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47B1 -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47B1
KR101285147B1 KR1020120025335A KR20120025335A KR101285147B1 KR 101285147 B1 KR101285147 B1 KR 101285147B1 KR 1020120025335 A KR1020120025335 A KR 1020120025335A KR 20120025335 A KR20120025335 A KR 20120025335A KR 101285147 B1 KR101285147 B1 KR 10128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detection sensor
central
partial discharg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숭규
최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진
Priority to KR102012002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45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line insulators or spacers, e.g. ceramic overhead line cap insulators; of insulators in HV bush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6Construction of test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검출센서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얇은 판상으로 소형화, 경량화하여 인쇄회로기법을 통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검출센서의 제작비용을 절감케 할 뿐 아니라, 금속용기 내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구조변경을 통하여 0.5~10.741GHz 대역에서는 -10dB이하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0.5~1.5GHz 대역에서는 -30dB이하의 뛰어난 감도를 유지케 함으로서, 전력기기의 운용에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하고, 광대역의 뛰어난 감도를 이용, 부분방전을 검출케 함으로서, 그 결함의 종류와 위치를 추정하여 가스절연기기의 안정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GAS INSULATED APPARATUS PARTIAL DISCHARGE DETECTING SENSOR AND DETECTING APPARATUS BY ITS SENSOR}
본 발명은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출센서를 얇은 판상의 마이크로 스트립센서로 구성하면서 소형화, 경량화 함과 동시에 검출센서의 구조를 최적의 조건으로 설계하여 전압이상으로 발생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을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고압가스를 절연매체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나 변압기와 같은 전력기기의 운용에 있어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결함의 종류와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 가스전열모선, 가스절연 변압기등 변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력기기는, 절연가스를 충전한 밀폐금속용기 내에 고전압도체를 절연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연기기로서 금속이물 등의 내부결함이 존재하면 국소적으로 전계가 높아져 부분방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부분방전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절연파괴에 이르게 되어, 커다란 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금속용기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분방전을 조기에 발견하여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부분방전을 신호형태로 검출함으로서, 절연파괴를 사전에 예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스절연기기의 예방보전방법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절연가스 중의 부분방전은 급격한 펄스전류가 발생하는 고전압현상으로 이러한 부분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파는 순간에 공간으로 방사되어 금속용기 내를 전파하고 밀폐용기인 금속용기로부터 외부로는 전자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폐용기인 금속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기밀단자를 사용하여 외부의 측정장치로 검출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658820호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에서 가스절연기기의 내부이상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고감도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외부의 측정장치로 검출한다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는,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가 매우 미약하여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분방전 신호의 검출감도, 정밀도를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안테나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는 안테나 수신부(11)를 금속용기(17) 내에 반원판을 평면상에 2매 조합시켜 구성함으로서 부분방전의 전자파를 광대역, 그리고 고감도로 검출한다.
이 경우, 상기 안테나 수신부(11)의 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서, 고전압도체(18)와 안테나 수신부(11)의 정전용량(C1)과 플랜지(20)와 안테나 수신부(11)의 정전용량(C2)을 증가시켜 가스절연기기 내의 고감도 전위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수신부(11)에 지향성이 강한 다이폴 안테나가 사용됨으로서, 가스절연기기에 다수 설치된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어느 부분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서도 광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어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테나 수신부(11)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밀봉단자(13), 동축밀봉단자(14) 및 동축케이블(15)의 동축구조로 전송하게 구성됨으로서, 절연지지대(18)에 의하여 고전압도체(19)가 지지되어 있는 금속용기(17) 내부에서 부분방전에 의해 수신된 100MHz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일 없이 측정장치(16)까지 전송할 수 있고, 수 GHz의 고주파 대역까지 측정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수신부(11)를 접지하여 사용함으로서, 안테나 자신을 플로트 전극으로 하는 일 없이 접지 전위로 사용할 수 있어, 가스절연기기 내부에 두더라도 장해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검출장치에 적용된 기술은, 실질적으로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안테나(micro patch antenna)의 원리를 이용한 지향성(directivity) 특성을 갖는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부분방전시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검출하는 구조로, 여기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는 패치와 접지면의 연결을 위해 단락핀(shorting)을 이용하고 있으며, 접지면에 놓인 단락핀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의 특성이 결정되며, 안테나의 특성은 도체로 된 접지면의 면적 및 형상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검출장치가 가스절연기기의 금속용기(17)에 결합되어 설치될 경우, 접지면에 해당하는 플랜지(20)는 금속용기(17)와 결합하게 되어 접지면은 커지게 되며, 또한 가스절연기기의 기종에 따라 구간마다 설치되는 검출장치의 위치도 다르며, 형상도 다르기 때문에 검출장치의 접지면이 달라져 임피던스는 변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외에 적용되는 가스절연기기에 대한 형상이나 규격이 다르고, 기종에 따라 다이폴 안테나 구조를 갖는 동일한 검출장치를 부착할 경우에도 플랜지(2)와 닿는 접지면이 일정하지 않아 접지인피던스가 바뀌게 되어 감도가 다르게 나오므로 성능이 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테나 수신부(11)를 단순접지하여 사용하는 경우 동축케이블(15)에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외부요인에 의하여 안테나의 특성이 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검출장치의 플랜지(20) 크기가 크고 무거워 휴대시에 불편함도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923748호(2007년 7월 3일 출원)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와 대한민국 특허 제893396호(2007년 2월 11일 출원) "내장형 센서가 구비된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3은 특허 제923748호의 검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금속용기(111) 내에 2매의 판형상의 도전성 전극을 가지게 된 안테나 수신부(101)와, 상기 안테나 수신부(101)의 도전성 전극에 각각 접속된 신호선(102) 및 접지종단선(103)을 동일한 크기로 감싸 부착하는 동축형 밸런(104)(105), 상기 안테나 수신부(101)에 접속된 신호선(102)을 통해 금속용기(111) 내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인출하는 동축케이블(108) 및 상기 동축케이블(108)에 접속되어 신호선(102)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장치(10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종단선(103)에는 신호선(102)에 접속된 동축케이블(108)의 임피던스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갖는 종단부하(110)를 연결하여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발명하여 등록한 특허 제893396호의 검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금속용기(17) 내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의 신호를 수신하며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반구형상을 갖는 한쌍의 안테나 수신부(100a)(100b)와, 상기 안테나 수신부(100a)(100b)의 각 도전성 전극에 접속된 신호선(102) 및 접지선(104)으로 이루어진 내장형 센서와, 상기 신호선(102)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금속용기(17) 외부로 인출하는 동축케이블(15)과, 상기 동축케이블(15)에 접속된 측정장치(16)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안테나 수신부(100a)(100b)는 고전압도체(19)와 수직으로 설치되며, 접지선(104)에는 동축케이블(15)의 임피던스와 동일한 접합소자(106)가 연결되게 하여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검출장치들은 접지종단선(103)이나 접지선(104)에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50Ω의 접합소자를 연결하여 가스절연기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일정한 감도특성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센서감도가 향상되어 금속용기 내의 각종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특허 제923748호 검출장치의 경우 다이폴센서를 적용한 안테나 수신부(101), 동축형 밸런(104)(105)과 안테나 수신부(101)를 절연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절연물(113), 종단부하(110)와 커넥터(107)를 안테나 수신부(101)와 연결하기 위한 접지종단선(103)과 신호선(102), 금속용기(107)와 측정장치(109)를 연결하기 위한 동축케이블(108)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검출장치가 커지게 되고, 또한 많은 부품들을 오차없이 가공 및 조립하여야 하나, 가공치수 및 조립의 조건차이에 의해 성능의 불균일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 제893396호 검출장치의 경우 다이폴센서를 적용하되, 반구형상의 안테나 수신부(100a)(100b)가 나란히 마주보게 구성하며, 상기 안테나 수신부(100a)(100b)를 접지선(104)과 신호선(102)으로 연결하되, 접지선(104)은 접합소자(106)와, 신호선(102)은 커넥터(14)와 연결하며, 상기 접합소자(106)와 커넥터(14)를 지지하면서 금속용기(17)를 밀봉하는 플랜지(20)로 구성되며, 커넥터(14)는 동축케이블(15)을 통하여 측정장치(16)와 연결되게 한 구조로서, 역시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한쌍의 반구형으로 안테나 수신부(100a)(100b)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검출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등록된 검출장치들의 경우 커기가 커진 관계로 금속용기에 검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핸드홀을 구성하고, 상기 핸드홀을 이용하여 검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고, 특히 안테나의 구조상 검출감도가 주파수대역 중 1~1.5GHz 고주파 대역에서 -10dB이하의 주파수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압 이상으로 발생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되, 그 결함의 종류와 위치를 추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얇은 판상으로 소형화, 경량화하여 인쇄회로기법을 이용,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검출센서의 제작비용을 절감케 할 뿐 아니라, 소형화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금속용기에 별도의 검출센서설치를 위한 핸드홀을 구성할 필요없이, 절연가스 주입을 위한 주입구(절연가스켓부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전압이상으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되, 검출센서의 구조변경을 통하여 0.5~10.741GHz 대역에서는 -10dB이하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며, 0.5~1.5GHz 대역에서는 -30dB이하의 뛰어난 감도를 유지케 함으로서, 전력기기의 운용에 있어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판으로 된 정사각형상의 하부패치와 중앙패치를 나란히 접합하고, 상기 중앙패치 상에 대칭형의 원판과 연결판 및 접속판으로 구성된 상부패치를 접합구성하되, 상부패치에 구성된 한쌍의 원판은 중앙패치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였으며, 얇은 판상으로 구성한 마이크로 스트립센서이며, 이때 중앙패치는 유전율 2.2인 합금소재로 구성되게 하고, 하부패치와 상부패치는 전기도체(PEC)로 구성되게 하여 검출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검출센서를 금속용기에 구성된 절연가스주입구(절연가스켓 부분)에 밀봉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검출센서를 커넥터와 결속되게 한 다음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측정장치와 연결되게 검출장치를 구성함으로서, 가스절연기기에서 전압이상으로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검출센서에서 부분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은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측정장치에 전송, 검출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검출센서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얇은 판상으로 소형화, 경량화하여 인쇄회로기법을 통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검출센서의 제작비용을 절감케 할 뿐 아니라, 금속용기 내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구조변경을 통하여 0.5~10.741GHz 대역에서는 -10dB이하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0.5~1.5GHz 대역에서는 -30dB이하의 뛰어난 감도를 유지케 함으로서, 전력기기의 운용에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하고, 광대역의 뛰어난 감도를 이용, 부분방전을 검출케 함으로서, 그 결함의 종류와 위치를 추정하여 가스절연기기의 안정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종래 검출장치의 예시도
도 2 : 종래 검출장치의 예시도
도 3 : 종래 검출장치의 예시도
도 4 : 종래 검출장치의 예시도
도 5 : 본 발명 검출센서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 검출센서의 측면도
도 7 : 본 발명 검출센서의 평면도
도 8 : 본 발명 검출센서의 사용상태도
도 9 : 본 발명 검출센서의 다른 예시도
도 10 : 본 발명 검출센서의 다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30)는 도 5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얇은 판상의 마이크로 스트립센서로서, 고압가스를 절연매체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나, 변압기와 같은 전력기기의 운용에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과 광대역 UHF내장형 센서를 가스절연기기에 장착함으로서, 기기의 운전중에 부분방전에 따른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센서(30)의 구성은 정사각형상의 얇은 판상으로 된 하부패치(600와, 하부패치(60)보다 조금 두껍게 구성된 중앙패치(50) 및 한쌍의 원판(41)과 연결판(42) 및 접속판(43)으로 구성된 상부패치(40)가 일체형으로 접합된다.
이때 상부패치(40)를 구성하는 한쌍의 원판(41)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판(42)은 대체로 중앙패치(5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속판(43)의 단부는 중앙패치(50)의 단부와 나란히 일치되게 한다.
상기에서 중앙패치(50)는 유전율 2.2인 합금소재로 구성되며, 상부패치(40)와 하부패치(60)는 전기도체(PEC)로 구성된다.
하부패치(60)와 중앙패치(50)의 가로길이(A) 및 세로길이(B)는 30㎜로서 정사각형으로 구성되며, 하부패치(60)의 두께(C)는 1㎜, 중앙패치(50)의 두께(D)는 1.588㎜, 상부패치(40)의 두께(E)는 1㎜이며, 상부패치(40)를 구성하는 원판(41)의 직경(G)은 4㎜, 접속판(42)의 폭(F)은 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시되는 각 부품들의 규격은 동일비율로 확장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검출센서(30)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규격을 줄일 경우에는 검출센서(30)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판상으로 된 각 부품들의 규격은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안테나의 기능, 즉 검출센서(30)의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한 비율이나, 각 규격은 10%범위내에서 크게 혹은 작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검출센서(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9에서와 같이 상부패치(40)의 연결판(42) 부분에 또다른 원판(41)이 돌출구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접속판(43) 상단에 단일 원판(41)이 구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검출센서(30)를 이용한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검출센서(30)는 얇은 판상의 소형이기 때문에 금속용기(83)에 구성되어 있는 절연가스 주입구(절연가스켓 부분)(85)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금속용기(83)에 별도의 핸드홀(도시안됨)을 구성할 필요성이 없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금속용기(83)에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절연가스 주입구(83)의 밀봉마개(87) 내면에 검출센서(30)를 위치시킨 다음 밀봉마개(87) 측부에서 커넥터(80)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80)는 동축케이블(81)을 통하여 측정장치(82)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검출장치(90)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검출센서(30)를 금속용기(83)에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금속용기(83) 일측에 별도의 핸드홀(도시안됨)을 구성하고, 상기 핸드홀의 플랜지에 검출센서(30)를 설치하여 검출장치(9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미설명부호 (84)는 고전압도체, (86)은 절연지지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절연가스가 충진된 가스절연기기의 금속용기(83) 내에 검출센서(30)를 설치하여 금속용기(83) 내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검출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검출센서(30)는 상부패치(40)와 하부패치(60) 사이에 유전율 2.2인 합금소재로 된 정사각형상의 중앙패치(50)가 위치되고, 중앙패치(50) 아랫쪽에는 동일한 형상의 전기도체(PEC)로 된 하부패치(60)가 위치되고, 상면에는 한쌍의 원판(41)과 연결판(42) 및 접속판(43)으로 구성되면서, 전기도체(PEC)로 된 상부패치(40)가 위치하고 있어 0.5~10.741GHz 대역에서는 -10dB이하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UHF대역인 0.5~1.5GHz 대역에서는 -30dB이하의 감도를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검출센서(30)는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시 인쇄회로기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검출센서(30)는 얇은 판상으로 소형화, 경량화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검출센서설치를 위한 별도의 핸드홀을 구성할 필요없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절연가스 주입구(85)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절연가스 주입구(85)의 밀봉마개(87) 내측면에 검출센서(30)를 위치시킨 다음 커넥터(80)와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80)는 동축케이블(81)을 통하여 측정장치(82)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기기를 구성하는 금속용기(83) 내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전압 이상시 발생하는 부분방전이 일어나면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0.5~10.741GHz 대역에서는 -10dB이하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UHF대역인 0.5~1.5GHz 대역에서는 -30dB이하의 감도를 가지고 있어 미세한 부분방전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즉시 검출하게 된다.
검출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금속용기(83) 내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수 GHz에 이르는 높은 고주파의 펄스전류가 발생하고, 전류파가 금속용기(83) 내를 전파하게 되며, 이 전자파가 상부패치(40)와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로 구성된 검출센서(30)로 유기되면서 커넥터(80)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된 다음, 동축케이블(81)을 통하여 측정장치(82)로 전송하여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출센서(30)는 광대역 범위로 전자파를 검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전자파의 형태와 각 검출센서에서 감지되는 감도에 따라 전압 이상의 원인과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30)--검출센서 (40)--상부패치
(41)--원판 (42)--연결판
(43)--접속판 (50)--중앙패치
(60)--하부패치 (80)--커넥터
(81)--동축케이블 (82)--측정장치
(90)--검출장치

Claims (4)

  1. 절연가스를 밀봉한 금속용기에 고전압도체가 절연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패치(40)와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를 일체형으로 접합하여 검출센서(30)를 구성하되,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는 판상의 정사각형상으로 구성되게 하고, 중앙패치(50)와 접합되는 상부패치(40)는 한쌍의 원판(41)과 연결판(42) 및 접속판(43)으로 구성되게 하되, 한쌍의 원판(41) 및 연결판(42)은 중앙패치(50)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고, 접속판(43) 단부는 중앙패치(50) 테두리부와 일치되게 하며, 상기 중앙패치(50)는 유전율 2.2인 합금소재로 구성되고, 상,하부패치(40)(60)는 전기도체(PEC)로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의 가로길이(A) 및 세로길이(B)는 각각 30㎜이고, 상,하부패치(40)(60)의 두께(E)(C)는 각각 1㎜이고, 중앙패치(50)의 두께는 1.588㎜이고, 상부패치(40)의 원판(41) 직경은 4㎜이고, 접속판(43)의 폭(F)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패치(40)의 연결판(42) 부분에 또다른 원판(41)이 돌출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4. 절연가스를 밀봉한 금속용기에 고전압도체가 절연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패치(40)와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를 일체형으로 접합하여 검출센서(30)를 구성하되, 중앙패치(50) 및 하부패치(60)는 판상의 정사각형상으로 구성되게 하고, 중앙패치(50)와 접합되는 상부패치(40)는 한쌍의 원판(41)과 연결판(42) 및 접속판(43)으로 구성되게 하되, 한쌍의 원판(41) 및 연결판(42)는 중앙패치(50)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고, 접속판(43) 단부는 중앙패치(50) 테두리부와 일치되게 하며, 상기 중앙패치(50)는 유전율 2.2인 합금소재로 구성되고, 상,하부패치(40)(60)는 전기도체(PEC)로 구성되게 한 검출센서(30)를 금속용기(83) 내에 구성된 절연가스 주입구(85)의 밀봉마개(87) 내측에 설치한 다음 밀봉마개(87) 외부에서 커넥터(80)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80)는 동축케이블(81)을 통하여 측정장치(82)와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1020120025335A 2012-03-13 2012-03-13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KR10128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35A KR101285147B1 (ko) 2012-03-13 2012-03-13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35A KR101285147B1 (ko) 2012-03-13 2012-03-13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47B1 true KR101285147B1 (ko) 2013-07-11

Family

ID=4899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35A KR101285147B1 (ko) 2012-03-13 2012-03-13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598A (ko) * 2004-06-29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부분방전검출센서, 부분방전검출장치 및부분방전검출센서를 가지는 가스절연 전기기기
KR20090036933A (ko) * 2007-10-10 2009-04-15 주식회사 효성 링패치와 원형패치가 구비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검출장치
KR20100090012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598A (ko) * 2004-06-29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부분방전검출센서, 부분방전검출장치 및부분방전검출센서를 가지는 가스절연 전기기기
KR20090036933A (ko) * 2007-10-10 2009-04-15 주식회사 효성 링패치와 원형패치가 구비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검출장치
KR20100090012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분방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146B1 (ko)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KR100658820B1 (ko)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Li et al. Development simulation and experiment study on UHF partial discharge sensor in GIS
US9383402B2 (en) Partial discharge sensor
JP3299547B2 (ja) ガス絶縁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Judd et al. Broadband couplers for UHF detection of partial discharge in gas-insulated substations
CN103149507A (zh) 外置式特高频局部放电检测传感器
KR101539436B1 (ko)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 방전 검출 장치
KR101298972B1 (ko) 비접촉식 부분 방전 검출장치
EP252094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for electric power devices
KR100923748B1 (ko) 가스 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101106903B1 (ko) 가스 절연 기기의 부분 방전 검출 장치
CN105676094A (zh) 一种用于gis局部放电检测的外置式传感器
KR101555233B1 (ko) 주상 변압기의 부분방전 검출용 광대역 센서
JP5576483B2 (ja) 部分的放電の測定によるガス絶縁高電圧電気開閉器の監視装置、及び該監視装置を用いたガス絶縁高電圧電気開閉器
KR101285147B1 (ko)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검출장치
CN103872447B (zh) 电气设备局部放电超高频天线传感器
CN101527221B (zh) 一种外置式的gis局部放电的超高频监测传感器
CN106324446A (zh) 检测气体绝缘组合电器局部放电的外置超高频传感器
KR101383182B1 (ko) 가공용 가스 절연 부하 개폐기의 절연진단센서
KR101346639B1 (ko) 가스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센서
CN202178471U (zh) 一种用于内置耦合器的电缆接头及其耦合器
KR101417862B1 (ko) 전력설비 진단용 센서
KR100893396B1 (ko) 내장형 센서가 구비된 가스 절연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US20160245856A1 (en) Partial discharg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