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495B1 - Lift gide frame - Google Patents

Lift gide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495B1
KR101285495B1 KR1020120128909A KR20120128909A KR101285495B1 KR 101285495 B1 KR101285495 B1 KR 101285495B1 KR 1020120128909 A KR1020120128909 A KR 1020120128909A KR 20120128909 A KR20120128909 A KR 20120128909A KR 101285495 B1 KR101285495 B1 KR 101285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eams
pair
lifting
str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12012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4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guide frame for pulling up a structure is provided to load and unload a structure regardless of the length change of a friction increasing mat by using a position control bracket. CONSTITUTION: A guide frame for pulling up a structure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beams,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multiple horizontal beams, and position control brackets (20). The vertical beams are installed in a lin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The bracket support beam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s at right angles. The horizontal beams are located between the bracket support beams and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s. The position control brackets are detachably placed on the bracket support beams and control the connection position of a wire rope.

Description

인양용 조금구{Lift gide frame}Lifting mouthpiece {Lift gide frame}

본 발명은 인양용 조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양될 대형 구조물의 길이 변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균등한 힘의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인양용 조금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phe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length change of a large structure to be lifted and to distribute an even force.

일반적으로, 육상이나 해상의 일정한 위치에 대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게 된다. 대형 구조물의 안정된 인양 및 하역 작업을 위해 크레인과 대형 구조물 사이에 조금구(Guide frame)를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a crane is used to install a large structure in a fixed position on land or at sea. A guide frame is used between the crane and the large structure for stable lifting and unloading of the large structure.

중력식 구조물은 해상의 조건에 따라 설치 장소별도 다양한 크기로 제작 시공되므로 중력식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아스팔트를 이용한 매트 또한 다양하게 제작된다. 중력식 구조물의 취급을 위해서는 균형있게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트럭에 적재하거나 트럭으로부터 내린다. 이때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지정된 장소에 포설하기 위해 크레인과 연결되는 인양용 조금구가 필요하다.Since gravity structures are manufactured and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ea conditions, various types of mats using asphalt are also produced according to the size of gravity structures. For the handling of gravity-type structures, the crane is balanced and lifted into or out of the truck. At this time, a lifting tool connected with a crane is needed to transport the crane to a designated place.

이 조금구를 여러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하나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하나로 조금구를 제작하여 여러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이 요구된다. 조금구는 통상 공장에서 트럭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It is necessary to make this small sphere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but it is required to make a small sphere to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in consideration of cost. Some spheres are usually manufactured to a size that can be loaded into truck loading bins at the factory.

따라서 본 출원은 하나의 인양용 조금구를 가지고 구조물의 크기가 커질 때마다 와이어 로프의 거는 지점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개발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a way to change the hanging point of the wire rope each time the size of the structure has a single lifting a little spher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2099호로서, 조립식 조금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다수의 단위 구조부재들의 측면 결합에 의하여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제공하는 격자 구조에서 상기 단위 구조부재가 교차하는 지점의 대각을 이루는 교차 지점을 연결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단위 구조부재간의 측면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abricated microsphere is proposed a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2099. It is a frame forming a lattice structure by the side coupling of a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members, a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oints forming a diagonal of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unit structural members in the lattice structure provided by the frame, and th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by connecting the sides between the structural members.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대형 구조물을 파손 없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데 반해, 대형 구조물의 규격의 변동이 생기면 상기 부재들의 수량과 형상을 변경하여 제작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즉, 완성된 조립식 조금구를 가지고는 특정한 구조물의 인양에만 적용이 가능하였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arge structure can be moved without damage, whereas if the size of the large structure changes, the number and shape of the members should be changed. In other words, the completed prefabricated microspheres could be applied only to the lifting of specific structures.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30925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30925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59511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59511

본 발명은 하나의 인양용 조금구만 가지고도 인양될 대형 구조물의 길이 변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균등한 힘의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인양용 조금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ing tool that is capable of responding according to the length side of a large structure to be lifted even if only one lifting gear is used and to distribute an even forc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인양용 조금구는,The lifting tool for lif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세로보와;A pair of stringers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한 쌍의 세로보의 양쪽 단부에 각기 동일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2쌍의 브라켓 지지보와;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pair of stringers at right angles with equal intervals therebetween;

내측에 위치한 브라켓 지지보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세로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보; 및A plurality of horizontal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bracket support beams located insid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tring beams; And

2쌍의 브라켓 지지보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거치되어 대형 구조물에 연결시킬 와이어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은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에 안착되기 위해 양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그립부와, 양쪽 그립부를 연결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 which is removably mounted to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to adjust a connection position of a wire rope to be connected to a large structure;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 has a semicircular grip portion at both ends to be seated on a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a support plate connecting both grip portions,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support plate. do.

삭제delete

또한, 위치조정용 브라켓은 브라켓 지지보와 그립부가 갖는 고정핀과 고정홀과의 자유로운 끼워맞춤에 의해 브라켓 지지보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ment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supported on the bracket support by detachable fitting by freely fitting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hole having the support and the grip portion.

또한, 각기 한 쌍의 세로보에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이 구비되고;In addition, a plurality of widthwise positioning brackets are provided that are detachable to each pair of stringers;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은,Positioning bracket for width direction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에 돌출된 고정핀에 삽입되는 고정홀을 갖는 그립부와; 그립부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지지판과; 지지판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ip part having a fixing hole inserted into a fixing pin protruding from the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A support plat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gri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인양용 조금구에 따르면, 위치조정용 브라켓이 설치됨으로써 인양구조물의 한 형태인 마찰증대 매트의 길이 변화에 따른 장애를 받지 않고, 인양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fting mout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position adjustment bracket, the lifting and unloading can be carried out without being obstructed by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which is a form of the lifting structure.

특히 위치조정용 브라켓에 의해 마찰증대 매트의 무게중심선을 지나는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들게 됨으로써 어느 한 쪽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막고 균등하게 힘이 배분되어 안정된 운반 및 인양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by supporting the portion pas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by the position adjustment bracket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force on either side and evenly distribute the force to enable stable transport and lifting work.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양용 조금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양용 조금구에 적용되는 위치조정용 브라켓의 착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인양용 조금구에 적용되는 위치조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양용 조금구를 이용한 마찰증대 패드의 인양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인양용 조금구를 이용한 길이가 서로 다른 마찰증대 패드의 인양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길이가 서로 다른 마찰증대 패드의 인양 지점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양용 조금구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
도 9c는 도 9b의 B-B선 단면도.
도 10a는 마찰증대 패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일부 절취된 사시도.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tool for lif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position adjustment bracket applied to the lifting mouth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oning bracket applied to the lif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ifting state of the friction increase pad using the lifting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and Figure 7b is a lifting state of the friction increasing pads of different lengths using the lifting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illustrate lifting points of friction increasing pads of different lengths;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a little sphe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plan view of FIG. 9A.
9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B.
10A is a plan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riction increasing pad.
FIG. 10B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0A; FIG.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양용 조금구(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세로보(12,12)가 설치된다. 한 쌍의 세로보(12,12)는 강관으로 제작된다. 세로보(12,12)는 트럭 적재함이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세로보(12,12)의 상면과 하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와이어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통상의 연결고리가 설치된다. 따라서 세로보(12,1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중량 구조물(예로, 마찰증대 매트)을 포함하여 그 이내의 것에도 운반 및 인양에 대처할 수 있다.Lifting a little sphere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tringers 12, 12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air of stringers 12 and 12 is made of steel pipe. Stringers 12 and 12 may have a maximum length that truck stacks can tolerate.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ingers (12, 12)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connecting ring that can connect the wire rope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lifting and lifting even within the weight structure (for example, friction increase ma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ingers (12, 12).

도 1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세로보(12,12)의 양쪽 단부에 각기 동일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2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가 설치된다.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는 원형의 강관으로 제작된 것으로 세로보(12,1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1 and 4,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and 14b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tringers 12 and 12, which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at equal intervals. do. The bracket support beams 14a and 14a and 14b and 14b are made of circular steel pipes and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stringers 12 and 12.

2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거치되어 대형 구조물에 연결시킬 와이어 로프(102)(도 7a 및 도 7b 참조)의 연결 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이 설치된다.Removably mounted to two pairs of bracket supports 14a, 14a, 14b and 14b, respectively, to adjus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wire rope 102 (see FIGS. 7A and 7B) to be connected to the large structure. Directio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installed.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강재로 제작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안착되기 위해 양단에 형성된 그립부(201,201)와, 양쪽 그립부(201,201)를 연결하는 지지판(202)과, 지지판(202)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203)을 갖는다. 그립부(201,201)는 반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02)은 인양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그 두께가 결정된다. 지지판(202)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단면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판(202)은 예로, I자형 단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made of steel. 4 and 5,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grip parts 201 and 201 formed at both ends so as to be seated on a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and 14b, and both grip parts. And a support plate 202 for connecting the 201 and 201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203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2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grip parts 201 and 201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or U shape. The support plate 202 is determined in thickness so as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the lifting loa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plate 202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support plate 202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n I-shaped cross section.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와 그립부(201,201)가 갖는 고정핀(15)과 고정홀(201a)과의 자유로운 끼워맞춤에 의해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된다. 즉,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 고정핀(15)에 삽입되는 고정홀(201a)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고정핀(15)은 그립부(201,201)에 설치되고, 고정홀(201a)은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형성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freely fitted between the fixing pins 15 and the fixing holes 201a of the bracket supporting beams 14a, 14a, 14b, 14b and the grip parts 201, 201. Removably mounted to the bracket support beam (14a, 14a) (14b, 14b). That is, the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installed through fixing holes 201a inserted into the fixing pins 15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bracket supporting beams 14a, 14a, 14b and 14b. In this case, the fixing pin 15 may be installed in the grip parts 201 and 201, and the fixing hole 201a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support beams 14a and 14a and 14b and 14b.

한편, 내측에 위치한 브라켓 지지보(14a,14b)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세로보(12,1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보(16)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eams 16 are installed between the bracket support beams (14a, 14b) located inside and connected to a pair of stringers (12, 12).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세로보(12,12)와 복수 개의 가로보(16)는 원형 강관으로 제작되어 있으나 각 파이프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stringers 12 and 12 and the plurality of cross beams 16 are made of circular steel pipes, but may be made of respective pipe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인양용 조금구(1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lifting mouthpiece 10 of this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is demonstrated.

먼저, 도 1과 같이 2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각기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을 거치시켜 놓는다. 이때 고정핀(15)이 고정홀(201a)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고정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and 14b are mounted on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xing pin 1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01a to fix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그 다음, 도 6과 같이 크레인(도시안됨)에 와이어 로프(5)를 매개로 인양용 조금구(10)가 안정되게 연결된다.Then, as shown in FIG. 6, a lifting tool 10 is securely connected to the crane (not shown) via the wire rope 5.

인양용 조금구(10)에는 대형 구조물 예로, 마찰증대 매트(100)가 도 7a,7b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 로프(102)를 매개로 연결된다.The lifting tool 10 is a large structure, for exampl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is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wire ropes 102 as shown in Figure 7a, 7b.

이때 도 7a와 같이 마찰증대 매트(10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의 안쪽에 위치하는 위치조정용 홀(203)이 선택되고, 도 7b와 같이 대형 구조물의 길이가 증가할 경우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치조정용 홀(203)이 선택되어 인양용 조금구(1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안쪽과 바깥쪽은 인양용 조금구(10)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가까운 곳과 먼곳을 상대적으로 지칭한다.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is short as shown in FIG. 7A, the positioning hole 203 located inside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is selected,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length is increased, the positioning hole 203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is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mouthpiece 10 to be supported. Here, the inside and the outside refer to a relative near and far relativ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sphere (10).

이같이 인양용 조금구(10)에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이 설치됨으로써 도 7 및 도 8과 같이 마찰증대 매트(100)의 길이 변화에 따른 거는 위치를 이동시켜 인양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양용 조금구(10)를 가지고 도 8a와 같이 마찰증대 매트(100)가 짧은 길이(L1)를 갖을 때는 물론이고, 도 8b와 같이 마찰증대 매트(100)가 긴 길이(L2)를 갖을 때도 인양 및 운반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L1<L2이다. 이때 사용되는 마찰증대 매트(100)는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로프 형태의 고리(100a)를 갖는 것도 될 수 있다.As such,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installed in the lifting mouth 10 to move the hang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length change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as shown in FIGS. 7 and 8 to lift and unload. Can be done. That is, of course, when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has a short length L1 as shown in FIG. 8A with one lifting tool 10,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has a long length L2 as shown in FIG. 8B. It is also possible to lift and carry when). Where L1 <L2. In this case,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used may have a rope-shaped ring 100a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또한,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에 의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마찰증대 매트(100)의 무게중심선(X)을 지나는 양단 부분의 중앙 지점(101,101)을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들게 됨으로써 처짐이 없으며 어느 한 쪽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막고 균등하게 힘이 배분되어 안정된 운반 및 인양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dditionally support the central points 101 and 101 at both end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line X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re is no sag and it prevents the concentration of force on either side and distributes the force evenly so that stable transportation and lifting work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은 마찰증대 매트(100)의 폭 방향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이 각기 한 쌍의 세로보(12,12)에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30)(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as shown in Figures 9a to 9c each of the plurality of width-direction positioning brackets 30 (removable to the pair of stringers 12, 12) ( 30 may be further provided.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30)(30)은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b)에 돌출된 고정핀(15a)에 삽입되는 고정홀(301a)을 갖는 그립부(301)와, 그립부(301)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지지판(302)과, 지지판(302)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303)을 갖는다. 이때 지지판(302)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단면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판(302)은 예로, I자형 단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widthwise positioning brackets 30 and 30 have a grip part 301 having a fixing hole 301a inserted into a fixing pin 15a protruding from a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and 14b, and a grip part 301. )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03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302 at fixed intervals.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plate 302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support plate 302 may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I-shaped cross section.

따라서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30)(30)은 위치조정용 홀(303)의 선택 위치에 따라 마찰증대 매트(100)의 폭 방향 증대에 대응하여 인양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dth adjustment brackets 30 and 30 may lift and unloa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iction increasing mat 100 accor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hole 303.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2: 세로보
14a,14b: 브라켓 지지보
15: 고정핀
16: 가로보
20: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
201: 그립부
201a: 고정홀
202: 지지판
203: 위치조정용 홀
12: stringer
14a, 14b: bracket support
15: push pin
16: crossbeam
20: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
201: grip
201a: fixing hole
202: support plate
203: hole for position adjustment

Claims (4)

삭제delete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세로보(12,12)와;
한 쌍의 세로보(12,12)의 양쪽 단부에 각기 동일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2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와;
내측에 위치한 브라켓 지지보(14a,14b)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세로보(12,1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보(16); 및
2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거치되어 대형 구조물에 연결시킬 와이어 로프의 연결 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는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안착되기 위해 양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그립부(201,201)와, 양쪽 그립부(201,201)를 연결하는 지지판(202)과, 지지판(202)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20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조금구.
A pair of stringers 12 and 12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14b connected to the two ends of the pair of stringers 12, 12 at equal intervals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orizontal beams 16 positioned between the bracket support beams 14a and 14b located insid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tringers 12 and 12; And
Removably mounted to the two pairs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14b),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20)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wire rope to be connected to the large structure Including;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connect grip parts 201 and 201 formed in semicircular ends at both ends to be seated on a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14a, 14b and 14b, and both grip parts 201 and 201. A lifting tool having a support plate 202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203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2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20)(20)은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와 그립부(201,201)가 갖는 고정핀(15)과 고정홀(201a)과의 자유로운 끼워맞춤에 의해 브라켓 지지보(14a,14a)(14b,14b)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조금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brackets 20 and 20 are freely fitted between the fixing pins 15 and the fixing holes 201a of the bracket supporting beams 14a, 14a, 14b, 14b and the grip parts 201, 201. Lifting little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bracke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bracket (14a, 14a) (14b, 14b).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각기 한 쌍의 세로보(12,12)에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30)(30)이 구비되고;
폭방향 위치조정용 브라켓(30)(30)은,
한 쌍의 브라켓 지지보(14a,14b)에 돌출된 고정핀(15a)에 삽입되는 고정홀(301a)을 갖는 그립부(301)와; 그립부(301)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지지판(302)과; 지지판(302)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조정용 홀(30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조금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plurality of widthwise positioning brackets 30 and 30 detachable to a pair of stringers 12 and 12, respectively;
Width direction positioning brackets (30, 30),
A grip part 301 having a fixing hole 301a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15a protruding from the pair of bracket support beams 14a and 14b; A support plate 30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grip portion 301; Lifting little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03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302 at regular intervals.
KR1020120128909A 2012-11-14 2012-11-14 Lift gide frame KR101285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09A KR101285495B1 (en) 2012-11-14 2012-11-14 Lift gid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09A KR101285495B1 (en) 2012-11-14 2012-11-14 Lift gide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495B1 true KR101285495B1 (en) 2013-07-12

Family

ID=4899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09A KR101285495B1 (en) 2012-11-14 2012-11-14 Lift gide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4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269A (en) 2002-10-11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type container crane and trolley
JP3786542B2 (en) * 1998-11-09 2006-06-14 株式会社大林組 Jig device for lifting space unit
KR20100111344A (en) * 2009-04-07 2010-10-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Jig for lifting tank top pipe group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542B2 (en) * 1998-11-09 2006-06-14 株式会社大林組 Jig device for lifting space unit
JP2004131269A (en) 2002-10-11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type container crane and trolley
KR20100111344A (en) * 2009-04-07 2010-10-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Jig for lifting tank top pipe group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429B2 (en) Counterweight block and assembly for crane
JP6042021B1 (en) Floor construction method, lifting jig for floor slab unit, and lifting device for floor slab unit
US83880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isting objects using a modular lifting beam
CN109563709B (en) Inclined rigging device for shaft installation
US11319196B2 (en) Intermediate support holder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20190078330A1 (en) Modular truss
JP5548636B2 (en) Crane suspension
JP6473922B2 (en) Lifting balance
KR101285495B1 (en) Lift gide frame
CN104649127A (en) Flexible self-balance multi-suspension-point hanging beam structure
JP2013036287A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floor unit
JP2019520283A (en) Lifting system, and carrier element for such lifting system
KR20140136693A (en) Move jig and move method for fpb
JP7195902B2 (en) Hanging jig
JP6035119B2 (en) Panel lifting device
JP2007099402A (en) Sling unit for lengthy material
CN111960251A (en) Steel bar truss hoisting method and steel bar truss hoisting tool thereof
JP2007182270A (en) Sling for elevator hoist unit
CN111186763A (en) Concrete block masonry component assembly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JP2020090373A (en) Suspending frame device of plate-like body and laying method
JP2018184227A (en) Support equipment of cargo handling pallet
CN218860130U (en) Lifting appliance
KR20130024455A (en) Jig for welder transport
CN211769712U (en) Balance lifting appliance
CN216945816U (en) Hoisting and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