상기 캡 장착홀(166)의 형상과 일치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cap mounting hole 16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7. The cap mounting hole 166 is provided with a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7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7, and the cap 17 has the cap mounting hole at the bottom of the base 16. 166 may be inserted. When the cap 17 is inserted into the cap mounting hole 166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protrusion 17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6 close to the cap mounting hole 166. The cap 17 may be seated and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ap mounting hole 166. When the cap 17 is to be separated, the cap 17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sily match the shape of the cap 17 with the shape of the cap mounting hole 166.

상기 캡 장착홀(166)의 상부에는 상기 캡(17)에 형성된 체결부재 관통홀(173)에 대응되는 보스(169)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스(169)는 상기 베이스(1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7)이 상기 캡 장착홀(166)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보스(169)는 상기 캡(17)에 형성된 체결부재 관통홀(173)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관통홀(173) 및 상기 보스(17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캡(17)이 상기 베이스(1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캡(17)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서, 상기 캡(17)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캡(17)의 저면에서 상기 체결부재(미도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하고 상기 캡(17)을 분리할 수 있다.The boss 169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73 formed in the cap 17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ap mounting hole 166. The boss 169 may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6. When the cap 17 is inserted into the cap mounting hole 166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the boss 169 may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73 formed in the cap 17. The cap 17 may be coupled to the base 16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73 and the boss 172.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from the bottom of the cap 17, so that when the cap 17 is to be separated, the user may have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at the bottom of the cap 17. The coupling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 cap 17 can be separated.

상기 캡(17)의 저면에는 손잡이(17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7)을 캡 장착홀(166)에 삽입해 회전시킬 때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74)를 잡고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캡(17)을 상기 베이스(16)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온수조(33)는 상기 캡 장착홀(16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 handle 174 may protrud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p 17. When the cap 17 is inserted into the cap mounting hole 166 and rotated, the user can conveniently rotate the grip 174 by holding the handle 174. When the cap 17 is separated from the base 16, the hot water tank 3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p mounting hole 166.

상기와 같이 온수조(33)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16)에 분리 가능한 캡(17)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온수조(33)에 기기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캡(17)만을 분리하여 상기 캡 장착홀(166)을 통해 간편하게 수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y attaching the detachable cap 17 to the base 16 located below the hot water tank 33 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ity in the device occurs in the hot water tank 33, the panel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paired through the cap mounting hole 166 by removing only the cap 17 without removing the cap 17.

Claims (6)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가 안착되기 위한 온수조 안착부와, 상기 온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을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홀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상기 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온수조가 상기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정수기.
A filter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A hot water tank in which hot water is stored;
A base having a hot water tank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hot water tank and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And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to cover the hole,
The hot water tank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hole,
When the cap is separated from the base, the hot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캡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캡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or mor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and the hole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When the cap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rotates, the cap is fixed to the base by fixing the protrusion to the base. Water purif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체결부재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상부에는 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 관통홀과 상기 보스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A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ap, and a boss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ap, and the cap is coupled to the base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and the boss in tu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저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된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purifier having a handle protruding from a bottom of the c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캡과 결합되는 보스; 및
상기 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이 포함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base,
A boss extending in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and coupled to the cap by the fastening memb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a projection receiving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e for receiving the projection.
KR1020110067808A 2011-07-08 2011-07-08 Water purifier KR101285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08A KR101285523B1 (en) 2011-07-08 2011-07-08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08A KR101285523B1 (en) 2011-07-08 2011-07-08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24A KR20130006024A (en) 2013-01-16
KR101285523B1 true KR101285523B1 (en) 2013-07-17

Family

ID=4783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08A KR101285523B1 (en) 2011-07-08 2011-07-08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52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616A (en)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Filter device
KR20090112903A (en) *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00104836A (en) * 2009-03-19 2010-09-29 주식회사 승광 Tank typ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616A (en)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Filter device
KR20090112903A (en) *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00104836A (en) * 2009-03-19 2010-09-29 주식회사 승광 Tank typ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24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38B1 (en) Water purifier
KR101335834B1 (en) Water purifier
KR101285523B1 (en) Water purifier
KR101296434B1 (en) Water purifier and drain structure in water purifier
KR101304688B1 (en) Water purifier
KR101323891B1 (en) Water purifier
KR101335747B1 (en) Water purifier
KR20120004013A (en) A water tank of a water purifier
KR101291981B1 (en) Built-in water purifier
KR101372051B1 (en) Water purifier
KR101304683B1 (en) Water purifier
KR101291974B1 (en) Water purifier
KR20130006235A (en) Water purifi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30006017A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flushing method thereof
KR101291876B1 (en) Water purifier
KR101213804B1 (en) Water purifier
KR101362510B1 (en) Water purifier
KR101335780B1 (en) Water purifier
KR101335848B1 (en) Water purifier
KR101291900B1 (en) Water purifier
KR101352697B1 (en) Water purifier
KR101296411B1 (en) Water purifier tank and water purifier
KR101291448B1 (en) Water purifier
KR101285489B1 (en) Water purifier
KR101232491B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